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580A -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580A
KR20100036580A KR1020080095867A KR20080095867A KR20100036580A KR 20100036580 A KR20100036580 A KR 20100036580A KR 1020080095867 A KR1020080095867 A KR 1020080095867A KR 20080095867 A KR20080095867 A KR 20080095867A KR 20100036580 A KR20100036580 A KR 20100036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extract
nurungji
mushroom extract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영
정희경
배진희
홍주헌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강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강동영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8009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580A/ko
Publication of KR2010003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8Puffing or expand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황버섯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불린쌀에 첨가하여 쌀반죽액을 얼고 팽화기에서 팽화한 다음 분리 건조하여서 되는 노화방지 또는 미백 등 미용기능성 누룽지 식품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상황버섯추출물, 상황버섯 누룽지, 쌀반죽액, 팽화, 노화방지, 미백효과, 미용기능성식품

Description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Novel nuroong-gi made by using sangwhang mushroom extract and produ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황버섯 누룽지에 관한 것으로 상황버섯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여 얻은 상황버섯추출물에 쌀에 첨가하여 누룽지 반죽액을 제조한 다음 팽화시킨 후 건조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버섯은 당질,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과 같은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한 버섯은 저칼리 식품으로 식생활의 다양화와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따라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버섯을 주로 한국, 중국, 일본 캄보디아 등지에서 자생하는 담자균류의 진흙버섯과에 속하는 다년생으로서 특히, 상황버섯은 2003년 식품안전청에서의 독성자료 검토를 통해 국내에서 식품원료로 허가를 되었으며,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은 항고협압, 항관절염, 항암과 같은 생리활성도 가지고 있어 식품소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신 등은 유산소 운동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상황버섯 추출 음료를 개발하였으며, 김 등은 상황버섯 추출액을 라면에 가하여 라면의 품질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최근 식품 시장에서는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미용기능식품의 시장도 크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상황버섯은 바르는 화장품소재로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피부 미용기능식품으로 개발된 사례는 지금까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미용기능식품으로서의 상황버섯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누룽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안전성이 확보된 상황버섯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고,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피부 관련 기능성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간식용 또는 식사용으로 간편하게 여성들이 섭취 할 수 있도록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를 제조하고 일반정보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후 관능 검사를 실시하여 피부미용식품을 제공하므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 상황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누룽지는 항상화효과가 있고 Tyrosine 저해활성 효과가 있으므로 인체 또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황버섯 누룽지는 상기의 뛰어난 효과가 있는 바,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 제조 및 가용성 고형분 분석
상황버섯은 경북 영천 소재의 버섯 재배 농장 "버섯마을"에서 직접 재배한 상황버섯을 공시재료로하여 미분쇄한 다음 -20℃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은 상기의 10 mm이하의 크기로 분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황버섯 미분쇄물 중량에 5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이를 100℃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 한 후, whatman paper No. 2 여과지로 여과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였다(도 1).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추출물 5 mL를 알루미늄접시에 취하여 105℃에서 증발 건조 시킨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내었으며 추출물 조제에 사용된 원료량에 대한 백분율로써 총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1.4mg/mL로 추출수율은 3.5%이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전자공여능은 1,1 dipheyl-2picrylhydrazyl(DPPH, Sigma USA)의 환원력을 이용한 Kim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상황버섯 추출물 고형분 함량 1 mg/mL 농도로 멸균증류수에 용해시킨 시료 200μL에 DPPH 용액 (4×10-4 M DPPH, ethanol 100mL 용해) 800μL를 가한 후, absolute ethanol을 2mL 첨가하고 10초간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흡광도(absorbance) 차이를 아래와 같이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08068632311-PAT00001
상황버섯 추출물을 멸균증류수를 이용하여 1mg/mL로 적정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여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 과, 상황버섯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1 mg/mL 일때 72.77±0.69%로 가장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전자공여능은 노화억제에 가장 중요한 생리기능성으로 알려져 있는데 영천에서 생산한 상황버섯의 추출물은 적은 고형분 함량에서도 높은 전자공여능을 가짐으로써 충분한 항노화 관련 미용식품의 소재로 개발이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황버섯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0.1, 0.2, 0.4, 0.6 , 0.8 mg/mL 일때 각각 전자공여능은 15.00±0.20, 35.98±2.97, 63.44±2.95, 69.46±0.60, 71.33±1.40%였으며,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나 이들을 대상으로 ANOVA 검증을 실시한 결과, 0.6, 0.8, 1.0 mg/mL의 전자공여능은 통계상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도 2).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Tyroniase 저해활성은 96 well plate에 0.1 M 인산염완충액 (pH 6.5) 220 μL, 1.5 mM tyrosine 40 μL, 시료 20 μL를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mushroom tyrosinase (1500 I/mL-2000 U/mL)를 20μL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상층액만을 취하여 490 nm에서 mic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Figure 112008068632311-PAT00002
멜라닌은 인간의 피부조직의 세포내에서 tyrosinase라는 효소의 생합성 과정에서 만들어지는데 이 멜라닌에 의해 피부에 색소가 침착하거나 흑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 기능성 미용식품의 개발을 위해 상황버섯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상황버섯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yrosinase 활성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상황버섯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0.1, 0.2, 0.4, 0.6, 0.8 mg/mL에서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은 각각 11.63±1.99, 21.71±0.87, 37.62±2.06, 45.47±1.13, 46.83±11.01%였다(도 3).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볼 때, 상황버섯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서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 상황버섯 추출물은 피부 기능성 미용식품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황버섯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0.6, 0.8 mg/mL에서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전자공여능과 유사하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따라서 상황버섯 추출물의 피부 기능성과 관련된 효능인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활성의 통계적 유의성 및 생산비를 감안해 볼 때, 상황버섯 추출물의 식품의 활용은 고형분 함량이 0.6 mg/mL로 사용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 상황버섯 함유 누룽지 제조
수회 수세하여 준비한 쌀 80 Kg에 물 100 Kg을 첨가하고 2시간 불린 후 고형분 함량이 0.6mg/mL인 상황버섯 추출물을 20 L 넣고 20분간 교반하여 누룽지 반죽액을 제조한다. 이를 수동식 팽화기계에서 250-300℃에서 3분간 굽어 누룽지를 완성시키고 기계에서 분리시킨 후 이를 상온에서 24시간 건조시켜 상황버섯 누룽지를 제조하였다(도 1).
상황버섯 누룽지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상황버섯 누룽지의 일반성분은 식품위생검사기관인 계명대학교 전통미생물자원연구센터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상황버섯의 기계적 색도는 색차계(JS555, Color Techno System Co.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방식인 명도(L, light), 적색도(a, redness), 황색도(b, yellowness)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수분활성도는 수분함량은 적외선 수분함량 측정기(satorius, Gemany)로 측정하였다.
상기결과를 토대로 경제성과 기능성을 고려하여 상황버섯 누룽지의 제조를 위한 상황버섯 추출물의 농도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이 0.6 mg/mL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이를 첨가하여 250-300℃에서 제조한 누룽지는 도 4a 및 4b와 같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첨가한 누룽지 Nuroong-gi EP와 상황버섯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누룽지 Nuroong-gi를 대상으로 일반 영양성분을 계명대학교 식품위생검사기관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레롤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며, 단백질, 탄수화물은 일반누룽지와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에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총지방 경우,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반 누룽지에서 0.7 g/100g에 함유되어 있었다<표 1>.
따라서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지방 무함유 누룽지는 여성들에게 있어 다이어트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시장 추세에 타겟 소비자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으므로 일반누룽지보다 직장인 여성들의 소비자 호응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표 1> Proximate composition of Nuroong - gi
Figure 112008068632311-PAT00003
한편,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누룽지와 일반 누룽지의 수분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버섯을 첨가하여 제조한 누룽지인 Nuroong - gi EP는 수분함량이 3.20±0.06 %, 무첨가 누룽지인 Nuroong - gi는 2.78±0.22%로 유의적으로 다소 높았다(p<0.05). 이는 누룽지 제조시 상황버섯의 열수 추출물 첨가에 의해 수분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와 일반 누룽지의 색도를 비교한 결과,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누룽지는 L 값은 감소하였으며, a, b 값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황버섯의 갈색추출물의 첨가로 인해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 Nuroong - gi EP는 lightness는 감소하고 yellowness와 redness는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표 2>.
<표 2>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uroong - gi
Figure 112008068632311-PAT00004
본 발명 상황버섯 누룽지의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20, 30대 여성 10명을 검사원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에 이용되는 시료는 일반시판중인 누룽지와 상황버섯 누룽지를 1-2 cm 크기로 분쇄 하여 제공하였다. 시료가 바뀔 때마다 생수로 입을 헹군 후 2분후 다시 평가를 하도록 하였으며, 관능검사 항목은 색상, 향미, 딱딱한 정도, 맛에 대해 강한 정도를 5, 가장 낮은 정도를 1로 한 5점 만점의 기호도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 관 능검사 분석은 SPSS (Statical Pa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10.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검사한 항목에 대해 유의수준 5% 미만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누룽지의 관능적 특성을 맛 평가를 한 바르는 색상, 향미, 딱딱한 정도, 맛을 5점 척도법에 의해 강도를 비교하여 관능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표 3과 같이 색, 향에서도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인 Nuroong-gi EP의 기호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딱딱한 정도에서는 일반 누룽지인 Nuroong-gi 보다 상황버섯을 첨가한 누룽지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누룽지의 수분함량이 일반누룽지보다 다소 높음에 의해 씹힘시 딱딱한 정도가 약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는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누룽지인 Nuroong-gi EP가 유의적으로 기호도가 높았다.
20,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평가 및 상황버섯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을 종합해 볼 때, 버섯마을에서 재배한 상황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상황버섯 누룽지는 항산화능과 미백효과를 지님으로서 피부 기능 미용식품으로 충분한 시장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 3> Results of panel test between Nuroong-gi EP and Nuroong - gi
Figure 112008068632311-PAT00005
본 발명의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는 노화방지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미백효과가 뛰어나므로 건강기능식품 및 미용기능 식품 소재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시재료가 되는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 농도별 전자 공여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시재료가 되는 상황버섯 열수 추출물 농도별 Tyrosinase의 저해능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4a는 종래의 일반 누룽지, 4b는 본 발명 상황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누룽지로 보인 사진도이다.

Claims (2)

  1. 상황버섯 자실체의 미분쇄물을 열수 추출하고 여과하여 고형분 함량이 0.6mg/mL인 상황버섯 추출물을 불린 쌀에 첨가하여 교반한 다음 얻은 누룽지 반죽액을 팽하기에 투입하여 250~300℃에서 3분간 구운 다음 분리시켜 24시간 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버섯 누룽지 제조방법.
  2. 제 1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상황버섯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이 0.6mg/mL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억제용 또는 미백용 상황버섯 누룽지.
KR1020080095867A 2008-09-30 2008-09-30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6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867A KR20100036580A (ko) 2008-09-30 2008-09-30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867A KR20100036580A (ko) 2008-09-30 2008-09-30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580A true KR20100036580A (ko) 2010-04-08

Family

ID=4221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867A KR20100036580A (ko) 2008-09-30 2008-09-30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5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8353A (zh) * 2018-04-06 2019-10-18 韩道食品(株) 提高了gaba含量的白米锅巴制备方法及通过其制备的锅巴
KR20200035242A (ko) * 2020-02-13 2020-04-02 씨엔지유기농 영농조합법인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220060578A (ko) * 2020-11-04 2022-05-12 두리씨엔에스 주식회사 아로니아 및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현미 누룽지 제조방법
KR20220145687A (ko) 2021-04-22 2022-10-31 김설희 누룽지 제조방법
KR20240026355A (ko) 2022-08-18 2024-02-28 박동기 버섯 종균 배양의 발아 곡류를 이용한 환자, 노약자, 유아용 기능성 누룽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기능성 누룽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8353A (zh) * 2018-04-06 2019-10-18 韩道食品(株) 提高了gaba含量的白米锅巴制备方法及通过其制备的锅巴
KR20200035242A (ko) * 2020-02-13 2020-04-02 씨엔지유기농 영농조합법인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220060578A (ko) * 2020-11-04 2022-05-12 두리씨엔에스 주식회사 아로니아 및 비파 추출물이 함유된 현미 누룽지 제조방법
KR20220145687A (ko) 2021-04-22 2022-10-31 김설희 누룽지 제조방법
KR20240026355A (ko) 2022-08-18 2024-02-28 박동기 버섯 종균 배양의 발아 곡류를 이용한 환자, 노약자, 유아용 기능성 누룽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기능성 누룽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ęczyk et al. Effect of carob (Ceratonia siliqua L.) flour on the antioxidant potential, nutritional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rtified durum wheat pasta
Rahate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anti-nutritional factors, pretreatments-cum-processing impact and food formulation potential of faba bean (Vicia faba L.): A comprehensive review
Sęczyk et al. Soymilk enriched with green coffee phenolics–Antioxidant and nutritional properties in the light of phenolics-food matrix interactions
Wang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certain cereals as affected by food-grade bacteria fermentation
CN107279231B (zh) 一种清肠排毒美容养颜饼干及其制备方法
JP5805226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120076857A (ko) 오디를 이용한 선식 및 그 제조방법
Ujiroghene et al. Antioxidant capacity of germinated quinoa-based yoghurt and concomitant effect of sprouting on its functional properties
KR20100036580A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Rimamcwe et al.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tional value of Roselle seeds flour
Biomy Effect of roselle extract (Hibiscus sabdariffa) on stability of carotenoids,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hurt fortified with carrot juice (Daucus carota L.)
KR100657028B1 (ko) 마를 첨가한 기능성 양갱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4587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검정콩 된장 및 그 제조방법
JP2019041661A (ja) 健康食品
Steve et al.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y and Glycaemic Index of “Ogi” in Healthy Rats Prepared from Selected Cereal Grains
KR20180102890A (ko) 숙성율피 함유 항산화성 양갱
Wang et al. Effect of Okara on the sensory quality of cake
KR20100088851A (ko) 단호박 식혜의 제조방법
KR101007143B1 (ko) 연잎, 산사자, 율무, 진피가 함유된 차 음료 제조방법 및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연잎, 산사자, 율무, 진피가함유된 차 음료
Vahini et al. A study on preparation and quality assessment of fermented banana blossom (Musa Acuminate Colla)
TWI789921B (zh) 胜肽組合物及水稻早摘果實用於製備瘦身組合物及促進益生菌生長組合物之用途
Thennakoon et al. Does antioxidant potential of traditional rice varieties vary with processing?
KR101300602B1 (ko) 항산화능이 우수한 무정과 및 그 제조방법
US11896641B2 (en) Peptide composition from early harvested rice and methods for slimming or promoting growth of probiotics using the same
KR20190139587A (ko) 항산화 및 항노화 기능성 혼합야채 스낵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