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823A -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 Google Patents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823A
KR20100036823A KR1020080096219A KR20080096219A KR20100036823A KR 20100036823 A KR20100036823 A KR 20100036823A KR 1020080096219 A KR1020080096219 A KR 1020080096219A KR 20080096219 A KR20080096219 A KR 20080096219A KR 20100036823 A KR20100036823 A KR 20100036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inding
screw
cutting portion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207B1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2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분쇄 스크류가 제공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스크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 및 상기 구동블레이드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체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체의 수직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수동절삭부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쇄 스크류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가 제공된다.
회전스크류, 회전체, 블레이드, 절삭부, 분쇄판, 가이드 바

Description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Pulverizing Screw and A Pulverizer of Food Treatment System having the Pulverizing Screw}
본 발명은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쇄로 내에 고정 스크류 및 회전 스크류로 이루어진 이중분쇄구조의 분쇄스크류가 구비됨으로써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땅속으로 매립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국내 총 가구수는 1천만 가구를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오염과 관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책 및 결과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그 주된 원인으로는 가정주부들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부족일 것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싱크대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탈수, 절단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줄여 그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에 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면서 절단하여 잘게 잘라주는 탈수/절단부,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모터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에 의해서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뒤집고 분산시키면서 고열에 의해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배출함을 갖추어 구성된다.
최근에는 싱크대 부착형 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프리 스탠딩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프리 스 탠딩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도 싱크대 부착형에서와 같은 투입, 절단, 교반, 분쇄,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처리가 이루어진다.
교반, 분쇄, 건조 등의 과정은 주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서 이루어지는데, 기존의 건조로는 복수의 회전 날개가 구비된 단일 회전축이 장착되어 건조로에 투입되는 음식물의 교반, 분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은 상기 회전날개 자체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을 분쇄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잘게 절단분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더불어, 전분질 등의 경한 물질이 투입되면 잘 분쇄되지 못하고 덩어리로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회전스크류나 모터 등에 과다한 부하를 가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으로, 최근에는 기존의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이 아닌 프리 스탠딩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인데, 소비자들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그대로 건조로 내부에 남아있다 라는 불만이 접수되고 있는 바 그로 인해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분쇄로 내에 이중분쇄구조의 분쇄스크류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분쇄로 내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일 관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스크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 및 상기 구동블레이드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체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체의 수직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끝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수동절삭부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구동블레이드의 능동절삭부와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수동절삭부에 각각 형성되는 절삭날이 상호 교차하면서 절삭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능동절 삭부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와 중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2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능동절삭부의 내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외측면이 교차하거나, 상기 내측능동절삭부의 외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내측면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함으로써 절삭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상기 고정블레이드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휘어져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는 중공 원통형의 드럼 부, 및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 및 상기 구동블레이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절삭부를 구비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체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수직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절삭부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를 구비하는 분쇄 스크류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끝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와 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2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능동절삭부의 내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외측면이 교차하거나, 상기 내측능동절삭부의 외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내측면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함으로써 절삭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상기 고정블레이드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휘어져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부 내주면과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부 하부면과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쇄 스크류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단에 돌출된 분쇄편을 구비하는 분쇄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분쇄편과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함에 의해서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럼 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분쇄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체와 축 결합하여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드럼 부의 내부를 반경방향으로 가로질러 내주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바의 일부는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요동이 없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분쇄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는 상하로 중첩되어지는 이중 분쇄스크류를 이용하여 상기 분쇄로에 투입되는 음식물을 잘게 분쇄함으로써 상기 분쇄로의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분쇄스크류가 중첩하여 나선 모양으로 배치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교반 및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분쇄 스크류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분쇄로 내부에 남게되는 결과물을 최소화함으로써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스크류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에서 상기 분쇄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드럼 부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스크류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쇄로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분쇄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분쇄로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스크류(120,130)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100)는 원통형의 드럼 부(110), 드럼 부(1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스크류(120), 회전스크류(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스크류(130), 고정스크류(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드럼 부(110)의 하단부에 체결고정되는 분쇄판(140), 및 분쇄판(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기어(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100)는 분쇄 스크류(120,130)를 이용하여 드럼 부(110) 내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게 되는데, 추가로 드럼 부(110)의 외주면이나 상부 등에 건조히터를 장착하여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드럼 부(110)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대략적인 중공 원통형 수용 부재이며, 몸체 외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투입구(110a)가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몸체 외부의 측면 밑부분에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10a)는 탈수,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드럼 부(110)의 몸체 상부 면에 일정 크기로 개구 형성된다. 드럼 부(110)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분쇄리브(1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회전스크류(12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음식물을 분쇄하는 작용을 한다.
드럼 부(110)는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음식물 찌꺼기가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몰리브덴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몰리브덴은 전자관의 양극·그리드 및 지지물, 전기회로의 접점, 내열재료 고온 부분품, 특수합금, 전열선, 코팅 등으로 사용되는데, 극저온에서 상온·고온에 이르기까지 기계적으로 매우 강하며, 스테인리스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에서, 음식물 찌꺼기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소재의 물질이 코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몰리브덴 코팅은 분쇄 스크류(120,130)와 분쇄판(140)에도 행해짐으로써 음식물이 달라붙지 않도록 처리되므로 분쇄로(100)에서의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핵심인 분쇄 스크류(120,130)를 구성하는 회전스크류(120)와 고정스크류(13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회전스크류(120)는 회전체(121), 회전체(121)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122), 및 구동블레이드(122)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능동절삭부(124,127)를 구비한다.
회전체(121), 구동블레이드(122), 및 능동절삭부(124,127)는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일체형일 경우는 주조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결합형일 경우는 각 단품의 파손시에 교체가 용이하고 제작 단가에 유리한 측면이 있게 된다.
상기 구동블레이드(122)는 회전체(121)의 일단으로부터 나선 모양을 이루며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질 수 있는데, 연장되는 절삭부의 위치에 따라서 종류가 나뉘어진다. 즉, 구동블레이드(122)는 그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능동절삭부(124)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123)와 그 중간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능동절삭부(127)를 구비하는 제2블레이드(126)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절삭부(124,127)의 내외측단은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선(날)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에서, 제1블레이드(123)는 드럼 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회전체(121)에 이르는 형상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어지고, 제2블레이드(126)는 "ㅗ"자 모양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류(130)는 회전체(12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회전체(121)의 수 직 상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몸체(131), 몸체(131)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132), 및 고정블레이드(132)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수동절삭부(133)를 구비한다. 수동절삭부(133)는 구동블레이드(122)의 능동절삭부(124,127)와 마주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몸체(131), 고정블레이드(132), 및 수동절삭부(133)의 경우도 회전스크류(120)와 마찬가지로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스크류(130)는 회전스크류(120)의 상부에 요동없이 고정되는데, 이하 고정 방식을 설명한다.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100)는 드럼 부(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드럼 부(1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가이드 바(160)의 일부는 고정블레이드(132)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32a)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블레이드(132)의 요동이 없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스크류(130)는 본원발명에서는 회전스크류(120)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위해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회전스크류(120)와 동일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스크류(130)와 회전스크류(120) 사이에는 링 형태의 베어링 부재(135)가 개재될 수 있는데, 상기 베어링 부재(135)는 고정스크류(130)와 회전스크류(120) 간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회전스크류(120)가 고정스크류(130) 상에서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스크류(120)와 고정스크류(130)의 상호 작용에 의한 분쇄 작용은 다음과 같다. 회전스크류(120)가 회전하는 동안에 구동블레이드(122)의 능동절삭부(124,127)와 수동블레이드(132)의 수동절삭부(133)에 각각 형성되는 절삭날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상호 교차하면서 절삭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절삭날은 바람직하게 능동절삭부(124,127)와 수동절삭부(132)의 외측단에 전체적으로 인선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더 자세히 설명하면, 외측능동절삭부(124)의 내측면(124a)과 수동절삭부(133)의 외측면(133a)이 교차하거나, 내측능동절삭부(127)의 외측면(127a)과 수동절삭부(133)의 내측면(133b)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함으로써 절삭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동블레이드(122)는 고정블레이드(132)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체(121)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구동블레이드(122)가 회전체(121)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고정블레이드(132)는 회전체(121)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나선 구조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스크류(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면, 구동블레이드(122)와 고정블레이드(132)가 교차하는 순간에 분쇄가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이 내측으로 모아지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으로, 회전스크류(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면, 구동블레이드(122)와 고정블레이드(132)가 교차하는 순간에 분쇄가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이 외측으로 분산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스크류(1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교대로 수행함에 의해서 분쇄로(100) 내에서의 교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100)는 드럼 부(110)의 하부를 덮는 분쇄판(140)을 구비한다. 분쇄판(140)의 바깥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홀(141)은 드럼 부(11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구(111)에 연통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드럼 부(110)와 분쇄판(140) 사이에는 실링패킹부재(144)가 개재될 수 있는데, 상기 실링패킹부재(144)는 드럼 부(110) 내의 음식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폐하는 기능을 한다.
분쇄판(140)의 상단에는 방사상으로 일정한 두께의 분쇄편들(142)이 형성된다. 상기 분쇄편들(142)은 구동블레이드(122)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유격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하고, 구동블레이드(122)가 회전하는 동안에 구동블레이드(122)의 하면과 분쇄편들(142)이 교차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구동블레이드(122)를 구성하는 제1블레이드(123)와 제2블레이드(126)는 드럼 부(110) 하부면과의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 제1블레이드(123)와 제2블레이드(126)는 하측에 위치하는 분쇄판(140)과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123)가 제2블레이드(126)보다 분쇄판(140)과의 간격이 더 가깝게 유지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을 적절히 분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와 유사하게 제1블레이드(132)와 제2블레이드(126)는 드럼 부(110) 내주면과의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 제1블레이드(123) 와 제2블레이드(126)는 드럼 부(110)의 분쇄리브(112)와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123)가 제2블레이드(126)보다 분쇄리브(112)와의 간격이 더 가깝게 유지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을 적절히 분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분쇄판(140)은 중앙부에 관통되는 홀(미도시)을 통해 샤프트(155)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샤프트(155)의 일측부는 구동블레이드(122)의 회전체(121)에 삽입고정되고 타측부는 구동기어(150)에 연결고정된다.
구동기어(150)는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샤프트(155)를 통해 회전체(121)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회전스크류(120)가 드럼 부(110) 내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드럼 부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쇄로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분쇄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분쇄로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110 : 드럼 부
112 : 분쇄리브 120 : 회전스크류
121 : 회전체 122 : 구동블레이드
123 : 제1블레이드 124 : 외측능동절삭부
126 : 제2블레이드 127 : 내측능동절삭부
130 : 고정스크류 132 : 고정블레이드
133 : 수동절삭부 140 : 분쇄판
142 : 분쇄편 144 : 실링패킹부재
150 : 구동기어 160 : 가이드 바

Claims (14)

  1.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 및 상기 구동블레이드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회전스크류; 및
    상기 회전체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체의 수직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수동절삭부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구동블레이드의 능동절삭부와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수동절삭부에 각각 형성되는 절삭날이 상호 교차하면서 절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스크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끝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와 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2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능동절삭부의 내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외측면이 교차하거나, 상기 내측능동절삭부의 외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내측면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교 차함으로써 절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스크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상기 고정블레이드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스크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크류와 고정스크류는 몰리브덴으로 그 표면이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 스크류.
  5. 중공형의 드럼 부; 및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블레이드, 및 상기 구동블레이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절삭부를 구비하는 회전스크류와,
    상기 회전체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수직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나선모양으로 연장형성되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블레이드, 및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 되어지는 절삭부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를 구비하는 분쇄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끝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1블레이드와 중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능동절삭부를 구비하는 제2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능동절삭부의 내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외측면이 교차하거나, 상기 내측능동절삭부의 외측면과 상기 수동절삭부의 내측면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함으로써 절삭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상기 고정블레이드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회전체의 중심으로부터 나선모양으로 휘어져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부 내주면과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와 제2블레이드는 상기 드럼 부 하부면과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스크류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단에 돌출된 분쇄편을 구비하는 분쇄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블레이드는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분쇄편과 일정 간격을 두고 교차함에 의해서 음식물을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분쇄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체와 축 결합하여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부의 내부를 반경 방향으로 가로질러 내주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바의 일부는 상기 고정블레이드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블레이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부의 내면, 회전스크류, 고정스크류, 분쇄판, 또는 가이드 바는 몰리브덴으로 그 표면이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20080096219A 2008-09-30 2008-09-30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57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19A KR101578207B1 (ko) 2008-09-30 2008-09-30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19A KR101578207B1 (ko) 2008-09-30 2008-09-30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23A true KR20100036823A (ko) 2010-04-08
KR101578207B1 KR101578207B1 (ko) 2015-12-16

Family

ID=4221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219A KR101578207B1 (ko) 2008-09-30 2008-09-30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6994A (ko) * 2013-11-18 2015-05-28 김혜온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KR102346007B1 (ko) * 2020-09-14 2022-01-03 김진국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375B1 (ko) * 2018-04-11 2018-10-22 정부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581925B1 (ko) * 2022-12-29 2023-09-21 장성은 분쇄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566Y1 (ko) * 1991-08-14 1994-02-02 현태성 감자 분쇄기
JP2002524233A (ja) * 1998-09-09 2002-08-06 インバイロンメンタル・システムズ・アンド・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廃棄物処理ユニット用カッタ装置
JP2006015247A (ja) * 2004-07-01 2006-01-19 Max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7237030A (ja) * 2006-03-07 2007-09-20 Hitachi Appliances Inc 厨芥処理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566Y1 (ko) * 1991-08-14 1994-02-02 현태성 감자 분쇄기
JP2002524233A (ja) * 1998-09-09 2002-08-06 インバイロンメンタル・システムズ・アンド・ソリュー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廃棄物処理ユニット用カッタ装置
JP2006015247A (ja) * 2004-07-01 2006-01-19 Max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7237030A (ja) * 2006-03-07 2007-09-20 Hitachi Appliances Inc 厨芥処理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6994A (ko) * 2013-11-18 2015-05-28 김혜온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KR102346007B1 (ko) * 2020-09-14 2022-01-03 김진국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WO2022203356A1 (ko) * 2020-09-14 2022-09-29 김진국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20133722A (ko) * 2020-09-14 2022-10-05 김진국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또는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207B1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8549B2 (ja) 粉砕スクリュー
JP4906838B2 (ja) 生ごみ処理機の乾燥炉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JP5102391B2 (ja) バルブ排出装置
KR20100036823A (ko)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346593B1 (ko)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00036824A (ko)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5102390B2 (ja) バルブ排出装置
KR101308815B1 (ko) 교반 및 조립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의 건조장치
KR101682100B1 (ko) 음식물 쓰레기 교반장치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00024837A (ko) 다수의 회전날개가 구비된 교반스크류 및 상기 교반스크류를 갖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00042177A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101711578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20090073392A (ko)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CN214235541U (zh) 一种发酵箱
KR20100030841A (ko) 음식물 처리기
KR20100036821A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CN213408934U (zh) 家用餐厨垃圾粉碎机
KR10217801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6687940U (zh) 餐厨垃圾处理器用发酵单元供料装置
CN212092644U (zh) 一种具有控制系统的家用食物垃圾处理器
KR101176304B1 (ko) 분쇄 스크류, 분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20090073391A (ko) 도어 캡 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