KR20100038661A -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661A
KR20100038661A KR1020080097712A KR20080097712A KR20100038661A KR 20100038661 A KR20100038661 A KR 20100038661A KR 1020080097712 A KR1020080097712 A KR 1020080097712A KR 20080097712 A KR20080097712 A KR 20080097712A KR 20100038661 A KR20100038661 A KR 20100038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assembly
cap
mounting shaf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형
양승대
장준호
신민정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661A/ko
Publication of KR2010003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8Means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장착축; 상기 디스크장착죽에 형성되는 수결합부; 상기 수결합부에 설치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은 지지부와 체결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적 및 외측둘레의 크기를 상기 지지축의 단면적 및 외측둘레의 크기 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손잡이부에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캡을 상기 디스크장착축에 보다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습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Disk Assembly of 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수막이 형성되는 디스크에 부착시켜 저수조에 담긴 물속에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가습 및 공기 청정을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 가습공기청정기로는, 예컨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7935호(특허문헌 1)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2472호(특허문헌 2)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가습공기청정기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은 상부 케이스, 20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하부 케이스를 각각 보인 것으로, 상부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틀(11)에 모터(30)가 고정되고, 모터(30)의 축에는 송풍팬(31)이 고정되어있으며, 고정틀(11)의 하측 결합부(12)에는한 쌍의 롤러(4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3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하면 송풍팬(31)이 회전하고, 한 쌍의 롤러(4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모터(30)의 축과 롤러(40)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웜과 웜기어가 설치됨으로써 모터(30)의 축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40)가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10)의 일측부에는 전원을 온ㆍ오프 하고 송풍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50)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부호 100은 디스크 롤러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이 디스크 롤러 조립체(100)는 디스크A와 디스크B가 롤러 형태로 조립되어 디스크 롤러(101)를 이루고있으며, 양쪽의 디스크 롤러(101)가 상기 롤러(40)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0)의 내부에 소정 높이로 물을 담고 상,하부케이스(10),(20)를 결합한 후 모터(3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면 모터(30)의 회전력으로 송풍팬(31)이 회전하고, 송풍팬(31)과 연동하는 롤러(40)에 의해 디스크 롤러(101)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디스크 롤러(101)의 디스크A,B에 박막형으로 묻어있는 물이 디스크 A,B의 원심력과 송풍팬(31)에 의한 강제 송풍력에 의해 미세하게 분해되면서 공기와 함께 하부 케이스(20)의 주벽에 형성된 그릴을 통하여 실내에 사방으로 고르게 확산되어 실내에 가습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809470호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군은 회전축이 비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축의 방향이 바뀌게되면 가습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비자는 사용상 부주의로 인해 회전축을 반대로 끼워놓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고, 이에 만약 리브(623)의 회전위치가 바뀌면, 물을 퍼올리는 효과가 없어서 침전 및 가습량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거나 디스크장착축(610)의 회전구동 불량으로 인해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크군에서 디스크를 분리하는 경우, 디스크장착축에 결합된 캡을 사용자가 직접손으로 분리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디스크군에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조내부의 공간지 부족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크군에서 디스크를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손으로 디스크장착축에 결합된 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장착축; 상기 디스크장착죽에 형성되는 수결합부; 상기 수결합부에 설치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은 지지부와 체결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적 및 외측둘레의 크기를 상기 지지축의 단면적 및 외측둘레의 크기 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손잡이부에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캡을 상기 디스크장착축에 보다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형상을 다각형상으로 함으로써, 조립시에 사용자의 손 또는 체결기구가 상기 체결손잡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 개략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리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그크조립체의 분리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의 정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그크조립체의 평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조립체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장착축; 상기 디스크장착죽에 형성되는 수결합부; 상기 수결합부에 설치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은 지지부와 체결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습공기청정기는 크게 바디조립체(600), 수조조립체(800) 그리고 다스크조립체(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조립체(60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조조립체(800)의 상부에 조립된다.
상기 수조조립체(800)은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의 측면에는 안착홈(830)이 형성된 지지부(810)는 각각 측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지지부(810)는 상기 수조조립체(800)의 바닥면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디조립체(600)와 상기 수조조립체(800)에 관한 사항은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9418호 등에 제시되어 있는바 이에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크 조립체(700)는 기어디스크(710), 디스크(730), 그리고 상기 기어디스크(710) 및 상기 디스크(730)가 장착되는 디스크장착축(750) 그리고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의 끝단에 끼워지는 캡(7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크(73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디스크(730)를 형성하는 디스크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730) 각각은 수조의 물을 퍼올려 상기 디스크(730)의 표면에 부착하여 수막을 형성한다.
이 수막은 유입된 공기를 흡착한 후 다시 수조로 들어가면서 물속으로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디스크(730)의 표면에는 원호형상의 경사리브(731)와 직선리브(733)가 상기 디스크(7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경사리브(731)와 직선리브(733)는 상기 디스크(730) 전면 또는 후면에만 형성되거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리브(731)는 상기 디스크(730)의 시계 및 반시계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즉, 상기 디스크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물을 퍼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리브(731)는 상기 디스크(730)의 중심부 보다 상기 디스크(730)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직선리브(733)는 상기 경사리브(731) 보다 상기 디스크(730)의 중심부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상기 경사리브(731)와 직선리브(733) 그리고 상기 직선리브(733)과 직선리브의 사이에는 홈 형상의 유로(735)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리브(731)와 직선리브(733)를 따라 흐르던 물은 상기 디스크(730)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게 되며, 또한 상기 유로(735)를 따라 흐름으로서, 디스크(730)의 표면적에 보다 넓은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730)는 디스크장착축(750)에 끼워지는 제2 결합공(737)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에 삽입된다.
상기 제2 결합공(737)은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도록 정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73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730) 전면 및 배면 표면에는 제2 결합공(737)을 둘러싸도록 제2 지지돌기(7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돌기(740)가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취약해질 수 있는 제2 결합공(737)을 보강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730)를 디스크장착축(750)에 끼워넣었을 때 상기 디스크(730)와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디스크(73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다수개의 디스크(730)를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에 끼워넣을 때 각각 의 디스크(730)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리브(731)는 상기 디스크(730) 상에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대칭되게 된다.
즉, 대칭 형상의 지지축이(775)이 상기 수조조립체에(800) 형성되는 두 개의 안착홈(830)중 어느 한 안착홈(830)에 안착되더라도 원호형상의 리브(623)의 회전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경사리브(731)가 시계 및 반시계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원호형상이 아니라면, 상기 디스크(730) 회전위치가 바뀌면, 물을 퍼올리는 효과가 없어서 침전 및 가습량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디스크(71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군의 양측(즉,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의 양단)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디스크(710)에는 상기 디스크(730)와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 경사리브(711), 유로(713), 직선리브(715), 제1 결합공(737), 제1측벽(721)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디스크(710)의 전면에는 상기 제1 결합공(737)을 둘러싸는 원형상의 돌기(72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돌기(723)의 둘레의 형상 및 크기는 후술할 플랜지(771)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723)는 상기 기어디스크(710)가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어디스크(710)와 상기 캡(77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어디스크(710) 외주면에는 모든 둘레에는 피동기어(7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동기어(721)는 상기 수조조립체(800)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크모터(미도시)의 구동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동시에 상기 디스크 구동부의 모터로부터 회동력을 상기 기어디스크(7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디스크(710)은 디스크 모터로부터 회동력을 받게되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크조립체(700)는 회전을 하게된다.
상기 기어디스크(710)에는 관통공(7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720)은 상기 기어디스크(7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720)을 둘러싸는 지지벽(729)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관통공(720)은 상기 디스크(73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디스크군(700)을 상기 수조조립체(800)에서 분해 또는 조립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관통공(720)에 손을 끼워넣어 상기 디스크군(7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벽(729)이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취약해질 수 있는 상기 관통공(720)을 보강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720)에 손가락을 끼워넣었을 때 상기 관통공(720)과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넓어져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디스크조립체(7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크(730)과 상기 기어디스크(710)이 장착되는 디스크장착축(750)은 삼각기둥 형상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의 일단에는 수결합부(751)가 형성되며, 상기 수결합부(751)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수결합부의 하부에는 지지면(753)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캡(770)이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지지면(753)은 상기 플랜지(771)과 맞닿게 되어 상기 기어디스크(710)와 상기 캡(77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의 측면에는 상기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J형상으로 이루어진 홈(757)이 형성된다.
상기 홈(757) 내부에는 다수개의 리브(755)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디스크군(700)의 회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브(755)에 의해 상기 홈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상기 디스크장착죽(7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캡(770)은 체결손잡이부(773)와 스토퍼 역할을 하는 플랜지(771), 그리고 지지축(77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크장착축(750) 끝단에 형성되는 수결합부(751)에 끼워진다.
상기 캡(770)에 형성되는 지지축(775)은 수조조립체(800)의 안착홈(830)에 안착 지지된다.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의 양단에 결합되는 캡(770)의 지지축(775)은 서로 대칭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775)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77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암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장착축(750) 끝단에 형성되는 수결합부(751)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캡(770) 끝단 외주면에는 플랜지(771)가 전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770)에는 상기 플랜지(641) 상부에 오도록 상기 체결손잡이부(773)가 상기 플랜지(771)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손잡이부(773)는 상기 플랜지(641)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손잡이부(773)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손잡이부(773)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축(775)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손잡이부에 외측둘레의 크기는 상기 암결합부가 형성된 지지축(775)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손잡이부에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캡(770)을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에 보다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손잡이부(773)의 단면형상을 다각형상으로 함으로써, 조립시에 사용자의 손 또는 체결기구가 상기 체결손잡이부(773)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지지축(775)의 상면에는 일자형상의 홈(777)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일자 또는 십자형의 체결기구가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의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에 상기 기어디스크(710)를 삽입한 후, 다수개의 디스크(730)를 끼워넣고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에 마지막으로 기어디스크(710)를 끼워넣는다.
이어서, 상기 디스크장착축(750)의 수결합부(751)에 상기 캡(770)을 끼워넣는 동시에 상기 캡(770)을 돌기게 되면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디스크군에서 디스크를 분리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손으로 디스크장착축에 결합된 캡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적합하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그크조립체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그크조립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조립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바디조립체 700: 디스크조립체
710: 기어디스크 730: 디스크
750: 디스크장착축 770: 캡
800: 수조조립체

Claims (3)

  1. 디스크;
    상기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장착축;
    상기 디스크장착죽에 형성되는 수결합부;
    상기 수결합부에 설치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은 지지부와 체결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적은 상기 지지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손잡이부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KR1020080097712A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KR20100038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12A KR20100038661A (ko)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12A KR20100038661A (ko)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61A true KR20100038661A (ko) 2010-04-15

Family

ID=4221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12A KR20100038661A (ko) 2008-10-06 2008-10-06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6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42B1 (ko) * 2011-08-25 2013-09-12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KR101477197B1 (ko) * 2014-07-17 2014-12-29 (주)경희 워터포켓을 구비하는 가습장치
KR20160044202A (ko) * 2014-10-15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WO2022077841A1 (zh) * 2021-02-28 2022-04-21 昶旻(苏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用消毒处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42B1 (ko) * 2011-08-25 2013-09-12 주식회사 위닉스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어셈블리 핸들
KR101477197B1 (ko) * 2014-07-17 2014-12-29 (주)경희 워터포켓을 구비하는 가습장치
KR20160044202A (ko) * 2014-10-15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WO2022077841A1 (zh) * 2021-02-28 2022-04-21 昶旻(苏州)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用消毒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059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US8313569B2 (en) Air washer having humidifying function
KR20100038661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KR100809471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433083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KR101006991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KR101027060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JP2010117061A (ja)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KR20160044202A (ko) 가습기
KR200263133Y1 (ko) 필터 기화식 가습기
KR101178665B1 (ko) 가습공기청정기 및 가습공기청정기용 디스크 청소기구 그리고 가습공기청정기용 디스크 청소방법
KR101045653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 조립체 및 코팅방법
KR10196980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9468B1 (ko) 디스크 조립체 및 가습공기청정기
KR20140037737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케이스 조립체
CN109026848A (zh) 方便拆装风轮的冷风扇及其拆洗方法
AU2014100054A4 (en) Quickly Assembled Fan
KR101307844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805667B1 (ko) 가습기 및 가습기용 디스크
KR20130019322A (ko) 가습기 및 그의 탱크
KR20130029690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디스크장착축 구조
CN213811096U (zh) 一种风向可调式集成风口
JP2001227768A (ja) 空気調和機
KR102371625B1 (ko) 가습공기청정기
CN213020212U (zh) 一种空调扇用水箱结构及具有该水箱结构的空调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