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285A -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 Google Patents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285A
KR20100036285A KR1020100012339A KR20100012339A KR20100036285A KR 20100036285 A KR20100036285 A KR 20100036285A KR 1020100012339 A KR1020100012339 A KR 1020100012339A KR 20100012339 A KR20100012339 A KR 20100012339A KR 20100036285 A KR20100036285 A KR 2010003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ase
cable
processing
c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선
신동우
전성미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6285A/ko
Publication of KR2010003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배면케이스의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견고히 잡아주는 케이블파지부(120); 여장판의 비 작업시에는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여장판지지부(110);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제1통공과 제2통공에 의해 4방향 인출구조로 형성된 여장판(140); 정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부(130); 및 배면케이스의 양단에 체결되며,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가공지선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한 가공행거부(1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여장판지지부가 비 작업시에는 접속함체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고, 또한 여장판의 광심선 인출부가 4방향 인출 구조로 형성되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며 4방향으로 광심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체결구조를 매미고리 모양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변경하여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가공행거부의 파지구를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In-Line Type Process Fiber Optic Closure}
본 발명은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장판지지부가 비 작업시에는 접속함체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고, 또한 여장판의 광심선 인출부가 4방향 인출 구조로 형성되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며 4방향으로 광심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체결구조를 매미고리 모양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변경하여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가공행거부의 파지구를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가공, 관로, 직매 및 인입용의 다목적 함체로서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현재 약 1㎞ 마다 가공 전주 부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전국적으로 보면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불량시설로 낙인되고 말았다.
즉, 다수의 광케이블이 서로 엉켜 정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도시미관 저해하였고, 또한 권취된 광케이블이 축 늘어져 사고위험 노출에 방치된 상태를 보였으며, 또한 유지보수 인원이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불가한 광케이블로, 상기와 같이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불량시설로 낙인되어 민원발생의 소지가 많음은 물론 사고발생 소지가 많아 커다란 사회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본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2007-0012815호(명칭: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출원된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을 도 1(a)(b)(c)(d)(e)(f)를 보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환경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정면케이스(10) 및 배면케이스(20)와, 인장선을 파손하지 않고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하는 중심인장선고정부(30)와,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30)와 일체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고정부(35)와, 다수의 여장판이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게 하는 여장판지지부(40); 및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양측 상부에는 외함 및 조가선을 동시에 고정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충격 및 흔들림이 없도록 가공헹거부(7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를 상호 고정함은 물론 분리 가능하게 배면케이스(20)의 정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리브힌지(21)가 돌출 형성되고, 정면케이스(10)의 정면 하단에는 상기 리브힌지(21)에 끼워지게 리브힌지결합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면케이스(10)의 상단 요홈(1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후크(15)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후크커버(14); 및 상기 후크커버(14)의 일측과 요홈(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배면케이스(2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로킹홈(22)에 착탈되어 원터치 결합과 시건장치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후크(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정면 양끝단에 각각 홀더부(60)가 설치되는 홀더부삽입홈(2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정면 양끝단에 형성된 홀더부삽입홈(24)의 내측에는 가스켓(50)이 설치되는 가스켓삽입홈(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30)는 플레이트(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된 다수의 나사봉에 의해 배면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나사봉에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파손이 없도록 반원홈의 절결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봉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을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여장판지지부(40)에 다수의 여장판(43)을 개별적으로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양단에 다수의 서랍형 슬라이드홈(41)이 순차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하단에는 상기 절곡부의 체결공과 일치되게 한 후 볼트로 체결되게 체결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장판지지부(40)의 입구에는 여장판(43)이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설치되지 않을 경우 지지부프론트커버(44)를 슬라이드홈(41)의 입구에 설치하여 슬라이드홈(41)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의 여장판지지부(40)는 카세트 타입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광접속 작업시 내부 여유공간이 부족하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여장판(43)은 광심선 인출부가 앞쪽 2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불가는 하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의 체결구조인 슬라이드후크(15)는 열쇠에 의한 록크(lock) 방식이나 체결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 기술의 가공행거부(70)는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밴딩에 의해 조여주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풀리는 문제점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블파지부와 여장판지지부 그리고 여장판과 시건장치부 및 가공행거부로 구비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특히 여장판지지부가 비 작업시에는 접속함체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고, 제3목적은 여장판의 광심선 인출부가 4방향 인출 구조로 형성되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며 4방향으로 광심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체결구조를 매미고리 모양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변경하여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가공행거부의 파지구를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정, 배면케이스와 여장판 그리고 가공행거부가 상호 조립되어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배면케이스의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견고히 잡아주는 케이블파지부; 여장판의 비 작업시에는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여장판지지부;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제1통공과 제2통공에 의해 4방향 인출구조로 형성된 여장판; 정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부; 및 배면케이스의 양단에 체결되며,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가공지선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한 가공행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파지부와 여장판지지부 그리고 여장판과 시건장치부 및 가공행거부로 구비되어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여장판지지부가 비 작업시에는 접속함체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여장판의 광심선 인출부가 4방향 인출 구조로 형성되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며 4방향으로 광심선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결구조를 매미고리 모양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변경하여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가공행거부의 파지구를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효과로 인해 본 발명은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의 (a)는 종래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
도이고,
(b)는 종래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일부 결합상태 분해
사시도이며,
(c)는 종래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
시도이고,
(d)는 종래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
시도이며,
(e)는 종래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
고,
(f)는 종래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결합상태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를 보인 분
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판이 닫혀진 상태를 보인 직선형 가공 광케이
블 접속함체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판이 90도로 열린 상태를 보인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시건장치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판지지부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베이스의 사시도.
도 9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의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의 저면도이며,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접지의 정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케이블파지부의 사시도.
도 11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공행거부의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공행거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정,배면케이스(100)(105)로 구비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크게 케이블파지부(120)와, 여장판지지부(110) 그리고 여장판(140)과 시건장치부(130) 및 가공행거부(150)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원발명은 배면케이스(105)의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견고히 잡아주는 케이블파지부(120)가 구비된다.(도 4 참조)
상기 케이블파지부(1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10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체결구(128)가 끼워지게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122)이 형성된 베이스(1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21)의 상하단은 'ㄷ'자로 절곡되게 형성됨은 물론 배면케이스에 체결구(도면상 미 도시됨)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체결공(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28)가 끼워지게 일측에 축공(12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결구(128)에 결려지게 로킹홈(126)이 형성된 접지(1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접지(124)의 저면에는 케이블 중심 인장선이 끼워져 이동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베이스(121)의 상면과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요홈(127)이 형성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여장판의 비 작업시에는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여장판지지부(11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여장판지지부(1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105)의 내부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전방과 후방에 각각 체결공(117)(118)이 형성된 트레이서포트(11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케이스(105)의 내부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안쪽에 다수의 체결공(112)이 형성된 고정트레이(111)가 구비된다.
아울러 경첩(116)에 의해 상기 고정트레이(111)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단과 측면에 각각 체결공(115)(114)이 형성되고, 여장판(140)을 수직 및 수평으로 받쳐주는 가동트레이(113);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트레이(113)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가동트레이(113)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과 상기 트레이서포트(117)에 형성된 체결공에 끼워지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가동트레이(113)는 상기 트레이서포트(117)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제1통공(141)과 제2통공(142)에 의해 4방향 인출구조로 형성된 여장판(14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정면케이스(100)와 배면케이스(105)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부(1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시건장치부(130)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 설명하면,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케이스(100)의 상단 정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걸림홈(101)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케이스(105)의 상단 후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힌지홈(106)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에는 힌지핀(133)이 구비된 브라켓트(131)가 끼워져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트(131)에 구비되며, 걸림홈(101)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걸고리(132)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133)은 상기 브라켓트(131)의 회전축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걸고리(132)는 상기 힌지핀(133)을 지나도록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트(131)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131) 및 상기 걸고리(132)는 정면케이스(100) 및 배면케이스(105)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브라켓트(131)의 내측 양단에는 돌기(134)가 형성되고, 이 돌기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힌지홈이 형성된 인접부위에는 요홈(107)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면케이스(105)의 양단에 체결되며,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가공지선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한 가공행거부(1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공행거부(150)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조임너트(155)가 체결되게 몸체(151)의 하단에는 케이스체결나사부(156)가 형성되고, 파지구조임너트(153)가 체결되게 몸체(151)의 상단에는 파지구체결나사부(152)가 형성되되, 이 파지구체결나사부에는 가공지선에 감겨 체결되도록 벤딩형상의 파지구(154)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된 다수의 부품을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설치하게 된다.
이후 다수의 부품이 조립 설치된 상태에서 도 4 와 같이 배면케이스(105)의 측면에서 케이블 중심 인장선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중심 인장선은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케이블파지부(120)에 의해 견고히 고정 설치된다.
즉, 베이스(121)의 상단에 체결구(128)에 의해 다수의 접지(124)를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접지(124)는 일측 체결구(128)를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게 되고, 아울러 로킹홈(126)은 타측 체결구(128)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접지(124)를 우선 오픈시킨 상태에서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베이스(121)의 정면 상단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접지(124)를 회전시켜 로킹홈(126)이 체결구(128)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상기 접지(124)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127)은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감싼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구(128)를 조이면 접지(124)는 베이스(121) 쪽으로 밀착되면서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긴밀히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 중심 인장선이 접지(124)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127)에 위치한 상태로 베이스(121)에 긴밀히 결합되면 케이블 중심 인장선이 이동 없이 정위치에서 긴밀히 고정 설치된다.
물론,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풀기 위해서는 전술한 동작을 역순으로 작동하면 손쉽게 풀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일측 체결구(128)를 어느 정도 푼 다음 접지(124)를 타측 체결구(128)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간단히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장판지지부가 비 작업시(도 3)에는 접속함체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도 4)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도 3,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미 도시된 체결구를 체결공(119)에 끼워 트레이서포트(117)를 배면케이스(105)의 내부 중앙 상단에 고정 설치한다. 아울러 체결공(112)에 도면상 미 도시된 체결구를 체결하여 고정트레이(111)를 배면케이스(105)의 내부 하단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정트레이(111)에는 경첩(116)을 중심으로 가동트레이(113)가 회전 작동한다.
상기 가동트레이(113)에는 다수의 여장판(140)이 적층 설치되는 것으로, 여장판의 비 작업시에는 도 3 과 같이 가동트레이(113)를 수직으로 세우는 것이고, 여장판(140)의 작업시에는 도 4 와 같이 가동트레이(113)를 90도 수평 상태로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여장판의 여장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결국 작업자는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트레이(113)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공(114)에는 도면상 미 도시된 체결구가 끼워져 여장판(140)을 고정시키게 되고, 상단에 형성된 체결공(115)과 트레이서포트(117)에 형성된 체결공(118)에는 도면상 미 도시된 체결구가 끼워져 가동트레이(113)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트레이서포트(117)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통공(141)과 한 쌍의 제2통공(142)을 통해 각각 광심선을 인출하는 것으로, 여장판(140)의 광심선 인출부가 4방향 인출 구조로 형성되어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며 4방향으로 광심선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체결구조를 매미고리 모양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변경하여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시건장치부(130)가 정면케이스(100)와 배면케이스(105)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5,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133)은 힌지홈(106)에 걸려지고, 돌기(134)는 요홈(107)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걸고리(132)가 걸림홈(101)에 걸려지면 정면케이스(100)와 배면케이스(105)가 상호 긴밀히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정면케이스(100)를 배면케이스(105)로부터 오픈시킬 때에는 먼저 브라켓트(131)의 뒤쪽을 상부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돌기(134)가 요홈(107)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브라켓트(131)는 힌지핀(133)이 힌지홈(10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트(133)가 상부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걸림홈(101)에 걸려진 걸고리(132)가 그만큼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고리(132)가 걸림홈(101)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고 결과적으로 정면케이스(100)를 배면케이스(105)로부터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정면케이스(100)와 배면케이스(105)를 다시 시건장치부(130)에 의해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작동을 역순으로 하게 되면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원발명은 가공행거부(150)가 벤딩형식으로 구성되어 가공지선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게 된다.
즉, 도 2 내지 도 4 와 도 6 그리고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51)의 하단에 형성된 케이스체결나사부(156)를 배면케이스(105)의 양단에 끼운 후 케이스조임너트(155)를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본원발명은 파지구(154)를 벤딩형상으로 말은 상태에서 가공지선을 끼우거나 또는 파지구(154)의 일단을 먼저 파지구체결나사부(152)에 끼운 후 가공지선의 외주면에 말은 다음 파지구(154)의 타단을 파지구체결나사부(154)에 끼우고 이어서 파지구조임너트(153)를 체결하여 가공지선에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매달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파지구(154)는 벤딩형상으로 구비되어 가공지선의 외주면에 긴밀히 조일 수 있게 되어 흔들림이 발생 되더라도 쉽게 풀리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100: 정면케이스 105: 배면케이스
110: 여장판지지부 120: 케이블파지부
130: 시건장치부 140: 여장판
150: 가공행거부

Claims (1)

  1. 정, 배면케이스와 여장판 그리고 가공행거부가 상호 조립되어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 양단에 구비되며, 케이블 중심 인장선을 견고히 잡아주는 케이블파지부(120);
    여장판의 비 작업시에는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있다가 접속작업시에는 90도 열림으로 작업공간 확보 및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여장판지지부(110);
    여장판간 심선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제1통공과 제2통공에 의해 4방향 인출구조로 형성된 여장판(140);
    상기 정면케이스와 상기 배면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들을 상호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건장치부(130); 및
    상기 배면케이스의 양단에 체결되며, 벤딩형식으로 구성하여 가공지선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한 가공행거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KR1020100012339A 2010-02-10 2010-02-10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KR20100036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339A KR20100036285A (ko) 2010-02-10 2010-02-10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339A KR20100036285A (ko) 2010-02-10 2010-02-10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403A Division KR20090009000A (ko) 2007-07-19 2007-07-19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285A true KR20100036285A (ko) 2010-04-07

Family

ID=422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339A KR20100036285A (ko) 2010-02-10 2010-02-10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62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422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090009000A (ko)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KR20100036285A (ko)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KR100970228B1 (ko) 광가입자망용 광케이블 접속함
KR101218201B1 (ko) 광분배반
JP577445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US20110293234A1 (en) Internal slack storage of cable on a removable mounting surface
KR20080073940A (ko)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JP602136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US20210018708A1 (en) Telecommunications Boxes With Movable Adapter Holder
KR102039185B1 (ko) 광 접속 단자함
JP5856449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US8737796B2 (en) Rapid universal rack mount enclosure
JP2007256762A (ja) 光ファイバ心線余長収納ケース及びこれを用いた光接続箱
KR101154853B1 (ko) 피엘씨 입출력 모듈용 케이블 커넥터의 일체형 커버장치
JP2019139049A (ja) 配線識別ユニット及び光配線ユニット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JPS6241288Y2 (ko)
KR100356709B1 (ko)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KR101261330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JP2013024923A (ja) 成端箱
CN218383418U (zh) 一种光分路器
JP4020200B2 (ja) 光ケーブル接続部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200463444Y1 (ko) 스플리터가 착탈 가능하도록 포켓을 갖는 광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