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654A - 호스 꼬임 방지구 - Google Patents

호스 꼬임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654A
KR20100038654A KR1020080097704A KR20080097704A KR20100038654A KR 20100038654 A KR20100038654 A KR 20100038654A KR 1020080097704 A KR1020080097704 A KR 1020080097704A KR 20080097704 A KR20080097704 A KR 20080097704A KR 20100038654 A KR20100038654 A KR 20100038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ed air
connector
tool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995B1 (ko
Inventor
유영민
Original Assignee
유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민 filed Critical 유영민
Priority to KR102008009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압축공기용 호스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압축공기 공급기로부터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와 한쪽 끝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 에어공구 연결구에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꼬임방지구이며, 위 호스꼬임방지구는, 압축공기 공급기와 연결되는 에어카플러 연결구; 및 임의의 에어공구가 연결되고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에어공구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는, 위 에어공구 연결구와 연결되는 쪽에 공 모양을 갖게 형성되는 회전구; 중심축에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제1 압축공기통로;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의 외표면에 위 회전구와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위 제1 돌출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위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위 회전구와 제1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위 에어공구 연결구는, 중심축에 원주형의 제2 압축공기통로; 위 에어공구 연결구가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와 접속되는 쪽의 끝 부분을 이루는 입구; 위 에어공구 연결구의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부; 위 나사부와 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돌출턱; 위 입구의 내경측에 축방향으로 3개소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멈춤볼설치공간; 원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며 이 고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탄성을 갖는 멈춤링; 위 멈춤볼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위 멈춤링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위 멈춤링의 구속을 받아 위 회전구가 에어카플러측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위 회전구로 인해서 위 회전구측 내경으로 이탈되지 않고 설치위치를 유지하면서 위 회전구와 상호 구속하는 다수개의 멈춤볼; 위 멈춤링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위 입구의 내경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위 멈춤볼설치공간들을 연결하고 있는 멈춤링설치홈; 위 제2 압축공기통로의 안쪽면을 이루며 위 회전구가 회전할 때 사용되는 회전운동면; 위 회전운동면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ㄴ형의 밀폐링 설치턱; 위 밀폐링 설치턱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위 회전구와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경사면; 및 위 밀폐링 설치턱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위 회전구와 닿아서 위 회전구와 위 에어공구 연결구 사이의 틈새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막아주는 밀폐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호스꼬임방지구, 에어카플러, 회전구, 멈춤링, 밀폐링, 멈춤볼, 에어카플러 연결구, 에어공구 연결구, 에어공구.

Description

호스 꼬임 방지구{A preventive means of hosepipe's being twisted}
이 발명은 압축공기와 같은 유체가 내부에 흐르는 호스가 작업중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화된 에어카플러연결구와 에어공구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호스 꼬임 방지구에 대한 것이다.
이 분야에 대한 종래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종래에는 호스꼬임방지구(50)가 에어카플러연결구(10)와 에어공구연결구(20)로 이루어져 있었다. 에어카플러연결구(10)는 회전구(11), 회전구고정로드(18) 및 회전구고정로드끝단(18a)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에어공구연결구(20)는 에어카플러연결구 이탈방지 외부관체(19),외부관체 체결용 나사(20a) 및 밀폐링(40)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구조의 호스꼬임방지구는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과정이 간편하지 않으므로 생산원가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분야의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 10-623939(2006.9.7등록) "호스 꼬임 방지 커넥터 및 그 제작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볼을 사용하는 등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생산원가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이 분야 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구조를 단순화 시켜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원가가 저렴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부품을 단순화 시켜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되어 경제성이 많은 호스꼬임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의 해결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은,
압축공기 공급기로부터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와 한쪽 끝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 에어공구 연결구에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축공기 공급기와 연결되는 에어카플러 연결구; 및
임의의 에어공구가 연결되고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에어공구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는,
위 에어공구 연결구와 연결되는 쪽에 공 모양을 갖게 형성되는 회전구;
중심축에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제1 압축공기통로;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의 외표면에 위 회전구와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위 제1 돌출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위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위 회전구와 제1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에어공구 연결구는,
중심축에 원주형의 제2 압축공기통로;
위 에어공구 연결구가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와 접속되는 쪽의 끝 부분을 이루는 입구;
위 에어공구 연결구의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부;
위 나사부와 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돌출턱;
위 입구의 내경측에 축방향으로 3개소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멈춤볼설치공간;
원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며 이 고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탄성을 갖는 멈춤링;
위 멈춤볼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위 멈춤링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위 멈춤링의 구속을 받아 위 회전구가 에어카플러측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위 회전구로 인해서 위 회전구측 내경으로 이탈되지 않고 설치위치를 유지하면서 위 회전구와 상호 구속하는 다수개의 멈춤볼;
위 멈춤링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위 입구의 내경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위 멈춤볼설치공간들을 연결하고 있는 멈춤링설치홈;
위 제2 압축공기통로의 안쪽면을 이루며 위 회전구가 회전할 때 사용되는 회전운동면;
위 회전운동면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ㄴ형의 밀폐링 설치턱;
위 밀폐링 설치턱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위 회전구와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경사면; 및
위 밀폐링 설치턱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위 회전구와 닿아서 위 회전구와 위 에어공구 연결구 사이의 틈새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막아주는 밀폐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위 회전구의 재질은 철(steel), 스테인레스스틸, 주석합금, 알루미늄합금 및 황동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는 부품의 단순화로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50)의 분해사시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50)가 결합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 발명의 호스꼬임방지구(50)는 크게 에어카플러 연결구(10)와 에어공구 연결구(20)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에어카플러 연결구(10)는 에어공구 연결구(20)와 연결되는 쪽에 공 모양의 회전구(11)가 형성되고, 중심축에는 압축공기통로(12)가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회전구(11)는 에어공구 연결구(20) 측의 회전운동면에서 자유회전하며 일정 각도로 굽혀지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전구(11)의 재질로는 강(steel)을 사용한다. 하지만 회전구(11)의 재질이 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강 이외에 스테인레스스틸, 주석합금, 알루미늄합금 및 황동도 재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회전구(11)가 맞닿아 도는 멈춤볼(45)이 구형이기 때문에 회전구(11)의 마찰면이 적어서 마찰이 줄어들므로 회전운동이 향상된다.
에어공구 연결구(20)는 중심축에 원주형의 압축공기통로(26)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에어공구 연결구(20)가 에어카플러 연결구(10)와 접속되는 입구(28) 쪽의 압축공기통로(26)의 지름은 압축공기통로(26)의 다른 부분에 비해 넓다.
도 6은 이 발명에 따른 에어공구 연결구(20)의 종단면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 발명의 에어공구 연결구(20)는 연결구의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부(25), 나사부(25)와 연결되어 돌출되어 있는 육각돌출턱(27) 및 육각돌축턱(27)과 연결되어 에어공구 연결구(20)의 끝부분을 형성하는 에어공구 연결구(20)의 입구(28)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28)의 내경측에 축방향으로 3개소 이상 멈춤볼설치공간(29)이 설치되어 있다. 멈춤볼(45)이 멈춤볼설치공간(29)으로 삽입되면 멈춤볼(45)이 에어카플러측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링(30)의 설치홈(24)이 역시 입구(28)의 내경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설치홈(24)이 멈춤볼설치공간(29)을 연결하고 있어서 멈춤볼(45)이 멈춤볼설치공간(29)에 들어가면 그 위를 멈춤링(30)이 누르고 있기 때문에 멈춤볼(45)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구속된다. 즉 멈춤볼(45)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회전구(11)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인다.
멈춤볼설치공간(29)에는 세개 이상의 멈춤볼(45)이 등간격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의 예에서는 네개의 멈춤볼(45)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공구연결구(20)의 압축공기통로(26)의 입구쪽 안쪽면은 회전구(11)가 회전할 때 사용되는 회전운동면(22)을 이룬다. 회전운동면(22)의 끝에는 ㄴ형의 밀폐링 설치턱(23)이 형성되어 회전구(11)가 더 이상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아울러 회전운동면(22)을 이루는 부분에 해당하는 압축공기통로(26)의 지름은 회전구(11)가 회전운동면(22)에 꼭 끼어서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또한 밀폐링 설치턱(23)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회전구(11)와 같은 곡률의 경사면(21)이 있다. 이렇게 경사면(21)을 두는 것은 회전구(1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밀폐링 설치턱(23)의 모서리에는 밀폐링(40)이 설치된다. 밀폐링(40)은 회전구(11)와 닿아있기 때문에 회전구(11)와 에어공구 연결구(20) 사이의 틈새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멈춤링(30)은 원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며 이 고리의 일부분이 절개되 어 탄성을 가지며, 멈춤볼(45)은 위 멈춤볼설치공간(29)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멈춤링(30)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멈춤링(30)의 구속을 받아 회전구(11)가 에어카플러측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구(11)로 인해서 위 회전구측 내경으로 이탈되지 않고 설치위치를 유지하면서 회전구(11)와 상호 구속한다.
한편 에어카플러 연결구(10)의 외표면에는 회전구(11)와 가까운 쪽으로부터 돌출부(14)(15)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차례로 설치되고, 두 돌출부(14)(15) 사이에는 홈부(17)가 형성되며, 회전구(11)와 돌출부(14) 사이에도 홈부(16)가 형성된다.
이 발명에서 압축공기의 흐름방향은 압축공기 공급기에서 호스를 거쳐서 에어카플러연결구(10)의 압축공기통로를 지나서 에어공구연결구(20)의 압축공기통로를 거쳐서 에어공구로 전달된다. 그리고 압축공기가 압축공기통로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기위해 밀폐링(40)이 설치되며, 에어공구연결구(20)의 압축공기통로의 입구 내경은 밀폐링설치턱(23)까지 직경이 동일하다.
이제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50)의 동작설명을 한다. 먼저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50)의 에어카플러 연결구(10)는 압축공기 공급기(미도시)와 소정의 압축공기용 튜브(호스로도 호칭됨)로 연결되어 있고, 에어공구 연결구(20)의 끝단에는 소정의 에어공구(미도시)가 연결된다. 여기서 에어공구는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어떠한 공구라도 다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공구를 사용하다 보면 압축공기가 흐르는 튜브가 꺾여서 압축공기가 순간적으로 흐르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튜브의 연결부위로 압축공기가 누 설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할 경우 긴 튜브를 잡고 이리저리 흔들거나 공구를 든 체로 튜브가 꼬인 부분까지 가서 튜브를 바르게 펴줘야 하는 등 불편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의 호스꼬임방지구(50)를 통해 에어공구를 연결하여 사용하면 회전구(11)가 회전운동면(22) 사이에서 사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임과 동시에 회전구(11)의 중앙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12)를 통해 압축공기가 에어공구로 연결된 다른 압축공기통로(26)로 흐를 수 있어서 작업자가 에어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시 종래보다 훨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
이 발명의 호스꼬임방지구(50)의 조립을 위해서는, 먼저 밀폐링설치턱(23)의 모서리에 밀폐링(40)을 삽입하고 회전구(11)가 형성된 에어카플러 연결구(10)를 에어공구 연결구(20)에 살짝 밀어넣고 다시 멈춤볼(45)을 멈춤볼설치공간(29)에 삽입하고 멈춤링설치홈(24)에 멈춤링(30)을 삽입하면 된다. 호스꼬임방지구(50)는 하나의 호스연결관으로서, 호스연결관(호스꼬임방지구)과 다른 호스연결관(에어카플러)을 빠르게 연결하기 위해서 에어카플러연결구(10)의 표면에 돌출부(14)(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공구를 이 발명의 호스꼬임방지구(50)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에어공구 연결구(20)의 나사부(25)를 에어공구(미도시)의 나사부에 돌려 끼운 후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육각돌출턱(27)에 회전력을 가하여 나사부(25)를 단단히 조이면 된다.
한편 이 발명에서 압축공기의 양을 많이 필요할 때는 압축공기통로의 지름을 크게 하면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지름을 작게 하면된다.
이처럼 이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이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50)는 구조도 간단하고, 사용하기도 용이하여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여러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의 호스꼬임방지구(50)는 에어공구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에어공구의 종류에 상관없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호스꼬임방지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호스꼬임방지구의 결합된 상태도.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호스꼬임방지구의 종단면.
도 5는 도 4의 호스꼬임 방지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에어공구연결구의 확대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에어카플러 연결구 11: 회전구
12,26: 압축공기통로 14,15: 돌출부
16,17: 홈부 18: 회전구 고정로드
18a: 회전구고정로드끝단 19: 에어카플러연결구 이탈방지용 외부관체
20: 에어공구 연결구 20a: 외부관체연결용 나사
21: 경사면 22: 회전운동면
23: 밀폐링 설치턱 24: 멈춤링 설치홈
25: 나사부 27: 육각돌출턱
28: 입구 29: 멈춤볼 설치공간
30: 멈춤링 40: 밀폐링
45: 멈춤볼 50: 호스꼬임 방지구

Claims (2)

  1. 압축공기 공급기로부터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와 한쪽 끝이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 에어공구 연결구에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를 통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압축공기 공급용 튜브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꼬임방지구에 있어서,
    위 호스꼬임방지구는,
    압축공기 공급기와 연결되는 에어카플러 연결구; 및
    임의의 에어공구가 연결되고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에어공구 연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는,
    위 에어공구 연결구와 연결되는 쪽에 공 모양을 갖게 형성되는 회전구;
    중심축에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제1 압축공기통로;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의 외표면에 위 회전구와 가까운 쪽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
    위 제1 돌출부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2 돌출부;
    위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위 회전구와 제1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위 에어공구 연결구는,
    중심축에 원주형의 제2 압축공기통로;
    위 에어공구 연결구가 위 에어카플러 연결구와 접속되는 쪽의 끝 부분을 이루는 입구;
    위 에어공구 연결구의 외표면에 형성된 나사부;
    위 나사부와 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다각형의 돌출턱;
    위 입구의 내경측에 축방향으로 3개소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멈춤볼설치공간;
    원형 고리의 형상을 가지며 이 고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탄성을 갖는 멈춤링;
    위 멈춤볼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위 멈춤링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위 멈춤링의 구속을 받아 위 회전구가 에어카플러측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위 회전구로 인해서 위 회전구측 내경으로 이탈되지 않고 설치위치를 유지하면서 위 회전구와 상호 구속하는 다수개의 멈춤볼;
    위 멈춤링이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위 입구의 내경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위 멈춤볼설치공간들을 연결하고 있는 멈춤링설치홈;
    위 제2 압축공기통로의 안쪽면을 이루며 위 회전구가 회전할 때 사용되는 회전운동면;
    위 회전운동면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ㄴ형의 밀폐링 설치턱;
    위 밀폐링 설치턱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위 회전구와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경사면; 및
    위 밀폐링 설치턱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위 회전구와 닿아서 위 회전구와 위 에어공구 연결구 사이의 틈새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막아주는 밀폐링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꼬임방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위 회전구의 재질은 철(steel), 스테인레스스틸, 주석합금, 알루미늄합금 및 황동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꼬임방지구.
KR1020080097704A 2008-10-06 2008-10-06 호스 꼬임 방지구 KR101004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04A KR101004995B1 (ko) 2008-10-06 2008-10-06 호스 꼬임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04A KR101004995B1 (ko) 2008-10-06 2008-10-06 호스 꼬임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54A true KR20100038654A (ko) 2010-04-15
KR101004995B1 KR101004995B1 (ko) 2011-01-04

Family

ID=4221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04A KR101004995B1 (ko) 2008-10-06 2008-10-06 호스 꼬임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69Y1 (ko) * 2010-05-17 2012-01-06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라이드 밸브가 구비된 에어 이젝터
CN104565626A (zh) * 2014-12-11 2015-04-29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球形接头辅助密封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267B1 (ko) * 2021-07-28 2023-05-1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미세플라스틱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919A (en) * 1983-01-03 1985-03-26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Restrained mechanical pipe joint
FR2853949B1 (fr) * 2003-04-15 2005-07-08 Faurecia Sys Echappement Crochet de suspension d'un tube de ligne d'echappement de vehicule automobile
KR101404365B1 (ko) * 2005-08-09 2014-06-09 가부시키가이샤 베스트 배기관 구면 이음매용 환상 밀봉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69Y1 (ko) * 2010-05-17 2012-01-06 킴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라이드 밸브가 구비된 에어 이젝터
CN104565626A (zh) * 2014-12-11 2015-04-29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球形接头辅助密封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995B1 (ko) 201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3616B2 (en) Hose connector
JP5518408B2 (ja) 配管用継手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101004995B1 (ko) 호스 꼬임 방지구
CN109041571A (zh) 医用连接结构
EP3211282B1 (en) A connecting mechanism of a flexible pipe and an outlet device
JP2011169408A (ja) 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ベルエルボ
JP6673607B2 (ja) 燃料ランスの回り止め装置
US20200326021A1 (en) Hose connector
JP4112371B2 (ja) プラグ・イン式安全連結装置
US20160003387A1 (en) Fluid fitting
KR200379214Y1 (ko) 호스릴의 꼬임방지연결구
KR101038481B1 (ko) 호스 꼬임 방지 에어커플러
US6199227B1 (en) Universal joint for a shower head
JPH08312856A (ja) 管継手
KR102243250B1 (ko) 호스 꼬임방지용 커플링
KR101744926B1 (ko) 신축수단이 구비된 신축밸브
US11499660B2 (en) Hose connecting device
CN211118197U (zh) 一种管路连接装置
KR20100045368A (ko) 튜브 피팅
US1138281A (en) Flexible pipe connection.
JP2007263146A (ja) 管継手
JPH11658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巻出し管
RU2300035C1 (ru) Пробковый кран
CN220814090U (zh) 一种消火栓用多角度旋转连接接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