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451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451A
KR20100037451A KR1020080096785A KR20080096785A KR20100037451A KR 20100037451 A KR20100037451 A KR 20100037451A KR 1020080096785 A KR1020080096785 A KR 1020080096785A KR 20080096785 A KR20080096785 A KR 20080096785A KR 20100037451 A KR20100037451 A KR 2010003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rums
tub
drum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451A/ko
Priority to CNA2008101783959A priority patent/CN101413196A/zh
Publication of KR2010003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하는 드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드럼이 배치되는 터브는 세탁수를 분리하여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상측에 도어가 별개로 형성되어 세탁물을 분리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별개로 형성하여 복수개의 드럼을 각각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과한 것이다.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처리할 때,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세탁을 하여야 한다. 그라나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이 단수로 형성되어 세탁물이 상기 드럼 내부에서 섞인 상태로 세탁이 수행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세탁이 수행되는 동안, 일부 세탁물이 다른 세탁물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의 종류, 상태 등에 따라 상기 세탁물을 분리 세탁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드럼들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드럼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복수개의 드럼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드럼에 세탁물을 분리하여 삽입한 후, 세탁이 가능하므로 각각의 세탁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1)과, 캐비닛(111)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1,122)와, 터브(121,122)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드럼들(130,140)과, 복수개의 드럼들(130,140)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50,160)와, 구동장치(150,160)를 구동시켜 복수개의 드럼들(130,140)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91)를 포함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복수개의 드럼들(130,140)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터브(121,122) 및 구동장치(150,160)를 단수개 또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브(121,122) 및 구동장치(150,160)가 복수개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터브(121,122) 및 구동장치(150,160)가 복수개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구동장치(150,160)로 복수개의 드럼들(130,140)을 구동 시키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브(121,122)가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터브(미도시)로 형성된 경우를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전원을 인가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작동시킨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15)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세탁물을 복수개의 드럼(130,140)에 분리하여 각각 삽입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1 드럼(130)에 색이 포함되는 세탁물을 삽입한다. 사용자는 제 2 드럼(140)에 색이 포함되지 않는 세탁물을 삽입한다. 제 1 드럼(130)과 제 2 드럼(140)에 세탁물을 삽입하면, 사용자는 입력부(115)를 통하여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외부명령신호는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즉, 상기 외부명령신호는 제 1 드럼(130) 및 제 2 드럼(140)의 회전방법, 세탁코스, 세탁시간 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여 각 세탁물에 적합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입력부(115)를 통하여 상기 외부명령신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91)는 제 1 구동장치(150)를 구동시킨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51)를 통하여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외부명령신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구동장치(15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부(191)로 전송된다. 제어부(191)는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따라 제 1 구동장치(150)를 작동시킨다. 이 때, 제 1 구동장치(150)는 세탁물의 상태, 종류, 세탁방법 등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의하여 제어부(191)에 의하여 제어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제어 부(191)는 제 2 구동장치(150)를 작동시킨다. 사용자는 제 2 드럼(140)에 제 1 드럼(130)과 상이한 세탁물을 삽입한 후,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부(115)를 통하여 입력한다.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91)는 제 2 구동장치(16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91)는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전송되면, 제 2 드럼(140)에 삽입된 세탁물의 상태, 종류, 세탁방법 등에 따라 제 2 구동장치(16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91)는 제 1 구동장치(150)와 제 2 구동장치(160)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1)는 복수개의 구동장치들(150,160)을 각각 제어하여 복수개의 드럼들(130,140)이 별개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1)는 제 1 구동장치(150)를 구동시키면서 제 2 구동장치(160)를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1)는 제 1 구동장치(150)를 구동시키고 제 2 구동장치(16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91)는 제 1 구동장치(150) 및 제 2 구동장치(160)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의 종류, 세탁방법, 상태 등에 따라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이 혼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터브(121,122)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터브(121,122)내의 세탁수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수공급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는 하나의 세탁수공급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탁수공급장치가 하나로 형성된 경우 에는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로부터 터브(121,122)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즉,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작동되면,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로부터 세탁수가 외부로부터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유로들에 의하여 각각 터브(121,122)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공급된 세탁수를 가열할 때, 상기 가열장치는 각 터브(121,122)에 배치되어 상기 세탁수를 각각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수개의 드럼들(130,14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드럼들(230,240)은 제 1 드럼(230)과, 제 1 드럼(230)과 분리되어 형성되는 제 2 드럼(240)을 포함한다.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은 체결축(270)을 통하여 체결된다.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이 체결축(270)으로 체결되는 경우, 세탁물 처리기기(미도시)는 하나의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세탁물을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에 분리하여 삽입한다.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에 세탁물 삽입되면, 사용자는 입력부(260)를 통하여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외부명령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91)는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제 1 드럼(230)을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 1 드럼(230)이 회전하게 되면, 체결축(270)은 회전하게 된다. 체결축(270)이 회전하게 되면, 체결축(270)에 연통되어 제 2 드럼(240)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은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각각 세탁한다. 사용 자는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어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은 제 1 도어(231)와 제 2 도어(241)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도어(231)와 제 2 도어(241)는 제 1 드럼(230)과 제 2 드럼(240)의 상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도어(231)를 개방하여 제 1 드럼(230)에 세탁물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2 도어(241)를 개방하여 제 2 드럼(240)에 세탁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상기 세탁수공급장치와 상기 가열장치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의 상태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므로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터브(121,122)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미도시)는 하나의 터브(221)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221)가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 터브(221)는 세탁수를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터브(2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분부재(225)를 구비한다. 구분부재(225)는 터브(221)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터브(221)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세탁수공급장치는 복수개의 드럼들(미도시)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상기 공급된 세탁수는 세탁물에 흡수된다. 한편, 상기 세탁수에는 세제가 포함되어 터브(221)에 저장된다.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이 회전하게 되면, 세탁수는 세탁물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에서 터브(221)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탁수는 서로 섞이게 된다. 그러나 구분부재(225)가 터브(221)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수의 유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세탁수가 분리되어 세탁수의 오염으로 인한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분부재(225)는 세탁수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세탁물의 세탁과정에서 세탁수가 터브(221)를 유동하게 되면, 구분부재(225)와 충돌하게 된다. 이 때, 구분부재(225)가 세탁수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 세탁수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므로 세탁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복수개의 드럼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터브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50 : 제 1 구동장치
111 : 캐비닛 160 : 제 2 구동장치
121,122 : 터브 170 : 체결축
130 : 제 1 드럼 221 : 터브
140 : 제 2 드럼 225 : 구분부재

Claims (11)

  1.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드럼들과,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을 체결하는 체결축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은 각 드럼으로 세탁물을 투입하도록 도어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의 상측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동장치들은 상기 각 드럼에 연결되어 상기 각 드럼을 회전시키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구동장치들을 각각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드럼들이 별개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외부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구동장치들을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상기 외부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세탁수를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분부재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재는 상기 터브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브들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드럼이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80096785A 2008-10-01 2008-10-01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037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85A KR20100037451A (ko) 2008-10-01 2008-10-01 세탁물 처리기기
CNA2008101783959A CN101413196A (zh) 2008-10-01 2008-11-30 洗涤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85A KR20100037451A (ko) 2008-10-01 2008-10-01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451A true KR20100037451A (ko) 2010-04-09

Family

ID=4059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85A KR20100037451A (ko) 2008-10-01 2008-10-01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37451A (ko)
CN (1) CN1014131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6945B (zh) * 2015-06-16 2020-05-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分洗洗衣机
CN106319851B (zh) * 2015-06-16 2020-12-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推拉式盖体的洗衣机以及该洗衣机的防水方法
CN109385798A (zh) * 2017-08-09 2019-02-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滚筒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3196A (zh)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1350B1 (en) Drum-type washer and tub cleaning method of the same
US7934280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and tub cleaning method of the same
EP2584084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20100223738A1 (en) Water circ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rum washing machine
KR20150089344A (ko) 세탁기
MY140183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8978423B2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US8875333B2 (en) Washing machine performing shower rins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835465A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131734A1 (en) Washing method for washing machine
US20160222568A1 (en) Washing machine
EP212832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washing drum
JP2016202525A (ja) 洗濯機
US11066772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CN112210965B (zh) 具有处理用化学品分配器的衣物处理装置
KR2010003745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4000834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4603B1 (ko) 세탁기
EP361388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device
KR10215764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3053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3972510B2 (ja) 洗濯機
US20230212809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249687B1 (ko) 전자동세탁기의 의류별 세탁행정 제어방법(Control method corresponding to kinds of clothes of the automatic washing machine.)
KR20150000144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