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540A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540A
KR20100034540A KR1020080093737A KR20080093737A KR20100034540A KR 20100034540 A KR20100034540 A KR 20100034540A KR 1020080093737 A KR1020080093737 A KR 1020080093737A KR 20080093737 A KR20080093737 A KR 20080093737A KR 20100034540 A KR20100034540 A KR 2010003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ck
paper
user
sci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로
오정엽
신승우
김경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4540A/ko
Publication of KR2010003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추출한 제1정보와 휴대 단말기가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한 제2정보를 비교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화상 통화를 통해 연결된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기, 게임, 컨텐츠, 가위바위보, 카메라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Method for rock paper scissors game of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가위바위보 게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과 함께 통신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 예컨대 문자 메지지 송수신, 사진 촬영, 음악 감상,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게 되었다. 특히, 데이터 통신 속도가 비약적을 발전함과 더불어 화상 통화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를 전면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러 가지 상황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시간 예를 들어, 친구를 기다리는 시간, 출퇴근 시간 등에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는 음악 감상, 디지털 방송 수신, 게임 등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부가 기능 중 게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키 버튼 즉, 입력부가 필요하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가 슬림화 및 소형화 되면서 입력부 역시 소형화 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된 입력부는 사용자에게 게임 수행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서는 복잡한 키 조작이 필요한 게임들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가위바위보 게임 방법에 있어서, 가위바위보 게임 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제시한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1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정보와 사전 설정되어 버퍼에 저장된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2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인 제1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 모양을 촬영하는 카메라;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로 사전 설정된 제2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를 비교하여 가위바위보 게임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서 키 조작을 통한 일반적인 게 임 방식을 탈피하여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한자리에 모이지 않아도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현실감 있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휴대 단말기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 "제1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한 정보로서,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하, "제2정보"는 가위바위보 게임 상대자가 제시한 정보로서, 싱글 모드인 경우 단말기가 랜덤(Random)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한 정보가 될 수 있고, 멀티 모드인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화상 통화를 통해 연결된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 "제3정보"는 가위바위보 게임 시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획득한 정보로서,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카메라(140), 오디오 처리부(150), 무선 통신부(16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4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40)는 가위바위보 게임 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손 모양을 전달 받은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가위바위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제1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40)는 사용자가 표시부(130)를 바라보면서 게임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5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50)는 가위바위보 게임 실행 시 게임 시작, 게임 결과 등을 알려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가위바위보 게임 결과에 상응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50)는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에 도달 하거나,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시 팡파레 등의 축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 처리부(150)는 가위바위보 게임 시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제어부(110)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 화면을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 수단으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가위바위보 게임 시 상기 카메라(140)를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영상과 상대방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영상은 상기 제1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손 모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대방 영상은 싱글 모드인 경우 휴대 단말기가 랜덤(Random)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한 가위, 바위, 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멀티 모드인 경우 상기 상대방 영상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화상 통화로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게임 승패가 결정된 후 게임의 승패에 상응하여 기 설정된 이미지 또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에 도달 하거나,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시 기 저장된 축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가위바위보 게임 시 사용자가 상대방 영상을 보고 손 모양을 선택할 수 없도록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일정 시간 동안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다른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60)는 타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등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지국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60)는 화상 통화 시 상대방 단말기가 송신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대방 단말기에게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부(140)는 화상 통화가 연결된 상대방과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게임 진행과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부(160)는 게임 준비 완료 신호, 게임 종료 신호, 사용자의 손 모양 인식 결과 등을 상대방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60)는 화상 통화가 연결된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일정 범위내의 단말기들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Jigbee),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 Ban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멀티 모드 시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주변의 단말기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하나 이상의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카메라(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통신 채널이 형성된 단말기들(이하 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의 손 모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는 사용자의 손 모양 인식 결과인 제1정보를 타 단말기에 전송하고, 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단말기들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다수의 단말기들 중 하나를 마스터(Master) 단말기로 설정하고, 상기 마스터 단말기가 각 단말기들로부터 사용자 손 모양 인식 결과를 전송받아 게임의 결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각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사이 제2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버퍼(121)가 저장부(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버퍼(121)는 제어부(110), 표시부(130)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게임 실행을 위한 게임 실행 프로그램,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가위바위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손 모양 인식 프로그램,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가위바위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영역은 가위, 바위, 보에 각각 해당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진행에 사용되는 이미지, 음성 및 문자 메시지들(예컨대 게임 시작, 게임 종료, 승, 패, 비김, 연승 횟수 등을 알리는 메시지)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최고 연승 횟수,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가위바위보 게임 실행 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제1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손 모양 인식 방 법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오디오 처리부(150)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제3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정보와 제3정보를 모두 획득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정보와 제3정보가 상충하는지 확인하여 상충되면 어느 하나의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제1정보를 상기 선택된 정보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2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버퍼(121)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를 비교하여 게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가위" 형태로 손 모양을 제시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카메라(140)가 촬영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함으로서 상기 제1정보가 가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가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하였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부(170) 또는 무선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제2정보가 "바위"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패배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정보가 "보"인 경우 사용자가 승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정보가 "가위"인 경우 비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게임 결과를 산출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제1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랜덤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 결과가 산출된 후 상기 제어부(110)는 가위바위보 게임 결과에 상응하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이긴 경우 사용자가 승리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승리를 알리는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가 기 저장된 최고 연승 횟수를 갱신하였거나,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이를 축하하는 팡파레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을 사용자가 패배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사용자의 패배 전까지의 연승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여부 또는 상기 목표 연승 횟수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진 경우 사용자의 패배를 알리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무승부일 경우 무승부 임을 알리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 게임을 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위바위보 게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S2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전원이 공급되 어 부팅이 완료되면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S203 단계에서 제어부는 가위바위보 게임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203 단계에서 가위바위보 게임이 실행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S204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사진촬영, 음성 통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S203 단계에서 가위바위보 게임이 실행되면, 제어부는 S205 단계로 진행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위한 초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초기 화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영상(310)과 상대방 영상(320)을 화면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영상(310)은 사용자의 손 모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사용자 영상(310)에 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 카메라를 조절하도록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상대방 영상(320)은 싱글 모드 시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기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가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한 제2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될 수 있다. 한편, 멀티 모드 시 상대방 영상(3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화상 통화를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가위바위보 게임 시 사용자가 상대방 영상(320)을 보고 손 모양을 선택할 수 없도록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일정 시간 동안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다른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영상(310)과 상대방 영상(320)의 크기로 화면 분할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 영상(310)과 상대방 영상(320)의 화면 분할은 상기 사용자 영상(310)과 상대방 영 상(320)이 같은 크기를 가지거나, 상기 사용자 영상(310)이 상대방 영상(320) 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S207 단계에서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게임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처리부는 스피커를 통해 "가위바위보"라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음성 출력이 끝나는 순간 자신의 손 모양을 변경함으로서, 가위바위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S209 단계에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획득한 제1정보 및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선택하였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화상 통화를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버퍼에 저장된 제2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어부는 S211 단계에서 제1정보의 변경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S211 단계는 랜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단순한 게임 진행의 지루함을 차단하기 위해 랜덤하게 제1정보 변경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211 단계에서 제1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제어부는 S213 단계에서 사용자가 변경한 손 모양을 재 인식하여 상기 제1정보를 재 획득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S21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S211 단계에서 제1정보를 변경 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제1정보를 재획득하는 S213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S213 단계를 생략하고 S21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S215 단계에서 상기 제1정보와 제2정보를 비교하여 게임 결과를 산출하고 S217 단계로 진행하여 게임 결과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가위" 형태로 손 모양을 제시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가 촬영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함으로서 상기 제1정보가 "가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가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하였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제2정보가 "바위"인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패배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여 설정된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표시부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정보가 "가위"인 경우 제어부는 비긴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표시부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가위바위보 게임을 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정보가 "보"인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승리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여 설정된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표시부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연승인지 확인하고,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 달성 또는 이전에 기록한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시 이를 알리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표시부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최고 연승 기록 갱신 시 이를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을 사용자가 패배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고, 사용자의 패배 전까지의 연승 횟수를 확인하여 상기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여부 또는 상기 목표 연승 횟수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통하여 가위바위보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손 모양 인식 및 음성 인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제시한 손 모양 인식 결과인 제1정보와 음성 인식 결과인 제3정보가 상충하는 경우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실제 가위바위보 게임을 하듯이 손 모양을 제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위바위보 게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예시도.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가위바위보 게임 방법에 있어서,
    가위바위보 게임 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손 모양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제시한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1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제1정보와 사전 설정되어 버퍼에 저장된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2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휴대 단말기가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선택하여 저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화상 통화를 통해 통신 채널이 형성된 타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과정;
    상기 인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제3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3정보를 비교하는 과정;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3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제1정보를 상기 선택된 정보로 교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랜덤하게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의 승무패에 상응하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비긴 경우 게임을 재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 임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승리 시 연승인지 확인하고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 달성 또는 이전에 기록한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시 이를 알리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은
    사용자가 패배할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10.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인 제1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 모양을 촬영하는 카메라;
    가위바위보 중 어느 하나로 사전 설정된 제2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를 비교하여 가위바위보 게임 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 결과에 상응하여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랜덤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제2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주변에 위치하는 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제2정보를 전송받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 Band)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타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정보를 전송 받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제3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3정보를 상기 제1정보와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제1정보를 상기 선택된 정보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기회를 랜덤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의 승무패에 상응하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비긴 경우 가위바위보 게임을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승리 시 연승인지 확인하고, 기 설정된 목표 연승 횟수를 달성 또는 이전에 기록한 최고 연승 횟수 갱신 시 이를 알리는 이미지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위바위보 게임을 사용자가 패배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93737A 2008-09-24 2008-09-24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KR20100034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37A KR20100034540A (ko) 2008-09-24 2008-09-24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737A KR20100034540A (ko) 2008-09-24 2008-09-24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540A true KR20100034540A (ko) 2010-04-01

Family

ID=4221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737A KR20100034540A (ko) 2008-09-24 2008-09-24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45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099B1 (ko) * 2013-07-15 2015-03-30 스마트한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단말기 및 방법
WO2018182063A1 (ko) * 2017-03-28 2018-10-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87435B1 (ko) * 2018-06-12 2019-09-30 주식회사 마케팅이즈 손모양을 이용한 대전 게임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099B1 (ko) * 2013-07-15 2015-03-30 스마트한 주식회사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단말기 및 방법
WO2018182063A1 (ko) * 2017-03-28 2018-10-04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0516099A (ja) * 2017-03-28 2020-05-28 Line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897583B2 (en) 2017-03-28 2021-01-19 Line Corporation Video call providing device,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KR101987435B1 (ko) * 2018-06-12 2019-09-30 주식회사 마케팅이즈 손모양을 이용한 대전 게임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315B2 (en) Video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94644B1 (ko) 채팅창에서 게임을 구현하는 방법, 장치 및 단말
CN111294638B (zh) 一种实现视频互动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6356060B (zh) 语音通信方法及装置
CN109379485B (zh) 应用程序的反馈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9151044B (zh)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60255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smart device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CN110139116B (zh) 直播间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391060A1 (en) Methods for displaying and providing multimedia resources
EP2296358B1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a camera thereof
CN110601959B (zh) 会话消息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327548A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processing live shows
JP2012143269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EP3644177A1 (en) Input method,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08009264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CN110711385A (zh) 游戏在线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00034540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가위바위보 게임 제공 방법
CN111408130B (zh) 互动装扮方法及装置、客户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697696B (zh) 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128722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0808021A (zh) 音频播放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30089143A1 (en) Method for game live broadcast interaction and terminal
CN110286839A (zh) 消息发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4030765A1 (en) Live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