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822A -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822A
KR20100036822A KR1020080096217A KR20080096217A KR20100036822A KR 20100036822 A KR20100036822 A KR 20100036822A KR 1020080096217 A KR1020080096217 A KR 1020080096217A KR 20080096217 A KR20080096217 A KR 20080096217A KR 20100036822 A KR20100036822 A KR 2010003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food waste
drying furnace
food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344B1 (ko
Inventor
김성진
심상구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3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가 제공된다. 개시된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드럼 부, 상기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상기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상기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상기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및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건조로, 슬라이딩, 도어, 기어, 병진, 회전, 실링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A Drier of Food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로에 배치된 병진기어가 수평 운동함에 따라 상기 건조로 하면의 배출구를 개폐함에 의해 건조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건조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땅속으로 매립하는 방식 등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이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국내 총 가구수는 1천만 가구를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경 오염과 관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대책 및 결과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그 주된 원인으로는 가정주부들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부족일 것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싱크대에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탈수, 절단 및 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부피를 줄여 그 배출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에 부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하여 탈수하면서 절단하여 잘게 잘라주는 탈수/절단부,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모터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에 의해서 탈수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를 골고루 뒤집고 분산시키면서 고열에 의해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로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저장되는 배출함을 갖추어 구성된다.
한편, 건조로의 내부에서 고열에 의해서 잔류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로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전량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가 전량 배출된 건조로에는 탈수/절단부에서 탈수 및 절단된 새로운 음식물 쓰레기가 연속하여 다시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건조작업이 재차 이루어진 다.
그러나, 상기 건조로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에 별도의 개폐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회전날개에 의해서 분쇄가 완전히 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들도 상기 배출구를 통해 한꺼번에 빠져 나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분쇄/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음식물 처리물이 배출구 하부의 배출함으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다시 분쇄/건조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이 아닌 프리 스탠딩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인데, 소비자들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잘게 분쇄됨이 없이 건조로 내부에 남아있다라는 불만이 접수되고 있는 바 그로 인해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건조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도록 건조로의 배출구 하면에 회전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인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드럼 부, 상기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상기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상기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상기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및 상기 배출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병진 운동 기능을 하는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 부와 상기 교반스크류가 연결된 상기 드럼 부의 내부 벽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분쇄 날이 비스듬히 구비된 원형의 분쇄판 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날개는 갈고리 모양이고 그 끝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날개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 상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드럼 부의 하면에 대해서 병진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면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장착되고 하면은 빨래판 모양의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운동 방향을 따라 같이 연동되는 병진기어, 상기 병진기어에 형성된 치형에 맞물려 연동되는 원형의 톱니바퀴 모양의 치형을 가진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는 병진 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로를 확보하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 커버, 및 상기 가이드 홀 및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 커버의 하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실링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가이드 실링재에 밀착하여 병진 운동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테프론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실링재는 내열 실리콘 또는 테프론 재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에 의하면 건조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로 배출구 하면의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서, 완전히 분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적체를 막아 부패를 방지하여 건조로 주변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건조로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정면 상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후면 상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하면 상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160)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는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12)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축 방향 타원형의 배출구(114)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드럼 부(110), 드럼 부(1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 부(11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123)와 회전날개(123)가 구비된 회전축(125)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120), 드럼 부(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교반스크류(120)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130), 드럼 부(110)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140), 배출구(114)의 하부 면에 설치되어 드럼 부(110) 내부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배출구(114)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 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는 건조 공간의 바닥면에 완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일부 잔류시키고 이것에 연속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시켜 건조 공간 내부의 전체 음식물 쓰레기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드럼 부(110)는 몸체 외부의 상부 면에 형성된 투입구(112)와 몸체 외부의 측면 밑부분에 형성된 축 방향 타원형의 배출구(114)를 각각 구비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일정량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대략적인 중공 원통형 수용 부재이다. 드럼 부(110)는 열전달율이 높은 금속을 소재로 하여 주조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스테인리스 재질을 사용할 것이다.
투입구(112)는 미 도시된 싱크대와 연결된 호퍼를 거쳐 탈수,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는 드럼 부(110)의 몸체 상부 면에 일정 크기로 개구 형성되고, 배출구(114)는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에서 고원의 열원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되어 완전히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드럼 부(110) 몸체 외부의 측면 밑부분에 구비된다.
교반스크류(120)는 투입구(112)를 통해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될 수 있도록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교반스크류(120)는 복수 또는 단수의 회전 날개(123)가 봉 형태의 회전 축(125)의 외부 면에 장착되는 회전 부재이고, 회전 축(125)의 일 단은 전방 캡(150)에 구비된 모터부(130)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끝 단은 후방 캡(155)의 축공(미도시)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이 경우, 드럼 부(110)의 내부 외주면과 교반스크류(120)의 회전 날개(123)의 외 측단 사이에는 회전 날개(123)가 간섭없이 회전되도록 일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된다. 드럼 부(110)의 내부 외주면에는 일정한 두께의 분쇄 리브(116)가 형성될 수 있는데, 회전 날개(123) 및 분쇄 리브(116)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더 효과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회전날개(123)는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끝 부분이 구부러져 있고 드럼 부(11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 부(11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한다. 회전날개(123)는 회전축(125)에 구비된다.
다수의 회전날개(123)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날개(123) 갈고리 모양의 끝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격된 공간은 회전날개(123)가 하나로 연결된 상태에서 중앙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회전날개(123)의 끝 부분이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회전날개(123)는 회전축(125)의 원주 상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날개(123)가 파손되거나 구부러진다면, 회전날개(123)를 교체하여 교반스크류(12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날개(123)가 구비된 교반스크류(120)를 사용한다면 회전날개(123)의 회전 시 음식물 쓰레기의 적체를 방지할 수 있고, 모터부(130)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회전날개(123) 사이로 음식물의 일부가 빠져나가게 되어 적체가 되지 않고, 회전날개(123)의 갈고리 모양의 끝 부분에 의하여 음식물이 건조로 내부로 끌려 움직이게 되며, 이로써 모터부(130)에 과부하가 걸릴 위험이 적어지게 된다.
모터부(130)는 드럼 부(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교반스크류(1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원의 역할을 한다.
히터 부재(140)는 드럼 부(110)의 외부 면에 구비되어 전원인가시 드럼부(110)의 내부공간인 건조공간으로 높은 열을 제공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이를 완전히 건조시킨다.
이러한 히터부재(140)는 드럼 부(110)의 외부 면에 부착되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전열판으로 구비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 부재(140)로써 씨즈 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모터부(130)와 교반스크류(120)가 연결된 드럼 부(110)의 내부 벽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분쇄 날(161)이 비스듬히 구비된 원형의 분쇄판(152)이 설치된다. 교반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판(152)에 의하여 반경 방향으로 분쇄될 것이다.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100) 하단에는 배출구(114)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배출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건조로(100)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건조로(100)의 내부를 보기 위한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6을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표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160)는 배출구(114)의 하부 면에 설치되어 드럼 부(110) 내부의 건조 상태에 따라 배출구(114)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표현된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160)는 배출구(114)를 기준으로 드럼 부(110)의 하면에 대해서 회전축(125) 방향으로 병진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161), 슬라이딩 도어(161)의 운동 방향을 따라 같이 연동되는 병진기어(162), 병진기어(162)에 형성된 치형에 맞물려 연동되는 원형의 톱니바퀴 모양의 치형(163a)을 가진 회전기어(163), 및 회전기어(163)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65)를 포함한다. 구동부(165)는 주로 모터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61)는 배출구(114)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125) 방향의 타원형으로 형성된 배출구(114)에 부합하도록 슬라이딩 도어(161)도 타원형에 가깝도록 모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축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161)의 이동로를 확보하도록 가이드 홀(167a)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 커버(167)가 배출구(114)를 포함한 드럼 부(110)의 하면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 커버(167)는 드럼 부(110)와 일체형 또는 별도의 단품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조품으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제작된다.
슬라이딩 도어 커버(167)의 내부 하면에는 가이드 실링재(168)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가이드 실링재(168)는 가이드 홀(167a) 및 배출구(114)를 둘러싸도록 부착된다. 여기에서, 슬라이딩 도어(161)는 가이드 실링재(168)에 밀착하여 병진 운동함으로써 배출구(114)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드럼 부(11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실링재(168)는 내측에 배출구(114)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중간 실링재(168a)가 구비되어 누설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61)는 배출구(114), 슬라이딩 도어 커버(167)의 하면, 가이드 실링재(168)와 맞닿은 상태에서 미끄러짐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열적 또는 구조적 안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내열성 및 강성이 우수한 테프론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프론은 저마찰계수의 특징을 보유하므로 밀착된 반복적인 병진 운동에 적합하다.
가이드 실링재(168)도 슬라이딩 도어(161)와 마찬가지로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반복되는 슬라이딩 도어(161)와의 마찰 운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마찰에 의한 고열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내열 실리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병진기어(162)의 상부면은 슬라이딩 도어(16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체결홈(161a)에 장착되고 하면은 회전축(125) 방향을 따라 빨래판 모양의 치형(162a)이 형성된다. 병진기어(162)와 회전기어(163)는 랙과 피니언 방식의 기어 체결 구조형태와 유사하게 회전 운동이 병진 운동의 변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체결홈(161a)과 병진기어(162)의 상면은 언더컷 방식의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회전기어(163)의 중심에는 샤프트(164)를 통해 구동부(165)가 연결 고정되는데, 구동부(165)의 구동력은 샤프트(164)에 의해 회전기어(163)로 전달된다.
슬라이딩 도어 커버(167) 내부에는 슬라이딩 도어(161) 및 병진기어(162)가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 커버(167)의 개방된 하부를 가릴 수 있도록 커버 덮개(166)가 제공된다. 커버 덮개(166)는 하방으로 형성된 체결구(166b)를 갖는데, 체결구(166b)에 형성된 관통홀(166bb)에 샤프트(164)가 삽입되고, 체결구(166b) 내측에 마련되는 회전 공간부(166a)에 회전기어(163)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160)의 작동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160)의 작동은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처리된 경우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의한다. 평상시에는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160)의 슬라이딩 도어(161)가 배출구(114)를 패쇄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처리되면 제어부는 구동부(165)를 작동시켜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딩 도어(161)를 회전축 방향으로 직진운동시킨다. 즉, 슬라이딩 도어(161)는 상면이 타원형의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조로의 작동 과정중에 배출구(114)와 평행하게 위치하면 배출구(114)를 폐쇄하지만, 축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이동하면 배출구(114)를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도어(161)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동부(165)에 의하여 작동하는 회전기어(163) 및 병진기어(162)가 구비되고, 병진기어(162)에 따라 연동하는 슬라이딩 도어(161)는 결과적으로 회전축 방향으로 병진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114)가 개방되었을 때, 교반스크류(120)의 회전 작동에 의하여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1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정면 상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후면 상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100)의 하면 상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건조로(100)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건조로(100)를 절개하여 드럼 부 및 슬라이딩 도어 배출 장치와의 관계를 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6을 B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및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처리기 건조로 110 : 드럼부
112 : 투입구 114 : 배출구
120 : 교반스크류 123 : 회전날개
125 : 회전축 130 : 모터부
140 : 히터부재 150 : 전방캡
152 : 분쇄판 155 : 후방캡
160 : 슬라이딩 도어 배출 장치 161 : 슬라이딩 도어
161a : 체결홈 162 : 병진기어
163 : 회전기어 164 : 샤프트
165 : 구동부 166 : 커버덮개
166a : 회전 공간부 166b : 체결구
167 : 슬라이딩 도어 커버 167a : 가이드홀
168 : 가이드실링재 168a : 중간 실링재

Claims (8)

  1.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드럼 부;
    상기 드럼 부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드럼 부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분쇄하는 다수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날개가 구비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교반스크류;
    상기 드럼 부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교반스크류가 회전구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부;
    상기 드럼 부의 몸체 외부 면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시에 상기 드럼 부의 내부 공간으로 고열을 제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터 부재; 및
    상기 배출구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병진 운동 기능을 하는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부와 상기 교반스크류가 연결된 상기 드럼 부의 내부 벽면에 구비되고 반경 방향으로 다수의 분쇄 날이 비스듬히 구비된 원형의 분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날개는 갈고리 모양이고 그 끝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날개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 상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병진운동하는 슬라이딩 도어;
    상면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장착되고 하면은 빨래판 모양의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운동 방향을 따라 같이 연동되는 병진기어;
    상기 병진기어에 형성된 치형에 맞물려 연동되는 원형의 톱니바퀴 모양의 치형을 가진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 배출장치는
    병진 운동하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로를 확보하도록 가이드 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 커버; 및
    상기 가이드 홀 및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 커버의 하면에 부착되는 가이드 실링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가이드 실링재에 밀착하여 병진 운동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로부터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테프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실링재는 내열 실리콘 또는 테프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20080096217A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45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17A KR101450344B1 (ko)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217A KR101450344B1 (ko)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822A true KR20100036822A (ko) 2010-04-08
KR101450344B1 KR101450344B1 (ko) 2014-10-15

Family

ID=4221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217A KR101450344B1 (ko) 2008-09-30 2008-09-30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49B1 (ko) * 2014-08-01 2015-04-22 주식회사 가온텍 트윈 구동이 가능한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6385A (ja) * 1996-02-28 1997-09-09 Sanyo Electric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19990040049U (ko) * 1998-04-23 1999-11-25 구동회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JP2000126736A (ja) * 1998-10-28 2000-05-09 Seirei Ind Co Ltd 生ゴミ処理機の発酵槽
JP2005162497A (ja) * 2003-11-11 2005-06-23 Development Bank Of Japan 堆肥化処理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549B1 (ko) * 2014-08-01 2015-04-22 주식회사 가온텍 트윈 구동이 가능한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344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55B1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0903745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346593B1 (ko)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0903744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65781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8605B1 (ko)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00036822A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0757401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20100024837A (ko) 다수의 회전날개가 구비된 교반스크류 및 상기 교반스크류를 갖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00036823A (ko) 분쇄 스크류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CN211006905U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
CN210197975U (zh) 一种烘干装置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90073392A (ko)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4003511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KR1007909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3391A (ko) 도어 캡 배출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4544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