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665A -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665A
KR20100036665A KR1020080096002A KR20080096002A KR20100036665A KR 20100036665 A KR20100036665 A KR 20100036665A KR 1020080096002 A KR1020080096002 A KR 1020080096002A KR 20080096002 A KR20080096002 A KR 20080096002A KR 20100036665 A KR20100036665 A KR 2010003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groove
blockage
water leve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689B1 (ko
Inventor
이재용
김홍덕
김인환
윤덕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09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6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증기 발생기의 열수력적 분석을 수행하여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1 단계;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로부터 광역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유로홈 막힘률과 유량 순환률간의 관계를 산출하고 광역수위 변화량과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제 2 단계; 광역수위 계측자료를 분석하고 제 2 단계에서 구한 광역수위 변화량과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역수위 계측치에 해당하는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3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산출한 임계 유로홈 막힘량과 제 3 단계에서 산출된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방법이 제공된다.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분석, 유로홈 막힘량, 광역수위, 유량 순환율

Description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Diagnosis for Quantitative Flow Hole Blockage Rate of Steam Generator Using Wide Range Level Measurements and Thermal Hydraulic Instability Analysis}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증기 발생기의 전열관과 관 지지판 사이의 유로홈이 슬러지 퇴적에 의하여 막히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원자력발전소 내의 증기 발생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력발전소 내의 증기 발생기는 1차측에서 발생된 에너지를 2차측에 전달하는 대형 열교환기로써 직경 수cm, 두께 약 1mm 내외, 길이 수십 m의 금속 관(이하 '전열관'이라 한다) 수천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열관 다발(1)을 지지하는 관 지지판(2)이 여러 개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서 관 지지판의 유로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관 다발(1) 주변에는 클로버 잎 모양의 구멍을 뚫어 물이나 증기가 잘 흐를 수 있는 유로 홈(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소 내의 증기 발생기를 오랫동안 운전하면 금속성분의 산화물인 슬러지가 전열관 표면과 관 지지판 주위에 쌓이게 되며, 특히 슬러지가 전열관 다발(1)과 관 지지판(2) 사이의 유로홈(3)에 많이 쌓여서 고착되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멍 크기, 즉 유로홈(3)의 단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로홈(3) 막힘이 일정 한계를 초과하면 단상영역(즉, 물)과 이상영역(즉, 물+증기)의 압력 차이가 커져서 이상유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밀도파 불안정성(density wave instability)으로 인해 증기 발생기 내의 수위가 불안정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긴다.
증기 발생기 열수력 연구결과에 의하면 웨스팅하우스사가 공급하여 국내에 운전중인 모델 F형 증기 발생기는 유로홈의 막힘 정도가 70% 이상으로 진행되면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안정성의 판별지표인 감쇄인자(damping factor)가 양의 방향으로 접근해 열수력적 불안정성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위 불안정 현상이 심하면 안전을 위하여 발전소를 정지하거나 출력을 줄여서 운전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한다(도 5 참조).
따라서, 슬러지 퇴적에 의한 유로홈의 막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면 열수력적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는 슬러지가 쌓이기 이전에 슬러지를 미리 제거함으로써 수위불안정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종래에는 관 지지판에 퇴적된 슬러지 또는 유로홈 막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육안검사 방법과 와전류탐상검사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증가율을 이용하여 유로홈 막힘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육안검사(visual inspection) 방법은 증기 발생기 내부에 작은 카메라가 장착된 장비를 넣어 검사하는 방법으로 슬러지 퇴적 및 홈 막힘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 작동할 수 있는 특별한 장비가 필요하고, 검사에 드는 시간과 비용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와전류탐상(eddy current test) 검사 방법은 전열관 다발(1)을 이루는 전열관 내부에 탐촉자를 삽입하여 관에 형성된 마모나 균열, 관의 형상 변화를 탐지하는 것이 원래의 목적이나, 최근에는 투과 깊이가 깊은 저주파 와전류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관 지지판의 슬러지 퇴적 상태를 간접적으로 진단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증기 발생기 전열관은 주기적으로 와전류탐상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슬러지를 진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비 또는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와전류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과 인력이 필요하다는 제한이 있으며 와전류 신호분석 결과의 오차가 크고, 유로 홈이 막힌 정도를 정량화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로 홈이 많이 막힌 경우에는 와전류탐상 신호의 민감도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관 지지판의 유로 홈이 많이 막히면 증기 발생기의 광역수위(wide range water level; WR) 값이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발전소 운전 중에는 증기 발생기 협역수위(narrow range water level; NR)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계측기에 나타나는 광역수위 값도 변동하지 않아야 하지만 유로홈이 많이 막히면 협역수위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광역수위 측정값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도 3은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에 의하여 광역수위가 운전년수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의 추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런 현상을 이용하여 광역수위가 높으면 유로홈이 많이 막혀 있는 상태라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 막혀 있는지를 알 수가 없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광역수위 증가율을 이용하여 유로홈 막힘 정도를 정성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유로홈 막힘 정도를 정량화가 어렵고, 광역수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않을 때에는 선형화에 따른 오차로 인해 유로홈 막힘량에 대한 전반적인 추정 오차가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전소 운전중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기준으로 하여 열수력적 분석을 통해 슬러지 퇴적에 의한 유로 홈 막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증기 발생기의 열수력적 분석을 수행하여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1 단계;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로부터 광역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유로홈 막힘률과 상기 유량 순환률간의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광역수위 변화량과 상기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제 2 단계; 광역수위 계측자료를 분석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구한 상기 광역수위 변화량과 상기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역수위 계측치에 해당하는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임계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단계는 (1-1) 열수력적 분석을 통하여 최소 -50hr-1의 감쇄인자 여유도를 가지고 상기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임계출력을 생산하는 단계, 및 (1-2) 상기 임계출력이 100%가 되는 상기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는 (2-1)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을 계산하는 단계, (2-2) 상기 유량 순환율에 따른 하향 유로의 밀도, 속도, 및 마찰손실에 의한 압력강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2-3) 증기 발생기 열수력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광역수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단계는 (4-1) 상기 제 1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4-2)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이 상기 임계 유로홈 막힘량보다 작으면 유의수준 미만의 유로홈 막힘량으로 판단하고, 크면 유로홈 막힘으로 수위 불안정이 발생할 유의수준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력발전소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 및 열수력적 분석을 이용하여 관 지지판에 슬러지가 퇴적되어 유로홈이 막히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진단 및 감시함으로써 수위 불안정 현상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시간에 따른 유로홈 막힘 추세를 분석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세 정 시기를 결정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광역수위 데이터는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기록되므로 별도의 장비나 검사 등 경제적인 비용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 및 열수력적 분석을 통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임계출력(threshold power)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로홈 막힘 진단 방법은, 크게 증기 발생기의 열수력적 분석을 수행하여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1 단계(ST1~ST2);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로부터 광역수위 변화량을 산출하 여 유로홈 막힘률과 유량 순환률간의 관계를 산출한 다음 광역수위 변화량과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제 2 단계(ST3~ST5); 발전소의 광역수위 계측자료를 분석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구한 광역수위 변화량과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역수위 계측치에 해당하는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3 단계(ST6~ST8);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산출한 임계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산출된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단계에서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유로홈 막힘량과 광역수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발전소의 광역수위 계측자료를 분석하고 광역수위의 측정치에 해당하는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산출된 임계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어진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증기 발생기의 유지보수 전략을 적절히 수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증기 발생기의 열수력 분석은 증기 발생기를 열수력적으로 모델할 수 있는 설계용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단계에서 발전소의 광역수위 계측자료는 평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적어도 3주기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임계출력을 생산한다(ST1). 이때, 임계출력은 그 이상으로 운전하는 경우 증기 발생기의 열수력적 불안정성이 발생되는 그러한 출력으로서 정의된다.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임계출력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기본 자료는 Surry 2호 기 등 열수력적 불안정성을 경험한 선행 발전소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계출력 계산시에는 보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감쇄인자(damping factor)가 최소 -50 hr-1이상 되도록 고려하였으며 도 5에 최적인 상태(Best Estimate), 상부 제한상태(Upper Bound) 및 하부 제한상태(Lower Bound)를 함께 나타냈다.
다음으로, 임계출력이 100%이 되는 임계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한다(ST2). 도 5를 참조하면 국내 F형 증기 발생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임계 유로홈 막힘량은 임계출력이 100%가 되는 유로홈 막힘량으로, 최적 곡선을 이용하는 경우 약 70%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유로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을 계산한다(ST3). 증기 발생기 관 지지판에 슬러지가 퇴적되어 유로홈이 많이 막히면 물이 흐를 수 있는 유로 단면적이 감소하여 증기 발생기 내부에서 유체가 순환하는 비율이 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유량 순환율에 따른 하향 유로의 밀도, 속도, 및 마찰손실에 의한 압력강하량을 계산한다(ST4). 유량 순환율이 작아지면 하향 유로(downcomer)(4)로 들어가는 유량이 감소하고, 하향 유로 유체 온도가 감소하여 결국은 밀도는 증가하게 되며 하향 유로 유량 속도가 작아지게 된다.
다음에, 증기 발생기 열수력 분석을 수행하여 유로홈 막힘량과 광역수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ST5).
이때 광역수위는 증기 발생기 상부에 위치하는 광역수위 상부 탭(5)과 하향 유로 하부에 위치하는 광역수위 하부 탭(6) 사이의 압력 차이를 측정하고 이를 수위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여기서, 하향 유로 밀도가 커지면 이로 인한 압력차이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광역수위가 증가한 것처럼 나타나고, 하향 유로 속도가 작아지면 하부의 광역수위 하부탭(6) 위치에서 압력이 커지므로 이 또한 광역수위가 증가한 것처럼 나타나며, 하향 유로에서의 마찰손실이 작아지면 이 또한 광역수위가 증가한 것처럼 나타난다.
유로홈 막힘량과 광역수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은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에 영향을 주는 하향 유로 과냉각 효과를 나타낸 식이며, [수학식 2]는 하향 유로 유체속도 효과를 나타낸 식이며, [수학식 3]은 하향 유로 유동에 의한 마찰 손실 효과를 나타낸 식이다.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1
여기서, εsub = 하향 유로 과냉각으로 인한 광역수위 측정오차,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2
= 하향 유로 물의 밀도,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3
= 운전조건에서 포화수의 밀도,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4
= 교정 조건에서 물의 밀도,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5
= 교정 압력에서 포화기체의 밀도,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6
= 광역수위 범위,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7
= 급수링의 높이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8
여기서, εfu = 하향 유로 유체속도 변화로 인한 광역수위 측정오차,
Figure 112008068736642-PAT00009
= 하향 유로 물의 속도,
Figure 112008068736642-PAT00010
= 중력 가속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68736642-PAT00011
여기서, εdf = 하향 유로 유동 마찰손실로 인한 광역수위 측정오차,
△pdf = 하향 유로 유동 마찰손실을 나타낸다.
상기의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통해 얻어진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에 영향을 끼치는 하향 유로 효과 세 가지를 합하여 광역수위변화량과 유량 순환율 간의 상관관계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수학식 1]은 증기 발생기의 하향 유로 내 유체의 온도가 광역수위의 교정시와는 달라져서 그로 인해 유체의 밀도가 변하여서 생기는 광역수위의 측정오차이고, 상기의 [수학식 2]는 하향 유로 내 유체의 속도가 광역수위의 교정시와 달라져서 그로인해 광역수위 측정을 위한 낮은 위치의 탭 부근 정압이 달라져서 생기는 광역수위 측정오차이며, 상기의 [수학식3]은 하향 유로 내 유체의 유동에 의한 마찰에 의한 손실이 광역수위의 교정시와는 달라져서 그로인한 광역수위 측정오차이다.
이러한 하향 유로 유체 밀도, 속도, 및 마찰손실의 차이는 관 지지판의 유로막힘량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이는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이 커지면 하향 유로로 순환하는 유량이 작아지면서 하향 유로 유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도 6은 이와 같은 하향 유로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효과를 합해서 구한 광역수위 변화량을 백분율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광역수위 변화량은 유량 순환율에 선형적으로 변함을 알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4]를 얻을 수 있다.
y = 6.802*x + 7.833
여기서 x는 순환율, y는 광역수위 변화량을 나타낸다.
도 7은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고, 이러한 관계는 증기 발생기 열수력 분석용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부분의 슬러지 막힘이, 관 지지판(2) 중 최상부에 위치 한 7번째 관 지지판(이하 'TSP'라 함)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7번째 및 6번째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였고, 이때 7번째 관 지지판(2)에서의 막힘만을 가정했을 때가 더 보수적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4]의 관계를 이용하여 도 7의 유량 순환율을 광역수위 변화량으로 대치하여 다시 그린 그래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 3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광역수위 변화가 실제 계통신호의 변화가 아닌 계측기 드리프트 변화인지를 평가하는, 즉 측정된 광역수위 변화량에서 계측기 드리프트 영향을 보정한다(ST6).
다음, 광역수위 변화량은 유로홈 막힘 정도에 따라 커지므로 계측기 드리프트가 보정된 광역수위를 계측한다(ST7).
다음으로, 상기 보정된 광역수위의 계측치 및 도 8의 그래프로부터, 계측된 광역수위량에 해당하는 유로홈 막힘량을 얻는다(ST8).
예컨대, 만일 어느 증기 발생기가 약 초기 운전시의 수위인 약 60%에서 6%의 광역수위 증가하는 경우, 도 8에 따르면 66%의 광역수위에 해당하는 TSP 유로막힘 약 53~63%에 해당하고,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증기 발생기는 70%이내의 유로막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4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1 단계에서 도출된 임계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도출된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고(ST9) 실제 유로홈 막힘량이 임계 유로홈 막힘량보다 작으면 유의수준 미만 의 유로홈 막힘량으로 판단하여(ST10), 별다른 조치없이 증기 발생기의 운전을 계속 수행한다.
그러나 실제 유로홈 막힘량이 도출된 임계 유로홈 막힘량보다 크다면 슬러지에 의한 유로홈 막힘으로 수위 불안정이 발생할 유의수준으로 판정한다(ST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력발전소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하여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 원자력발전소 내의 증기 발생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관 지지판의 유로 홈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에 의하여 광역수위가 운전년수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의 추세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 및 열수력적 분석을 통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임계출력(threshold power)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광역수위변화량과 유량 순환율 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도 7의 유량 순환율을 광역수위 변화량으로 대치하여 다시 그린 그래프.

Claims (4)

  1. 증기 발생기의 열수력적 분석을 수행하여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1 단계;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로부터 광역수위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유로홈 막힘률과 상기 유량 순환률간의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광역수위 변화량과 상기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제 2 단계;
    광역수위 계측자료를 분석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구한 상기 광역수위 변화량과 상기 유로홈 막힘량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역수위 계측치에 해당하는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에서 산출한 상기 임계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1-1) 열수력적 분석을 통하여 최소 -50hr-1의 감쇄인자 여유도를 가지고 상기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임계출력을 생산하는 단계, 및
    (1-2) 상기 임계출력이 100%가 되는 상기 임계 유로홈 막힘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2-1)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에 따른 유량 순환율을 계산하는 단계,
    (2-2) 상기 유량 순환율에 따른 하향 유로의 밀도, 속도, 및 마찰손실에 의한 압력강하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2-3) 증기 발생기 열수력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광역수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4-1) 상기 제 1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과 상기 제 3 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4-2) 상기 실제 유로홈 막힘량이 상기 임계 유로홈 막힘량보다 작으면 유의 수준 미만의 유로홈 막힘량으로 판단하고, 크면 유로홈 막힘으로 수위 불안정이 발생할 유의수준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광역수위 계측치를 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 진단방법.
KR1020080096002A 2008-09-30 2008-09-30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KR100991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002A KR100991689B1 (ko) 2008-09-30 2008-09-30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002A KR100991689B1 (ko) 2008-09-30 2008-09-30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665A true KR20100036665A (ko) 2010-04-08
KR100991689B1 KR100991689B1 (ko) 2010-11-03

Family

ID=4221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002A KR100991689B1 (ko) 2008-09-30 2008-09-30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7665A (zh) * 2017-08-22 2017-12-29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站蒸汽发生器支撑板状态监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789B1 (ko) 2020-12-11 2022-03-3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침적물 상태를 정량화하는 증기발생기의 침적물 상태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537B1 (ko) 2007-05-01 2008-09-04 한국전력공사 증기발생기 광역수위 상승률을 이용한 관지지판 유로홈막힘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7665A (zh) * 2017-08-22 2017-12-29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站蒸汽发生器支撑板状态监测方法
CN107527665B (zh) * 2017-08-22 2019-07-02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站蒸汽发生器支撑板状态监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689B1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shemian On-line monitoring applications in nuclear power plants
KR101135168B1 (ko) 열교환 증기 튜브의 크리프 및 감육 손상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991689B1 (ko) 증기 발생기 열수력적 불안정성 분석 및 광역수위 계측치를이용한 관 지지판 유로홈 막힘량의 정량적 진단방법
KR101656672B1 (ko) 크리프와 감육을 고려한 보일러 튜브의 위험도 평가 방법
WO2024061196A1 (zh) 一种核电站蒸汽发生器的智能监测方法及系统
JP6004834B2 (ja) 原子炉水位計
JP6886563B2 (ja) 熱交換器のファウリングを評価する方法
US201002126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ootblowers
Hashemian et al. Using the noise analysis technique to detect response time problems in the sensing lines of nuclear plant pressure transmitters
KR100856537B1 (ko) 증기발생기 광역수위 상승률을 이용한 관지지판 유로홈막힘진단방법
TWI617788B (zh) 即時預檢填料塔液泛現象的方法
US20150027663A1 (en) Instrumented Steam Generator Anti-Vibration Bar
JP4786670B2 (ja) 計測器ドリフト検知装置
WO2023139927A1 (ja) プラント計装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設備劣化監視システムとプラント保全最適化システム
JP4363788B2 (ja) 原子炉炉心冷却材流量計測方法
WO2023135876A1 (ja) 計器不確かさ評価システム、および、計器不確かさ評価方法
Hashemian Integrated onlin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s
Kreider et al. Dominion Engineering, Inc., Reston, VA, United States
Pandey et al. A probabilistic assessment of flow-accelerated corrosion rate in pipe bends with unknown initial thickness
Châtellier et al. Tube support plate blockage evaluation with televisual examination and Eddy Current analysis
JP2001194484A (ja) 炉心流量監視システム
Harpster et al. Instrument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Design or for Implementing an Upgrade via a Retrofit Process
DeMoss Finding lost megawatts
KR100905372B1 (ko) 고속로의 열교환기에서 누출 사고를 감지하기 위한자유액면의 요동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요동 측정방법
Janzen et al. Steam-generator downcomer flow measur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