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491A -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491A
KR20100031491A KR1020090086728A KR20090086728A KR20100031491A KR 20100031491 A KR20100031491 A KR 20100031491A KR 1020090086728 A KR1020090086728 A KR 1020090086728A KR 20090086728 A KR20090086728 A KR 20090086728A KR 20100031491 A KR20100031491 A KR 20100031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herbal
pad
release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548B1 (ko
Inventor
김희구
Original Assignee
김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구 filed Critical 김희구
Publication of KR2010003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548B1/ko
Priority to PCT/KR2010/00625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31116A2/ko
Priority to US13/395,347 priority patent/US9987220B2/en
Priority to EP10815661.3A priority patent/EP2478897B1/en
Priority to US15/974,009 priority patent/US109807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의 제조방법은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제조한 생약들을 방약한 약제의 총 무게에 대한 각 약재의 중량 비율로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중량 비율로 분리된 약재를 약향족에 방출 지속시간 설정에 따라 미분입자를 다르게 분쇄하는 약재 분쇄단계와, 분쇄된 약제를 혼합한 후 결착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생약 제조단계와, 생약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생약을 베이스 시트에 점착시키는 점착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 패드는 약재들에 따라 피부를 통하여 침투되는 지속성 및 방출속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약재층의 약효를 극대화 하고, 질병의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생약, 생약의 입자, 패드, 자석.

Description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pad for herb reme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약성분을 지속적으로 피부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생약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체의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 하는 방법은 전기영동작용을 이용하거나 전기 삼투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체의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것은, 약물이 투여되는 피부 부위에 이온들에 의해 약물이 피부를 통해 혈액으로 유주(游走)하게 된다. 특히 전기 삼투식의 경우, 물의 용액이 음(-)전극으로 끌려서, 작은구멍이 있는 막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투입이 활성화 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장치를 사용하는 극히 제한 된 상태로 이용된다. 미국특허 제2,493,155호, 제4,141,359호, 제4,250,878호, 제 3,163.166호, 제4,16 6,457호, 제4,273,135호, 제3,289,671호, 제4,239,052호, 제4,367,745호, 제3,677,268호, 제4,243,052호에는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사항은 미국특허 제3,289,671호 및 제4,141,359호에, 약투여의 속도는 전류의 함수이며 전류를 조절하는 것은 약물투여량을 알맞게 조절하는데 결정적이라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588,479호는 인체에 대해 전기적인 기능과 생약적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기생약 함유 패드에 관하여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 다.
한편, 이온도입요법이란 기존의 경구투여나 주사투여 등의 기존의 투약방식을 보완 또는 대체 할 수 있는 일종의 경피 약물투여방식으로서, 피부에 붙이는 패드에 의한 수동적인 약물수송과는 달리 전기적 유도에 의해서 능동적으로 피부를 통하여 수용성이온약물의 수송을 가능케 하는 방법이다. 이온요법장치는 피부에 약이 함유되어있는 약물패드를 밀착시키고, 약물패드에 자력에 의한 자극이나 전기적인 작극 즉, +, -극중 한극으로 대전된 이온상태를 유지하여 약물이 전기적인 반발력이나 자기적인 반발력에 의해 약물이온이 피부속으로 침투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냉감습포제 온감습포제 등이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85337호에는 이온화된 약물이 함유된 패드에 약물을 피부속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 0351788호에는 분리 가능한 저주파 치료용 패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398568호에는 저주파 치료기용 패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등록 제 0775675호에는 진동자극 패드 및 그 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는 약재층이 형성된 패드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약성분이 피부로의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피부로 침투되는 약물의 투입지속성을 고려하지 않고, 약물의 빠른 침투성만을 고려한 것이므로 지속적으로 약물을 피부에 침투시키기 어렵다. 특히 패치의 약제층을 이루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그 피부에 침투 율을 다르게 할 수 없다.
특히 식물성 생약 즉, 전초류, 생약, 잎류 생약, 뿌리 및 뿌리줄기 생약, 열매 및 종자류 생약, 꽃류 생약, 껍질류 생갹, 줄기류 생약, 주지류 등을 혼합하여 생약을 제조하는 경우 약리 작용에 따라 피부를 통한 침투시간 또는 침투량등을 조절하여 약물전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 또는 패치로부터는 이러한 작용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약향족에 따라 피부에 침투 지속시간, 약물의 방출시간 등을 다르게 하여 피부를 통하여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드에 전기적 자극, 또는 자력을 인가하여 피부로의 침투효율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가지 이상 방제한 생약의 약향족 방출지속시간 조절인 약물전달체계(DDS) 즉, 약리작용에 따라 방제한 생약의 성상유지와 상온에서 분쇄된 생약물질의 장기보존, 방출량 및 방출지속시간 조절이 가능하며, 피부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흡수되는 약물전달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 패드 및 이의 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의 제조방법은,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방약한 생약들을 약향족에 피부에 침투지속지간에 따라 분리하는 약향족 분리단계와,
약향족에 따라 분리된 약재를 침투지속시간에 따라 미분입자의 다르게 분쇄하는 약재 분쇄단계와,
분쇄된 약제에 결착제를 혼합하여 결착제와 혼합하는 생약 제조단계와,
상약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생약을 베이스 시트에 점착시키는 점착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착제는 꿀, 말토텍스트린, 천연 고분자 폴리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약 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약제에 저주파 또는 자력을 인가하기 위한 자석 또는 저주파 발생기를 설치하는 약제 흡수활성화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약패드는
베이스 시트와,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방약한 생약들을 약향족에 피부에 침투지속지간에 따라 분리하고, 약향족에 따라 분리된 약재를 투지속시간에 따라 미분입자가 다르게 분쇄되어 결착제와 혼합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 시트에 접착된 약재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 또는 약재층과 배이스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약재 침투 활성화 시기는 유닛으로 자력 발생부 또는 저주파 발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생약의 성분에 따라 피부를 통하여 침투되는 지속성 및 방출속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약재층의 약효를 극대화 하고, 질병의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는 마스크나 목걸이, 팔지 등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피부를 통하여 약제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가 상대적으로 간편하고, 나아가서는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은 피부 또는 호흡기를 통하여 약향족(약제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용 마스크, 목걸이, 팔지, 압박패드 등의 제조물에 부착하여 방제한 생약성분의 약물전달이 가능하며, 피부를 통하여 약제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품개발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 패드는 약향족에 따라 피부에 침투되는 침투시간 즉, 방출지속시간 조정하여 조화롭게 약제성분이 피부를 통하여 침투되어 병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드(10)는 무방직 천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11)와, 상기 베이스 시트(11)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는 약제층(12)과, 상 기 약제층(12)과 베이스 시트(11)의 사이 또는 베이스 시트(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저주파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는 약재 흡수활성화유닛(20)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11)는 무방직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 시트는 합성수지, 천연섬유, 종이, 천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 시트(11)에는 후술하는 약재 흡수 활성화 유닛인 자석 분말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약재층(12)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방약한 생약들을 약향족에 따라 분리되고, 분리된 약향족을 피부 침투 지속시간에 따라 분리되며 피부침투지속시간에 따라 분리된 약향족을 미분입자가 다르게 분쇄되어 결착재와 혼합(교반 캡슐화)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약향족은 피부침투지속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입자를 크게 (실질적으로 10 - 400㎛)로 함이 바람직하고, 피부 침투지속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기 위해서는 약향족의 입자를 10~15 ㎛로 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약향족의 방출지속시간을 1일에서부터 1년 이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생약입자 크기를 최소 10㎛에서 최대 400㎛로 미분률을 적용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가지 이상 방약한 생약제로부터 방출되는 각각의 고유 약향족이 일정기간까지 모두 지속방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약한 생약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에서부터 많은 생약 순서대로 최대 400㎛에서 최소 10㎛ 입자 크기의 미분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된 생약분말을 캡슐화 하는 결착제는 생약분말이 장기간 부패를 방지하고 보습성이 유지되는 말토덱스트린 또는 천연고분자 폴리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이 결착제의 사용 함량은 미분된 생약의 총 중량 비율의 40%(40/100)을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결착제와 생약분말의 교반속도는 100rpm이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착제로서 꿀을 사용하는 경우, 꿀의 보습성을 고려하여 분쇄된 약향족 100 중량부에 대해 80 내지 90 중량부를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재 흡수 활성유닛(20)은 약제층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피부로의 약제성분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약제층(12)과 베이스 시트(11)의 사이에 2500 내지 7000가우스 정도의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가 설치된다. 이 자성체는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에 자석분말층이 형성되거나 베이스 시트에 자석 분말에 함침되거나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재흡수활성유닛의 다른 예로서는 베이스 시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저주파 발생부(미도시)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약재층에 매립되는 저주파 전달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약재 흡수 활성화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피부로의 약성분의 침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데, 치료부위에 따라 특정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층의 상면에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보조시트(13)가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전 약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시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생약 패드는 마스크, 목걸이, 팔지, 압박패 드 등에 부착하여 이용될 수 있다. 팔지 또는 압박패드 , 목걸이의 경우, 생약 패드가 팔목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31)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약리효과에 따라 2가지 이상 방약한 생약으로 구성된 생약 패드는 신경통 관절염 어께결림 등 환부부위에 적합하도록 부착 변형이 가능하며, 사용목적에 따라 약향족 방출이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방출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2가지 이상의 방약한 생약의 입자크기 조절은 하기의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서 방출지속시간이 빨라지고 입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방출지속시간이 늦추어 진다는 분자물리학적 원리에 따른 것이다.
Figure 112009056519694-PAT00001
S : 미세한 입자의 방출량 S o : 비교적 큰 입자로 구성되는 고체의 방출량, γ: 입자의 표면 장력, V : 분자 용적 (㎤), r : 입자의 최종 반지름 (cm) R : 기체 상수 (8.314 x 107 erg/degmol), T : 절대 온도.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생약패드의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방약한 생약들을 약향족에 피부에 침투지속지간에 따라 분리하는 약향족 분리단계(S1)와, 약향족에 따라 분리된 약재를 침투지속시간에 따라 미분입자의 다르게 분쇄하는 약재 분쇄단계(S2)를 포함한다. 미분입자들의 크기 한정은 방제한 약재들의 중량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는데, 적은 약재들의 입자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서로다른 크기로 분쇄된 미분입자들을 고루 혼합한 한 후 분쇄된 약제에 결착제를 혼합하여 생약 제조단계(S3)와 상약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생약을 베이스 시트에 점착시키는 점착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생약 제조단계는 꿀, 말토텍스트린, 천연 고분자 폴리머 중의 하나인 결착제에 분쇄된 약재를 혼합한 후 결착제에 의해 약재입자들이 코팅되어 캡슐화 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단계는 베이스 시트에 생약을 코팅하는 것으로, 상기 패드의 약제에 저주파 또는 자력을 인가하기 위한 자석 또는 저주파 발생기를 설치하는 약제 흡수활성화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실험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본 실험에서는 피부병과 염증에 대한 방약으로 입자의 크기에 따라 방출지속 시간을 실험한 것이다. 동일한 함량으로 적소두 3g, 행인 4g, 마황, 연교, 생강, 대추, 상근백피 각 3g, 감초 1g를 약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행인(4g)을 10 ㎛(생약의 물리적 성상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분쇄단위)로 분쇄하고, 적소두,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를 15㎛로 분쇄하였으며, 감초를 40㎛로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약재의 총 무게를 기준 중량부 기준중량부에 대해 꿀을 80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시트에 도포하여 5mm의 약제층을 형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된 한약패드를 소정의 크기(50mmX50)로 절단하여 시료를 제조하고 이를 환부에 부착하여 약제층으로부터 약물을 방출속도와 시간을 측정하였다. 약물의 방출량은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약재 성분 즉, 약효의 잔존 여부를 원자 분석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약재층의 방출정도는 피부에 무릎에 24 시간 부착한 후 방출량을 검출하였다. 24시간 적소두는 방출이 초기 방출량의 45% 로 나타났으며 행인은 40%,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는 초기 방출량 45%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굵은 감초는 초기 방출량의 40%로 방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실험을 통하여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재의 양에 관계없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약제의 방출시간과 방출량이 상대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1
방약한 생약무게(g) 분쇄 입자크기(㎛) 방출비율( %) 비 고
감초 1 40 40
적소두 3 15 45
마황 3 15 45
연교 3 15 45
대추 3 15 45
상근백피 3 15 45
생강 3 15 45
행인 4 10 40
실험예 2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된 약제중 상기 적소두의 입자크기를 20㎛로 분쇄하고, 행인(4g)을 20 ㎛로 분쇄하고,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를 20㎛로 분쇄하였으며, 감초를 25㎛로 분쇄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약재의 총 무게를 기준 중량부 기준중량부에 대해 꿀을 90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시트에 도포하여 5mm의 약제층을 형성하였다.
약재층의 방출정도는 피부에 무릎에 7일을 부착한 후 방출량을 검출하였다. 적소두는 방출이 초기 방출량의 10% 로 나타났으며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는 초기 방출량 10.3%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굵은 감초는 초기 방출량의 20%로 방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된 약제중 상기 적소두의 입자크기를 370㎛로 분쇄하고, 행인(4g)을 375 ㎛로 분쇄하고,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를 375㎛로 분쇄하였으며, 감초를 300㎛로 분쇄하였다.
이 실험에서 상기 약제층의 방출정도는 피부에 무릎에 7일을 부착한 후 방출량을 검출하였다. 적소두의 방출이 초기 방출량의 11% 로 나타났으며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는 초기 방출량 11.2%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굵은 감초는 초기 방출량의 5%로 방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제조된 약제층의 베이스 시트에 2600가우스의 자석을 부착하여 동일조건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이 실험에서 상기 약제층의 방출정도는 피부에 무릎에 24시간 부착한 후 방출량을 검출하였다. 적소두의 방출이 초기 방출량의 3% 로 나타났으며 마황, 연교, 대추, 상근백피는 초기 방출량 3.5%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입 자가 굵은 감초는 초기 방출량의 3%로 방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생약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패드 제조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럭도.

Claims (5)

  1.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방약한 생약들을 약향족에 피부에 침투지속지간에 따라 분리하는 약향족 분리단계와,
    약향족에 따라 분리된 약재를 침투지속시간에 따라 미분입자의 다르게 분쇄하는 약재 분쇄단계와,
    분쇄된 약제에 결착제를 혼합하여 생약을 제조하는 생약 제조단계와,
    상약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된 생약을 베이스 시트에 점착시키는 점착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 패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제는 말토텍스트린, 천연 고분자 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 패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제조단계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약제에 저주파 또는 자력을 인가하기 위한 자석 또는 저주파 발생기를 설치하는 약제 흡수활성화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의 제조방법.
  4. 베이스 시트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방약 또는 약리작용에 따라 방제한 생약들을 약향족의 방출지속시간 설정에 따라 미분입자 크기가 다르게 분쇄되어 결착제와 혼합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 시트에 접착된 약재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 패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 또는 약재층과 배이스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약제 흡수활성화유닛을 더 구비하며, 이 약제 흡수 활성화 유닛은 자성체 또는 저주파 발생기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 패드.
KR1020090086728A 2008-09-12 2009-09-14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6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250 WO2011031116A2 (ko) 2009-09-14 2010-09-14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3/395,347 US9987220B2 (en) 2008-09-12 2010-09-14 Pad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0815661.3A EP2478897B1 (en) 2009-09-14 2010-09-14 Pad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5/974,009 US10980752B2 (en) 2009-09-14 2018-05-08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0532 2008-09-12
KR1020080090532 2008-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491A true KR20100031491A (ko) 2010-03-22
KR100976548B1 KR100976548B1 (ko) 2010-08-17

Family

ID=4218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728A KR100976548B1 (ko) 2008-09-12 2009-09-14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87220B2 (ko)
KR (1) KR100976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0752B2 (en) * 2009-09-14 2021-04-20 Bm Biotechnology Co., Ltd.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947662A1 (en) 2014-05-21 2015-11-25 Condalign AS A method for arranging particles at an interface
CA3147969A1 (en) 2019-08-29 2021-03-04 Saurav S. Sengupta Method of making a homogeneous mixture of polyolefin solids and liquid additiv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19A (zh) * 1991-07-08 1991-11-27 北京无线电磁性材料厂 一种药磁的制造工艺
KR100245836B1 (ko) * 1997-01-22 2000-05-01 이양희 저주파 발생습포제
KR100373447B1 (ko) 2000-07-04 2003-02-25 강진양 약용탄을 이용한 파프제
US20020147424A1 (en) * 2000-12-26 2002-10-10 Alvin Ostrow Transdermal magnetic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0358819B1 (ko) 2001-06-12 2002-10-25 김기홍 생약 패취제
US20040247654A1 (en) 2003-06-05 2004-12-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drophilic adhesives for delivery of herbal medicines
JP4596751B2 (ja) 2003-06-11 2010-12-15 帝國製薬株式会社 消炎鎮痛貼付剤
US20080131493A1 (en) * 2004-01-02 2008-06-05 Haitham Matloub Method and Multilayered Device for Controlled Topical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the Skin
KR100564659B1 (ko) * 2004-06-08 2006-03-29 정영애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찜질용 패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 찜질 파스
WO2006034249A2 (en) * 2004-09-20 2006-03-30 Acrymed, Inc. Antimicrobial amorphous compositions
CA2615368A1 (en) * 2005-07-15 2007-01-25 Tyco Healthcare Group Lp Wound dressing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011051A1 (en) * 2006-09-28 2009-01-08 Roth Mark B Methods, Composition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HIF Modulating Compounds
TWI487542B (zh) * 2012-12-06 2015-06-11 Ind Tech Res Inst 生物可吸收多孔性薄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87220B2 (en) 2018-06-05
KR100976548B1 (ko) 2010-08-17
US20120209056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bert et al. Regional expression of c-fos antigen in the basal forebrain following intraventricular infusions of angiotensin and its modulation by drinking either water or saline
KR200475385Y1 (ko) 지압패치구
WO2007030477A3 (en) Solid solution perforator containing drug particle and/or drug-adsorbed particles
Hyacinthe et al. Electrically enhanced drug delivery for the treatment of soft tissue sarcoma
NO920521D0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administrering av deksmedetomidin transdermalt
US20180325836A1 (en) Ultrasonic transducers suitable for ultrasonic drug delivery via a system, which is portable and wearable by the patient
US6506403B1 (en) Treatment patch
KR100976548B1 (ko)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10558A (zh) 一种药物器械组合成的用于治疗心血管疾病的药盒
BRPI0411032A (pt) composição adesiva hidrófila, artigo médico,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a composição adesiva, e, dispositivo de administração transdérmica
WO2004087065A3 (en) Compositions for induction of a therapeutic response
IL173481A0 (en) Polysaccharide double-layer microcapsules as carriers for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oral administration
KR102388120B1 (ko) 미세전류가 공급되는 당뇨치료용 인슐린 경피약물 전달 패치
WO2011031116A2 (ko) 약재 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생약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80752B2 (en) Device for herbal medicine in which release of medicinal ingredient can be control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S62252717A (ja) 経皮投薬用皮膚処理剤
CN108272929A (zh) 一种粗盐热敷用缓释中药包及其制备方法
JP2006036743A (ja) 外用貼付剤
US11076996B2 (en) Bandages for supplying ozone therapy
CN104127078B (zh) 一种芳香保健枕套
US20240009262A1 (en) Cleansing pad and composition for reducing toxins
KR20130011014A (ko) 관절 통증 완화를 위한 관절 보호용 패드
CN109692327A (zh) 一种蜂毒肽的应用及运载蜂毒肽的纳米颗粒的应用
CN102309535B (zh) 一种治耳鸣的中药药贴
JP2005245851A (ja) 活性お灸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