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900A -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4900A KR20100034900A KR1020080094121A KR20080094121A KR20100034900A KR 20100034900 A KR20100034900 A KR 20100034900A KR 1020080094121 A KR1020080094121 A KR 1020080094121A KR 20080094121 A KR20080094121 A KR 20080094121A KR 20100034900 A KR20100034900 A KR 201000349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template
- movable side
- gear
- thread
-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18—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 B29C45/262—Moulds having screw-threaded mould walls provided with unscrewing driv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2045/4036—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driven by a screw and nut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2045/4042—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driven by rack and pin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고정측 형판(110)과, 상기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형개되어 나사 제품을 성형하고 취출하는 가동측 형판(120)으로 이루어진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형판(1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가동측 형판(120)으로 연장 형성되는 래크(112)와, 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설치되어 래크(112)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122)과, 상기 래크(11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동측 형판(120)에 내설되고, 상기 피니언(122)의 회전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32)가 설치된 제 1 구동축(130)과, 상기 제 1 구동축(130)에 형성된 원동 베벨기어(134)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차동 베벨기어(142)가 형성된 제 2 구동축(140)과, 상기 제 2 구동축(140)에 형성된 원동기어(144)와 맞물려 회전하는 차동기어(152)가 형성되고, 상기 차동기어(152)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 축(15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나사 제품의 취출을 신속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나사산 형성용 코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나사 제품의 방향성을 조정하기 위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의 회전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사 제품, 사출, 금형, 방향성, 무동력, 형개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뚜껑과 같은 내경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 제품을 사출하는 사출금형에 있어서, 캐비티에서 나사 제품을 성형한 뒤 금형이 개방될 때 나사 형성용 코어가 회전 및 후퇴하면서 나사 제품을 신속하게 취출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방향성을 갖는 나사 제품을 성형할 때 나사 형성용 코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은 수지를 사출기의 호퍼에 넣어 일정량 만큼씩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한 쌍이 형합하여 이루어지는 사출금형의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 후 냉각시키고 금형에서 취출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특히, 용기의 뚜껑과 같은 내경에 나사가 형성되는 나사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은 그 내부에 나사산 형성용 코어가 설치됨으로써 냉각 성형된 나사 제품을 금형에서 취출할 때 코어가 회전하며 후퇴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의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중 가동측 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사출금형은 크게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주입부(12)가 형성된 고정측 형판(10)과 상기 고정측 형판(10)과 형합되면서 나사 제품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티(14)를 형성하며, 나사산 형성용 코어(22)가 설치되는 가동측 형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측 형판(10)의 일측면에는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주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주입부(12)로부터 공급된 수지가 고정측 형판(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주입홀(16)을 통해 나사 제품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티(14)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 형판(10)의 내부에는 공급로(18)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동측 형판(20)에는 나사 제품 내경에 나사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22)가 설치되는데,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의 선단은 가동측 형판(20)에 형성된 캐비티(14)로 나사산(24)이 형성된 선단부분이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2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의 기단에는 차동기어(26)가 형성되고, 상기 차동기어(26)는 가동측 형판(20) 내부에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30)과 일체로 형성된 원동기어(32)와 치합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회전축(30)의 기단에는 차동 스프로킷 휠(34)이 형성된다.
상기 차동 스프로킷 휠(34)은 가동측 형판(2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40)의 회전축(42)에 설치된 원동 스프로킷 휠(44)과 체인(46)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에 따라 원동 스프로킷 휠(44)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은 체인(46)을 통해 차동 스프로킷 휠(34)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상부에 구동모터(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47)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47)에 구동모터(40)가 지지된다.
상기 브라켓(47)은 구동모터(40)의 하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가동측 형판(20)의 상부로 연장되며 그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 로드(48)가 상기 브라켓(47)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 로드(48)에 관통된 브라켓(47)은 브라켓(47)의 상하로 지지 로드(48)에 체결되는 너트(49)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차동기어(26)가 형성된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의 외경과,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의 외경을 감싸 회전 지지하는 가동측 형판(20)의 내경에는 차동 스프로킷 휠(34)에 전달된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22)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3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사출금형의 작동을 살펴보면, 고정측 형판(10)과 가동측 형판(20)이 합쳐저 고정측 형판(10)과 가동측 형판(20) 사이에 나사 제품의 형상을 이루는 캐비티(14)가 형성되면 용융된 수지가 주입부(12)를 통해 고정측 형판(10)의 공급로(18)를 따라 주입홀(16)로 공급된다.
주입홀(16)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수지는 고정측 형판(10)과 가동측 형판(20)이 합쳐저 형성된 캐비티(14)를 채워 나사 제품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측 형판(20)의 캐비티(14)로 돌출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에 형성된 나사산(24)에 의해서 나사 제품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 제품의 외형이 형성되면 나사 제품을 캐비티(14) 내에서 냉각시켜 단단하게 한 후 나사 제품을 사출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20)이 고정측 형판(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이동과 동시에 가동측 형판(1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40)가 작동하여 그 회전을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에 전달하여 가동측 형판(20)의 캐비티(14)로 돌출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22)를 나사 제품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의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후퇴시켜 나사 제품을 사출금형으로부터 취출하게 된다.
이렇게, 성형된 나사 제품을 사출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해서는 가동측 형판(20)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40)가 작동해야 하는데, 상기 구동모터(40)의 작동을 위해서는 구동모터(4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라인(미도시) 및 상기 가동측 형판(20)이 고정측 형판(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구동모터(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미도시) 등과 같은 별도의 센서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라인 및 센서는 사출금형의 구조를 복잡하고 사출금형의 설계 및 보수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가동측 형판(20)의 상부에 중량의 구동모터(40)가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형판(20)의 이동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켜 사출금형을 작동시키기 위한 설비의 고장의 원인이 된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40)의 작동에 의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22)의 회전 및 전진과 후퇴는 고정측 형판(10)과 가동측 형판(20)이 분리된 이후에 동작하기 때문에 그만큼 사출금형으로부터 나사 제품을 취출하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비티에서 나사 제품이 성형된 후 나사 제품을 사출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이 고정측 형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나사 제품의 내경을 형성하는 나사산 형성용 코어가 나사산의 풀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퇴하여 나사 제품의 취출을 신속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동측 형판이 고정측 형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합체되도록 이동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나사산 형성용 코어의 회전 및 전진과 후퇴를 별도의 동력원에 의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방향성을 갖는 나사 제품 즉, 사출 시 나사 제품의 내경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위치와 나사 제품의 외형이 일치되어야만 하는 나사 제품을 성형할 때 나사 형성용 코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고정측 형판(110)과, 상기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형개되어 나사 제품을 성형하고 취출하는 가동측 형판(120)으로 이루어진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 기 고정측 형판(1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가동측 형판(120)으로 연장 형성되는 래크(112)와, 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설치되어 래크(112)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122)과, 상기 래크(11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동측 형판(120)에 내설되고, 상기 피니언(122)의 회전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32)가 설치된 제 1 구동축(130)과, 상기 제 1 구동축(130)에 형성된 원동 베벨기어(134)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차동 베벨기어(142)가 형성된 제 2 구동축(140)과, 상기 제 2 구동축(140)에 형성된 원동기어(144)와 맞물려 회전하는 차동기어(152)가 형성되고, 상기 차동기어(152)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 축(15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선운동하는 래크(11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20)에 가이드 롤러(1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설치된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 사이에 설치되어 피니언(122)의 회전을 구동기어(132)로 전달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전달기어(12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 사이에 설치되는 전달기어(126)는 회전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착탈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삽입되는 중공부(154)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54) 내경 둘레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홈(156)이 형성되고, 상기 홈(156)과 대응하는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외경 둘레에는 돌기(162)가 형성되 어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중공부(154)에 삽입될 때 홈(156)에 돌기(162)가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은, 나사 제품이 캐비티에서 성형되고 난 후에 고정측 형판으로부터 가동측 형판이 분리될 때 상기 고정측 형판에 설치된 래크가 가동측 형판에 설치된 피니언을 회전시켜 나사산 형성용 코어를 후퇴시키기 때문에 나사 제품의 취출을 위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의 회전 및 후퇴를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어 가동측 형판의 중량증가에 따른 부하를 감소시켜 설비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나사 제품의 취출이 고정측 형판과 가동측 형판이 분리됨과 동시에 시작되므로, 나사 제품의 취출을 신속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방향성을 갖는 나사 제품을 성형할 때 나사산 형성용 코어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이송 스크류 축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산 코어의 회전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은 크게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주입부(102)가 형성된 고정측 형판(110)과 상기 고정측 형판(110)과 합체되면서 나사 제품(P)(도 7 참조)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티(104)를 형성하고,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설치되는 가동측 형판(120)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과 분리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회전 및 후퇴시키기 위해 고정측 형판(110)과 가동측 형판(120)에는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래크(112) 및 피니언(122)의 동력전달 유닛이 설치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중 가동측 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측 형판에서 어느 하나의 나사산 형성용 코어와 이송 스크류 축을 분리하여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정측 형판(110)은 수지를 용융시킨 뒤 공급하는 사출장치(미도시)에 고정되고, 고정측 형판(110)의 일측면에는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주입부(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102)로부터 공급된 수지가 고정측 형판(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주입홀(106)을 통해 제품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티(104)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 형판(110)의 내부에는 공급로(10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형판(110)의 일측면에는 래크(112)가 가동측 형판(120)을 향해 연장 설치되는데, 상기 래크(112)의 선단은 고정측 형판(110)에 고정되며, 래크(112)의 기단은 가동측 형판(120)을 향해 연장된다.
특히, 상기 가동측 형판(120)의 일측면에는 고정측 형판(110)에서 가동측 형 판(120)으로 연장 형성된 래크(112)와 맞물리는 피니언(122)이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122)과 인접하여 가이드 롤러(124)가 설치되어 래크(112)가 피니언(12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122)과 인접하게 구동기어(132)가 설치되는 바, 상기 구동기어(132)는 래크(112)의 이동방향 즉, 고정측 형판(110)에서 가동측 형판(120)이 형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1 구동축(130)이 위치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120)의 내측으로 축설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132)가 제 1 구동축(130)의 일단에 형성되고 그 타단으로 원동 베벨기어(1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일단은 가동측 형판(12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일단에 구동기어(13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132)가 가동측 형판(120)의 외부로 노출되어 피니언(122)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32)로 전달되며,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타단이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에 원동 베벨기어(13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일단에 형성된 구동기어(132)가 피니언에 직접 맞물려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상기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 사이에 전달기어(126)를 설치하여 상기 전달기어(126)를 매개로 피니언(122)의 회전력이 구동기어(132)로 전달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상기 래크(112)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122)과 상기 회전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전달기어(126)의 직경 내지 지름 둘레에 형성된 기어 갯수 및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피니언(122)의 회전속도와 구동기어(132)의 회전속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어(126)는 필요에 따라 가동측 형판(120)으로부터 분리하여 회전비를 달리 하는 새로운 전달기어로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착탈 구조는 예를 들어, 가동측 형판(120)에 설치된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 사이의 중심에 볼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축(127)이 설치되고, 상기 축(127)의 일단에 회전비를 달리하는 전달기어(126)가 키(미도시)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의 회전비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상기 래크(112)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122)과 상기 피니언(122)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32)의 회전비를 전달기어(126)가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에 설치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회전속도 및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전진 또는 후퇴될 때의 이동 속도를 신속하게 하여 성형된 나사 제품의 취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구동축(130)의 타단에 형성된 원동 베벨기어(134)는 가동측 형판(120)의 내측에서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에서 분리될 때의 방향 즉, 래크(112)의 직선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축설되는 제 2 구동축(140)의 차동 베벨기어(142)와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 2 구동축(140)은 가동측 형판(120)의 내측에 축설되되, 상기 제 2 구동축(140)의 기단에 차동 베벨기어(14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타단에 형성된 원동 베벨기어(134)와 맞물리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축(140)의 선단에는 원동기어(144)가 형성되고 제 1 구동축(130)의 원동 베벨기어(134)의 회전력을 차동 베벨기어(142)로 전달받아 원동기어(144)로 전달되도록 가동측 형판(120)에 내설된다.
이러한, 상기 제 2 구동축(140)은 바람직하게 가동측 형판(12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 2 구동축(140)의 선단에 형성된 원동기어(144)가 후술하는 다수의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들과 맞물려 나사 제품을 성형하고 난 후에 고정측 형판(110)에서 가동측 형판(120)을 분리하여 나사 제품을 취출할 때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후진시키거나 가동측 형판(120)을 고정측 형판(110)에 형합하여 새로운 나사 제품(P)을 성형할 때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축(140)의 선단에 형성된 원동기어(144)와 맞물려 원동기어(14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더불어 가동측 형판(120)에서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는, 그 선단에 나사 제품(P)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P1)을 형성하기 위한 나사산(16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61)이 형성된 선단부분이 가동측 형판(120)에 형성된 캐비티(104)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12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는 이송 스크류 축(150)을 관통하여 이송 스크류 축(150)에 형성된 차동기어(152)가 원동기어(144)와 맞물려 회전될 때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도 이송 스크류 축(15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축설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은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삽입되는 중공부(154)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축받이 함과 동시에 이송 스크류 축(150)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중공부(154)의 내경 둘레에 등간격을 이루는 홈(156)이 형성되고, 상기 홈(156)과 대응하는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외경 둘레에 다수의 돌기(1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 내경 둘레에 홈(156)이 형성되고,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외경 둘레에 돌기(162)가 형성됨으로써, 이송 스크류 축(150)의 중공부(154)에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결합될 때 상기 홈(156)에 돌기(162)가 체결된다.
이때, 이송 스크류 축(150)과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의 중공부(154) 선단부분으로 중공부(154)의 직경보다 지름이 크고 등간격을 이루는 홈(156)이 형성됨으로써, 중공부(154)와 홈(156)의 경계에 단차(153)가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단차(153)가 형성된 홈(156)과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돌기(162)가 형성되어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기단이 이송 스크류 축(150)의 선단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을 관통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기단에는 너트(169)가 조립됨으로써,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중공부(154)와 홈(156)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153)와 너트(169)에 의해 이송 스크류 축(150)에 고 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관통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 축(150)의 외경 둘레에는 이송용 수나사산(158)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용 수나사산(158)과 접하는 가동측 형판(120)의 내경에는 상기 이송용 수나사산(158)과 대응하는 이송용 암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송용 수나사산(158)이 이송용 암나사산(121)을 미끄럼 회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이 전진하거나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의 기단에는 제 2 구동축(140)의 원동기어(144)와 맞물리는 차동기어(15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구동축(14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차동기어(152)는 이송 스크류 축(150)을 회전시켜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을 가동측 형판(120) 내부에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도록 이송하게 됨으로써,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과 결합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이송 스크류 축(15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가동측 형판(120)에 형성된 캐비티(104)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즉, 전진과 후퇴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의 작동을 도 6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측 형판의 평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서 나사 제품의 취출을 위해 가동측 형판이 고정측 형판에서 분리될 때 나사산 형성용 코어의 작동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측 형판(110)과 가동측 형판(120)이 합쳐저 고정측 형판(110)과 가동측 형판(120) 사이에 나사 제품(P)의 형상을 이루는 캐비티(104)가 형성되면 용융된 수지가 주입부(102)를 통해 고정측 형판(110)의 공급로(108)를 따라 주입홀(106)로 공급된다.
상기 주입홀(106)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수지는 고정측 형판(110)과 가동측 형판(120)이 합쳐저 형성된 캐비티(104)를 채워 나사 제품(P)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측 형판(120)의 캐비티(104)로 돌출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에 형성된 나사산(161)에 의해서 나사 제품(P)의 내경에 나사산(P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 제품(P)의 외형이 형성되면 나사 제품(P)을 캐비티(104) 내에서 냉각시켜 단단하게 한 후 나사 제품(P)을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 제품(P)을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분리될 때 발생되는 힘에 의해 가동측 형판(120)의 이동과 동시에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회전함과 동시에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로 인입하도록 이동하게 됨으로써, 성형이 완료된 나사 제품(P)의 취출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치 않게 된다.
부연하자면, 성형이 완료된 나사 제품(P)을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20)이 이동하게 될 때 가동측 형판(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피니언(122)이 고정측 형판(110)에서 가동측 형판(120)을 향해 설치된 래크(112)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니언(122)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전달기어(126)와 구동기어(132)가 연동하여 구동기어(132)와 축 결합된 제 1 구동축(13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회전에 따라 타단에 형성된 원동 베벨기어(134)가 회전하여 상기 제 1 구동축(130)의 회전력을 제 2 구동축(140)의 기단에 형성된 차동 베벨기어(142)로 전달하게 된다. 이렇게 제 1 구동축(130)에서 제 2 구동축(140)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제 2 구동축(140)의 선단에 축 결합된 원동기어(144)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가동측 형판(120)의 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피니언(122)으로부터 가동측 형판(120)의 내측 중앙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2 구동축(140)의 원동기어(144)로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원동기어(144)에 맞물리는 다수의 이송 스크류 축(150)에 설치된 차동기어(152)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이 회전함과 동시에 이송 스크류 축(150)의 외경에 형성된 이송용 수나사산(158)이 가동측 형판(120)의 내경에 형성된 이송용 암나사산(121)과 미끄럼 회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이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로 인입하도록 후퇴하는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이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로 인입하도록 후퇴하는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을 관통 결합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이송 스크류 축(150)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이송 스크류 축(15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성형된 나사 제품(P)의 내경과 체결된 나사산 형성용 코 어(160)의 선단이 회전함과 더불어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나사 제품(P)은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취출된다. 이때, 상기 나사 제품(P)의 내경과 체결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선단은 나사 제품(P)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P1)의 풀림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 제품(P)이 취출된 후에는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과 합쳐저 다음번 나사 제품의 사출을 준비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분리되었던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측 형판(120)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임에 의해 가동측 형판(120)의 내부로 인입되었던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선단이 가동측 형판(120)에 형성된 캐비티(104)로 돌출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가동측 형판(120)의 일측면에 설치된 피니언(122)이 래크(112)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크(112)의 회전방향은,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고, 이에 따라서 피니언(122)과 맞물린 전달기어(126), 구동기어(132) 역시 가동측 형판(120)이 분리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 1 구동축(130), 제 2 구동축(140), 이송 스크류 축(150) 및 각 부품에 형성 또는 설치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 요소들의 회전 방향은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분리될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구동기어(132)의 회전에 따라 제 1 구동축(130)이 회전하여 원동 베벨기어(134)를 회전시키고, 상기 원동 베벨기어(134)와 맞물린 차동 베벨기어(142)가 회전하여 제 2 구동축(140)이 회전하게 된다. 제 2 구동축(140)의 회전에 따라 원동기어(144)가 회전하여 각각의 이송 스크류 축(150)에 형성된 차동기어(152)를 회전시키게 되는 바, 상기 차동기어(152)의 회전에 따라 이송 스크류 축(1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의 회전에 따라 이송 스크류 축(150)의 외경에 형성된 이송용 수나사산(158)이 가동측 형판(120)의 내경에 형성된 이송용 암나사산(121)과 미끄럼 회전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이 가동측 형판(120)의 캐비티(104)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이송 스크류 축(150)의 회전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더불어 이송 스크류 축(15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선단이 가동측 형판(120)의 캐비티(104)로 돌출하고,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과 완전히 합쳐저 가동측 형판(120)과 고정측 형판(110) 사이에 나사 제품(P)을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04)로 용융된 수지가 가동측 형판(120)의 주입홀(106)로 공급되어 나사 제품(P)을 성형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에 의하면, 성형된 나사 제품(P)을 가동측 형판(120)에서 취출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에서 분리되거나 합쳐질 때 발생되는 힘을 이용하여 의해 나사산 형성 용 코어(16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게 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또한, 나사 제품(P)의 취출을 가동측 형판(120)이 고정측 형판(110)에서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시작하게 됨으로써 나사 제품(P)의 취출을 신속하게 하여 나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사 제품(P)의 외형과 나사 제품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의 방향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이송 스크류 축(150)에서 분리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회전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에서는 가동측 형판에 피니언이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이 구동기어로 전달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측 형판에 설치된 래크가 구동기어와 직접 맞물려 작동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중 가동측 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중 가동측 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측 형판에서 어느 하나의 나사산 형성용 코어와 이송 스크류 축을 분리하여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측 형판의 평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서 나사 제품의 취출을 위해 가동측 형판이 고정측 형판에서 분리될 때 나사산 형성용 코어의 작동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주입부 104 : 캐비티
106 : 주입홀 108 : 공급로
110 : 고정측 형판 112 : 래크
120 : 가동측 형판 121 : 이송용 암나사산
122 : 피니언
124 : 가이드 롤러 126 : 전달기어
130 : 제 1 구동축 132 : 구동기어
134 : 원동 베벨기어 140 : 제 2 구동축
142 : 차동 베벨기어 144 : 원동기어
150 : 이송 스크류 축 152 : 차동기어
153 : 단차 154 : 중공부
156 : 홈 158 : 이송용 수나사산
160 : 나사산 형성용 코어 161 : 나사산
162 : 돌기 169 : 너트
P : 나사 제품
P1 : 제품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
Claims (5)
-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는 고정측 형판(110)과, 상기 고정측 형판(110)으로부터 형개되어 나사 제품을 성형하고 취출하는 가동측 형판(120)으로 이루어진 사출금형에 있어서,상기 고정측 형판(1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가동측 형판(120)으로 연장 형성되는 래크(112)와,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설치되어 래크(112)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122)과,상기 래크(112)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동측 형판(120)에 내설되고, 상기 피니언(122)의 회전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32)가 설치된 제 1 구동축(130)과,상기 제 1 구동축(130)에 형성된 원동 베벨기어(134)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차동 베벨기어(142)가 형성된 제 2 구동축(140)과,상기 제 2 구동축(140)에 형성된 원동기어(144)와 맞물려 회전하는 차동기어(152)가 형성되고, 상기 차동기어(152)의 회전에 따라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기 위한 이송 스크류 축(150)을 포함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직선운동하는 래크(11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동측 형판(120)에 가이드 롤러(1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청구항 1 에 있어서,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설치된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 사이에 설치되어 피니언(122)의 회전을 구동기어(132)로 전달하도록 상기 가동측 형판(120)에 전달기어(12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청구항 3 에 있어서,상기 피니언(122)과 구동기어(132) 사이에 설치되는 전달기어(126)는 회전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착탈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 축(150)은,상기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삽입되는 중공부(154)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54) 내경 둘레에는 등간격을 이루는 홈(156)이 형성되고, 상기 홈(156)과 대응하는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의 외경 둘레에는 돌기(162)가 형성되어 나사산 형성용 코어(160)가 중공부(154)에 삽입될 때 홈(156)에 돌기(162)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4121A KR20100034900A (ko) | 2008-09-25 | 2008-09-25 |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4121A KR20100034900A (ko) | 2008-09-25 | 2008-09-25 |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900A true KR20100034900A (ko) | 2010-04-02 |
Family
ID=4221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4121A KR20100034900A (ko) | 2008-09-25 | 2008-09-25 |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34900A (ko)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4094A1 (de) * | 2011-02-04 | 2012-08-09 | Thomas Meister | Gewindekernausschraubvorrichtung |
CN102689406A (zh) * | 2012-05-31 | 2012-09-26 | 昆山拓安塑料制品有限公司 | 一个方便塑料模具快速维修的装置 |
KR101254923B1 (ko) * | 2013-01-25 | 2013-04-19 | 정임자 | 턴버클관 제조장치 |
KR101310085B1 (ko) * | 2011-04-25 | 2013-09-23 | (주) 선일 | 회전구동부 일체형 사출성형장치 |
KR101313867B1 (ko) * | 2011-06-07 | 2013-10-01 | 양형택 | 내경 나사를 갖는 성형물의 제조장치 |
KR101321748B1 (ko) * | 2011-05-02 | 2013-10-28 | 주식회사 유진플러스 | 언더컷을 갖는 마개 사출금형구조 |
CN103407059A (zh) * | 2013-07-08 | 2013-11-27 | 顺德职业技术学院 | 可实现螺纹始点规律变化的自动脱螺纹二次顶出注塑模及控制方法 |
KR101421378B1 (ko) * | 2013-05-28 | 2014-07-18 | 김기웅 | 사출금형장치 |
CN103963242A (zh) * | 2014-05-27 | 2014-08-06 | 泉州华硕实业有限公司 | 节能型可调起始牙的绞牙注塑模具 |
KR200477543Y1 (ko) * | 2014-04-07 | 2015-06-24 | (주)아모레퍼시픽 | 무동력 전후진 나사구조를 갖는 금형장치 |
CN104924549A (zh) * | 2015-07-14 | 2015-09-23 | 严鹏 | 一种笔帽螺纹注塑模具 |
CN107042618A (zh) * | 2017-05-27 | 2017-08-15 | 张家港市天江精密模具制造有限公司 | 一种深螺纹瓶盖的注塑模具 |
CN108748924A (zh) * | 2018-08-24 | 2018-11-06 | 广东乐善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塑料成型机的模具盖电动开合结构 |
KR101968009B1 (ko) | 2017-10-30 | 2019-04-10 | 박현철 | 무동력 나사제품 취출 금형 |
CN109676874A (zh) * | 2019-02-21 | 2019-04-26 | 台州市黄岩炜大塑料机械有限公司 | 一出四直通内螺纹管件模具脱模机构 |
KR102027000B1 (ko) * | 2019-07-23 | 2019-11-14 | 장세현 | 다이 캐스팅 금형 및 이의 제작 방법 |
KR20190135117A (ko) * | 2018-05-28 | 2019-12-06 | 정경현 | 나사빼기금형의 나사빼기코어 조립체 |
KR102165732B1 (ko) * | 2019-05-23 | 2020-10-14 |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 나사가 형성된 사출품 제조금형 |
CN114603124A (zh) * | 2022-03-15 | 2022-06-10 | 钟九连 | 一种用于新能源汽车轮毂加工浇铸模具及成型方法 |
-
2008
- 2008-09-25 KR KR1020080094121A patent/KR201000349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04094A1 (de) * | 2011-02-04 | 2012-08-09 | Thomas Meister | Gewindekernausschraubvorrichtung |
KR101310085B1 (ko) * | 2011-04-25 | 2013-09-23 | (주) 선일 | 회전구동부 일체형 사출성형장치 |
KR101321748B1 (ko) * | 2011-05-02 | 2013-10-28 | 주식회사 유진플러스 | 언더컷을 갖는 마개 사출금형구조 |
KR101313867B1 (ko) * | 2011-06-07 | 2013-10-01 | 양형택 | 내경 나사를 갖는 성형물의 제조장치 |
CN102689406A (zh) * | 2012-05-31 | 2012-09-26 | 昆山拓安塑料制品有限公司 | 一个方便塑料模具快速维修的装置 |
KR101254923B1 (ko) * | 2013-01-25 | 2013-04-19 | 정임자 | 턴버클관 제조장치 |
KR101421378B1 (ko) * | 2013-05-28 | 2014-07-18 | 김기웅 | 사출금형장치 |
CN103407059B (zh) * | 2013-07-08 | 2015-07-29 | 顺德职业技术学院 | 可实现螺纹始点规律变化的自动脱螺纹二次顶出注塑模及控制方法 |
CN103407059A (zh) * | 2013-07-08 | 2013-11-27 | 顺德职业技术学院 | 可实现螺纹始点规律变化的自动脱螺纹二次顶出注塑模及控制方法 |
KR200477543Y1 (ko) * | 2014-04-07 | 2015-06-24 | (주)아모레퍼시픽 | 무동력 전후진 나사구조를 갖는 금형장치 |
CN103963242A (zh) * | 2014-05-27 | 2014-08-06 | 泉州华硕实业有限公司 | 节能型可调起始牙的绞牙注塑模具 |
CN104924549A (zh) * | 2015-07-14 | 2015-09-23 | 严鹏 | 一种笔帽螺纹注塑模具 |
CN107042618A (zh) * | 2017-05-27 | 2017-08-15 | 张家港市天江精密模具制造有限公司 | 一种深螺纹瓶盖的注塑模具 |
KR101968009B1 (ko) | 2017-10-30 | 2019-04-10 | 박현철 | 무동력 나사제품 취출 금형 |
KR20190135117A (ko) * | 2018-05-28 | 2019-12-06 | 정경현 | 나사빼기금형의 나사빼기코어 조립체 |
CN108748924A (zh) * | 2018-08-24 | 2018-11-06 | 广东乐善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塑料成型机的模具盖电动开合结构 |
CN109676874A (zh) * | 2019-02-21 | 2019-04-26 | 台州市黄岩炜大塑料机械有限公司 | 一出四直通内螺纹管件模具脱模机构 |
KR102165732B1 (ko) * | 2019-05-23 | 2020-10-14 | 케이시시정공 주식회사 | 나사가 형성된 사출품 제조금형 |
KR102027000B1 (ko) * | 2019-07-23 | 2019-11-14 | 장세현 | 다이 캐스팅 금형 및 이의 제작 방법 |
CN114603124A (zh) * | 2022-03-15 | 2022-06-10 | 钟九连 | 一种用于新能源汽车轮毂加工浇铸模具及成型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34900A (ko) | 방향성을 갖는 플라스틱 나사 제품의 사출금형 | |
WO2009118833A1 (ja) | 二材成形用射出成形機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0408883B1 (ko) | 전동사출성형기 | |
CN103692619A (zh) | 塑料蜗杆注塑成型模具 | |
KR101145107B1 (ko) | 워엄 사출금형의 취출장치 | |
JP5105612B2 (ja) | エジェクタ装置およびエジェクタ装置の接続方法 | |
CN102975339A (zh) | 实现同时抽芯的注塑模具 | |
JP5426346B2 (ja) | 射出成形機 | |
KR200477543Y1 (ko) | 무동력 전후진 나사구조를 갖는 금형장치 | |
JP5628102B2 (ja) | 射出装置 | |
JP2009083191A (ja) |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機における成形品の製造方法 | |
JP2018047628A (ja) | 金型ユニット、連結機構、伝動機構、及び調節機構 | |
JP6005556B2 (ja) | 射出成形機 | |
CN214773808U (zh) | 电动开合模的二板式注塑机 | |
KR101861565B1 (ko) | 사출 성형장치 | |
KR20200041622A (ko) | 사출성형 금형 구조물 | |
KR200404992Y1 (ko) | 입형식 이종 사출성형기 | |
JP4199585B2 (ja) | 射出成形機等の型締装置及びコアバック方法 | |
KR20130001733U (ko) | 나사 빼기 금형의 코어 냉각장치 | |
WO2012057186A1 (ja) | 成形機 | |
JP4035123B2 (ja) | 射出成形機 | |
KR101897647B1 (ko) | 나사산을 형성하는 금형의 위치 제어 장치 | |
KR20120066818A (ko) | 나선형 금형을 회전시키는 사출 장치 | |
JP2014133355A (ja) | 回転コア停止角度補正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成形用金型 | |
CN219256258U (zh) | 一种可快速定位的注塑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