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441A -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441A
KR20100036441A KR1020080095679A KR20080095679A KR20100036441A KR 20100036441 A KR20100036441 A KR 20100036441A KR 1020080095679 A KR1020080095679 A KR 1020080095679A KR 20080095679 A KR20080095679 A KR 20080095679A KR 20100036441 A KR20100036441 A KR 20100036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ush
outer pipe
coupling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화
박종수
진성엽
류경민
서창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브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브코
Priority to KR102008009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441A/ko
Publication of KR2010003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4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파이프(12), 방진고무(14), 및 내측 파이프(13) 순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시켜서 포함하고 있는 부시(1)와 브래킷(10)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브래킷(10)의 구멍(10a)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돌출부(12a)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파이프(12)는 일측에 플랜지부(12b)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10)의 구멍(10a)을 구획형성하는 하우징(11)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돌출부(12a)들이 관통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브래킷, 돌출부, 외측 파이프, 구멍, 플랜지부

Description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bush and a bracke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횡방향 고감쇠기능을 가진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로워암과 같은 운동부나 엔진과 같은 구동부에 설치되는 방진부재 즉, 부시는 서스펜션 또는 엔진의 차체측 연결부위를 받쳐주는 구조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함께 자체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서스펜션이나 엔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 소음 등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부시는 보통 내측 파이프와 그것을 감싸는 형태로 방진체를 사출, 성형하는 내철부시 형태나,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체를 사출, 성형하는 통부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특히, 통부시 형태는 외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 내부 중심에 위치하며, 마운팅 볼트가 체결되는 내측 파이프와, 상기 외측 파이프와 내측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체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브래킷에 압입 장전되어 사 용되어 왔으나, 그 진동 감쇠 범위나 기능의 한계성 때문에 최근에는 유체 봉입형 부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주행중 휠(wheel)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하는 유체 봉입형 부시는 고무재로 형성된 방진체의 내부에 액실을 구비하고, 상기 액실 내에는 유체를 충전하여 기하학적 오리피스를 결정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되는 횡 방향의 진동을 유체에 의한 유동을 이용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외측 파이프 사이에 방진체를 개재하고 있는 종래의 부시는 철재의 외측 파이프가 브래킷의 구멍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종래의 부시는 브래킷과 외측 파이프 간의 재질이 서로 차이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하여, 계절별 온도 차이에 따른 브래킷과 외측 파이프 간의 수축 또는 팽창 상태가 상이하게 되어서, 외측 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부시가 브래킷에 대하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즘 자동차가 경량화되는 추세에 맞추어서 부시도 경량화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부시가 구비하고 있는 외측 파이프도 경량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외측 파이프가 플라스틱재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철재의 브래킷과 플라스틱재의 외측 파이프 간의 심한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하여 부시가 브래킷에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외측 파이프와 브래킷 간에 마찰력에 의해서만 부시를 브래킷에 유지시키기 위해 외측 파이프와 브래킷 간의 억지끼워맞춤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억지끼워맞춤공정은 큰 파지력을 요하는 외측 파이프용 지그, 브래킷용 지그, 큰 가압력을 요하는 프레스 등이 필요하게 되어, 브래킷에 부시를 장착하는 공정이 복잡하게 되고 그리고 제조비용에 있어서 비효율적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외측 파이프로 하여금 일측에 플랜지부를 갖게 한 상태에서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타측으로 갈 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게 하고,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돌출부를 갖게 하며, 그리고 브래킷으로 하여금 상기 외측 파이브가 내접되게 되는 브래킷의 하우징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를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부시를 용이하게 브래킷에 장착하게 하고, 아울러 부시의 외측 파이프와 브래킷 간의 열팽창계수가 상이하여도 안정적으로 부시를 브래킷이 유지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부시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부시가 부호 1로서 그리고 브래킷이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부시(1)는 외측 파이프(12), 방진고무(14), 및 내측 파이프(13) 순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시켜서 포함하고서 이들을 브래킷(10)에 형성된 구멍(10a)에 내접시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의 구멍(10a)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돌출부(12a)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파이프(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플랜지부(12b)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외주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져서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브래킷의 구멍(10a)에 대한 부시의 압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12a)의 돌출 양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작게 되어 있다.
상기 외측 파이프(12)에 방진고무(14)를 내접시키고 상기 방진고무(14)에 내측 파이프(13)를 내접시킨 상태에서 가황처리에 의해, 이들은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의 구멍(10a)을 구획형성하는 하우징(11)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돌출부(12a)들이 관통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부시는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가황처리에 의해 내외측 파이프와 방진고무가 일체로 된 부시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브래킷(10)의 구멍(10a)에 삽입되게 되면, 외측 파이프(12)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테이퍼져 있고, 외측 파이프(12)의 돌출부(12a)의 돌출 양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외측 파이프(12)가 상기 구멍(10a)에 내접하면서 종래보다 작은 힘으로 압입됨과 동시에 외측 파이프(12)의 돌출부(12a)가 상기 브래킷(10)의 하우징(11)의 관통구멍(11a)을 관통하여 돌출하게 된다.
또한, 외측 파이프(12)의 일측에 플랜지부(1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시(12)가 브래킷(10)의 구멍(10a)에 어느 정도 압입되면, 상기 브래킷(10)의 하우징(11)의 일측부와 플랜지부(12b)가 맞닿음하게 되어 더 이상의 압입이 방지되어 압입을 위한 기구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파이프(12)와 브래킷(10) 간의 재질 차이(예를 들면, 외측 파이프는 플라스틱재이고 브래킷은 철재임)에 따른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하여도, 항상 외측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b)와 돌출부(12a)가 브래킷(10)의 하우징(11)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그리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위치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외측 파이프(12)가 브래킷(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및 일부 상세확대도면.

Claims (5)

  1. 외측 파이프(12), 방진고무(14), 및 내측 파이프(13) 순으로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시켜서 포함하고 있는 부시(1)와 브래킷(10) 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의 구멍(10a)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돌출부(12a)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파이프(12)는 일측에 플랜지부(12b)가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10)의 구멍(10a)을 구획형성하는 하우징(11)에는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돌출부(12a)들이 관통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a)의 돌출 양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12)의 외주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져 서 전체적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12)와 브래킷(10) 간에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파이프(12)와 브래킷(10) 간에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상이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KR1020080095679A 2008-09-30 2008-09-30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KR201000364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679A KR20100036441A (ko) 2008-09-30 2008-09-30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679A KR20100036441A (ko) 2008-09-30 2008-09-30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441A true KR20100036441A (ko) 2010-04-08

Family

ID=4221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679A KR20100036441A (ko) 2008-09-30 2008-09-30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4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61B1 (ko) * 2012-07-12 2014-02-12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용 마운트
CN108638831A (zh) * 2018-07-02 2018-10-12 安徽思源三轻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支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461B1 (ko) * 2012-07-12 2014-02-12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자동차용 마운트
CN108638831A (zh) * 2018-07-02 2018-10-12 安徽思源三轻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6021B1 (en) Elastic mount having mounting bracket functioning as stop mechanis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6312340B1 (en) Hollow drive shaft with integrated vibration absorber
KR102063682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7044455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US8177201B2 (en) Very high damping mount with bolt-through construction
US5024461A (en) Upper support for shock absorber in suspension system, having elastically supported resonance member
US6669182B2 (en) Fluid-filled vibration-damp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064176A (en) Upper support for shock absorber in suspension system
US7007934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US5259598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dynamic damper for mounting bracket, utilizing equilibrium diaphragm cover
US6517062B2 (en) Vibration isolator
US5251884A (en) Hydraulic antivibration mounts for damping oscillations in rigid parts
US6557839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390458B2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whose orifice passage has sufficiently large cross sectional area exhibits improved fluid-tightness
KR20100036441A (ko)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JP2003065388A (ja) 防振装置
KR101089137B1 (ko) 자동차용 축방향 유체봉입형 부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스트러트 마운트
US6378850B1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having improved partition structure
JP2008051193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406424Y1 (ko) 유체 봉입형 부시
US6863269B2 (en) Fluid 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KR20100036440A (ko) 부시와 브래킷 간의 결합구조
KR200393117Y1 (ko) 자동차의 프론트 로워암 유체봉입형 부시
KR100661526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로워암 유체봉입형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07

Effective date: 201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