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949Y1 - 전선분기세트 - Google Patents

전선분기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949Y1
KR200265949Y1 KR2020010036520U KR20010036520U KR200265949Y1 KR 200265949 Y1 KR200265949 Y1 KR 200265949Y1 KR 2020010036520 U KR2020010036520 U KR 2020010036520U KR 20010036520 U KR20010036520 U KR 20010036520U KR 200265949 Y1 KR200265949 Y1 KR 200265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t shrink
clip
branch
seal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현
Original Assignee
이우현
한국 케이디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현, 한국 케이디케이(주) filed Critical 이우현
Priority to KR2020010036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949Y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결합하는 전선클립과, 절첩되어 상기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를 둘러싸는 열수축쉬트와,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중 주전선과 분기전선이 위치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핀과,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밀봉클립을 갖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열수축튜브를 밀봉하는 밀봉클립에 분리홈을 형성하여 밀봉클립을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함으로써 유압자키 등을 이용하여 밀봉클립 압착함으로써 압착력을 크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밀봉클립이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되므로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박돌기가 겉노는 부위가 없어 밀봉클립분리부마다의 압착력이 각각 균일하여 압착력이 뛰어난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결합하는 전선클립과, 절첩되어 상기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를 둘러싸는 열수축쉬트와,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중 주전선과 분기전선이 위치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핀과,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밀봉클립을 갖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열수축튜브를 밀봉하는 밀봉클립의 양측개구부 말단에 각각 원통형의 지지홈을 형성하여 각각의 지지홈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지지홈에 삽입된 2개의 지지봉에 고정핀을 외삽하여 고정핀을 조임으로써 밀봉클립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밀봉클립에 압박돌기 및 측면돌기가 형성되어 밀봉클립이 열수축쉬트를 압착하는 압착력이 높은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Description

전선분기세트{HEAT CONSTRICTING BIFURCATION SET}
본 고안은 주전선으로부터 분기전선을 분기하고 주전선과 분기전선의 결합부인 분기부를 복원성을 갖는 열수축쉬트로 밀봉함으로써 분기부를 절연, 방습하는 전선분기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유사한 것으로는 특허출원(출원번호1996-043684)된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보호용 열복원성 슬리이브 및 이 슬리이브를 이용한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보호용 조립체(이하, 종래발명이라 함.)가 있다.
도1a, 도1b, 도1c, 1d를 참조하여 특허출원(출원번호1996-043684)된 종래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1a는 통신케이블의 접속부를 둘러싸는데 적합한 시이트 형태로 된 종래발명에 따르는 제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제품(10)은 복원방향으로 놓여진 열수축성을 갖는 섬유(14)와 복원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놓여진 글래스 파이버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된 열안정성 섬유(16)로 직조된 직물이 가교된 중합체 시이트(12) 사이에 매설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 열수축성을 갖는 섬유(14)는 가교된 중합체 시이트(12)가 연신될 때 함께 연신되어, 열안정성 섬유들(16) 사이의 간격이 처음 직조된 상태에 비해 300-500% 넓혀져 있다. 그리고 가교된 중합체 시이트(12) 아래쪽에는 열용융 접착제(18)가 부착되어 있다.
도1b는 종래발명에 따르는 열 복원성 슬리이브(10)를 사용한 조립체로 통신케이블의 접속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에 각각 절연재료로 둘러싸인 복수개의 도체들이 집합을 이루어 들어있으며 그 외부가 외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구조로 된 통신케이블(1)과, 이와 같은 구조의 또 다른 통신케이블 사이의 도체들은 먼저 접속된다. 도면부호 5는 접속된 도체들의 뭉치, 또는 도체들의 접속부위를 나타낸다. 이 접속된 도체들의 뭉치(5)를 감싸는 라이너(20)는 랩 라운드형태로 되어 있다. 라이너(20)는 손쉽게 도체의 접속부위를 감쌀 수 있도록 힌지장치(22)에 의해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힌지장치(22)의 반대편은 서로 맏물려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의 단부(26)를 갖는다. 또, 라이너의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는 도체들이 노출된 근처의 통신케이블의 외피를 향해 그 단면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는 왕관모양(24)으로 되어 슬리이브가 완전히 복원되었을 때 통신케이블과의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너(20)는 도체들의 접속부위만을 그 중앙 위치시키는 빈 공간부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빈 공간부에는 필요하다면 가압을 위한 건조한 공기 또는 가스가 주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라이너(20)에는 밸브 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열복원성 슬리이브에는 C자형태의 단면을 갖는 채널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단면에 채널 지지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도1c는 종래발명에 따르는 열 복원성 슬리이브(10)를 사용한 조립체를 사용하여 통신케이블의 분기 접속부를 보호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d는 열복원성 슬리이브를 복원시킨 후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하나의 통신케이블(1)의 도체와 분기하려는 두 개의 통신케이블(31,33)의 도체들은 서로 접속되어 심선뭉치가 형성되는데, 이 심선뭉치는, 힌지장치에 의해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힌지장치의 반대편은 서로 맏물려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의 단부를 갖는 라이너(20)에 의해 감싸진다. 그 다음, 열복원성슬리이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쪽 단면에 형성된 채널 지지부(101)를 C자형태의 단면을 갖는 채널(28)로 채결한다. 그리고 분기클립(35)으로 분기된 두 통신케이블 사이를 물린 다음 열을 가하여 복원성 슬리이브를 복원시킨다. 그리하면, 복원성 슬리이브(10)내에 위치한 라이너(20)의 형태에 따라 왕관모양(24)의 단부에서는 통신케이블과 완전히 밀착된 형태로, 라이너의 중앙부분에서는 큰 직경을 나타내게끔 열복원성 슬리이브는 수축하여 심선접속부위만을 그 중앙 위치시키는 빈 공간부를 이룬다. 한편 슬리이브 내부에 부착된 열 용융 접착제는 슬리이브에 기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채널부분의 틈새 및 통신케이블과 슬리브의 접촉부 사이의 틈새를 메꾸는 형식으로 새어나오면서 냉각되어,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는 완전한 공간부를 만든다.
그러나, 종래발명은 채널 지지부(101)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홈을 갖는 C자형의 채널(28)을 채널 지지부(101)에 삽입하여 열복원성 슬리이브(10)를 밀봉하므로 채널(28)에 형성된 홈의 단면적과 채널 지지부(101)의 단면적의 차이에 따라 삽입시 충분한 압축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삽입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발명은 채널(28)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채널(28)이 채널 지지부(101)에 삽입되는 경우 겉노는 부위가 발생하여 압착력이 충분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분기하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밀봉클립에 분리홈을 형성하여 밀봉클립을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함으로써 유압자키 등을 이용하여 밀봉클립 압착함으로써 압착력을 크게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밀봉클립이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되므로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박돌기가 겉노는 부위가 없어 밀봉클립분리부마다의 압착력이 각각 균일하여 압착력이 뛰어난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분기하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양측개구부 말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홈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지지홈에 삽입된 2개의 지지봉에 고정핀을 외삽하여 고정핀을 조임으로써 밀봉클립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열수축쉬트는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의 예각 모서리부를 모따내서 제작하므로 열수축쉬트를 밀봉하는 밀봉클립의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열수축쉬트는 열수축쉬트의 날개부가 절첩되어 좌·우측의 날개부가 서로 밀착하므로 밀봉클립이 날개부에 용이하게 끼워지는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밀봉클립에 압박돌기 및 측면돌기가 형성되어 밀봉클립이 열수축쉬트를 압착하는 압착력이 높은 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도1a는 통신케이블의 접속부를 둘러싸는데 적합한 시이트 형태로 된 종래발명에 따르는 제품의 사시도.
도1b는 종래발명에 따르는 열 복원성 슬리이브를 사용한 조립체로 통신케이블의 접속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싼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1c는 종래발명에 따르는 열 복원성 슬리이브를 사용한 조립체를 사용하여 통신케이블의 분기 접속부를 보호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1d는 종래발명에 따르는 열복원성 슬리이브를 복원시킨 후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의 설치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전선분기세트 조립전의 주전선, 분기전선 및 전선클립의 개략도.
도4a는 본 고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의 평면도.
도4b는 본 고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의 제작도.
도5a는 도2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정면도.
도5b는 도2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측면도.
도5c는 도2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있어서 분리핀의 개략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의 실시예2의 설치도.
도8a는 도7에 있어서 밀봉관의 정면도.
도8b는 도7에 있어서 밀봉관의 측면도.
도8c는 도7에 있어서 밀봉관의 평면도.
도9는 도7에 있어서 고정핀의 개략도.
도10은 도7에 있어서 밀봉클립이 제거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전선분기세트
210: 주전선 220: 분기전선
300: 전선클립 310: 절곡부
400: 열수축쉬트 410: 날개부
420: 원통형 열수축튜브 430: 직사각형 열수축튜브
440: 사다리꼴 열수축튜브 440a: 예각 모서리부
500: 밀봉클립 510: 압박돌기
520: 측면돌기 520a: 구멍
600: 분리핀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결합하는전선클립과, 절첩되어 상기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를 둘러싸는 열수축쉬트와,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중 주전선과 분기전선이 위치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핀과,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밀봉클립을 갖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봉클립은 "U"자관 형상으로서 상기 밀봉클립의 개구부 말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압박돌기와, 상기 밀봉클립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분리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결합하는 전선클립과, 절첩되어 상기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를 둘러싸는 열수축쉬트와,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중 주전선과 분기전선이 위치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핀과,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밀봉클립을 갖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봉클립은 "V"자관 형상으로서 상기 밀봉클립의 양측개구부 말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홈과, 상기 2개의 지지홈에 각각 끼워지는 지지봉과, 상기 2개의 지지봉에 외삽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호 밀착시키는 고정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전선분기세트 또는 제2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쉬트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3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쉬트는 원통형 열수축튜브를 둘레부가 포개지도록 접어 2중층의 직사각형 열수축튜브를 만드는 절첩단계와, 상기 2중층의 직사각형 열수축튜브를 상변에서 하변으로 경사지게 잘라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밸브를 만드는 절삭단계와, 상기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의 예각 모서리부를 절삭하는 모따기단계를 수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3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쉬트는 상기 열수축쉬트의 좌·우측면부를 절첩하여 형성되는 사다리꼴 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전선분기세트 또는 제2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봉클립은 상기 밀봉클립의 측면부에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돌기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전선분기세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의 실시예1의 설치도를, 도3은 도2에 있어서 전선분기세트 조립전의 주전선, 분기전선 및 전선클립의 개략도를, 도4a는 본 고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의 평면도를, 도4b는 본 고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의 제작도를, 도5a는 도2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정면도를, 도5b는 도2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측면도를, 도5c는 도2에 있어서 밀봉클립의 평면도를, 도6은 본 고안에 있어서분리핀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200)는 전선클립(300)을 갖는다. 전선클립(300)은 피복이 제거된 주전선(210)에 분기전선(220)이 체결되기 쉽도록 상·하측 말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부(310)가 형성된다.
도2와 도4a를 참조하면, 전선분기세트(200)는 전선클립(300)이 체결된 분기부(도면부호 미부여)에 감싸지는 열수축쉬트(400)를 갖는다. 열수축쉬트(400)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좌·우측면부는 절첩되어 날개부(410)가 형성된다.
도4b를 참조하여 열수축쉬트(400)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열수축튜브(420)를 둘레부가 포개지도록 절첩하여 2중층의 직사각형 열수축튜브(430)로 만드는 절첩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절첩된 2중층의 직사각형 열수축튜브(430)를 상변AB의 C점에서 하변A′B′의 C′점까지 경사지게 절삭하여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440, 440′)를 만드는 절삭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에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440, 440′)의 예각 모서리부(440a, 440a′)를 모따는 모따기단계를 수행한다. 모따기는 ∠CDE 및 ∠C′D′E′는 직각이 되도록 한다. 모따기단계를 수행하면, ""모양의 열수축쉬트(400)가 2개 형성된다. 이어서, 열수축쉬트(400)의 좌·우측면부를 절첩하여 사다리꼴 날개부(410)를 형성한다. 날개부(410)는 절첩선EF가 사선DC′와 평행이 되도록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전선분기세트(200)는 열수축쉬트(400)의 날개부(410)에 끼워지는 밀봉클립(500)을 갖는다. 도5a를 참조하면, 밀봉클립(500)은 정면부가 "U"자인 관형상으로서 상부인 개구부 말단지점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향하여 압박돌기(510)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도5a, 도5b를 참조하면, 밀봉클립(500)의 측면부에는 구멍(520a)을 뚫음으로써 내부로 돌출되는 측면돌기(520)가 형성된다. 또한, 밀봉클립(500)의 측면부의 양측말단은 밀봉클립(500)의 상·하부와 직교한다. 도2와 도5b를 참조하면, 밀봉클립(500)의 측면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분리홈(530)이 형성된다. 분리홈(530)은 밀봉클립(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분리한 지점에 형성된다. 분리홈(530)에 의해 밀봉클립(500)은 밀봉클립분리부(500a, 500b, 500c)로 분리된다.
도2와 도6을 참조하면, 전선분기세트(200)는 분리핀(600)을 갖는다. 분리핀(600)은 분기부(도면부호 미도시)를 감싸고 있는 열수축쉬트(400)에 끼워지도록 삽입홈(600a)을 갖는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선분기세트(200)를 이용한 전선분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주전선(210)과 주전선(210)에 체결된 분기전선(220)의 피복을 제거한다. 이어서, 전선클립(300)을 이용하여 피복이 제거된 주전선(210)과 분기전선(220)을 체결한다. 이때 피복이 제거된 부위에 전선클립(300)을 끼우고, 유압자키 등을 이용 전선클립(300)의 절곡부(310)를 압착하면 손쉽게 주전선(210)과분기전선(220)을 체결할 수 있다.
도2와 도4a를 참조하면, 주전선(210)에 날개부(410)가 겹쳐지도록 열수축쉬트(400)를 감싼다. 이어서, 날개부(410)에 밀봉클립(500)을 끼운다. 이때, 날개부(410)가 절첩되어 좌·우측의 날개부(410)가 서로 밀착하므로 밀봉클립(500)이 날개부(410)에 용이하게 끼워진다. 또한, 도4b를 참조하면, 열수축쉬트(400)는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440, 440′)의 예각 모서리부(440a, 440a′)를 모따내서 제작되므로 날개부(410)를 밀봉하는 밀봉클립(500)의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게 된다. 도2와 도5b를 참조하면, 밀봉클립(500)이 끼워지면 분리홈(530)으로 인해 나뉘어진 밀봉클립분리부(500a, 500b, 500c) 각각을 유압자키 등을 이용하여 압착시킨다. 이때, 밀봉클립(500)이 밀봉클립분리부(500a, 500b, 500c)로 분리되므로 밀봉클립분리부(500a, 500b, 500c)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적은 힘으로 압착할 수 있고, 압박돌기(510)가 겉노는 부위가 없이 열수축쉬트(400)를 압착하게 되어 고정력이 뛰어나다. 압착시 도5b를 참조하면, 밀봉클립(500)이 압착되어 압박돌기(510)와 측면돌기(520)가 열수축쉬트(400)를 압착함으로써 밀봉클립(500)이 열수축쉬트(400)에 고정된다.
도2를 참조하면, 밀봉클립(500)이 압착되면 밀봉클립(500)이 끼워진 열수축쉬트(400)를 전선클립(300)이 체결된 부위로 이동시킨다. 도6을 참조하면, 열수축쉬트(400)가 전선클립(300)이 체결된 부위로 이동하면 삽입홈(600a)을 통하여 분리핀(600)을 끼워 열수축쉬트(400)를 주전선부(도면부호 미부여)와 분기전선부(도면부호 미부여)로 분기한다.
한편, 열수축쉬트(400)는 냉연신된 방사선 가교폴리에틸렌 쉬트의 한쪽면에 방식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조한 것으로 열을 강하면 원래의 길이로 수축하고 접착제는 점도가 높아졌다가 낮아져 접촉부위와 강하게 밀착한다. 따라서, 분리핀(600)을 열수축쉬트(400)에 삽입한 후, 열수축쉬트(400)를 가열하면 밀봉클립(500) 및 분리핀(600)이 체결된 열수축쉬트(400)가 수축함과 동시에 열수축쉬트(400)에 도포된 접착체가 용융되었다가 다시 고화됨에 따라 열수축쉬트(400)가 주선선(210)과 분기전선(220)을 밀봉하게 된다. 이때, 열수축쉬트(400)에 체결된 밀봉클립(500) 및 분리핀(600)이 열수축에 의한 압축력을 지지하여 열수축쉬트(400)가 주전선(210)과 분기전선(220)을 감싸서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선클립(300)은 절곡부(310)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전선클립(300)은 절곡부(310)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전선클립(300)은 주전선(210)과 분기전선(220)을 체결하는 철사이거나 기타의 수단일 수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400)에는 날개부(41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열수축쉬트(400)에는 날개부(41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400)는 ""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열수축쉬트(400)는 등변사다리꼴이거나 기타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400)를 제작하는 절삭단계에서 모따기단계를 수행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열수축쉬트(400)는 기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400)는 절첩단계, 절삭단계, 모따기단계를 수행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열수축쉬트(400)는 기타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클립(500)에는 측면돌기(52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밀봉클립(500)에는 측면돌기(52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분리홈(530)은 밀봉클립(500)의 측면부를 등간격으로 분리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분리홈(530)은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클립(500) 측면부의 양측말단은 밀봉클립(500)의 상·하부와 직교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 밀봉클립(500) 측면부의 일측말단 또는 양측말단은 밀봉클립(500)의 상·하부와 직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2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의 실시예2의 설치도를, 도8a는 도7에 있어서 밀봉관의 정면도를, 도8b는 도7에 있어서 밀봉관의 측면도를, 도8c는 도7에 있어서 밀봉관의 평면도를, 도9는 도7에 있어서 고정핀의 개략도를, 도10은 도7에 있어서 밀봉클립이 제거된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2에 따른 전선분기세트(700)는 전선클립을 갖는다. 전선클립의 형상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1의 전선클립(300)과 동일하다.
도7을 참조하면, 전선분기세트(700)는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도면부호 미부여)에 감싸지는 열수축쉬트(400)를 갖는다. 열수축쉬트(400)의 형상 및 제작과정은 도4a, 도4b에 도시된 실시예2의 열수축쉬트(400)의 형상 및 제작과정과 동일하다.
도7을 참조하면, 전선분기세트(700)는 열수축쉬트(400)의 날개부(410)에 끼워지는 밀봉클립(800)을 갖는다. 도8a를 참조하면, 밀봉클립(800)은 정면부가 "V"자인 관형상으로서 상부인 양측개구부 말단지점에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형의 지지홈(810)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8a, 도8b를 참조하면, 밀봉클립(800)의 측면부는 측면부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형성되는 구멍(820a)과 측면돌기(820)를 갖는다. 측면돌기(820)는 밀봉클립(500)의 측면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도록 하여 열수축쉬트(400)의날개부(410)가 밀봉클립(500)에 끼워지기는 쉬우나 빠지기는 어렵도록 한다. 또한, 밀봉클립(800)의 측면부의 양측말단은 밀봉클립(800)의 상·하부와 직교한다. 도7, 도8b, 도8c를 참조하면, "V"자형 밀봉클립(800)의 하단절곡부에는 형성홈(830)이 형성된다. 형성홈(830)이 형성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밀봉클립(800)의 양측개구부를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8a, 도8b, 도9를 참조하면, 밀봉클립(800)의 양측개구부 말단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홈(810)에는 일자형의 지지봉(840)이 각각 끼워지고, 2개의 지지봉(840)에는 2개의 지지봉(840)을 상호 밀착시키는 고정핀(850)이 외삽된다.
도7을 참조하면, 전선분기세트(700)는 분리핀(900)을 갖는다. 분리핀(900)의 형상 및 용도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선분기세트(700)를 이용한 전선분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주전선(210)과 분기전선(220)의 체결과정 및 주전선(210)에 날개부가 겹쳐지도록 열수축쉬트(400)를 감싸는 과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주전선(210)에 열수축쉬트(400)가 감싸지면 겹쳐진 날개부(410)에 밀봉클립(800)을 끼운다.
도7과 도8b 및 도9를 참조하면, 밀봉클립(800)이 끼워지면 지지홈(810)에 끼워진 2개의 지지봉(840)에 고정핀(850)을 외삽한다. 고정핀(850)을 외삽되면 밀봉클립(800)의 양측개구부 말단이 밀착된다. 이때, 2개의 지지봉(840) 사이의 간격이넓어 밀봉클립(800)의 양측개구부 말단 사이에서 열수축쉬트(400)가 유격되면 지지봉(840)에 외삽된 고정핀(850)을 집게 등을 이용해 조임으로써 열수축쉬트(400)가 유격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때, 밀봉클립(500)에 형성홈(8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지지봉(840)에 외삽된 고정핀(850)을 조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8b를 참조하면, 측면돌기(820)가 밀봉클립(500)의 측면부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므로 열수축쉬트(400)의 날개부(410)는 밀봉클립(500)에 끼워지기는 쉬우나 빠지기는 어렵게 된다. 즉, 지지봉(840)과 측면돌기(820)가 열수축쉬트(400)를 압착함으로써 밀봉클립(800)이 열수축쉬트(400)에 고정·압착된다.
이하, 밀봉클립(800)이 끼워진 열수축쉬트(400)를 전선클립(300)이 체결된 부위로 이동시키는 것 및 분리핀(900)을 끼워 열수축쉬트(400)를 주전선부(도면부호 미부여)와 분기전선부(도면부호 미부여)로 분기하는 것도 실시예1과 동일하다.
또한, 열수축쉬트(400)를 가열하면 밀봉클립(800) 및 분리핀(900)이 체결된 열수축쉬트(400)가 수축함과 동시에 열수축쉬트(400)에 도포된 접착체가 용융되었다가 다시 고화됨에 따라 열수축쉬트(400)가 주선선(210)과 분기전선(220)을 밀봉하게 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열수축쉬트(400)의 수축 및 열수축쉬트(400)에 도포된 접착체의 용융·고화로 열수축쉬트(400)가 주선선(210)과 분기전선(220)을 밀봉하게 되면 지지봉(840)으로부터 고정핀(850)을 제거하여 밀봉클립(800)을 열수축쉬트(400)로 부터 용이하게 해체할 수도 있다. 밀봉클립(800)이 전도체인 경우 열수축쉬트(400)에 밀봉클립(800)이 계속 체결되어 있으면 밀봉클립(800)쪽으로 자기력선이 편향되어 절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밀봉클립(800)을 열수축쉬트(400)로 해체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수축쉬트(400)로 해체된 밀봉클립(800)은 다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선클립은 실시예1에서의 변형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400)는 실시예1에서의 변형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축쉬트(400)의 제작방법은 실시예1에서의 변형실시예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클립(800)에는 측면돌기(82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클립(800) 측면부의 일측말단 또는 양측말단은 밀봉클립(800)의 상·하부와 직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에 있어서 밀봉클립(800)의 하단절곡부에는 형성홈(830)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열수축쉬트는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의 예각 모서리부를 모따내서 제작하므로 날개부를 밀봉하는 밀봉클립의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는 밀봉클립에 분리홈을 형성하여 밀봉클립을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함으로써 유압자키 등을 이용하여 밀봉클립 압착하는 경우 적은 압착력으로 밀봉클립 압착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밀봉클립이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되므로 밀봉클립분리부로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압박돌기가 겉노는 부위가 없어 밀봉클립분리부마다의 압착력이 각각 균일하여 고정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는 고정핀을 제거하여 밀봉클립을 열수축쉬트로 부터 용이하게 해체함으로써, 밀봉클립쪽으로 자기력선이 편향되어 절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해체된 밀봉클립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는 밀봉클립의 양측개구부 말단에 각각 원통형의 지지홈을 형성하여 지지홈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지지홈에 삽입된 2개의 지지봉에 고정핀을 외삽하여 고정핀을 조임으로써 밀봉클립과 열수축쉬트의 유격정도에 따라 밀봉클립의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는 열수축쉬트의 날개부가 절첩되어 좌·우측의 날개부가 서로 밀착하므로 밀봉클립이 날개부에 용이하게 끼워지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분기세트는 밀봉클립에 압박돌기 및 측면돌기를 형성하여 밀봉클립이 열수축쉬트를 압착하는 압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Claims (6)

  1.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결합하는 전선클립과, 절첩되어 상기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를 둘러싸는 열수축쉬트와,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중 주전선과 분기전선이 위치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핀과,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밀봉클립을 갖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봉클립은 "U"자관 형상으로서 상기 밀봉클립의 개구부 말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압박돌기와, 상기 밀봉클립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분리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분기세트.
  2. 주전선과 분기전선을 결합하는 전선클립과, 절첩되어 상기 전선클립이 체결된 분기부를 둘러싸는 열수축쉬트와,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중 주전선과 분기전선이 위치한 지점 사이에 끼워지는 분리핀과, 절첩된 상기 열수축쉬트의 말단부에 끼워지는 밀봉클립을 갖는 전선분기세트에 있어서,
    상기 밀봉클립은 "V"자관 형상으로서 상기 밀봉클립의 양측개구부 말단에 각각 형성되는 원통형의 지지홈과, 상기 2개의 지지홈에 각각 끼워지는 지지봉과, 상기 2개의 지지봉에 외삽되어 상기 지지봉을 상호 밀착시키는 고정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분기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쉬트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분기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쉬트는 원통형 열수축튜브를 둘레부가 포개지도록 접어 2중층의 직사각형 열수축튜브를 만드는 절첩단계와, 상기 2중층의 직사각형 열수축튜브를 상변에서 하변으로 경사지게 잘라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밸브를 만드는 절삭단계와, 상기 2중층의 사다리꼴 열수축튜브의 예각 모서리부를 절삭하는 모따기단계를 수행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분기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쉬트는 상기 열수축쉬트의 좌·우측면부를 절첩하여 형성되는 사다리꼴 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분기세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클립은 상기 밀봉클립의 측면부에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측면돌기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분기세트.
KR2020010036520U 2001-11-27 2001-11-27 전선분기세트 KR200265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20U KR200265949Y1 (ko) 2001-11-27 2001-11-27 전선분기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520U KR200265949Y1 (ko) 2001-11-27 2001-11-27 전선분기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949Y1 true KR200265949Y1 (ko) 2002-02-25

Family

ID=7307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520U KR200265949Y1 (ko) 2001-11-27 2001-11-27 전선분기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9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5984A2 (ko) * 2008-09-25 2010-04-01 (주)에이스안테나 전력 분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5984A2 (ko) * 2008-09-25 2010-04-01 (주)에이스안테나 전력 분배기
WO2010035984A3 (ko) * 2008-09-25 2010-06-24 (주)에이스안테나 전력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945A (en) Junction assembly
EP0725985B1 (en) Wire connector
EP0133337B1 (en) Heat shrinkable covering
JPH01295615A (ja) テーパ状突起付きライナー
EP0201533B1 (en) Pressurized telecommunication cable joint closure method and apparatus
EP0736192A1 (en) Fiber optic cable system including main and drop cables and associated fabrication method
JPH0143433B2 (ko)
US3891790A (en) Splicing and repairing insulated electrical wire
EP0074280A2 (en) Recoverable closure
US4560828A (en) Tubular article for branch-off seal
US4292099A (en) Method for environmentally sealing a wire splice
KR200265949Y1 (ko) 전선분기세트
AU4813990A (en) Splice closures
AU2010366147B2 (en) Screen connector for electrical cables and jointing assembly comprising said screen connector
PL188021B1 (pl) Oprawa zaciskowa, zwłaszcza do kabli
GB1603626A (en) Junction assembly
EP0082010B1 (en) Support for a closure assembly
EP0967705B1 (en) Mechanico-retractable sleeve
GB2254739A (en) Cable joint
HU194447B (en) End-element for cable drop as well as method for making insulated cable drop therewith
JPH0318407B2 (ko)
KR102179448B1 (ko) 전선 결선 및 절연장치
JP2001352656A (ja) 常温収縮型絶縁体を使用した電力ケーブル用接続部とその組立方法
JPS58108914A (ja) 電線間接続部分保護組立体の再封止方法
JPH043587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