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940A -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 Google Patents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940A
KR20080073940A KR1020070012815A KR20070012815A KR20080073940A KR 20080073940 A KR20080073940 A KR 20080073940A KR 1020070012815 A KR1020070012815 A KR 1020070012815A KR 20070012815 A KR20070012815 A KR 20070012815A KR 20080073940 A KR20080073940 A KR 2008007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cable connection
rear case
cas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940A/ko
Publication of KR2008007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부를 이루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정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장선을 파손하지 않고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하는 중심인장선고정부(30);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와 일체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고정부(35); 상기 지지부고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여장판이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게 하는 여장판지지부(40); 및 상기 배면케이스의 양측 상부에는 외함 및 조가선을 동시에 고정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충격 및 흔들림이 없도록 가공헹거부(7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공용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가공에서의 작업 및 유지보수와 선로의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공헹거를 이용하여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 후 광케이블 인입 및 접속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P1020070012815
정·배면케이스, 중심인장선고정부, 여장판지지부, 광케이블 접속함체.

Description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In-Line Type Process Fiber Optic Closure}
도 1 은 종래 광케이블의 불량시설 현황을 보인 사진으로,
(a)는 종래 광케이블이 서로 엉켜 정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도시미
관 저해를 보인 사진이고,
(b)는 종래 사고위험 노출에 방치된 광케이블을 보인 사진이며,
(c)는 종래 유지보수 인원이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불가한 광케이
블을 보인 사진이다.
도 2 의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일부 결합상태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열린 상태를 보
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닫힌 상태를 보
인 사시도.
도 6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닫힌 상
태의 단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결합상태
측면도이다.
도 7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면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면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면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배면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9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판지지대의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판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도 10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심인장선고정부의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심인장선고정부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여장판을 보인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공헹거를 보인 측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스켓의 확대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홀더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중심인장선고정부의 요부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실제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면케이스 20: 배면케이스
30: 중심인장선고정부 40: 여장판지지부
50: 가스켓 60: 홀더부
70: 가공헹거부
본 발명은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용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공에서의 작업 및 유지보수와 선로의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공헹거를 이용하여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 후 광케이블 인입 및 접속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가공, 관로, 직매 및 인입용의 다목적 함체로서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현재 약 1㎞ 마다 가공 전주 부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전국적으로 보면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상기한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도 1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 량시설로 낙인되고 말았다.
즉, 도 1 (a)는 다수의 광케이블이 서로 엉켜 정리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도시미관 저해를 보인 사진이고, (b)는 권취된 광케이블이 축 늘어져 사고위험 노출에 방치된 상태를 보인 사진이며, (c)는 유지보수 인원이 접근할 수 없을 정도로 불가한 광케이블을 보인 사진으로, 상기와 같이 종래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불량시설로 낙인되어 민원발생의 소지가 많음은 물론 사고발생 소지가 많아 커다란 사회 문제점으로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공용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하되, 특히 가공에서의 작업 및 유지보수와 선로의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공헹거를 이용하여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 후 광케이블 인입 및 접속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함체의 접속 자재들은 가공환경에서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하고, 장치 개폐시 작업 안전성을 고려하여 무볼트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함체는 일반 루즈튜브 및 리본 루즈튜브, 센트럴 코어 등의 다양한 광케이블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함체는 접속점 분기 및 중간분기가 가능한 구조이고,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함체의 조립 및 해체는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도 조립/해체가 가능함은 물론 실리콘 재질이거나 동등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함체는 수용되는 모든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인장선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장치는 어떤 외부적인 영향에 의해서 인장선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함체에는 여장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여장판지지대가 있고, 필요한 경우 쉽게 여장판을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함체의 여장판은 가공접속 및 유지보수 작업시의 안전을 위하여 여장판 간의 개폐가 독립적으로 분리 및 고정이 될 수 있는 구조이고, 여장판은 진동이나 충격등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여장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상과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함체의 여장판은 필요에 따라 접속보강재 수납부를 변경하여 열수축슬리브, 기계식 접속자, 리본 열수축슬리브 등의 접속보강재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10목적은 함체의 여장판은 12개 이상의 접속보강재 수납이 가능하고, 양방향에서 인입되는 광섬유의 여장을 각각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1목적은 함체 여장판의 여장 수납부는 광섬유의 여장을 허용곡률반경이상의 직경을 유지하여 수납할 수 있고, 광섬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성된 것이며, 제12목적은 함체 여장판의 접속보강재 수납부는 단층 수납 구조로서, 접속보강재의 수납 및 분리가 용이해야 하며, 수납 후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접속보강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이고, 제13목적은 함체의 여장판 및 여장판지지대는 루즈튜브설치작업 및 유지보수작업이 원활하도록 지상과 수평되게 전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것이며, 제14목적은 가공행거는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이 용이하고 강하게 체결되는 구조이고, 외부 환경적인 요인(비, 바 람)에 의한 풀림이나 빠짐이 없도록 한 것이고, 제15목적은 가공행거는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 후 외선팀의 이동작업 간에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공, 관로, 직매 및 인입용의 다목적 함체로서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부를 이루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정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장선을 파손하지 않고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하는 중심인장선고정부;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와 일체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고정부; 상기 지지부고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여장판이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게 하는 여장판지지부; 및 상기 배면케이스의 양측 상부에는 외함 및 조가선을 동시에 고정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충격 및 흔들림이 없도록 가공헹거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도 2 내지 도 16 에 도 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가공, 관로, 직매 및 인입용의 다목적 함체로서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부를 이루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정면케이스(10) 및 배면케이스(20)와, 상기 배면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장선을 파손하지 않고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하는 중심인장선고정부(30)와,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30)와 일체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고정부(35)와, 상기 지지부고정부(35)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여장판이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게 하는 여장판지지부(40); 및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양측 상부에는 외함 및 조가선을 동시에 고정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충격 및 흔들림이 없도록 가공헹거부(70)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를 상호 고정함은 물론 분리 가능하게 도 7(a)(b) 및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20)의 정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리브힌지(21)가 돌출 형성되고, 정면케이스(10)의 정면 하단에는 상기 리브힌지(21)에 끼워지게 리브힌지결합홈(1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리브힌지(21)와 리브힌지결합홈(12)에는 힌지축(도면상 도시되지 아니함)이 결합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면케이스(10)의 상단 요홈(1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후크(15)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후크커버(14); 및 상기 후크커버(14)의 일측과 요홈(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배면케이스(20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로킹홈(22)에 착탈되어 원터치 결합과 시건장치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후크(1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정면 양끝단에 각각 홀더부(60)가 설치되는 홀더부삽입홈(2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홀더부(60)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을 상호 파지하기 위해 각각 반원홈(62)(64)이 형성된 상부홀더(61)와 하부홀더(63)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홀더(63)에는 케이블의 외경에 따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공(65)에 체결볼트(66)가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정면 양끝단에 형성된 홀더부삽입홈(24)의 내측에는 가스켓(50)이 설치되는 가스켓삽입홈(23)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가스켓(50)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를 줄임을 물론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식의 콘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30)는 플레이트(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된 다수의 나사봉(32)에 의해 배면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나사봉(32)에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파손이 없도록 반원홈의 절결홈(3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봉(32)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을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33)가 체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지지부고정부(35)에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장판지지부(4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상부로 돌출된 격벽(36)이 형성됨은 물론 여장판지지부(40)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37)의 양단에 체결공(38)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체결공에는 볼트가 체결되어 지지부고정부에 여장판지지부가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게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장판지지부(40)에 다수의 여장판(43)을 개별적으로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양단에 다수의 서랍형 슬라이드홈(41)이 순차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하단에는 상기 절곡부(37)의 체결공(38)과 일치되게 한 후 볼트로 체결되게 첵결공(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장판지지부(40)의 입구에는 여장판(43)이 슬라이드홈(41)에 끼워져 설치되지 않을 경우 지지부프론트커버(44)를 슬라이드홈(41)의 입구에 설치하여 슬라이드홈(41)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가공헹거부(70)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몸체(70a)의 상하단에 각각 파지구체결나사부(71)와 케이스체결나사부(75)가 구비되되, 상기 파지구체결나사부(71)는 배면케이스(2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과한 후 정면케이스(10)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체결공(13)에 체결되고, 상기 파지구체결나사부(71)에는 조가선에 고정 설치되는 파지구(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파지구(72)의 내측 하부에는 조가선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 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반원홈(73)이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파지구체결나사부(71)의 외주면에는 파지구(72)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파지구조임너트(74)가 체결되되, 이 파지구조임너트(74)는 파지구(72)의 양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체결나사부(75)의 외주면에는 배면케이스(20)에 몸체(70a)를 고정 설치하게 케이스조임너트(76)가 배면케이스(20)의 정배면에 각각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절곡된 몸체(70a)는 정,배면케이스(10)(20)와 조가선에 용이하게 동시에 고정되도록 'ㄷ'자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전체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여장판지지부(40)를 배면케이스(20)에 결합하면 도 3 과 같이 조립되고, 도 4 는 본원발명에 적용된 부품 전체를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6 은 가공지선에 본 발명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발명은 배면케이스(20)의 양단에 형성된 홀더부삽입홈(24)에 각각 홀더부(60)가 결합되는 것으로, 특히 하부홀더(63)의 체결공(65)에 체결볼트(66)가 끼워져 배면케이스(2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와 같이 하부홀더(65)가 배면케이스(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홀더(61)가 하부홀더(63)에 조립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홀더부(60)는 배면케이스(20)의 양단에 각각 3개씩 총 6개가 케이블을 개별 고정방식으로 조립하게 됨은 물론 상기 체결볼트(66)를 풀고 조임에 따라 케이블 외경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에 적용된 가스켓(50)은 상기 홀더부(60)의 내측인 배면케이스(20)에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블이 끼워져 통과되는 부분이 계단식의 콘형으로 형성되어 효율적인 내부공간의 확보와 중간분기를 완벽하게 구현하고, 광케이블의 꺽임을 방지하여 광케이블의 완벽한 고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또한 플레이트(31)가 배면케이스(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때 플레이트(31)의 양단에 체결되는 나사봉(32)에는 깊이가 있는 반원홈의 절결홈(32a)이 형성되어 이곳에 중심인장선을 끼워 넣고 너트(33)로 조이게 되면 중심인장선이 파손 없이 완전하게 고정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와 직각으로 형성된 지지부고정부(35)에는 여장판지지부(40)가 고정 설치된다.
즉, 지지부고정부(35)의 상단에 여장판지지부(40)가 올려지되, 여장판지지부(40)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공(42)과 절곡부(37)에 형성된 체결공(38)이 상호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 체결하면 상기 지지부고정부(35)의 상단에 여장판지지부(4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여장판지지부(40)에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드홈(41)에는 여장판(43)이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여장판(43)이 지면과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개별 서랍형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되어 접속 및 여장처리 등의 작업성이 용이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발명은 여장공간 독립 분리 구조로 중첩 방지 및 접속작업을 극대화할 수 있고, 여장판(43)이 지상과 수평구조로 설치되어 설치운 운용 환경 및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며, 여장판(43)을 슬라이딩 구조로 하여 접속 및 여장의 수평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여장공간 확보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보호튜브 여장곡률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장판지지부(40)의 입구에는 선택적으로 지지부프론트커버(44)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여장판(43)이 여장판지지부(40)에 설치되지 않을 경우 지지부프론트커버(44)로 여장판지지부(40)의 입구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장판(4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장판별 개별 고정 방식으로, 리본 및 루즈튜브 코아의 수용이 가능하고, 루즈튜브 케이블의 간섭을 제거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또한 가공헹거부(70)의 케이스체결나사부(75)가 배면케이스(20)의 통공(20a)과 정면케이스(10)의 체결공(13)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때 케이스조임 너트(76)는 상기 통공(20a)의 양단에 긴밀히 체결됨과 아울러 도면상에 도시되지 아니한 또 다른 조임너트는 정면케이스(10)의 반대편에서 케이스체결나사부(75)에 체결되어 가공헹거부(70)에 정,배면케이스(10)(20)를 상호 긴밀히 고정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공헹거부(70)는 가공지선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파지구(72)의 안쪽 반원홈(73)을 가공지선의 외주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파지구체결나사부(71)를 상호 조이게 되면 상기 한쌍의 파지구(72)가 상호 좁혀지면서 반원홈(73)이 가공지선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결과적으로 외부 환경에 대한 충격 및 흔들림에 강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공헹거부(70)의 몸체(70a)는 'ㄷ'자로 형성되어 외부의 걸림없이 용이하게 정, 배면케이스(10)(20)와 가공지선에 동시에 고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더하여 본원발명은 배면케이스(2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리브힌지(21)가 정면케이스(10)의 하단에 형성된 리브힌지결합홈(12)에 결합되어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손쉽게 정,배면케이스(10)(20)를 원터치로 착탈시켜 사용하게 되어 사용의 용이함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원발명은 슬라이드후크(15)를 이용하여 무볼트 시공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즉, 슬라이드후크(15)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가 배면케이스(20)의 로킹홈(22)에 끼워지게 되면, 정,배면케이스(10)(20)는 상호 결합된 상태로 닫혀지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후크(15)를 요홈(11) 쪽으로 누르게 되면 돌기가 로킹홈(22)에서 빠져나와 정,배면케이스(10)(20)는 상호 벌어지면서 오픈 되는 것으로, 별도의 보조공구 필요 없이 원터치 결합으로 조작이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슬라이드후크(15)의 일측에 결합된 후크커버(14)는 외부충격에 강한 구조로 형성되어 슬라이드후크(15)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용 광섬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하되, 특히 가공에서의 작업 및 유지보수와 선로의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직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가공헹거를 이용하여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 후 광케이블 인입 및 접속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함체의 접속 자재들은 가공환경에서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한 구조로 하고, 장치 개폐시 작업 안전성을 고려하여 무볼트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임은 물론 함체는 일반 루즈튜브 및 리본 루즈튜브, 센트럴 코어 등의 다양한 광케이블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함체는 접속점 분기 및 중간분기가 가능한 구조이고,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함체의 조립 및 해체는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도 조립/해체가 가능함은 물론 실리콘 재질이거나 동등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함체는 수용되는 모든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인장선 고정에 사용되는 고정장치는 어떤 외부적인 영향에 의해서 인장선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한 것이고, 또한 함체에는 여장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여장판지지대가 있고, 필요한 경우 쉽게 여장판을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함체의 여장판은 가공접속 및 유지보수 작업시의 안전을 위하여 여장판 간의 개폐가 독립적으로 분리 및 고정이 될 수 있는 구조이고, 여장판은 진동이나 충격등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여장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상과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함체의 여장판은 필요에 따라 접속보강재 수납부를 변경하여 열수축슬리브, 기계식 접속자, 리본 열수축슬리브 등의 접속보강재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함체의 여장판은 12개 이상의 접속보강재 수납이 가능하고, 양방향에서 인입되는 광섬유의 여장을 각각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함체 여장판의 여장 수납부는 광섬유의 여장을 허용곡률반경이상의 직경을 유지하여 수납할 수 있고, 광섬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성된 것이며, 이와 아울러 함체 여장판의 접속보강재 수납부는 단층 수납 구조로서, 접속보강재의 수납 및 분리가 용이해야 하며, 수납 후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접속보강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함체의 여장판 및 여장판지지대는 루즈튜브설치작업 및 유지보수작업이 원활하도록 지상과 수평되게 전면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 것이며, 특히 가공행거 는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이 용이하고 강하게 체결되는 구조이고, 외부 환경적인 요인(비, 바람)에 의한 풀림이나 빠짐이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공행거는 가공지선(조가선)에 고정 후 외선팀의 이동작업 간에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자 및 수요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6)

  1. 가공, 관로, 직매 및 인입용의 다목적 함체로서 광케이블 연결부위 및 광섬유의 접속부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에 있어서,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외부를 이루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는 정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
    상기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인장선을 파손하지 않고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하는 중심인장선고정부(30);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와 일체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부고정부(35);
    상기 지지부고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다수의 여장판이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게 하는 여장판지지부(40); 및
    상기 배면케이스의 양측 상부에는 외함 및 조가선을 동시에 고정하고, 외부환경에 의한 충격 및 흔들림이 없도록 가공헹거부(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를 상호 고정함은 물론 분리 가능하게 배면케이스의 정면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리브힌지(21)가 더 돌출 형성되고, 정면케이스의 정면 하단에는 상기 리브힌지에 끼워지게 리브힌지결합홈(12)이 더 형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3.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케이스(10)의 상단 요홈(1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후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후크커버(14); 및
    상기 후크커버의 일측과 요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배면케이스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로킹홈(22)에 착탈되어 원터치 결합과 시건장치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후크(1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4.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정면 양끝단에는 각각 홀더부(60)가 설치되는 홀더부삽입홈(24)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5. 제 4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60)는 케이블을 상호 파지하기 위해 각각 반원홈(62)(64)이 형성된 상부홀더(61)와 하부홀더(63)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홀더(63)에는 케이블의 외경에 따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공(65)에 체결볼트(66)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6.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20)의 정면 양끝단에 형성된 홀더부삽입홈의 내측에는 가스켓(50)이 설치되는 가스켓삽입홈(2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7. 제 6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50)은 두께를 줄임을 물론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계단식의 콘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8.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인장선고정부(30)는 플레이트(31)의 양단에 각각 체결된 다수의 나사봉(32)에 의해 배면케이스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나사봉에는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에서 파손이 없도록 반원홈의 절결홈(32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나사봉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을 고정 및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33)가 체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9.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고정부(35)에는 여장판지지부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상부로 돌출된 격벽(36)이 형성됨은 물론 여장판지지부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하부로 돌출된 절곡부(37)의 양단에 체결공(3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0.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판지지부(40)는 다수의 여장판을 개별적으로 지상과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양단에 다수의 서랍형 슬라이드홈(41)이 순차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하단에는 상기 절곡부의 체결공과 일치되게 한 후 볼트로 체결되게 첵결공(4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1. 제 1 또는 제 10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판지지부(40)의 입구에는 여장판이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설치되지 않을 경우 지지부프론트커버(44)를 슬라이드홈의 입구에 설치하여 슬라이드홈의 입 구를 폐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2. 제 1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헹거부(70)는 절곡된 몸체(70a)의 상하단에 각각 파지구체결나사부(71)와 케이스체결나사부(75)가 구비되되, 상기 파지구체결나사부는 배면케이스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통공(20a)을 통과한 후 정면케이스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체결공(13)에 체결되고, 상기 파지구체결나사부에는 조가선에 고정 설치되는 파지구(7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3. 제 1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72)의 내측 하부에는 조가선의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반원홈(73)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4. 제 1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체결나사부(71)의 외주면에는 파지구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파지구조임너트(74)가 체결되되, 이 파지구조임너트는 파지구의 양단에 설치됨을 특징 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5. 제 1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결나사부(75)의 외주면에는 배면케이스에 몸체를 고정 설치하게 케이스조임너트(76)가 배면케이스의 정배면에 각각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16. 제 12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된 몸체(70a)는 정,배면케이스와 조가선에 용이하게 동시에 고정되도록 'ㄷ'자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KR1020070012815A 2007-02-07 2007-02-07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KR20080073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15A KR20080073940A (ko) 2007-02-07 2007-02-07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15A KR20080073940A (ko) 2007-02-07 2007-02-07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940A true KR20080073940A (ko) 2008-08-12

Family

ID=3988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815A KR20080073940A (ko) 2007-02-07 2007-02-07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39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2A (ko) * 2015-06-30 2017-01-1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KR102039185B1 (ko) 2018-06-18 2019-10-31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 접속 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72A (ko) * 2015-06-30 2017-01-10 태양정보통신(주) 다양한 환경에 설치가 용이한 ftth용 광스플리터 모듈
KR102039185B1 (ko) 2018-06-18 2019-10-31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광 접속 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699C1 (ru) Кабельный бокс и органайзер для линий связи и сплайсов
US7418183B2 (en) Fiber optic splice enclosure
US20200241231A1 (en) Fiber optic cable with flexible conduit
ES2894250T3 (es) Recinto de fibra óptica con cajón de gestión de cables
RU2375731C1 (ru) Кабельный бокс
EP3594729B1 (en) Fiber optic cabinet and cabinet lift
KR100892422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
KR20070044449A (ko) 원격 통신 케이블 수납체
US10718919B2 (en) Field-installable optical module with configurable cable attachment and internal cable management features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080073940A (ko)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
US20110293234A1 (en) Internal slack storage of cable on a removable mounting surface
KR20090009000A (ko) 직선형 가공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구조
US20130236141A1 (en) Optical cable connection closure
KR100356709B1 (ko)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KR102039185B1 (ko) 광 접속 단자함
KR101777272B1 (ko)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KR101141767B1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개량구조
KR200322654Y1 (ko) 인입 광케이블 여장함이 구비된 광분배함
KR100289932B1 (ko)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JP2005140826A (ja) 光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KR200191132Y1 (ko)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KR20080047268A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JP3696823B2 (ja) 成端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