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422A -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 Google Patents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422A
KR20100034422A KR1020080093545A KR20080093545A KR20100034422A KR 20100034422 A KR20100034422 A KR 20100034422A KR 1020080093545 A KR1020080093545 A KR 1020080093545A KR 20080093545 A KR20080093545 A KR 20080093545A KR 20100034422 A KR20100034422 A KR 2010003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drip tray
stone
concrete
natura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295B1 (ko
Inventor
오점곤
Original Assignee
오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점곤 filed Critical 오점곤
Priority to KR102008009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2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02B7/14Buttres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댐의 물받이부를 콘크리트 물받이부와 자연석 물받이부의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물받이부에 의해 토석류로 인한 세굴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자연석 물받이부의 설치로 인해 콘크리트를 적게 사용하게 되어 자연경관을 유지하고 공사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은, 토석차단부의 좌, 우측에 댐어깨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사방댐의 토석차단부의 하류측 지면에는 콘크리트 물받이부와 자연석 물받이부로 이루어지는 이중 물받이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측은 상기 토석차단부 하부의 사방댐기초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연석이 붙임되어 형성되는 자연석 물받이부와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물받이부, 콘크리트 물받이부, 자연석 물받이부, 사방댐

Description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Erosion Control Dam}
본 발명은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댐의 토석차단부의 하류측 지면에 물받이부를 형성하되, 토석류의 낙하로 인한 충격력이 심한 곳에는 콘크리트 물받이부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자연석 물받이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방댐은 유역의 상류지역 또는 단지개발에 따른 토사유출과 재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시공하여 유송된 모래와 석력 등을 저류 또는 조절하기 위한 것인데, 그 설치목적은 황폐계류에 토석력과 산사태로 인한 계류의 침식을 방지하고 산각을 고정하여 계류의 안정으로 도모하기 위함이다.
즉, 이러한 사방댐은 석력, 토사의 이동이 심한 곳에 만들어 상류쪽에 토석력을 퇴적시켜서 하상을 완만한 구배로 안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사방댐은 산사태 및 상습수해 지역에 홍수로 인한 산림재해를 예방하여 하류의 주민생활 보호와 농경지의 침식을 방지하고, 국지성 집중호우를 대비하며,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산림 유역의 수원함양, 수질정화 및 환경기능 강화, 산림자원의 증식을 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방댐의 하류측 지면은 상류측으로 부터 흘러내려 낙하되는 토석류로 인하여 파괴나 세굴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사방댐의 하류측 지면에는 별도의 물받이부를 형성하여야 하였는 바, 콘크리트만을 이용하여 물받이부를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물받이부는 자연 경관을 훼손시키는 것은 물론 많은 량의 콘크리트가 소요되어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사방댐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방댐의 물받이부를 콘크리트 물받이부와 자연석 물받이부의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물받이부에 의해 사방댐 방수로에서 낙하하는 토석류로 인한 파괴와 세굴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자연석 물받이부로 인해 자연경관을 유지하고, 콘크리트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시공비용의 증가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은, 토석차단부의 좌, 우측에 댐어깨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사방댐의 토석차단부의 하류측 지면에는 콘크리트 물받이부와 자연석 물받이부로 이루어지는 이중 물받이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측은 상기 토석차단부 하부의 사방댐기초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연석이 붙임되어 형성되는 자연석 물받이부와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연석 물받이부는 전석 또는 야면석을 붙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의 양측에는 자연석 측벽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자연석 측벽은 전석 또는 야면석을 적석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석차단부의 상부에는 유목차단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방댐의 물받이부를 콘크리트 물받이부와 자연석 물받이부로 구성함으로써, 물받이의 파괴와 세굴을 방지하여 사방댐의 구조체를 보호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자연석을 사용하여 자연경관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연석 대용으로서 전석과 야면석을 활용함으로써,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사방댐은 토석차단부(100)의 좌, 우측에 댐어깨(2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토석차단부(100)와 댐어깨(2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사방댐과 같이 콘크리트, 전석, 철강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토석차단부(100)는 사방댐기초(11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석차단부(100)는 다수의 자연석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데, 자연석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사방댐을 주변 자연환경과 보다 더 잘 어우러지게 조성할 수 있다.
상기 토석차단부(100)는 이미 다양한 종래기술을 통해 그 타설방법, 형태 등 이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방댐의 토석차단부(100) 하류측 지면에는 토사의 세굴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물받이부(3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는 콘크리트 물받이부(310)와 자연석 물받이부(3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31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측은 상기 토석차단부(100) 하부의 사방댐기초(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연석(S)이 붙임되어 형성되는 자연석 물받이부(32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310)의 설치 길이는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 전체의 1/2 정도가 바람직한 바, 이는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310)가 입자가 큰 토석류의 충격을 모두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의 1/2 지점을 통과하여 낙하되는 토석류는 입자가 작아 그 충격력이 크지 않으므로 상기 자연석 물받이부(320)만으로 그 충격이 충분히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의 전체길이는 사방댐이 설치되는 장소, 급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데, 특히 사방댐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특히 상기 사방댐기초(110)와 콘크리트 물받이부(310)는 분리되도록 순차적으로 시공하여 콘크리트 물받이부(310)에 토석력의 충격이 토석차단부(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이중 물받이부(300)를 설치하지 않고, 자연경관을 살리기 위하여 자연석 물받이부(320)만을 전체에 걸쳐 설치할 경우, 상기 토석차단부(100)측에 가깝게 낙하되는 입자가 큰 토석류로 인하여 자연석 붙임이 쉽게 파괴 되어 토석차단부(100)의 기초가 불안해지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콘크리트 물받이부(310)만으로 전체를 설치할 경우, 자연경관이 훼손됨은 물론, 콘크리트의 소요량이 많아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인 데, 본 발명에는 이러한 자연경관, 사방댐의 구조적 안정성, 시공비용 등을 고려하여,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의 1/2은 콘크리트 물받이부(310)로 구성하고 나머지 1/2은 자연석 물받이부(320)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연석으로는 별도로 가공된 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전석(轉石) 또는 야면석(野面石) 등을 이용하여, 돌붙임하여 자연석 물받이부(320)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전석이란 암반에서 떨어져 독립된 1개의 크기가 0.5㎥내외의 돌을 의미하는 것이며, 야면석은 표면을 가공하지 않은 비교적 콘 덩어리의 석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310)의 뚜께는 0.5m-1.5m로서 사방댐의 높이에 따라서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300)의 양측에는 자연석 측벽(330)이 설치되어질 수도 있는 바, 상기 자연석 측벽(330) 역시 전석 또는 야면석을 적석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경관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물받이부(300)의 자연석 측벽(330) 외측으로 자연석 어소 측벽(330')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자연석 측벽(330)과 어소 측 벽(330') 사이로 어도(330a)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어도(330a)의 바닥에는 수초의 식재 및 유속의 감속을 위하여 수초식재블록(330b)을 상기 자연석 측벽(330)과 어소 측벽(330')에 지그재그로 다수개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수초식재블록(330b) 내에는 흙이 그물망에 채워진 상태로 제공되어 다양한 수초가 쉽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활착되는 수초 및 블록에 의해 물의 급격한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방댐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산간계곡 등의 상류에서 물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토석류를 차단하는 동시에, 소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토석차단부(10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를 거쳐 하류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의 토석차단부(100) 상부에 유목차단부(40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상기 유목차단부(400)의 형태와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사방댐을 형성함에 있어서, 토석차단부(100) 및 댐어깨(200)의 내부에 이형 철근이 격자형으로 배근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310)의 내부에도 이형 철근이 격자형으로 배근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토석차단부(100) 및 댐어깨(20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 구 및 어도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사방댐의 이중 물받이부(300) 양측에 어도(330a)를 설치하거나 일측에만 어도(330b)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방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방댐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토석차단부 110: 사방댐기초
200: 댐어깨 300: 이중 물받이부
310: 콘크리트 물받이부 320: 자연석 물받이부
330: 자연석 측벽 400: 유목차단부

Claims (4)

  1. 토석차단부(100)의 좌, 우측에 댐어깨(2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사방댐의 토석차단부(100)의 하류측 지면에는 콘크리트 물받이부(310)와 자연석 물받이부(320)로 이루어지는 이중 물받이부(30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콘크리트 물받이부(31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측은 상기 토석차단부(100) 하부의 사방댐기초(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자연석(S)이 붙임되어 형성되는 자연석 물받이부(320)와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석 물받이부(320)는 전석 또는 야면석을 붙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물받이부(300)의 양측에는 자연석 측벽(33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자연석 측벽(330)은 전석 또는 야면석을 적석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는 유목차단부(40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1020080093545A 2008-09-24 2008-09-24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10105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545A KR101052295B1 (ko) 2008-09-24 2008-09-24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545A KR101052295B1 (ko) 2008-09-24 2008-09-24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422A true KR20100034422A (ko) 2010-04-01
KR101052295B1 KR101052295B1 (ko) 2011-07-27

Family

ID=4221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545A KR101052295B1 (ko) 2008-09-24 2008-09-24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19B1 (ko) * 2010-11-11 2011-07-13 대한민국 하층수 정화기능과 생태홀을 구비한 환경친화적인 식생사방댐
KR101250185B1 (ko) * 2010-10-20 2013-04-05 최한미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53B1 (ko) 2003-12-23 2006-03-30 대홍종합건설(주) 자연석을 이용한 하천의 취입보 축조공법
KR100560986B1 (ko) * 2005-11-02 2006-03-17 대한민국 다기능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0704415B1 (ko) 2006-09-13 2007-04-09 대한민국 슬리트와 스크린이 결합된 슬리크린 사방댐
KR200440994Y1 (ko) 2007-05-09 2008-07-17 산림조합중앙회 비탈식 물받이 사방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85B1 (ko) * 2010-10-20 2013-04-05 최한미 자체 토사 조절기능을 갖는 사방댐
KR101047319B1 (ko) * 2010-11-11 2011-07-13 대한민국 하층수 정화기능과 생태홀을 구비한 환경친화적인 식생사방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295B1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986B1 (ko) 다기능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65467B1 (ko) 에코-필라 사방댐
KR101317279B1 (ko) 토석류 방호 구조물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KR101492056B1 (ko) 복토유실 방지포트가 구비된 스톤매트리스
CN110145007A (zh) 弃渣场的排水系统
KR101052295B1 (ko) 이중 물받이부를 갖는 사방댐
KR101289723B1 (ko) 경관 기능이 구비된 사방댐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JPS5824008A (ja) 汀ブロックによる植生護岸工法
CN107938592B (zh) 一种直线型城市河道的生态改造结构
KR101586247B1 (ko)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KR101170789B1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RU240680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абионного тюфяка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RU235170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откосного крепления биопозитив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RU2685192C1 (ru) Габионный тюфяк гиб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JP2006274797A (ja)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KR200327410Y1 (ko) 호안블록의 체결장치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100270156B1 (ko) 식재호환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