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601A -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 Google Patents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601A
KR20100032601A KR1020080091560A KR20080091560A KR20100032601A KR 20100032601 A KR20100032601 A KR 20100032601A KR 1020080091560 A KR1020080091560 A KR 1020080091560A KR 20080091560 A KR20080091560 A KR 20080091560A KR 20100032601 A KR20100032601 A KR 20100032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irror
finishing
building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시스홀딩스
Priority to KR102008009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601A/ko
Priority to PCT/KR2009/004633 priority patent/WO2010032921A2/ko
Publication of KR20100032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la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천장용 미러 시트는, 연신 가능한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일면에 접착되는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및 상기 투명 보호필름 사이에 형성된 거울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신 가능한 필름과 연신 불가능한 필름을 서로 접합시켜, 천장이나 벽면 등의 시공에 알맞는 새로운 개념의 미러 시트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연신 가능성 때문에 시공 후 장시간 경과 후라도 외관상 구겨짐이나 접힘이 발생하지 않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미러, 거울, 시트, 천장, 스트레치, 연신공법

Description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Mirror sheet for Inner finishing of Construction stucture}
본 발명은,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천장 또는 벽면에 거울의 효과를 낼 수 있는 필름을 접착시키는데 있어서, 연신 가능한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을 접합한 시트를 사용하여, 외관이 구겨지지 않고, 평평하게 시공할 수 있는 미러 시트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부 마감용 시트는, 건물 실내의 천장이나 벽면에 시공하여 내부를 마감하는 재료로서, 특별한 시트에 의하여 마감 시공을 하면, 보는 이로 하여금 충분히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현행 건축법 시행령 제61조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경우, 거의 모든 내부 마감재료를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시험방법인 KS F 2271에 합격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하도록 한정하고 있다.
벽면 시공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부착방식으로 하여도 큰 문제가 되지 아니하 나, 천장 시공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큰 하중이 걸릴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시공 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심미감을 주면서도 안정적인 시공을 할 수 있는 내부 마감용 시트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건물 천장은, 건물의 꼭대기 부위에 설치된 배선 기타 구조물을 감추어, 별도의 디자인을 할 수 있으며, 벽, 바닥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차단 흡수할 수 있고, 소리 ·열 ·빛의 반사면으로도 이용할 수 있고, 열이나 기류 등의 원천으로 할 수 있으며, 색 ·모양 ·면 등의 조합에 따라서 어떤 크기의 공간을 디자인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천장을 설치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구조체(構造體)에 매달아서 받침을 고정시키고 거기에서 감잡이쇠(strap)를 아래로 내려 반자대(ceiling joist)를 매달고 천장재료를 반자대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의한다. 천장 면의 마무리 공정은 칠천장(plastered ceiling) ·널천장(boarded ceiling) ·바름천장으로 크게 구별한다.
칠천장은 모르타르나 인조석, 섬유재,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미장공사와 같이 하게 된다. 널천장은 판재 ·합판 ·섬유판 ·석면판 ·석고판 ·목모시멘트판 ·금속판 ·코르크판 등 재료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경량철골 반자틀을 행거 볼트로 매달아 칸막이판을 설치하는 것과, 격자로 틀을 짜서 못으로 붙이는 방법이 있다. 바름천장은 사용재료에 따라서 종이 ·헝겊 ·염화비닐 등이 있다. 천장의 형식은 보통 바닥면과 평행한 평면 반자가 많이 이용되나, 장식 겸 음향효과를 내기 위하여 반자 갓 둘레를 대어 층 단반자를 한 것도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여러 가지 심미적 효과를 위한 방편으로서, 거울 효과를 낼 수 있는 거울면을 부착하여, 헬스장, 수영장 등의 스포츠 센터, 병원, 서점 등의 천장 또는 벽면의 인테리어 마감재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일반적인 거울을 건물 천장에 그대로 접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그 중량의 과대함으로 인해 불가능하기 때문에, 통상 거울 효과를 낼 수 있는 얇은 호일(이하 '미러 시트'라 한다)을 부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천장 설치 방식에 의하여 미러 시트를 부착하려면, 천장재료로서 두꺼운 합판 등을 이용하고, 그의 상부 면에 얇은 호일 형태의 미러 시트를 부착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합판 등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얇은 호일로 이루어진 미러 시트가 부착될 경우, 표면에 구겨짐 또는 접힘 현상이 발생한다. 아울러, 화재시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하고, 천장재를 일일이 위치 선정하여 공구를 이용하여 천장에 부착하므로 시공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미러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합판 대신에 편평한 금속 층을 먼저 설치한 후, 그 위에 미러 시트를 접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금속 천장재를 내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건물에 하중이 증가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더욱이 철판 등의 금속재 천장에 미러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충분하지 아니하고, 유연하지 않은 금속재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미러 시트가 구겨지는 문제점이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즉, 연신할 수 없는 재료끼리 서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미러 시트로는 상기 문 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에 구겨짐이 없이 평평하게 천장 및 벽면을 마감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염처리된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는, 연신 가능한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일면에 접착되는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및 상기 투명 보호필름 사이에 형성된 거울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여, 종래에 없었던 연신성-비연신성 필름 간의 접합형 미러 시트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평평하고 매끄러운 거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거울면에 대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울면은, 알루미늄, 금, 은, 동, 황동, 티타늄, 크롬, 니켈, 스테인리스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 상기 투명 보호필름 위에 증착 또는 도금되어 이루어진 것이 거울면의 미러 시트에 대한 강력한 부착력 및 구겨지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기 거울면이 형성된 투명 보호필름은 접착제에 의하여 열 부착되는 것이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가열 연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공정을 줄이기 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 및 상기 투명 보호필름은 방염처리된 것이 화재시 유독 가스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150㎛이며, 상기 투명 보호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70㎛인 것이 거울면에 대한 부착력을 강화하고, 전체 시트의 중량을 최소화하는 한편,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가열 연신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는, 천장의 적어도 양단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에 의하여 연신되는, 소위 스트래치 공법에 의하여 설치되는 것이 가장 평평한 면에 구김 없이 거울 효과를 나타내는 점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신 가능한 필름과 연신 불가능한 필름을 서로 접합시켜 이루어지며, 천정이나 벽면 등의 시공에 알맞는 새로운 개념의 미러 시트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연신 가능성 때문에 시공 후 장시간 경과 후라도 외관상 구겨짐이나 접힘이 발생하지 않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는, 연신 가능한 폴리염화비닐 시트(100), 거울면(200),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3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100)와 거울면(200)-투명 보호필름(300) 접합체가 접착제(400)에 의하여 접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여, 종래에 없었던 연신성-비연신성 필름 간의 접합형 미러 시트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평평하고 매끄러운 거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시트(100)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이며, 따라서, 연신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는, 폴리염화비닐에 가소제 등 첨가제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1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두께 범위는, 80 내지 120㎛이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의 두께가 50㎛ 미만이면, 시트 제조시 연신 과정에서 끊어질 염려가 있으며, 그 두께가 1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게가 무거워지고, 연신 공정이 오래 걸리는 등,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거울면(200)은, 일반적인 호일 형태로 독립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본 발명에 의한 투명 보호필름(300)에 증착 또는 도금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거울면(200)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동(Cu), 황동(Cu-Zn), 티타늄(Ti), 크롬(Cr), 니켈(Ni),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 재료가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증착 방식으로는 스퍼터링(sputtering), 캐스팅(casting), 라미네이션(lamination) 방식을 이용하여 0.01 내지 0.3㎛ 두께의 금속막을 형성하며, 도금 방식에 의할 경우에는 특정한 도금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이를 수행할 수 있다.
투명 보호필름(300)은, 거울면(200)을 지지하며, 투명하고 연신이 불가능한 비연신성 재질로 이루어져, 거울면(200)의 반사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투명성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이라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 노르 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의 블랜드 등도 투명 보호필름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필름(300)의 두께는 1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투명 보호필름(300)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거울면(20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하여 거울면(200)에 주름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7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거워질 수 있고,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100) 및 투명 보호필름(300)은, 통상의 방염처리에 의하여 방염처리되어, 화재시 유독가스를 방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제조하는 일 실시예를 소개하자면, 이형재가 도포된 소정의 지지필름(미도시) 상에 투명 보호필름(300)을 이루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조성물을 스크린 코팅, 스핀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 임의의 코팅방식에 의하여 도포한 후, 그 위에 거울면(200)을 이루는 금속을 증착하거나, 금속이 증착되어 있는 호일 등을 임의의 점착제에 의하여 투명 보호필름(300)의 일면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거울면(200) 위에 열가소성 수지(핫멜트) 등으로 이루어진 접착제(400)를 약 10 내지 50㎛ 두께로 도포한 후, 폴리염화비닐 시트(100)와 접착제(400)를 가열하면서 접착시키는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100)와 접착제(400)를 서로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폴리염화비닐 시트(100)를 가열 연신 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는, 연신된 폴리염화비닐 시트(100)가 늘어짐이 없이 팽팽하게 형성되며, 투명 보호필름(200)이 거울면(300)을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그 사이에 개재되는 거울면(200)이 구부려지거나, 구김 또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고, 매끈하게 형성되며, 시간이 흐르더라도 부착성이 양호하고, 변형이 없는 미러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적층체는 일반적인 시공 방식에 의하여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그 연신 가능성 때문에, 천장 또는 벽면 시공방법의 일종인 스트레치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스트레치 공법이란,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 등의 시트(sheet)를 열풍기 등의 특수 가스 히터(gas heater)로 가열하면서 연신시킨 후, 건축물의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스트레치 공법은,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및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므로 프랑스, 독일 등에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이용한 건물 천장의 스트레치 공법의 일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를 사용한 천장 또는 벽면 시공방법은, 아래 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합판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래칭 공법을 이용한 천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2)에 나사(4)로 벽체 레일(6)이 고정되고, 중간에는 천장 파이프(8)에 나사(4)로 고정된 이중 레일(10)이 설치되며, 상기 벽체 레일(6)과 이중 레일(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12)가 이어지고, 상기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12)는 벽체 레일(6)과 이중 레일(10)의 홈에 끼워진 하푼 에지(14)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방식과 유사한 시공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 실용신안 제368919호에 제시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역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205106호에 나타낸 시공방법에 따를 수도 있다. 상기 특허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트래칭 공법은, 사각형의 틀로 형성된 하부 프레임(2)에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4)를 개재하여, 클램프 부재(3)로 고정한 천장 타일을 여러 개 이어붙여서 시공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특허 제472041호 등에 나타낸 시공방식에 따를 수도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시공방법에 의하더라도, 폴리염화비닐 시트(100)가 거울면(200) 및 투명 보호필름(300)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평평 한 면을 제공하여, 거울면(200)에 주름이나 구겨짐이 발생하지 않고, 매끈한 면을 보여, 장시간 거울 효과를 잃지 않고, 관찰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래칭 공법을 이용한 천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트래칭 공법을 이용한 천장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Claims (7)

  1. 연신 가능한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일면에 접착되는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과;
    상기 폴리염화비닐 및 상기 투명 보호필름 사이에 형성된 거울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면은, 알루미늄, 금, 은, 동, 황동, 티타늄, 크롬, 니켈, 스테인리스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 상기 투명 보호필름 위에 증착 또는 도금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상기 거울면이 형성된 투명 보호필름은 접착제에 의하여 열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 및 상기 투명 보호필름은 방염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시트의 두께는 50 내지 150㎛이며,
    상기 투명 보호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는, 천장의 적어도 양단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에 의하여 연신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KR1020080091560A 2008-09-18 2008-09-18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KR20100032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60A KR20100032601A (ko) 2008-09-18 2008-09-18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PCT/KR2009/004633 WO2010032921A2 (ko) 2008-09-18 2009-08-20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60A KR20100032601A (ko) 2008-09-18 2008-09-18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01A true KR20100032601A (ko) 2010-03-26

Family

ID=4203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60A KR20100032601A (ko) 2008-09-18 2008-09-18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32601A (ko)
WO (1) WO201003292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59B1 (ko) * 2012-06-25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6239B1 (fr) * 2012-09-28 2015-03-13 Normalu Dalle de paroi formant miroir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telle dal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464Y1 (ko) * 1979-07-04 1980-09-13 이영일 거울 벽지
KR880003759Y1 (ko) * 1984-04-24 1988-10-20 이영일 거울벽지
JPH0231025Y2 (ko) * 1985-06-11 1990-08-21
KR890000070B1 (ko) * 1986-01-10 1989-03-07 이영일 거울벽지 및 그 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59B1 (ko) * 2012-06-25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러 효과를 갖는 외장 필름
US9028950B2 (en) 2012-06-25 2015-05-12 Lg Electronics Inc. Decoration film having mirror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2921A3 (ko) 2010-05-14
WO2010032921A2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2685A (en) Self-supporting interior surface panel
CA2648680C (en) A transparent acoustical laminate wall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same
CA2648576C (en) Building board for use as a carrier for a surface cladding of ceramic tiles, a stucco, or a thin-layer trowel mortar, on or in buildings
US10093073B2 (en) Honeycomb-based high temperature structural damper
CA2489426A1 (en) Decorative laminate for fibrous insulation products
JPH01228840A (ja) 断熱、防音パネル
US20070102238A1 (en) Acoustical panel using wood veneer
JP2017520700A (ja) パネル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7146400A (ja) 建築物の外断熱壁構造
KR20100032601A (ko) 건물 내부 마감용 미러 시트
WO2005066429A1 (en) Ceiling tile
JP2006316512A (ja) 建具構成芯材および建具構成芯材を用いた襖
JP4883984B2 (ja) レザー調ドア
JP6987504B2 (ja) 真空断熱材を収容する無機繊維材を用いた高密度断熱パネル
JP3091468U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積層体
JP2001038703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US20240165928A1 (en) Tile backer board
CN220500162U (zh) 一种复合装饰板材
CN215484255U (zh) 一种抗老化室内装饰板
RU2369712C1 (ru) Стеклян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CN109680821A (zh) 一种高效的多功能建筑墙体
CN209999812U (zh) 环保装饰板材
JP2007239404A (ja) 障子用のシート状部材及び障子用のシート状部材の貼り付け方法
JP6172861B2 (ja) 防火扉装置の製造方法
JPH06254815A (ja) 軽量木質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