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038A - 전력 분배기 - Google Patents

전력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038A
KR20100035038A KR1020080094333A KR20080094333A KR20100035038A KR 20100035038 A KR20100035038 A KR 20100035038A KR 1020080094333 A KR1020080094333 A KR 1020080094333A KR 20080094333 A KR20080094333 A KR 20080094333A KR 20100035038 A KR20100035038 A KR 20100035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ductor
receiving portion
cabl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종
이주현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안테나 filed Critical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to KR102008009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5038A/ko
Priority to PCT/KR2009/005270 priority patent/WO2010035984A2/ko
Publication of KR20100035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085Cable junctions for coaxial cables or hollow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된 전력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분배기는 제 1 홀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케이블은 상기 제 1 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일면 위에는 상기 제 1 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도체인 제 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 1 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도체인 제 2 연결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1 연결 선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연결 선로의 길이와 동일하다.
분배기, 선로, 케이블

Description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
본 발명은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사한 분배 특성을 가지고 입력 전력을 원하는 비율로 분배시키는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분배기는 특정 케이블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력을 복수의 케이블들로 분배시키는 소자로서, 일반적으로 아래의 도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 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분배기(100)는 안테나 등에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되며, 바디부(102) 및 선로들(104, 106, 108 및 110)로 이루어진다.
제 1 선로(104)는 입력 선로로서, 제 1 케이블(11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케이블(11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력이 제 1 선로(104)로 흐른다.
제 2 선로(106)는 제 1 선로(104)와 연결되고, 제 1 선로(104)와 일직선 라인 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선로(106)의 종단부에 제 2 케이블(114)이 연결된다.
제 3 선로(108)는 제 1 선로(104)와 연결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선로(106)의 외곽에 위치한다. 또한, 제 3 선로(108)의 종단부에 제 3 케이블(116)이 연결된다.
제 4 선로(110)는 제 1 선로(104)와 연결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선로(106)의 외곽에 위치한다. 또한, 제 4 선로(110)의 종단부에 제 4 케이블(118)이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케이블(11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력이 제 1 선로(104)로 전송되고, 제 1 선로(104)로 전송된 전력이 선로들(106, 108 및 110)로 분배된 후 케이블들(114, 116 및 118)로 흐른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들(106, 108 및 110)은 비대칭적으로 배열되며, 즉 형상이 달라서 선로들(106, 108 및 110)의 임피던스들이 다르게 되며, 그 결과 선로들(106, 108 및 110)의 손실 등이 서로 다르게 된다. 특히, 주파수 변화에 따른 선로들(106, 108 및 110)의 전력 분배 특성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선로들(108 및 110)의 전력 크기는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작아지는 반면에, 선로(106)의 전력 크기는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분배기(100)를 설계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선로들(104, 106, 108 및 110)이 도체이므로, 안테나 등에 사용되는 전력 분배기(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금속 소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금속 소자에 의해 선로들(104, 106, 108 및 110)이 영향을 받거나 선로들(104, 106, 108 및 110)이 상기 금속 소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분배기(1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금속 소자가 위치되지 않도록 상기 안테나가 설계되었다. 즉, 상기 안 테나의 공간 사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한 분배 특성을 가지고 입력된 전력을 원하는 비율로 분배시키면서 공간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전력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블로 인가되는 전력을 복수의 제 2 케이블들로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는 제 1 홀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케이블은 상기 제 1 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일면 위에는 상기 제 1 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도체인 제 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 1 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도체인 제 2 연결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1 연결 선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연결 선로의 길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케이블로 인가되는 전력을 복수의 제 2 케이블들로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의 일면 위에는 상기 홀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연결 선로들이 배열되며, 상기 연결 선로들 사이의 각도들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분배기에서 분배 선로들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즉, 형상이 동일하므로), 상기 분배 선로들을 통한 전력 분배 특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전력 분배기를 원하는 특성으로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로들이 접지 역할의 수용부들에 삽입되므로, 상기 전력 분배기의 상부 및 하부에 금속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력 분배기를 사용하는 안테나 등의 공간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200)는 안테나 등에 사용되어 제 1 케이블(220)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력을 복수의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로 분배하는 소자로서, 입력부(202) 및 분배부(204)를 포함한다.
입력부(202)는 제 1 케이블(220)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220)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206)가 형성된다. 즉, 제 1 케이블(220)을 수용하는 제 1 수용부(206)가 입력부(202)의 바디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제 1 수용부(206)는 도체로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제 1 반지름을 가진다. 물론, 제 1 수용부(206)는 제 1 케이블(220)을 수용할 수 있는 한 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배부(204)는 입력부(202)와 결합되고,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이 형성된다. 즉,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을 수용하는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이 분배부(204)의 바디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은 도체로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각기 제 2 반지름을 가진다. 물론,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은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을 수용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수용부(206)의 제 1 반지름은 제 2 수용부(208, 210 또는 212)의 제 2 반지름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1 수용부(206)의 길이는 제 2 수용부(208, 210 또는 212)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물론,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제 2 수용부들과 다른 반지름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분배 특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다만, 제 2 케이블들(222,224 및 226)로 동일한 전력이 분배된다면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은 동일한 반지름 및 길이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케이블(220)이 제 1 수용부(206)에 수용된 상태로 제 1 케이블(220)의 내부 도체가 분배부(204)의 바디부에 형성된 홀 (미도시)로 삽입되고, 그런 후 상기 내부 도체 중 분배부(204)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남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이 해당 제 2 수용부(208, 210 및 212)에 수용된 상태로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의 내부 도체들이 입력부(202)의 바디부에 형성된 홀들로 삽입된다. 그런 후, 상기 내부 도체들 중 입력부(202)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납땜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케이블(220)의 내부 도체와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의 내부 도체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이하, 이러한 전력 분배기(200)의 자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력 분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200)는 입력부(202), 연결부(300) 및 분배부(204)로 이루어진다.
입력부(202)는 바디부(302) 및 중앙에 형성된 제 1 수용부(206)로 이루어진다.
또한, 입력부(202)에는 제 1 수용부(206)를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된 제 4 홀들(322a, 322b 및 322c)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4 홀들(322a, 322b 및 322c)은 제 1 수용부(206)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연결부(300)는 제 1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제 1 홀(310)을 가지며, 특히 제 1 홀(310)은 연결부(300)의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 3 홀들(320a, 320b 및 320c)이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되며, 입력부(202)에 형성된 제 4 홀들(322a, 322b 및 322c)과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분배부(204)는 바디부(304) 및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로 이루어진다.
바디부(304)의 중앙에는 제 2 홀(312)이 형성되며, 제 2 홀(312)은 연결부(300)에 형성된 제 1 홀(310)과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은 모두 동일한 반지름(r2, r3 및 r4)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반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반지름(r2, r3 및 r4)은 내경 반지름 또는 외경 반지름이다. 다만,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이 동일한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의 반지름들(r2, r3 및 r4)은 동일할 것이다. 또한,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의 내경 반지름들(r2, r3 및 r4)은 제 1 수용부(206)의 내경 반지름(r1)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입력부(202), 연결부(300) 및 분배부(204)의 결합 과정 및 케이블들(220, 222, 224 및 226)을 삽입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 1 케이블(220)은 외부 도체(220a), 내부 도체(220b) 및 외부 도체(220a)를 둘러싼 피복층(220c)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피복층(220c)은 예를 들어 할로겐 프리 재킷(Halogen Free Jacket, HFJ)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입력부(202)와 분배부(204)가 연결부(300)를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로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연결부(300)가 입력부(202)와 분배부(204) 사이에 배열된다.
이어서, 제 1 케이블(220)이 제 1 수용부(206)로 삽입된다. 이 경우, 제 1 케이블(220)의 내부 도체(220b)가 제 1 홀(310)을 통하여 제 2 홀(312)로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내부 도체(220b)는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이 형성된 방향으로 하여 연결부(300) 상에서 납땜 처리된다. 물론, 분배부(204)가 도체이므로, 내부 도체(220b)의 종단부가 분배부(2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로 연결부(300) 상에 납땜 처리된다.
또한, 제 1 케이블(220)의 외부 도체(220a)는 도체인 제 1 수용부(2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수용부(206)의 종단부에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외부 도체(220a)가 제 1 수용부(206)로 삽입된 상태에서 도체 물질이 상기 홀을 통하여 외부 도체(220a)로 주입되어 외부 도체(220a)와 제 1 수용부(206)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도체(220a)가 접지이므로, 제 1 수용부(206)는 접지 역할을 수행한다.
계속하여,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이 제 2 수용부들(208, 210 및 212)로 삽입된다.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이 연결부(300)의 제 3 홀들(320a, 320b 및 320c)을 통하여 입력부(202)의 제 4 홀들(322a, 322b 및 322c)로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제 2-1 케이블(222)이 제 3-1 홀(320a)을 통하여 제 4-1 홀(322a)로 삽입되고, 제 2-2 케이블(224)이 제 3-2 홀(320b)을 통하여 제 4-2 홀(322b)로 삽입되며, 제 2-3 케이블(226)이 제 3-3 홀(320c)을 통하여 제 4-3 홀(322c)로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의 내부 도체들은 제 1 수용부(206)가 형성된 방향으로 하여 연결부(300) 상에서 납땜 처리된다. 물론, 입력부(202)가 도체이므로, 상기 내부 도체들의 종단부가 입력부(2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로 연결부(300) 상에서 납땜 처리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 연결부(300)의 타면을 살펴보자.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300)의 바디부(306)의 타면에는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된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이 형성된다.
제 1 연결 선로(400)는 도체로서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 연결 선로(402)는 도체로서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며, 제 3 연결 선로(404)는 도체로서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제 3 방향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제 1 연결 선로(400)의 종단부에는 제 3-1 홀(320a)이 형성되고, 제 2 연결 선로(402)의 종단부에는 제 3-2 홀(320b)이 형성되며, 제 3 연결 선로(404)의 종단부에는 제 3-3 홀(320c)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케이블(220)의 내부 도체(220b)가 제 1 홀(310)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에 의해 연결부(300)에 고정되며, 제 2-1 케이블(222)이 제 3-1 홀(320a)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에 의해 연결부(300)에 고정된다. 또한, 제 2-2 케이블(224) 이 제 3-2 홀(320b)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에 의해 연결부(300)에 고정되며, 제 2-3 케이블(226)이 제 3-3 홀(320c)에 삽입된 상태로 납땜에 의해 연결부(300)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이 도체이므로, 제 1 케이블(220)의 내부 도체(220b)가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의 내부 도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 1 케이블(220)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력이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로 분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다. 여기서,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폭들은 전력 분배 비율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연결 선로(400)와 제 2 연결 선로(402) 사이의 각도(α), 제 2 연결 선로(402)와 제 3 연결 선로(404) 사이의 각도(β) 및 제 3 연결 선로(404)와 제 1 연결 선로(400) 사이의 각도(γ)가 동일하다. 즉,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은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종단들을 연결하면 제 1 홀(310)을 중심으로 한 원이 형성될 것이다. 즉,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이 대칭적으로 배열되며, 그 결과 제 2 선로들(208, 210 및 212)이 제 1 홀(312)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될 것이다. 따라서, 제 2 선로들(208, 210 및 212)로 삽입되는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로 분배되는 전력들의 크기 곡선들은 주파수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전력 분배기(200)를 용이 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임피던스들이 동일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200)는 연결부(300)를 통하여 제 1 케이블(220)을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경우,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이 제 1 케이블(220)이 삽입되는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종래의 전력 분배기와 달리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로 분배되는 전력들의 크기 곡선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력 분배기(200)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들(220, 222, 224 및 226)이 해당 수용부(206, 208, 210 및 212)로 삽입되므로, 특히 케이블들(220, 222, 224 및 226)의 외부 도체들이 도체인 해당 수용부(206, 208, 210 및 212)로 삽입되므로, 전력 분배기(200) 상부 또는 하부에 금속 소자가 존재하여도 상기 금속 소자에 영향을 주거나 상기 금속 소자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분배기(200)를 사용하는 안테나의 공간 사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는, 입력된 전력을 3개의 케이블들(222, 224 및 226)로 분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케이블들로 분배하면 충분하다. 즉, 2개 이상의 연결 선로들이 입력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한 케이블들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케이블들의 수에 따라 수용부들 및 홀들의 개수 및 배치가 변화될 것이다.
또한, 연결 선로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한, 또는 상기 연결 선로들의 길이가 동일하는 한, 입력부(202) 및 분배부(204)의 구조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부(300)의 일면에는 제 1 홀(310)을 기준으로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이 형성된다.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길이는 상호 동일하다. 물론, 전력 분배 비율에 따라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폭 및 임피던스들이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결 선로(400)와 제 2 연결 선로(402) 사이의 각도(α), 제 2 연결 선로(402)와 제 3 연결 선로(404) 사이의 각도(β) 및 제 3 연결 선로(404)와 제 1 연결 선로(400) 사이의 각도(γ)는 도 4와 달리 동일하지 않다. 즉, 각도들(α, β 및 γ) 중 일부가 동일할 수는 있지만,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
이 경우에도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길이가 상호 동일하므로, 즉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이 홀(310)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므로,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에 대응하는 제 2 케이블들(222, 224 및 226)의 전력 크기 곡선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요컨대, 연결 선로들(400, 402 및 404)의 길이가 동일하는 한 연결 선로들 사이의 각도들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력 분배기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는 입력부(600), 분배부(602), 연결부(604),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 및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을 포함한다.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 및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 1 케이블(618)의 내부 도체는 도체인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로 삽입되고, 그런 후 제 1 케이블(618)의 내부 도체와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일 예는 후술하겠다. 이 경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는 제 1 수용부(610)로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의 종단부는 연결부(604)를 통하여 분배부(602)의 홀로 삽입된 후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납땜 처리된다. 즉, 내부 도체(220b)가 분배부(204)의 홀(312)로 삽입된 후 고정되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가 상기 홀로 삽입된 후 고정된다. 그러나, 제 1 케이블(618)의 내부 도체와 연결된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가 도체이므로, 제 1 케이블(618)로 입력된 전력이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분배될 것이다.
제 2 케이블들(620a, 620b, 620c)의 내부 도체들은 도체인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a, 616b 및 616c)로 각기 삽입된 상태하에서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a, 616b 및 616c)과 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2 케이 블(620c)이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616c)로 삽입된 상태하에서, 특정 도전체 물질이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616c)에 형성된 홀(630)을 통하여 제 2 케이블(620c)의 내부 도체로 주입되어 제 2 케이블(620c)의 내부 도체가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616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a, 616b 및 616c)은 연결부(604)의 홀들을 통하여 분배부(602)의 바디부에 형성된 홀들로 삽입된 상태에서 납땜 처리된다. 결과적으로,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a, 616b 및 616c)이 분배부(602)에 고정된다.
또한, 특정 도전 물질이 제 2 수용부들(612a, 612b 및 612c)의 홀들(632)을 통하여 제 2 케이블들(620a, 620b, 620c)의 외부 도체들로 주입되며, 결과적으로 제 2 케이블들(620a, 620b, 620c)의 외부 도체들이 제 2 수용부들(612a, 612b 및 612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에서는, 케이블들(618, 620a, 620b, 620c)의 내부 도체들이 내부 도체 수용부들(614, 616a, 616b 및 616c)로 삽입되고, 내부 도체 수용부들(614, 616a, 616b 및 616c)이 입력부(610) 및 분배부(602)의 홀들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결부(604)의 연결 선로들의 길이는 동일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의 전력 분배기(200)와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602)의 제 1 수용부의 반지름(길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부(602)의 제 2 수용부들의 반지름(길이)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즉,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614)의 반지름(길이)은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616a, 616b 및 616c)의 반지름(길이)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분배부(602)의 제 2 수용부들은 모두 동일한 반지름(길이)을 가질 수도 있지만, 분배부(602)의 제 2 수용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반지름(길이)은 나머지 제 2 수용부들의 반지름(길이)과 다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력 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력 분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전력 분배기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6)

  1. 제 1 케이블로 인가되는 전력을 복수의 제 2 케이블들로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에 있어서,
    제 1 홀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케이블은 상기 제 1 홀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의 일면 위에는 상기 제 1 홀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배열된 도체인 제 1 연결 선로 및 상기 제 1 홀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배열된 도체인 제 2 연결 선로가 배열되며, 상기 제 1 연결 선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연결 선로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기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입력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분배부는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배부에는 상기 제 2 케이블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수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상기 제 1 수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 선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복수의 제 2 홀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블들의 내부 도체들이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홀들로 삽입되며, 상기 분배부에는 제 3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상기 연결부의 제 1 홀을 통하여 상기 제 3 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 및 상기 제 2 수용부들은 다각형 또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도체들이되,
    상기 제 1 수용부의 반지름은 상기 제 2 수용부들의 반지름과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들은 해당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기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입력부;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분배부;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도체인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 및
    상기 분배부에 대응하는 도체인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 기 분배부에는 상기 제 2 케이블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수용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수용한 상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가 상기 제 1 수용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케이블들의 내부 도체들을 수용한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이 상기 제 2 수용부들로 각기 삽입되며, 상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는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 및 해당 연결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는 상기 제 2 케이블의 내부 도체 및 해당 연결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의 반지름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의 반지름은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의 반지름과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 중 일부는 다른 수용부들과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수용부들 중 하나는 해당 수용부(제 1 수용부 또는 제 2 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특정 도전 물질이 상기 수용부(제 1 수용부 또는 제 2 수용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상기 내부 도체 수용부에 주입됨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제 1 수용부 또는 제 2 수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을 기준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된 연결 선로들이 존재하되,
    상기 연결 선로들 사이의 각도들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1. 제 1 케이블로 인가되는 전력을 복수의 제 2 케이블들로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일면 위에는 상기 홀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연결 선로들이 배열되며, 상기 연결 선로들 사이의 각도들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선로의 길이는 상기 제 2 연결 선로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기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입력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 기 분배부에는 상기 제 2 케이블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수용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상기 제 1 수용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 선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들은 다각형 또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수용부의 반지름은 상기 제 2 수용부들의 반지름과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복수의 제 2 홀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블들의 내부 도체들이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제 2 홀들로 삽입되며, 상기 분배부에는 제 3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상기 연결부의 제 1 홀을 통하여 상기 제 3 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기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입력부;
    상기 연결부의 타면에 결합되는 분배부;
    상기 입력부에 대응하는 도체인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 및
    상기 분배부에 대응하는 도체인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제 1 케이블이 삽입되는 제 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배부에는 상기 제 2 케이블들이 삽입되는 복수의 제 2 수용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수용한 상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가 상기 제 1 수용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 2 케이블들의 내부 도체들을 수용한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이 상기 제 2 수용부들로 각기 삽입되며, 상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는 상기 제 1 케이블의 내부 도체 및 해당 연결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는 상기 제 2 케이블의 내부 도체 및 해당 연결 선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들의 반지름들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내부 도체 수용부의 반지름은 상기 제 2 내부 도체 수용부의 반지름과 다른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기.
KR1020080094333A 2008-09-25 2008-09-25 전력 분배기 KR20100035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33A KR20100035038A (ko) 2008-09-25 2008-09-25 전력 분배기
PCT/KR2009/005270 WO2010035984A2 (ko) 2008-09-25 2009-09-16 전력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333A KR20100035038A (ko) 2008-09-25 2008-09-25 전력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038A true KR20100035038A (ko) 2010-04-02

Family

ID=4206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33A KR20100035038A (ko) 2008-09-25 2008-09-25 전력 분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35038A (ko)
WO (1) WO201003598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490B1 (ko) * 2022-01-07 2022-10-31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24180D0 (en) * 1991-11-14 1992-01-08 Raychem Sa Nv Electrical connector
KR200265949Y1 (ko) * 2001-11-27 2002-02-25 이우현 전선분기세트
KR100639313B1 (ko) * 2006-07-31 2006-10-31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고압전기 분기 슬리브용 절연재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490B1 (ko) * 2022-01-07 2022-10-31 주식회사 대건종합기술 배전용 배전케이블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5984A2 (ko) 2010-04-01
WO2010035984A3 (ko) 2010-06-24
WO2010035984A9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921B1 (ko) 차동 데이터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EP3306756B1 (en) Plug connector
US5890926A (en) Cable bend controller
US2018037523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140073200A1 (en) Power plug
CA1077587A (en) Electrical coupler and adapter
US20070218746A1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JP2004172131A (ja) コネクタ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100035038A (ko) 전력 분배기
US20190237921A1 (en) Connector
EP2856565B1 (en) Plug for a miniaturized connector
JPH02216784A (ja) マイクロ波コネクタ
CN107437441B (zh) 具有内部元件的数据线缆
US11916340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connecting element, and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US20020173191A1 (e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and pull-out resistance
US11539155B2 (en) Contact assembly for a connector housing, connector housing as well as connector assembly and modular connector set with such a connector housing
US20210166842A1 (en) Arrangement For Attaching An Insulator Sleeve To An Electrical Conductor
US20180375672A1 (en) Power of ethernet power and data splitting systems and methods
US6406303B1 (en) Coaxial-like connector
CN210779187U (zh) 一种监护仪的线缆转接头
US11411331B2 (en) Hybrid type wire-to-wire connector structure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CN106450865B (zh) 插头连接器组件
US6989492B2 (en) Inverted strain relief
CN221102488U (zh) 接线端子、端子组件及独轮车
JP7420620B2 (ja) 電線端末収容構造、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