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747A - 수족관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747A
KR20100032747A KR1020080091752A KR20080091752A KR20100032747A KR 20100032747 A KR20100032747 A KR 20100032747A KR 1020080091752 A KR1020080091752 A KR 1020080091752A KR 20080091752 A KR20080091752 A KR 20080091752A KR 20100032747 A KR20100032747 A KR 20100032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led
color
controlling
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순필
양재복
Original Assignee
(주) 딜라이트오브서피스앤컬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딜라이트오브서피스앤컬러 filed Critical (주) 딜라이트오브서피스앤컬러
Priority to KR102008009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747A/ko
Publication of KR2010003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 내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LED부, 상기 LED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생태 환경에 맞추어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족관에 LED 조명을 구비함으로써, LED 광원의 출력을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 생물의 생태 환경에 적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의 제어함으로써, 자연광에 최대한 근접한 광원의 제어가 가능하다.
수족관, LED

Description

수족관 조명 장치{An illuminating device of an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부를 구비하고,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생태 환경에 맞추어 상기 LED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 가정이나 업소 등에 설치된 관상용 수족관의 조명의 광원으로는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원의 제어는 오직 전원의 온/오프 만이 가능하였다.
수족관의 광원으로 형광등을 이용하는 경우, 소비 전력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높은 온도로 인하여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 생물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본래의 모습을 잃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족관의 광원은 전원의 온/오프 제어만이 가능하였으므로, 수생 생물의 서식 환경을 맞춰주기엔 부족한 면이 많았다. 또한 형광등의 색상에만 따르므로 색 변환이 불가하며, 형광등 색을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새로운 형광등으로 교체를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족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 생물의 생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LED를 구비한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족관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관상용 수족관의 조명의 시각적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LED를 구비한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수족관 내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LED부, 상기 LED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생태 환경에 맞추어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연 현상에 따라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원 서식지의 자연 환경에 부합하도록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복수의 LED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LED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LED를 구비하는 수족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족관에 LED 조명을 구비함으로써, LED 광원의 출력을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 생물의 생태 환경에 적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의 제어함으로써, 자연광에 최대한 근접한 광원의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LED의 출력을 다양한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심미적인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위하여, 광원으로 LED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광원의 수명을 늘릴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직류 전등 방식으로 고반복, 펄스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눈의 피로를 줄여 줄 수 있으며, 수생 생물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조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족관 조명 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족관(100) 내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LED부(110), 상기 LED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 및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생태 환경에 맞추어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족관(100)은 수생 생물을 모아놓고 기르는 설비를 의미한다.
상기 LED부(110)는 복수의 LED(111)로 구성되며, 다양한 구조로 상기 수족관(100)에 설치될 수 있다. LED부는 제어부에 의하여 다양한 모드로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LED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는 각각의 LED의 어드레스별로 각각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LED 광원은 R/G/B 칼러를 가지며, 색온도(color temperature)/색(color)/휘도(luminance)를 각각 설정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LED는 방수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수족관(100)내에 별도의 커버 세트(120)를 마련하여 방수된 공간에 LED를 설치할 수도 있다. 커버 세트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a는 상기 커버 세트를 도시하며, 도 2b는 상기 커버 세트의 일실시예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며, 도 2c는 상기 커버 세트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며, 도 2d는 LED의 배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세트(120)는 외부 프레임(122), 상부 커버(121), 내부 프레임(124), 확산 필름(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프레임(122)은 커버 세트의 외부 틀을 의미하며, 상기 상부 커버(121)는 상기 LED부가 고정되는 곳이다. 이때 상부 커버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설계하면 사용이 편리해질 수 있으며, 반사 필름이 코팅되고, 반사 필름상에 LED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 필름은 LED의 조명을 수족관에 반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124)는 상기 외부 프레임(122)의 내부 틀로 구성되며, 커버 세트의 방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필름(123)은 LED의 빛을 원하는 발광 영역에 고른 광량으로 퍼지게 만들어주는 프리즘에 해당한다. 이때 색상 및 무늬를 디자인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므로, LED의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세트(120)는 복수의 LED(B)가 부착된 개폐식 LED 조명 고정판(A), 프레임(D), 먹이 투입구(C), 확산 필름(E)를 포함한다. 상기 LED 조명 고정판(A)은 반사판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개폐가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상기 확산 필름(E)는 여닫이 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족관의 주 광원인 LED부와 함께 형광등이 보조 광원으로 사용될 수 도 있다.
도 1의 상기 전원부(140)는 상기 LED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1의 상기 제어부(130)는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생태 환경에 맞추어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LED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에 의하여 출력이 제어되게 된다.
수족관에는 수생식물 및 수생동물이 서식하게 되는데, 서식 생물의 생태 조건을 맞추어 줌으로써 생존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종래의 일반 광원이 단색으로 이루어지며, 빛의 꺼짐과 켜짐만 있는 것에 비해 빛의 색상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수족관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 LED 조명을 사용하며, 시간 흐름의 개념을 도입하여 시간대 별 태양광 스펙트럼 변화와 같이 LED 빛의 파장이 계속 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광원은 R/G/B를 모두 포함하는 LED를 사용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R/G/B 신호 선에 각기 다른 레벨 값을 지정하여, 원하는 색상을 조합하여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조명 장치의 제어는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로 구성할 수 있고,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동 모드에서는 R/G/B 조작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하여 LED의 색상, 색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자동 모드에서는 특정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모드에 설정된 값에 따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토 모드에서 변수 값인 계절별, 지역별, 날씨에 따라서 24시간 동안의 시간 경과에 따른 R/G/B 레벨의 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가 오토 모드에서 변수 값인 계절, 지역, 날씨를 지정하면 제어부에서는 이러한 입력 값대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R/G/B 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오토 모드에서 기 설정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수정 설정될 수 있다. 즉, 외부 PC 등에서 LED 출력 값이 설정되고,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디스플레이 설정 값에 따라 LED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수족관에서 기르는 수생 생물에 따라 사용자는 수생 생물의 서식 상태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LED 출력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외부 PC등에서 LED의 색온도, 색 및 휘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는 소정 모드에서의 24시간 시간의 흐름에 따른 R/G/B 출력 변화 곡선을 나타낸다. 이때 변수에 따른 특성 곡선에 대한 데이터는 제어부에서 테이블화하여 함수값으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변수가 바뀌면 특성 곡선이 달라지는 것이다.
도 4b는 도 4a의 특성 곡선을 색의 변화 테이블로 변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R/G/B값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RGB값을 출력하거나, 소정 모드가 선택되면 소정 모드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RGB값을 출력하여, 수족관의 조명 장치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에 가장 유사한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
도 5는 종래 형광등 광원을 사용한 수족관의 조명 장치와 비교한 LED 광원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조명 장치의 장점을 표로써 나타낸다.
LED 광원을 이용한 본 발명의 수족관의 조명 장치는 형광등에 비교하여 전력 소모량이 적고, 수명이 길어 오랜 기간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방수가 가능하여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색상 지정 및 변경이 가능하여, 출력되는 색(color)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색온도 및 휘도 또한 제어 가능하다. 이동 및 개폐시 안전하며, 배치가 용이하여 LED 출력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런 정전에 대처하여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모듈에 전선을 포함하여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컬러를 변경함에 있어 광원 자체를 교체할 필요는 없으며, LED의 R/G/B 조합을 제어하여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색상 표현에 있어 투사물의 색감이 뛰어나며, 수량 추가가 용이하며, 전원 연결이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우수하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적용한 수족관의 구현 모습을 도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의 조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커버 세트의 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d는 LED의 배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를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소정 모드에서의 24시간 시간의 흐름에 따른 R/G/B 출력 변화 곡선을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의 특성 곡선을 색의 변화 테이블로 변환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형광등 광원을 사용한 수족관의 조명 장치와 비교한 LED 광원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조명 장치의 장점을 표로써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적용한 수족관의 구현 모습을 도시한다.

Claims (5)

  1. 수족관 내에 설치되며,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이 제어되는 LED부;
    상기 LED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생태 환경에 맞추어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연 현상에 따라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족관에 서식하는 수생생물의 원 서식지의 자연 환경에 부합하도록 상기 LED부의 색온도, 색, 휘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복수의 LED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디스플레이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LED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조명 장치.
KR1020080091752A 2008-09-18 2008-09-18 수족관 조명 장치 KR20100032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752A KR20100032747A (ko) 2008-09-18 2008-09-18 수족관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752A KR20100032747A (ko) 2008-09-18 2008-09-18 수족관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747A true KR20100032747A (ko) 2010-03-26

Family

ID=4218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752A KR20100032747A (ko) 2008-09-18 2008-09-18 수족관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7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25B1 (ko) * 2010-05-31 2011-08-12 서정석 산란계의 점등관리장치 및 점등관리방법
KR101225745B1 (ko) * 2011-05-13 2013-01-23 (주)롬스페이스 감성조명 시스템
KR101864049B1 (ko) * 2016-12-09 2018-06-29 박진억 태양광의 밝기가 반영되는 스마트 수족관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25B1 (ko) * 2010-05-31 2011-08-12 서정석 산란계의 점등관리장치 및 점등관리방법
KR101225745B1 (ko) * 2011-05-13 2013-01-23 (주)롬스페이스 감성조명 시스템
KR101864049B1 (ko) * 2016-12-09 2018-06-29 박진억 태양광의 밝기가 반영되는 스마트 수족관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3952B1 (en) Lighting fixture for aquarium
EP2242335A1 (en) Lighting apparatus
JP2008293945A (ja) 水槽用照明装置
JPWO2008069103A1 (ja) 光源及び光照射装置
KR20100067638A (ko) Rgb 발광 모듈 설정
US20130238060A1 (en) Phototherapy Device and Methods Thereof
KR20100032747A (ko) 수족관 조명 장치
US20190192878A1 (en) Illumination Device, Control Unit for an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llumination Device
JP3146124U (ja) 電飾器
KR100922195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97778B1 (ko) 다기능 베개장치
KR100888955B1 (ko) Led 매입등
JP2011060740A (ja) 光源装置
JP3771244B2 (ja) 電子キャンドル
KR100884619B1 (ko) Led 경관등
JP4966145B2 (ja) 面発光装置
KR100885159B1 (ko) 조명용 및 경관용 led 바 등기구
JP2007317438A (ja) 面発光照明装置
TWM588935U (zh) 情境照明燈具
JP2001319504A (ja) 庭園灯
JP2010064878A (ja) エレベータ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218830729U (zh) 一种智慧教室的健康照明系统
JP3142565U (ja) Led照明装置付き観賞用水槽蓋
KR101518393B1 (ko) 개인 맞춤형 빛을 발산하는 탁상램프
KR20060011375A (ko) 색상가변형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