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090A -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090A
KR20100029090A KR20097026640A KR20097026640A KR20100029090A KR 20100029090 A KR20100029090 A KR 20100029090A KR 20097026640 A KR20097026640 A KR 20097026640A KR 20097026640 A KR20097026640 A KR 20097026640A KR 20100029090 A KR20100029090 A KR 20100029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manifold
passag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704B1 (ko
Inventor
에릭 더블유. 누만
토드 더블유. 라르센
Original Assignee
테스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1917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290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스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테스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2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34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 F17C2205/0142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bundl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34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 F17C2205/0146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with details of the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3Carbone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07Single phase
    • F17C2223/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5High pressure (>10 b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6Very high pressure (>80 b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07Single phase
    • F17C2225/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5High pressure, i.e. between 10 and 80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6Very high pressure, i.e. above 80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1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vessel by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3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pressure casc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2Applications for medical applications
    • F17C2270/025Breat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43Integral resilient member forms plura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571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10T137/87676With flow control
    • Y10T137/87684Valve in each in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Lift Valv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유체 분배 시스템은 다수의 유체 공급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출구 포트를 가지는 매니폴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된 다수의 밸브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매니폴드 및 밸브는 모든 유체 흐름 연결부가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매니폴드에 대하여 외부에 있는 것이 요구되는 상기 파이핑의 수를 감소하거나 및/제거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밸브는 상기 매니폴드내로 쉽게 설치되고 그것으로부터 제거되는 간단한 카트리지형 장치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 컨테이너, 유체 출구 포트, 매니폴드, 밸브, 카트리지형 장치

Description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S TO DISPENSE FLUID FROM A BANK OF CONTAINERS AND TO REFILL SAME}
본 발명은, 2006년 3월 20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1/384,613 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2007년 2월 13일자 출원된 국제출원번호 PCT/US2007/004123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합체된다. 또한, 2007년 6월 15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 60/944,406 호의 우선권 이점이 청구되고,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합체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체 송출 장치(fluid delivery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련의 컨테이너(a bank of container)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refill)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산소, 천연 가스, 프로판, 이산화 탄소 등을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와 같은 유체 컨테이너를 충전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예를 들면 저장 탱커(storage tanker)에 많은 양의 유체를 저장하는 것과, 상기 컨테이너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 탱커로 보다 작은 이동성 유체 컨테이너(smaller, mobile fluid container)를 이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공지된 방법은, 예를 들면 큰 이동성 저장 탱커(예를 들어, 트레일러에 세워진 저장 탱커)에서 많은 양의 유체를 저장하는 것과, 현장에서(on-site) 재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성 저장 탱커를 고객의 위치(customer location)로 나르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작은 휴대용 컨테이터를 빈번하게 충전하는 사용자는 큰 양의 유체를 국지적으로(locally) 종종 저장한다. 예를 들면, 소방서(fire department)는 소방관을 위하여 이동성 산소 탱크를 현장에서 재충전하도록 소방서의 설비내에 산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천연 가스 취급자들은 보다 작은 고객용 유체 컨테이너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천연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현장에서 재충전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은, 단일의 비교적 큰 유체 저장 컨테이너에 유체를 저장하는 것과, 상기 큰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충전될 컨테이너(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이동성 컨테이너)로 이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적절한 재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에 필요한 비교적 큰 단일 유체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다 작은 저장 컨테이너는 유체 분배 캐스케이드 시스템(fluid dispensing cascade system)과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다수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를 다수의 시이퀀스 밸브(sequence valve)를 거쳐서 조절기에 연결하거나 또는 유체적으로 커플링(fluidly coupling)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로부터의 유체로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유체 컨테이너를 재충전하기 위하 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중의 하나에서의 압력이 충분히 고갈될 때에(예를 들어, 재충전 작동 동안에), 시이퀀스 밸브는 비교적 고압을 가지는 저장 컨테이너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저장된 유체의 송출(delivery)을 가능하게 한다. 공지된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시이퀀스 밸브 및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다른 구성품을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유체 라인을 요구하는 복잡한 구현을 종종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설치 및 유지 목적을 위하여 공지된 캐스케이드 시스템을 조립 및 분해하는 것은 시간이 소비되고 비싸게 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 방법 및 장치는,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 유체 분배 시스템은, 유체를 분배하기 위한 유체 출구 포트를 가지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 결합되는 유체 밸브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유체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된다. 상기 유체 밸브는 상기 제 2 유체 저장 컨테이너 및 유체 출구 포트사이의 제 1 유체 흐름 통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유체 밸브는 본넷트(bonnet)와, 상기 본넷트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넷트는 본넷트 내면을 한정하는 본넷트 캐비티(bonnet cavity), 본넷트 외면 및, 상기 본넷트 외면 및 본넷트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압력 감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외면 및, 베이스 내면을 한정하는 베이스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외면과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입구 통로와, 상기 베이스 외면과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출구 통로 및, 상기 베이스 외면과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2 압력 감지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및 본넷트 캐비티 내의 밸브 요소는 상기 유체 입구 통로 및 유체 출구 통로를 통한 유체 흐름 통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매니폴드는 제 1 유체 밸브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는 제 1 유체 저장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유체 입구 포트와, 제 2 유체 저장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유체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제 1 유체 입구 포트와 제 2 유체 입구 포트를 경유하여 수용되는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출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이중 첵크 밸브 장치(dual check valve device)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제 1 첵크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중 첵크 밸브는 상기 제 1 첵크 밸브에 인접하여 하우징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첵크 밸브와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는 제 2 첵크 밸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외면과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입구 통로와, 상기 베이스 외면과 상기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출구 통로와, 상기 베이스 외면과 상기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압력 감지 통로 및, 상기 베이스 외면과 상기 베이스 캐비티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2 압력 감지 통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및 본넷트 캐비티 내에서, 밸브 요소는 상기 유체 입구 통로 및 유체 출구 통로를 통해서 유체 흐름 통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베이스의 제 1 압력 감지 통로와 소통되는 제 1 유체 통로와, 상기 베이스의 제 2 압력 감지 통로와 소통되는 제 2 유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련의 유체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cascade system)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따른 실시예 유체 흐름 통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시스템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한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련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또한 재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 도 5C는, 매니폴드 일체식(manifold-integrated) 재충전 회로를 사용하여 일련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재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정면도,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도 6은 도 5A 내지 도 5C의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 및 다수의 밸브를 도시하는 등각도이다.
도 7은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의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의 등각도이다.
도 8은 매니폴드내에 형성된 다수의 유체 통로를 도시하는 도 5A 내지 5C, 도 6 및 도 7의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의 등각도이다.
도 9는 다수의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 내지 8의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의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 내지 10E는 각각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 내지 9의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의 단부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B, 5C, 6 및 9의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 중의 하나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된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시이퀀스 밸브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장치 및 방법은 일련의 유체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또한 일련의 유체 컨테이너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일련의 유체 컨테이너는, 예를 들면 충전 스테이션 적용(filling station application)에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기 위하여 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장치 또는 시스템은 호흡할 수 있는 산소(breathable oxygen), 수소, 천연 가스, 이산화탄소, 또는 어떠한 다른 유체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 구현에서, 컨테이너(예를 들어, 바틀(bottle), 탱크, 유체-고갈 컨테이너(fluid-depleting container), 등)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는 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거나 또는 연결되며, 제 1 유체 저장 컨테이너(예를 들어, 최저 압력을 가지는 제 1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 송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기가 켜지게 된다. 충전되는 상기 컨테이너내의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의 압력에 도달할 때에,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상기 충전되는 컨테이너의 압력이 제 1 저장 컨테이너에서의 압력을 초과한 이후에,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보다 비교적 더 높은 압력을 가지는 다른 저장 컨테이너(예를 들어, 다음 차례 컨테이너)로부터 유체 흐름이 충전되는 컨테이너로 유체를 계속해서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식으로,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충전되는 컨테이너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체 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어지는 비교적 고압의 저장 컨테이너(예를 들어, 순차적으로)에 대응하여 유체 송출 흐름 통로를 자동적으로 가능(예를 들어,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종래 시이퀀스 밸브를 커플링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양의 유체 라인을 사용하여서 구현되는 공지된 캐스케이드 시스템과는 다르게, 본원에 기재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상기 시이퀀스 밸브를 수용하고 유체적으로 커플링하도록 형성되는 매니폴드를 사용하여 구현되며, 따라서 상기 시이퀀스 밸브 및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다른 구성품을 커플링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유체 라인의 수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킨다.
파이핑(piping) 또는 유체 라인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은 설치 및 유지 절차동안에 조립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요구되는 유체 라인의 요구되는 양을 감소시키는 것은, 마모, 오작동(malfunction), 또는 실패될 수 있는 구성품의 수를 감소시키며, 이것은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과 관련되는 전체 유지 시간 및 가격을 감소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 매니폴드는 제한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외부 형상은 분리된 외부 경계에 의하여 한정된다. 예를 들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는 직사각형 블록 형상을 닮고 있다. 상기 매니폴드는 다수의 시이퀀스 밸브 개구(예를 들어, 나사 개구, 포트, 리셉터클(receptacle) 등)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각각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시이퀀스 밸브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흐름 통로의 불능(예를 들어, 폐쇄) 및 가능(예를 들어, 개방)에 의해 상기 시이퀀스 밸브가 흐름 통로를 자동적 그리고 순차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상기 시이퀀스 밸브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유체를 각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의 입구 및 출구 포트를 연결하도록 다수의 유체 흐름 통로(passasgeway or path)가 상기 매니폴드에 형성된다. 독립식 형상(stand-alone configuration)를 가지고 다른 시이퀀스 밸브에 연결하기 위하여 유체 라인을 요구하는 공지된 시이퀀스 밸브와는 다르게,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는 상기 매니폴드의 시이퀀스 밸브 개구에 직접 플러그되거나(plug directly into),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그것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형 몸체(cartridge-like body)를 사용하여 서 구현된다. 이와 같이 시이퀀스 밸브는 상기 매니폴드에 의하여 한정과 여러가지 흐름 통로와 직접 유체 소통한다.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그것에 연결되는 일련의 저장 컨테이너에 유체의 재충전(즉,다시 채움, 다시 보충 등)을 가능하게 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에 연결되는 저장 컨테이너의 재충전의 가능 및 제어를 위하여, 재충전 컨테이너 또는 재충전 유체 공급부로부터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로의 재충전 흐름 통로를 가능(예를 들어, 개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재충전 회로가 구현된다. 몇몇의 실시예 구현에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는 상기 시이퀀스 밸브의 유체 송출 작동을 간섭하거나 또는 중단하지 않고 재충전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를 동시에 재충전하면서 일련의 상기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상기 유체 라인의 양을 더 감소시키기 위하여, 한 실시예 매니폴드는 첵크 밸브와 매니폴드사이의 어떠한 중간 커플링 유체 라인을 요구하지 않고 첵크 밸브(예를 들어, 단방향 흐름 밸브, 일방향 흐름 밸브, 유체 흐름을 한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한 밸브 등)를 직접 수용하기 위한 첵크 밸브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첵크 밸브를 직접 수용한다. 상기 첵크 밸브를 다른 장치(예를 들어, 시이퀀스 밸브, 조절기 등)에 연결하기 위하여 유체 라인을 요구하는 공지된 첵크 밸브와는 다르게,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첵크 밸브는,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의 첵크 밸브 개구에 플러그 결합하거나(plug into), 그것과 상호결합하거나, 또는 그것을 작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카트리지형 외부 또는 카트리지형 몸체를 구비한다. 유체 송출 및 재충전 작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품(예를 들어, 시이퀀스 밸브 및/또는 다른 첵크 밸브) 또는 매니폴드 부분에 상기 첵크 밸브를 유체적으로 커플링하거나 또는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매니폴드에 다수의 유체 통로가 형성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한 실시예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는 단일 하우징에서 2개의 첵크 밸브를 포함한다. 각각의 첵크 밸브는 각각의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가 2개의 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의 첵크 밸브중의 하나는, 상기 다른 첵크 밸브가 상기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 송출을 할 수 있게 하는 동안에 저장 컨테이너로 유체 재충전 흐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시, 일련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즉, 산소, 천연 가스, 프로판, 수소 등)를 송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1 및 2를 참조한다.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은 다수의 시이퀀스 스테이지(stage)(106a,106b 및 106c)를 가지는 매니폴드(104)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이퀀스 스테이지(106a,106b 및 106c)는 상기 매니폴드(104)에 직접, 즉 어떠한 중간의 유체 라인 또는 파이핑도 없이 연결되는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108a,108b 및 108c)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108a,108b 및 108c)는 상기 유체 저장 컨테이너(102a,102b 및 102c)의 각각 하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조절기(110)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102a 내지 102c)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체를 가지고 유체 컨테이너(예를 들어, 유체-고갈 컨테이너, 재충전가능한 컨테이너, 바틀, 압력 용기(pressure vessel) 등)를 충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102a 내지 102c) 각각은 다수의 첵크 밸브(114a,114b 및 114c)중의 각 하나를 거쳐서 상기 매니폴드(104)에 연결된다. 상기 첵크 밸브(114a 내지 114c)는 단지 한 방향(예를 들어,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를 향한 유체 흐름)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고, 따라서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 또는 어떠한 다른 소스(source)로부터 상기 저장 컨테이너(102a 내지 102c)내로의 유체 역류(fluid backflow)를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첵크 밸브(114a 내지 114c)는 각각의 첵크 밸브 유체 라인(116a 내지 116c)를 거쳐서 상기 매니폴드(104)에 연결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 구현(예를 들어, 도 5A 내지 5C 및 도 6 내지 9와 관련하여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500))에서, 매니폴드(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 내지 9의 매니폴드(504))는 요구되는 유체 라인의 양을 감소시키고 또한 조립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어떠한 중간 유체 라인 또는 파이핑도 없이 그것에 직접 연결되는 각각의 첵크 밸브 카트리지(예를 들어, 도 5B,5C, 도 6 및 9의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를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102a 내지 102c)가 상기 유체 컨테이너(102a 내지 102c)에서 저장되는 유체로 컨테이너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컨테이너(118)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108a 내지 108c)는 상기 매니폴드(104)로부터의 압력 출력이 상기 컨테이너(118)를 충전하도록 상기 컨테이너(118)내의 압력에 비하여 충분히 높도록 보장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상기 유체 컨테이너(102a 내지 102c)의 각각으로부터 송출을 활성화시킨다. 작동 동안에, 상기 조절기(110)에 상기 컨테이너(118)를 연결한 이후, 유체는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02a)로 부터 상기 제 1 스테이지 첵크 밸브(114a)를 통하여 제 1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20)를 경유하여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로 송출된다(도 2).
상기 컨테이너(118)에서의 압력 크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118)는 압력 감지 포트(122)에 연결되거나 또는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상기 압력 감지 포트(122)는 상기 매니폴드(104)에 형성된 압력 감지 통로(124)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 감지 통로(124)는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108a 내지 108c)의 압력 감지 통로(126a 내지 126c)에 연결되어 압력 감지 흐름 통로(128)를 형성한다(도 2). 상기 컨테이너(118)에서의 유체 압력은 상기 시이퀀스 밸브(108a 내지 08c)의 각각이 충전 프로세스동안에 상기 컨테이너(118)에서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감지 흐름 통로(128)를 거쳐서 커플링된다.
상기 컨테이너(118)에서의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02a)에서의 압력에 대한 특정 레벨로 상승할 때에,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08a)는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02b)와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사이의 제 2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30)(도 2)를 자동적으로 가능(예를 들어, 개방)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02b)는 상기 제 2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30)를 거쳐서 상기 컨테이너(118)로 유체를 송출하기 시작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02b)로부터의 유체는, 제 2 스테이지 첵크 밸브(114b), 제 1 스테이지 입구 포트(132a), 제 1 시이퀀스 밸브(108a)를 통하여, 그리고 제 1 스테이지 출구 포트(134a)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 1 컨테이너 유체 송출 흐름 통로(120)는 상기 제 2 유체 송출 통로(130)가 작동할 때에 실질적으로 불능(예를 들어, 폐쇄)하게 되고,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08a) 및 제 1 첵크 흐름 밸브(114a)는 상기 제 2 스테이지 컨테이너(102b)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02a)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컨테이너(118)내의 압력이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02b)내의 압력에 대하여 특정 레벨로 증가할 때에,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08b)는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02c)와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사이의 제 3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36)(도 2)를 자동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02c)는 상기 제 3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36)를 거쳐서 유체를 송출하기 시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36)는, 제 3 스테이지 첵크 밸브(114c), 제 2 스테이지 입구 포트(132b),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08b), 제 2 스테이지 출구 포트(134b), 상기 제 1 스테이지 입구 포트 (132a), 제 1 시이퀀스 밸브(108a), 상기 제 1 스테이지 출구 포트(134a)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2)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몇몇의 실시예 구현에서, 부가의 저장 컨테이너(예를 들어, 제 4 저장 컨테이너)(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매니폴드(10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컨테이너(118)는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02c)의 유체 압력보다 비교적 더 높은 유체 압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유체 송출이 조절기(110)를 통하여 차단되고 상기 컨테이터(118)가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로부터 분리될 때에, 상기 시이퀀스 밸브(108a 내지 108c)는 상기 제 2 및 제 3 컨테이너 유체 송출 흐름 통로(136 및 130)를 불능케 하고, 따라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는 충전될 어떠한 연속적인 컨테이너용의 제 1 컨테이너 유체 송출 흐름 통로(120)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된 프로세스가 3개 또는 4개의 저장 컨테이너로부터 유체 송출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할지라도, 상기 컨테이너(118)에서의 원하는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02a)가 유체를 연속적으로 송출하지 못하는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상기 컨테이너(118)는 상기 제 2 또는 제 3 저장 컨테이너(102b 및 102c)와 관련된 유체 송출 통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충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와 관련하여서 상술된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08a 내지 108c)와,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과 관련하여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한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의 작동은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서 상술된 시이퀀스 밸브(108a 내지 108c)의 작동과 실질적으 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시이퀀스 밸브(300)는 상기 제 1 및/또는 저장 컨테이너(302a 및 302b)에 저장된 유체를 가지고 컨테이너(304)를 충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유체 저장 컨테이너(302a) 및 제 2 유체 저장 컨테이너(302b)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와 상기 컨테이너(304)사이의 유체 흐름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베이스 외면(308) 및, 베이스 내면(312)를 한정하는 베이스 캐비티(310)를 구비하는 베이스(306)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306)는 밸브 입구 통로(314)(예를 들어, 도 2의 입구 포트(132a 및 132b))와, 밸브 출구 통로(316)(예를 들어, 도 2의 스테이지 출구 포트(134a 및 134b))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입구 통로(314)는 상기 베이스 외면(308)과 베이스 내면(312)사이에서 연장하고, 흐름 통로(예를 들어, 도 2의 상기 제 2 컨테이너 유체 송출 통로(138))를 제공하여 유체가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 베이스 캐비티(310)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밸브 출구 통로(316)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310)로부터 상기 베이스 외면(308)까지 연장하고, 베이스 캐비티(30)로부터 상기 충전 컨테이너(304)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제 2 컨테이너(302b)로부터의 유체용 흐름 통로(예를 들어, 제 2 컨테이너의 유체 송출 통로(130)를 제공한다.
상기 시이퀀스 밸브(300)가 상기 컨테이너(304)에서 유체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306)는 상기 베이스 외면(308)과 베이스 내면(312)사이에서 연장되는 충전 압력 감지 통로(318)(예를 들어, 도 1의 상기 압력 감지 통로(126a 내지 126c))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압력 감지 통로(318)는 유체 압력이 상기 컨테이너(304)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310)까지 연결하도록 하기 위한 통로(예를 들어, 도 2의 압력 감지 흐름 통로(128))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본넷트 외면(322)과, 본넷트 내면(326)을 한정하는 본넷트 캐비티(324)를 가지는 본넷트(32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에서 압력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넷트(320)는 상기 본넷트 외면 및 내면(322 및 326)사이에서 연장하는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는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에 연결되거나 커플링되게 하여,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로부터 상기 본넷트 캐비티(324)의 저장 압력 챔버(329)로의 유체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306)는 내압 밀봉(pressure-tight seal)을 형성하고 다수의 밸브 구성품을 밀폐하기(encapsulate) 위하여 상기 본넷트(320)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306) 및 상기 본넷트(320)는 스프링 리테이너(retainer)(332)에 연결되고 상기 본넷트 캐비티(324)와 미끄럼가능하고 밀봉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스톤(330)을 캡슐화한다. 상기 피스톤(330)은 저장 압력 감지면(334)과,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334)에 대향된 충전 압력 감지면(336)을 가진다.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에서의 압력은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334)에 힘을 적용시키며, 상기 컨테이너(304)에서의 압력은 상기 충전 압력 감지면(336)에 힘을 적용시킨다.
상기 컨테이너(304)에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그것을 통하여 형성되는 밸브 스템 통로(340)를 가지는 밸브 스템(338) 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304)에서의 유체 압력은 상기 본넷트 캐비티(324)의 압력 챔버(343)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스템 통로(340)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밸브 스템측 포트(342)를 통하여 상기 충전 압력 감지 통로(318)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체 압력은 스프링 리테이너 챔버(346)를 충전하기 위하여 스프링 리테이너측 포트(344)를 통하여 연결되고, 이것은 상기 컨테이너(304)에서의 압력이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334)에 적용되는 힘(예를 들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의 압력)에 대항하는 상기 충전 압력 감지면(336)에 대한 힘을 적용시키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상기 압력 감지면(334 및 336)에 적용되는 대치하는 힘간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서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 상기 컨테이너(304)로의 흐름 통로(예를 들어, 도 2의 제 2 컨테이너 유체 흐름 통로(128))를 작동 가능(예를 들어, 개방) 및 불능(예를 들어, 폐쇄) 시킨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의 흐름 통로를 불능 및 가능토록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스템(338)은 플러그부(plug portion)(348)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스템(338)은 폐쇄된 위치로 도시되고,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부(348)는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 유체 통로를 불능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이들사이의 밀봉부를 발생시키는 밸브 시트(350)와 접하거나 또는 그것과 결합한다. 상기 밸브 시트(350)는 상기 밸브 시트(350)와 상기 플러그부(348)사이의 내압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폴리머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 상기 유체 통로를 가능 또는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 스템(338)은 상기 본넷트(320)를 향하여 상기 밸브 시트(350)와 플러 그(348)사이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348)가 상기 밸브 시트(350)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그 다음, 유체는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354)의 측부 포트(352)를 통하여 상기 밸브 출구 통로(316)를 향하여 흐르게 된다.
상기 밸브 스템(338) 및 상기 플러그(348)의 운동은 상기 피스톤(3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상기 피스톤(330)이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면, 상기 밸브 스템(338)과 플러그(348)는 또한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의 흐름 통로를 가능하게 위하여 개방위치로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330)이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게 된다면, 상기 밸브 스템(338)은 또한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로부터 상기 플러그(348)를 상기 밸브 시트(350)과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 흐름 통로를 불능케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330)은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334)과 상기 충전 압력 감지면(336)상의 대치하는 힘간의 차이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그것에 응하여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컨테이너(304)에서의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에서의 압력보다 더 작게 될 때에 상기 피스톤(330)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330)에 압력 편향(pressure bias)을 제공하도록,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332)와 스프링 시트(358)사이에서 갇힌(captured) 편향 스프링(bias spring)(356)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356)의 편 향력은 편향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편향 압력은 250 파운드 퍼 스퀘어 인치(pound per square inch)(PSI)로 설정되면, 상기 피스톤(330)은 상기 컨테이너(304)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에서의 압력보다 더 작은 압력차에 도달할 때에 개방 밸브 위치로 이동(예를 들어,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를 향하여 슬라이드)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편향 스프링(356)의 힘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과 상기 컨테이너(304)의 압력의 합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302a)의 압력을 초과하게 될 때에, 상기 피스톤(330)은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와 컨테이너(304)사이의 흐름 통로를 가능 또는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 위치로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56)의 편향력은 응용 의존성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50 psi, 100psi, 250psi, 400psi 등과 같은 소정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이 어떠한 적절한 편향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의 상기 매니폴드(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매니폴드(104))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예를 들어, 도 1 및 2의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의 밸브 유지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306)는 카트리지형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의 카트리지형 몸체는 다수의 유체 라인을 상기 밸브 통로(또는 포트)(314, 316 및 318)에 분리되거나 및/또는 연결함이 없이 매니폴드에 쉽게 플러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통로(328), 상기 충전 압력 감지 통로(318) 및 상기 시 이퀀스 밸브 입구 통로(314)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다수의 o-링 및 정적인 밀봉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 압력 감지 포트(328)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가 상기 본넷트 캐비티(324)의 저장 압력 챔버(329)내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330)은 o-링(360)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302b)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본넷트 캐비티(324)내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스템(338)은 상부 o-링(362)를 구비하고, 상기 스템 슬리브(354)는 정적인 밀봉부(static seal)(364)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시트(358)는 정적인 밀봉부(366)를 구비한다. 상기 충전 압력 감지 통로(318)로부터 흐르는 유체가 상기 베이스 캐비티(310)의 다른 부분 내로 새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 스템(338)은 하부 o-링(368)을 구비한다.
도 4는 일련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또한 그것을 재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400)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400)은 도 1 및 2와 관련하여서 상술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고, 도 3의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다수의 시이퀀스 밸브를 사용하여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로부터 유체를 컨테이너(404)로 송출하는 것에 부가하여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400)은 또한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에서 유체를 재충전하거나 다시 채울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재충전 능력 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가 예를 들면 고갈되고 다시 채우거나 재충전을 요구할 때에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400)로부터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를 분리하거나 끊기 위한 요구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가 유지 목적으로 분리될 수 있을지라도, 상기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는 이들이 비게 될 때에 이들의 유체 공급을 다시 채우는 목적을 위하여 제거될 필요가 없다. 그 대신에,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는, 예를 들면 저장 탱커(예를 들어, 이동가능한 트레일러 탱커, 야외의 정지성 탱커 등), 압축기 등과 같은 유체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출되는 유체를 사용하여서 재충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400)은 각각의 재충전 첵크 밸브(401a 내지 410d)를 거쳐서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 각각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재충전 유체 라인(408)을 구비하는 재충전 회로(406)를 포함한다. 유체 공급부는 재충전 입구(412)를 거쳐서 재충전 회로(406)에 연결된다. 상기 재충전 입구(412)에 공급되는 유체는 최저압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를 재충전한다. 특히, 상기 재충전 유체는 최소 압력을 가진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중의 하나에 연결되는 흐름 통로를 따르고, 해당 컨테이너를 1차적으로 재충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제 1 차 저장 컨테이너의 압력이 다음의 최저압을 가지는 저장 컨테이너의 압력 레벨과 매칭되는 압력 레벨로 증가한 이후에, 상기 재충전 유체는 양쪽의 저장 컨테이너로 동시에 흐르기 시작한다. 모든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에서의 압력 레벨이 동일하 게 될 때에, 상기 모든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가 원하는 레벨 및/또는 압력으로 충전될 때까지, 상기 재충전 유체는 상기 모든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를 동시에 채우게 된다. 작동 동안에, 상기 저장 컨테이너(402a 내지 402d)에서의 압력 레벨이 서로 다른 비율로 고갈될 때에, 상기 재충전 첵크 밸브(410a 내지 410d)는 보다 높은 압력의 저장 컨테이너로부터의 유체가 보다 낮은 압력의 저장 컨테이너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매니폴드 일체식 재충전 회로를 사용하여 일련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로부터 유체를 분배하여 재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500)의 정면도, 평면도 및 단부도이다.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500)은 도 8, 9 및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충전 회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유체 라인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곳내에 형성되는 유체 재충전 회로(505)를 구비하는 매니폴드(504)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500)은 도 4와 관련하여서 위에서 설명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40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다수의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매니폴드(504)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개구(508a 내지 508c)(예를 들어, 밸브 캐비티)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는 도 3의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다.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는 상기 개구(508a 내지 508c)에 플러그 결합하거나,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그것에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형 몸체 또는 하우징을 가진다.
상기 매니폴드(504)는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도 5B, 도 5C, 도 6 및 9)를 수용하는 다수의 첵크 밸브 개구(510a 내지 510d)(예를 들어, 첵크 밸브 캐비티)(도 5A, 도 7-9 및 도 10C)를 포함하고, 상기 첵크 밸브 카트리지 각각은 2개의 첵크 밸브를 포함한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 각각은 각각의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a 내지 514d) 및 각각의 재충전 첵크 밸브(516a 내지 516d)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a 내지 514d)는 도 1 및 도 2의 첵크 밸브(114a 내지 114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동한다. 상기 재충전 첵크 밸브(516a 내지 516d)는 도 4의 재충전 첵크 밸브(410a 내지 410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작용한다. 상기 매니폴드(504)에 직접 상기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를 수용하거나 장착하는 것은,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500)을 구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유체 라인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상기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는 도 11와 관련하여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는 상기 매니폴드(504)에 형성된 각각의 저장 컨테이너 입구/출구 포트(520a 내지 520d)(도 5C, 7 및 8)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 입구/출구 포트(520a 내지 502d)(예를 들어, 상기 저장 컨테이너 포트(520a 내지 502d))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20d)로부터 컨테이너(518)로 유체를 송출할 때에 입구 포트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재충전 프로 세스 동안에, 상기 저장 컨테이너 포트(520a 내지 520d)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로 재충전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출구 포트로서 작용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c)에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의 저장 압력 입구 포트(517a 내지 517c)(도 5A 내지 5C 및 도 6)는 각각의 유체 라인(519a 내지 519c)(도 5A 내지 도 5C)을 거쳐서 각각의 매니폴드 출구 포트(521a 내지 521c)(도 5A 내지 도 5C, 6, 7 및 9)로 연결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c)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 입구 포트(520a 내지 520c)를 거쳐서 상기 매니폴드(504)내로,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521a 내지 521c)를 거쳐서 상기 매니폴드(504) 바깥으로 흐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유체는 상기 유체 라인(519a 내지 519c)을 통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의 저장 압력 감지 챔버(예를 들어, 도 3의 상기 저장 압력 감지 챔버(329))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의 저장 압력 입구 포트(517a 내지 517c)내로 흐르게 된다. 이런 식으로,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의 각각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c)의 각각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504)로부터 상기 컨테이너(518)로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유체 송출 라인(522)(도 5A)은 상기 매니폴드(504)의 출구 포트(524)(도 5A,7,8,10A 및 10B)에 연결된다. 도 5A, 8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통로(526)는 상기 제 1 밸브 개구(508a) 및 출구 포트(524)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출구 통로(526)는 흐름 통로(예를 들어, 도 2의 상기 컨테이너 유체 흐름 통로(120,130 및 136))가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로부터 상기 컨테이너(518)로의 유체를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502a)로부터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 포트(520a)(도 5C, 7 및 8)는 제 1의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521a)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502a)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a), 상기 출구 통로(526) 및 상기 출구 포트(524)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502b)로부터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 포트(520b)(도 5c,7 및 8)는 상기 제 2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b)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이런 식으로,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502b)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b), 상기 첵크 밸브 개구(510b)와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 개구(508a)사이에서 연장되는 유체 통로(528),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상기 통로(526) 및, 상기 출구 포트(524)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및 제 4 저장 컨테이너(502c 및 502d)로부터의 유체는 각각의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c 및 514d), 통로 및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를 통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송출된다.
상기 컨테이너(518)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충전 컨테이너 압력 라인(530)(도 5A)은 충전 압력 입구 포트(532)(도 5A, 6 내지 8, 10A 및 10E)에 연결된다. 도 5A, 8 및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압력 통로(534)는 상기 시이퀀스 밸브(506a 내지 506c)의 각각(도 5A 내지 도 5C 및 6)이 상기 컨테이너(518)(도 5A)에서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시이퀀스 밸브 개구(508a 내지 508c)의 각각과 상기 충전 압력 입구 포트(532)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및 502b)에서 유체를 채우기 위하여, 재충전 라인(536)(도 5A)은 상기 매니폴드(504)의 재충전 입구 포트(538)(도 7 내지 9, 10A 및 10C)에 연결된다. 도 8, 9 및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충전 통로(540)는 상기 첵크 밸브 개구(510a 내지 510d)의 각각과, 상기 재충전 입구 포트(538)사이에서 연장된다. 재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재충전 유체는 상기 재충전 입구 포트(538)와, 최저압을 가지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상기 재충전 첵크 밸브(516a 내지 516d)(도 9)중의 하나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502a)가 최저압을 가지고,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502b)가 두번째 최저압을 가진다면, 먼저, 상기 재충전 유체는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502a)를 채우기 위하여 상기 제 1 재충전 첵크 밸브(516a)(도 9)를 통하여 그리고 제 1 저장 컨테이너 포트(520a)(도 5c, 7 및 8)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502a)가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502b)의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에 도달할 때에, 상기 재충전 유체는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컨테이너(502b)를 동시에 채우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재충전 첵크 밸브(516a 및 516b)와,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 컨테이너 포트(520a 및 520b)를 통하여 동시에 흐르게 된다. 상기 재충전 프로세스는 모든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에서 유체를 채우기 위하여 유사한 형태로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는 상기 컨테이너(518)의 충전과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및 502b)의 재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재충전 유체가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를 채우기 위하여 상기 제 1 재충전 첵크 밸브(516a)(도 9)를 통하여 흐르는 동안에, 유체는 상기 컨테이너(518)를 채우기 위하여 상기 제 1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a)를 통하여 동시에 흐를 수 있다.
상기 매니폴드(504)는 이 매니폴드(504)의 어느 쪽 단부에서도 상기 유체 송출 라인(522)(도 5A), 상기 충전 컨테이너 압력 라인(530)(도 5A) 및 상기 재충전 라인(536)(도 5A)를 유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또 다른 실시예 구현에서, 상기 유체 공급 라인(522), 상기 충전 컨테이너 압력 라인(530) 및 상기 재충전 라인(536)은 상기 포트(542, 544 및 546)(도 7)에 각각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체 라인(519c)(도 5B)은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521d)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라인(519b)은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521c)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라인(519a)(도 5B)은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521b)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상기 매니폴드(504)는 포트(542,544 및 546)(도 7)를 가지는 단부를 거쳐서 유체를 송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구현에서도, 몇몇(예를 들어, 유체 라인, 밸브 등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어떠한 포트도 작동 동안에 매니폴드(504)의 바깥쪽으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결되거나 플러그(plug)되어야만 한다.
도시되지 않을지라도, 압력 센서 장치 출구 또는 개구는, 게이지, 아나로그 센서 및/또는 디지털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의 각각 에서 압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매니폴드(504)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 장치 출구는, 유체 라인을 거쳐서 압력 센서 장치 또는 게이지에 연결되거나, 또는 어떠한 중간의 유체 라인도 없이 상기 압력 센서 장치 또는 게이지를 직접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B, 5, 6 및 9의 상기 실시예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512a 내지 512d)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한 실시예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60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 실시예 첵크 밸브 카트리지(600)는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제 1 첵크 밸브(602) 및 제 2 첵크 밸브(60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첵크 밸브(602)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로부터 상기 컨테이너(518)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도 9의 유체 송출 첵크 밸브(514a 내지 514d)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첵크 밸브(604)는 도 9의 재충전 첵크 밸브(516a 내지 516d)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재충전 프로세스동안에 상기 재충전 통로(540)로부터 상기 저장 컨테이너(502a 내지 502d)로 재충전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600)는 상기 제 1 첵크 밸브(602)를 포함하는 제 1 첵크 밸브 하우징부(608)과, 상기 제 2 첵크 밸브(604)를 포함하는 제 2 첵크 밸브 하우징부(610) 및, 예를 들면 도 5A,7,8 및 10C의 상기 첵크 밸브 개구(510a 내지 510d)와 같은 캐비티 또는 개구로 이 실시예 이중 첵크 밸브 카트리지(600)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면(614)을 가지는 체결 하우징부(fastening housing portion)(612)를 구비하는 하우징(606)을 포함한다.
상기 첵크 밸브(602 및 604)는 끝과 끝을 잇는 형상(end-to-end configuration)으로 정렬되며, 또한 상기 첵크 밸브 카트리지(600)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특히, 상기 제 1 첵크 밸브 하우징부(608)는 상기 첵크 밸브(602 및 604)를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첵크 밸브 하우징부(610)의 내부 나사 단부(618)에 나사 결합하는 외부 나사 단부(61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첵크 밸브 하우징부(610)는 상기 체결 하우징부(612)의 내부 나사 단부(622)에 나사 결합하는 외부 나사 단부(620)를 가진다.
다음,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서 일련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로부터 유체(예를 들면, 산소, 천연 가스, 프로판, 수소 등)를 송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 12 및 도 1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은 다수의 시이퀀스 스테이지(1106a,1106b 및 1106c)를 가지는 매니폴드(1104)를 포함한다. 상기 시이퀀스 스테이지(1106a,1106b 및 1106c) 각각은 상기 매니폴드(1104)에 연결되는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1108a,1108b 및 1108c)를 포함한다.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1108b 및 1108c) 각각은 상기 유체 저장 컨테이너(1102a,1102b 및 1102c)의 각각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조절기(1110)는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체로 유체 컨테이너(1118)(예를 들면, 유체 고갈 컨테이너, 재충전가능한 컨테이너, 바틀, 압력 용기 등)를 충전할 수 있도록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 각각은, 직접 또는 유체 라인(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또는 다른 도관을 통하여 다수의 컨테이너 포트(1121a 내지 1121d)의 각각을 거쳐서 상기 매니폴드(1104)에 연결된다. 상기 컨테이너 포트(1121a 내지 1121d)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매니폴드(1104)에 의하여 한정되고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와 소통되는 다수의 송출 통로(1123a 내지 1123d) 각각과 소통되는 선형 세그먼트(linear segment)(1125a 내지 1125d)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컨테이너 포트(1121a 내지 1121c) 각각은 매니폴드(1104)에 의하여 한정되고 각 선형 세그먼트(1125a 내지 1125c)로부터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로 연장되는 엘보우 세그먼트(elbow segment)(1127a 내지 1127c)를 포함한다. 이렇게 형성되면, 상기 엘보우 세그먼트(1127a 내지 1127c)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압력을 제 1 내지 제 3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c)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3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매니폴드(1104)는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첵크 밸브(114) 또는 첵크 밸브(512)와 같은 첵크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첵크 밸브 포트(1116a 내지 1116d)를 부가적으로 한정한다. 상기 첵크 밸브는 단지 한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할 수 있도록(예를 들면,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쪽으로의 유체 흐름) 상기 컨테이너 포트(1121a 내지 1121d) 및/또는 상기 송출 통로(1123a 내지 1123d)와 소통하고, 따라서,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 또는 어떠한 다른 소스로부터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 내로 유체 역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은 상기 유체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가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에 저장된 유체로 상기 컨테이너(1118)과 같은 컨테이너를 충전하기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1118)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매니폴드(1104)로부터 압력 출력이 상기 컨테이너(1118)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테이너(1118)내의 압력에 비하여 충분히 높을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는 상기 유체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 각각으로부터 순차적인 방법으로 송출을 활성화시킨다. 작동중에, 상기 컨테이너(1118)를 상기 조절기(1110)에 연결한 이후에, 유체는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로부터 상기 제 1 컨테이너 포트(1121a)의 선형 세그먼트(1125a) 및 상기 제 1 송출 통로(1123a)를 통하여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로 송출된다.
상기 컨테이너에서 압력 크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터(1118)는 상기 매니폴드(1104)의 압력 감지 포트(1122)에 연결되거나 또는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압력 감지 포트(1122)는 상기 매니폴드(1104)에 형성된 압력 감지 통로(1124)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 감지 통로(1124)는 각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의 압력 감지 통로(1126a 내지 1126c)에 연결된다. 상기 컨테이너(1118) 내의 유체 압력은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 각각이 충전 프로세스 동안에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 감지 흐름 통로(1128)를 거쳐서 연결된다.
상기 컨테이너(1118)내의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내의 압력 에 대하여 특정 레벨로 상승할 때에,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는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가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로 유체를 공급하도록 자동적으로 작동 가능(예를 들면, 개방)하게 한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는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sequencing valve)(1108a)를 거쳐서 상기 컨테이너(1118)로 유체를 송출한다. 특히,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제 2 첵크 밸브 포트(1116b)에 배치된 상기 첵크 밸브, 제 1 스테이지 입구 포트(1132a),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를 통하여, 그리고 제 1 스테이지 출구 포트(1134a)의 바깥으로, 상기 제 1 송출 통로(1123a)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로 흐른다. 상기 제 1 컨테이너(1102a)로부터의 흐름은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가 작동 가능할 때에 실질적으로 작동 불능하게 된다(예를 들면, 폐쇄된다).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 및, 상기 제 1 첵크 밸브 포트(1116a)에 배치된 상기 첵크 밸브는,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압력이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에서의 압력에 대하여 특정 레벨로 증가할 때에,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108b)는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102c)가 유체를 상기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로 공급하도록 자동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102c)는 유체를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108b)를 거쳐서 그 다음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를 거쳐서 상기 컨테이너(1118)로 송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102c)로부터의 유체는 상기 제 3 첵크 밸브 포트(1116c)에 배치된 첵크 밸브, 제 2 스테이지 입구 포트(1132b),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108b), 제 2 스테이지 출구 포트(1134b), 상기 매니폴드(1104)의 제 2 송출 통로(1123b), 제 1 스테이지 입구 포트(1132a),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 제 1 스테이지 출구 포트(1134a), 제 1 송출 통로(1123a)를 통하여, 그리고 매니폴드 출구 포트(1112)로 흐른다. 상기 컨테이너(1118)내의 압력이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102c)에 대하여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에, 상기 제 3 시이퀀스 밸브(1108c)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이퀀스 밸브(1108a,1108b)에 대하여 바로 설명한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제 4 저장 컨테이너(1102d)로부터 자동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 구현에서, 상기 매니폴드(1104)는 부가의 저장 컨테이너(예를 들면, 제 5 저장 컨테이너)(도시하지 않음) 및 부가의 시이퀀스 밸브(예를 들면, 제 4 시이퀀스 밸브)를 수용하도록 채택될 수 있다.
유체 송출이 상기 조절기(1110)를 거쳐서 차단되고 상기 컨테이너(1118)가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는 제 2, 제 3 및 제 4 저장 컨테이너(1102b 내지 1102d)로부터의 흐름을 정지하고, 따라서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가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에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연속적인 컨테이너(111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프로세스가 4개의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로부터 유체 송출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지라도,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소망의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가 유체를 연속적으로 송출할 수 없게 되는 레벨을 초과하지 못한다면, 상기 컨테이너(1118)는 상기 연속적인 저장 컨테이너(1102b 내지 1102d)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충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과 관련하여서 상술한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시이퀀스 밸브(1300)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를 구현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 및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 사이에 연결되도록 채택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는 베이스 외면(1308)과, 베이스 내면(1312)을 한정하는 베이스 캐비티(1310)를 가지는 베이스(130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306)는 밸브 입구 통로(1314)와 밸브 출구 통로(1316)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입구 통로(1314)는 상기 베이스 외면(1308)과 상기 베이스 내면(1312)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302b)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흐름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 출구 통로(1316)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로부터 상기 베이스 외면(1308)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컨테이너(1302b)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로부터 상기 충전 컨테이너(1118)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흐름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시이퀀스 밸브(1300)가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유체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306)는 도 12에 도시된 압력 감지 통로(1126a)에 대응되는 충전 압력 감지 통로(1318)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충전 압 력 감지 통로(1318)는 상기 베이스 외면(1308)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충전 압력 감지 통로(1318)는 유체 압력이 상기 컨테이너(1118)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이퀀스 밸브(1300)의 베이스(1306)는 상기 베이스 외면(1308)과 베이스 캐비티(1310)사이에서 연장되는 컨테이너 압력 감지 통로(1317)를 한정한다. 상기 컨테이너 압력 감지 통로(1317)는 유체 압력이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컨테이너 압력 감지 통로(1317)는 이후에 부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 압력이 상기 컨테이너(1102a)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1310)내에 지탱되는 밸브 스템 슬리브(1354)내에 한정된 제어 통로(1319)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는 본넷트 캐비티(1324)를 가지는 본넷트(132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본넷트 캐비티(1324)는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1354)내의 상기 제어 통로(1319)와 유체 소통된다.
상기 베이스(1306)는 내압 밀봉을 형성하고 위에서 언급된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1354)의 부분을 포함하는 다수의 밸브 구성품을 캡슐화하기 위하여 상기 본넷트(132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306) 및 상기 본넷트(1320)는 스프링 리테이너(1332)에 연결되고 상기 본넷트 캐비티(1324)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1330)을 캡슐화한다. 상기 피스톤(1330)은 저장 압력 감지면(1334) 및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1334)에 대향된 충전 압력 감지면(1336)을 가진다.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에서의 압력은 상기 매니폴드(1104)에서의 컨테이너 포트(1121a),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의 베이스(1306)에서의 컨테이너 압력 감지 통로(1317) 및,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1354)에서 상기 제어 통로(1319)를 거쳐서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1334)과 소통하여 그것에 힘을 적용한다. 상기 충전 컨테이너(1118)에서의 압력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 압력 감지면(1336)과 소통하여 그것에 힘을 적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는 그것을 통하여 형성되는 밸브 스템 통로(1340)를 가지는 밸브 스템(1338)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유체 압력은 상기 충전 압력 감지 통로(1318), 스템 통로(1340), 밸브 스템측 포트(1342)에, 그리고 스프링 리테이너 챔버(1346)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압력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에 의하여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1334)에 대하여 적용되는 힘에 대항하는 상기 충진 압력 감지면(1336)에 힘을 적용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300)는 상기 압력 감지면(1334 및 1336)에 적용되는 대치하는 힘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302b)로부터 상기 컨테이너(1118)로의 유체 흐름을 작동 가능(예를 들면, 개방) 및 작동 불능(예를 들면, 폐쇄)시킨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의 유체 통로를 작동 가능 및 작동 불능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 스템(1338)은 플러그부(1348)를 가진다. 상기 밸브 스템(1338)은 폐쇄 위치로 도시되며,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부(1348)는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 유체 통로를 작동 불능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밀봉을 발생시키는 밸브 시트(1350)와 접촉하거나 또는 결합한다. 상기 밸브 시트(1350)는 이 밸브 시트(1350)와 플러그 부(1348) 사이에 내압 밀봉을 보장하기 위하여 폴리머 또는 몇몇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 상기 유체 통로를 작동 가능 또는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 스템(1338)은 상기 밸브 시트(1350)와 상기 플러그(1348)사이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1348)가 상기 밸브 시트(1350)로부터 분리되는 개방 위치로 상기 본넷트(1320)를 향하여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유체는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1354)의 측부 포트(1352)를 통하여 상기 밸브 출구 통로(1316)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흐른다. 상술된 설명에 따라서,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는 상기 베이스(13006)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 밸브 요소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상기 밸브 스템(1338), 상기 플러그(1348), 상기 피스톤(1330), 상기 밸브 스템 리테이너(1332),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1354), 및/또는 관통하는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에 의하여 지탱되는 어떠한 다른 구성품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의 하나의 특징은, 도 12에 도시된 각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의 베이스(1306)에서 밸브 입구 통로(1314)가 상기 밸브 시트(1350)의 저부측과 유체 소통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각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의 상기 밸브 입구 통로(1314)는 각각의 밸브 스템(1338)의 종방향 축(101a 내지 101c)에 대하여 90도(90°)보다 작은 각도 α,β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3 시이퀀스 밸브(1108a,1108c)의 밸브 입구 통로(1314)는 상기 각 밸브 스템(1338)을 향하여 경사지고, 약 45도(45°)인 각도 α에서 그 종방향 축(101a,101c)를 가로지른다. 또한,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108b)의 밸브 입구 통로(1314)는 상기 각 밸브 스템(1338)을 향하여 경사지고, 약 45도(45°)인 각도 β에서 그 종방향 축(101b)에 교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α,β는 모든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의 밸브 입구 통로(1314)가 상기 밸브 시트(1350)의 저부측과 소통하는 한 일반적으로 어떠한 각이거나 또는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스템(1338)에 대한 상기 밸브 입구 통로(1350)의 각도 α,β는 상기 밸브 입구 통로(1314)가 상기 매니폴드에 의하여 한정된 송출 통로(1123a 내지 1123d)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각 상류 저장 컨테이너(1102b 내지 1102d)로부터의 압력은 상기 밸브 시트(1350)의 저부측과 소통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에 대하여,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의 압력은 상기 제 2 컨테이너 포트(1121b)와 상기 매니폴드(1104)에서의 제 2 송출 통로(1123b)를 통하여, 그 다음 상기 제 1 시이퀀스 밸브(1108a)의 밸브 입구 통로(1314)(도 13에 도시됨)를 통하여 상기 밸브 시트(1350)의 저부측으로 소통된다. 도 12에 도시된 상기 제 2 및 제 3 시이퀀스 밸브(1108b 및 1108c)의 밸브 입구 통로(1314)도 유사하게 정렬된다. 이것은 본원에 기재된 이전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400,500)과 대조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00)에 대하여, 상기 제 3 저장 컨테이너(102c)로부터의 압력은 상기 제 2 시이퀀스 밸브(108b)의 밸브 시트 상부와 소통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밸브 시트는, 밸브 요소를 균형 맞추고, 특히 상기 밸브가 상기 입구측 및 출구측으로부터 가압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밸브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정밀한 공차로 신중하게 가공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도 12 및 13를 참조로 하여서 설명된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은 상기 상류 저장 컨테이너(1102b 내지 1102d)로부터 상기 밸브 시트(1350)의 저부측으로 압력을 항상 공급함으로써 모든 상태하에서 각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의 작동 정확성을 최대화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점은 각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에서 상기 각도를 이룬 밸브 입구 통로(1314)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다.
계속하여,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 스템(1338) 및 상기 플러그(1348)의 이동은 상기 피스톤(13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상기 피스톤(1330)이 상기 본넷트(1320)를 향하여 이동한다면, 상기 밸브 스템(1338) 및 플러그(1348)는 역시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의 흐름이 작동하도록 하는 개방 위치로 상기 본넷트(1320)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1330)은 상기 본넷트(132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고, 상기 밸브 스템(1338) 또한 상기 본넷트(1320)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플러그(1348)를 상기 밸브 시트(1350)와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로부터 흐름 통로가 작동 불능하도록 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1330)은 상기 저장 압력 감지면(1334) 및 상기 충전 압력 감지면(1336)상에 대향하는 힘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그것에 반응하여 이동한다. 상기 컨테이너(1118)에서의 압력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에서의 압력보다 더 작게 될 때에, 상기 피스톤(1330)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스톤(1330)에 압력 편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는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1332) 및 상기 밸브 스템 슬리브(1354)의 스프링 시트(1358) 사이에서 갇힌 네거티브(negative) 편향 스프링(1356)을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1356)의 편향력이, 예를 들면, 평방 인치당 250파운드(250 psi)인 소정 압력을 제공한다면, 상기 컨테이너(1118)가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에서의 압력보다 250 psi 더 작은 압력에 도달할 때에 상기 피스톤(1330)은 개방 밸브 위치로 이동(예를 들면, 상기 본넷트(1320)를 향하여 슬라이드)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네거티브 편향 스프링(1356)의 힘에 의하여 제공되는 압력과, 상기 컨테이너(1118)의 압력의 합이 상기 제 1 저장 컨테이너(1102a)의 압력을 초과하게 된다면, 상기 피스톤(1330)은 상기 제 2 저장 컨테이너(1102b)와 상기 컨테이너(1118) 사이의 흐름 통로를 작동 가능하게 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개방 위치로 상기 본넷트(1320)를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1356)의 편향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은, 예를 들면, 50psi, 100psi, 250psi, 400psi 등과 같은 어떤 적절한 압력 편향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를 도 12에 도시된 매니폴드(1104)에 대해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의 밸브 유지를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306)는 카트리지형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 시이퀀스 밸브(1300)의 카트리지형 몸체는 어떠한 유체 라인의 분리됨 및/또는 연결함을 갖지 않고 상기 매니폴드(1104)내로 쉽게 플러그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 및 도 13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은, 상기 매니폴드에 대해 외부에 있는 다수의 유체 라인을 구비하는 캐스케이드 시스템을 조립하고 유지하는 단계(이것은, 예를 들면, 호스 클램프(hose clamp) 또는 몇몇 다른 수단으로 상기 유체 라인에 대한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품의 신중한 커플링을 요구하게 된다)에 관계된 비능률성을 양호하게 제거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매니폴드(1104)는 상기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 및, 어떠한 첵크 밸브도 가지는 간단한 카트리지형 조립체용을 제공한다.
사실상, 본원에 기재된 모든 실시예의 공통의 장점은, 다수의 시이퀀스 밸브를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시이퀀스 밸브는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 통로가 상기 매니폴드의 외부 경계의 내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된 베이스를 한정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형상은 요구되는 어떠한 유체 라인 및/또는 파이핑(piping)의 복잡성도 크게 감소시킨다.
상기 시이퀀스 밸브(1300)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시이퀀스 밸브(1300)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서 위에서 설명 한 상기 시이퀀스 밸브(300)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정적이거나 및/또는 다이나믹한(dynamic)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1104),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 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의 몇몇 다른 구성품들은, 상기 저장 컨테이너(1102a 내지 1102d)내, 충전 컨테이너(1118)내, 상기 매니폴드 송출 통로(1123a 내지 1123d)내, 컨테이너 포트(1121a 내지 1121d)내, 또는 상기 시스템(1100)의 어떠한 다른 위치에서의 압력들을 판독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게이지 또는 미터(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상기 다양한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템(100,400,500,1100)은,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시이퀀스 밸브(1108a 내지 1108c)와 같은 3개의 시이퀀스 밸브를 수용하는 단일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설명되지만,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00, 400, 500, 110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예를 들면 부가의 시이퀀스 밸브를 수용하기 위하여 끝과 끝을 잇는 형상으로 함께 연결되는 다수의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부가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다수의 "유체 저장 컨테이너"(102, 302, 402, 502, 1102)를 포함하는 것으로 다양한 시스템이 본원에 기재되지만, 설명의 목적과 첨부된 청구범위를 위하여, 이들 컨테이너들은 또한 "유체 공급 컨테이너"로 언급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다양한 시스템에 의하여 충전될 컨테이너와 분명하게 구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도 12 및 도 13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는 상기 실시예 캐스케이드 시스 템(1100)이 재충전 회로가 없이 기재되지만,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재충전 라인(536)을 포함하는 도 5A에 도시된 재충전 회로와 같은 재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의 상기 매니폴드(1104)는 예를 들면 도 10C에 도시된 상기 재충전 통로(540)와 유사한 재충전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충전 회로를 구비할 때에, 도 12에 도시된 상기 캐스케이드 시스템(1100)의 매니폴드(1104)의 첵크 밸브 포트(1116a 내지 1116d)는 도 11에 도시된 이중 첵크 밸브(600)와 같은 이중 첵크 밸브를 수용할 수 있다.
소정의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조 제품들이 본원에서 설명될지라도, 본원의 적용 범위는 그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본원은 문언대로 또는 균등론하에서 첨부된 청구범위내에 명백하게 포함되는 모든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품을 커버한다.

Claims (18)

  1. 유체 분배 시스템으로서,
    유체 공급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채택되는 제 1 유체 통로와, 제 2 유체 통로 및, 상기 제 2 유체 통로와 유체 소통되는 출구 포트를 한정하는 매니폴드로서, 상기 출구 포트는 유체 저장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채택되는 상기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매니폴드의 제 1 유체 통로로부터 상기 매니폴드의 출구 포트로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 축을 따른 변위를 위하여 채택되는 밸브 요소와,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제 1 유체 통로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밸브 입구 통로와,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제 2 유체 통로와 직접 유체 소통하는 밸브 출구 통로와,
    상기 밸브 요소의 제 1 압력 감지면에 대하여 제 1 압력을 소통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하도록 채택되는 제 1 압력 감지 통로 및,
    상기 밸브 요소의 제 2 압력 감지면에 대하여 제 2 압력을 소통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하도록 채택되는 제 2 압력 감지 통로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제 1 압력 감지 통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제 2 압력 감지 통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 감지 통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밸브 입구 통로는 상기 밸브 요소 변위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90°이하의 각도로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요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밸 브 요소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채택되는 밸브 시트를 또한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밸브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요소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밸브 입구 통로는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밸브 시트에 대향되게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유체 소통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출구 포트와 유체 소통하게 연결되는 조절기를 또한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0. 유체 분배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밸브 개구를 한정하는 매니폴드로서, 각각의 밸브 개구는 다수의 유체 공급 컨테이너중의 하나와 유체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채택되는 관련 제 1 유체 통로와, 유체 저장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채택되는 제 2 유체 통로를 가지는 상기 매니폴드; 및
    다수의 밸브로서, 각각의 밸브는 상기 매니폴드에서 다수의 밸브 개구 중의 하나 내에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밸브 시트와,
    시팅면을 포함하는 밸브 요소로서, 상기 밸브 요소는 상기 시팅면이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시팅면이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사이에서 종방향 축을 따른 변위를 위하여 채택되는 상기 밸브 요소와,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유체 통로와 유체 소통되는 밸브 입구 통로와,
    상기 매니폴드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유체 통로와 유체 소통되는 밸브 출구 통로와,
    상기 밸브 요소의 제 1 압력 감지면에 대하여 제 1 압력을 소통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유체 공급 컨테이너 중의 하나와 유체 소통하도록 채택되는 제 1 압력 감지 통로 및,
    상기 밸브 요소의 제 2 압력 감지면에 대하여 제 2 압력을 소통하기 위하여 유체 저장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하도록 채택되는 제 2 압력 감지 통로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밸브의 제 1 압력 감지 통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밸브의 제 2 압력 감지 통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밸브의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 감지 통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밸브의 밸브 입구 통로는 상기 밸브 요소 변위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90°이하의 각도로 배치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밸브내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 요소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각 밸브의 상기 밸브 입구 통로는 상기 밸브 요소의 시팅면으로부터 상기 밸 브 시트에 대향되게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
  17. 유체 저장 컨테이너를 충전하기 위하여 매니폴드에 연결된 다수의 유체 공급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밸브로서,
    상기 밸브는,
    베이스 캐비티 및 외부면을 한정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지탱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와;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시팅면을 포함하는 밸브 요소로서, 상기 밸브 요소는, 상기 시팅면이 상기 밸브 시트와 결합하는 폐쇄 위치와, 시팅면이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 축을 따른 변위용으로 채택되는 상기 밸브 요소와;
    상기 밸브 요소의 시팅면에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유체 소통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밸브 요소 변위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90°이하의 각도에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내로 연장되는 밸브 입구 통로와;
    상기 베이스 캐비티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외부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체 저장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채택되는 밸브 출구 통로와;
    상기 베이스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 요소의 제 1 압력 감지면에 대하여 제 1 압력을 소통하기 위하여 유체 공급 컨테이너중의 하나와 유체 소통하도록 채택되는 제 1 압력 감지 통로 및;
    상기 베이스의 외부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로 연장되며, 상기 밸브 요소의 제 2 압력 감지면에 대하여 제 2 압력을 소통하기 위하여 유체 저장 컨테이너와 유체 소통하도록 채택되는 제 2 압력 감지 통로를 포함하는 밸브.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를 개방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또한 포함하는 밸브.
KR1020097026640A 2007-06-15 2008-06-12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47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440607P 2007-06-15 2007-06-15
US60/944,406 2007-06-15
US12/136,188 US7905252B2 (en) 2006-03-20 2008-06-10 Apparatus and methods to dispense fluid from a bank of containers and to refill same
US12/136,188 2008-06-10
PCT/US2008/066732 WO2008157242A2 (en) 2007-06-15 2008-06-12 Apparatus and methods to dispense fluid from a bank of containers and to refill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090A true KR20100029090A (ko) 2010-03-15
KR101547704B1 KR101547704B1 (ko) 2015-08-26

Family

ID=3971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640A KR101547704B1 (ko) 2007-06-15 2008-06-12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905252B2 (ko)
EP (3) EP2472168A3 (ko)
JP (1) JP5194117B2 (ko)
KR (1) KR101547704B1 (ko)
CN (1) CN101680603B (ko)
AU (3) AU2008266126B2 (ko)
BR (1) BRPI0813168A2 (ko)
CA (1) CA2689203C (ko)
MX (1) MX2009013687A (ko)
NO (1) NO20093428L (ko)
RU (1) RU2462655C2 (ko)
WO (1) WO20081572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1630B2 (en) * 2005-07-05 2011-04-26 C. R. Bard, Inc. Multi-functional and modular urine collection system
FR2923393B1 (fr) * 2007-11-12 2010-01-08 Doran Int Dispositif d'administration de plusieurs liquides de traitement medical a un patient
GB2452867B (en) * 2008-10-17 2009-08-05 Cambridge Reactor Design Ltd A valve assembly
RU2014110695A (ru) * 2011-08-29 2015-10-10 Вестпорт Пауэр Инк. Регулятор для создания переменного давления газа
AU2012201265B2 (en) * 2012-03-01 2014-01-09 Draeger Australia Pty Ltd Breathing apparatus filling station and filling station recharging device
AU2014240483B2 (en) * 2013-03-13 2018-03-08 Scott Technologies, Inc. Base manifold and system for filling containers with gas
US9151448B2 (en) * 2013-03-14 2015-10-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for dispensing compressed gases
US9279541B2 (en) * 2013-04-22 2016-03-0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temperature-controlled gas dispensing
AU2014349773B2 (en) * 2013-11-17 2017-08-17 Netafim Ltd Valve apparatus
CA2950183C (en) * 2014-05-28 2022-03-08 Scott Technologies, Inc. Modular manifold assembly for sequentially drawing fluid from fluid storage tanks
GB2541202B (en) * 2015-08-11 2021-06-23 Agilent Technologies Inc Stacked layer-type member with integrated functional component
US20170060147A1 (en) * 2015-08-24 2017-03-02 Tescom Corporation Back pressure control regulator with in-line overpressure relief
KR102476400B1 (ko) * 2015-12-04 2022-12-1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체크밸브
US11371657B2 (en) 2017-03-30 2022-06-28 Plastic Omnium New Energies France Hydropack system
FR3069905B1 (fr) * 2017-08-03 2019-09-06 Alcrys Fluid Control & Services Module pour un kit de distribution et de regulation d’un gaz sous pression, kit et systeme de distribution et de regulation associes
KR20200060724A (ko) * 2017-09-27 2020-06-01 스페셜 프로젝츠 오퍼레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통합형 매니폴드 시스템
KR102602359B1 (ko) * 2018-11-22 2023-11-1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레이터블록
CN110109242B (zh) * 2019-05-08 2021-08-06 中国科学院国家天文台南京天文光学技术研究所 用于天文望远镜主镜的液压桁架系统
TW202117217A (zh) 2019-09-19 2021-05-01 美商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清潔減少滯留區的隔離閥
WO2021114496A1 (zh) * 2019-12-13 2021-06-17 凯馺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气泡水机用钢瓶中气体的填充设备及其填充方法
CN113561763A (zh) * 2020-04-28 2021-10-29 未势能源科技有限公司 燃料处理单元和具有它的燃料储存和供应系统
DE102021106784A1 (de) * 2021-03-19 2022-09-22 Hamilton Medical Ag Modulare Umschaltventilbaugruppe für eine Beatmungsvorrichtung
US20230313947A1 (en) * 2021-05-17 2023-10-05 Estis Compression, LLC Methane Reten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9409A (en) * 1948-03-23 1951-04-17 Standard Oil Dev Co Automatic change-over valve
GB866669A (en) * 1956-08-24 1961-04-26 English Electric Co Ltd Manifold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under pressure
US3891002A (en) * 1974-04-30 1975-06-24 Medental Inc Fluid delivery system for volatile fluids
GB2218767A (en) * 1988-05-17 1989-11-22 Isoworth Ltd Gas cylinder connector
NZ227284A (en) * 1987-12-22 1991-08-27 Abplanalp Robert H Extruded plastics container with ends of body portion heat sealed into recessed undercuts of the end panels
SU1691657A1 (ru) * 1988-08-09 1991-11-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882 Способ зар дки баллонов сжатым газ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5088436A (en) * 1990-04-02 1992-02-18 Thad Keenan Apparatus for charging gas pressurized beverage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s
CN2142525Y (zh) * 1992-10-04 1993-09-22 李德建 液体燃料低压钢瓶气阀
AR026789A1 (es) * 2000-01-28 2003-02-26 Greenfield Ag Dispositivo de inversion para estacion de reabastecimiento de combustible, y estacion de reabastecimiento de gas para cargar un recipiente de presion con gas
JP2004076895A (ja) * 2002-08-21 2004-03-11 Air Water Inc 高圧ガス高速充填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WO2004020287A1 (en) 2002-08-30 2004-03-11 Chart Inc. Liquid and compressed natural gas dispensing system
RU2208199C1 (ru) * 2002-09-10 2003-07-10 Мкртычан Яков Сергеевич Газораздаточная станция заправки баллон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компримированным природным газом
JP4367830B2 (ja) * 2003-03-28 2009-11-18 東京瓦斯株式会社 水素充填装置
KR100672273B1 (ko) 2003-07-25 2007-01-2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가스 공급 장치
FR2874247B1 (fr) * 2004-08-12 2007-03-16 Air Liquide Systeme stockage de gaz,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vehicule incorporant un tel systeme
FR2878312B1 (fr) * 2004-11-22 2007-03-30 Air Liquide Procede de remplissage d'un recipient de fluide sous pression a entree et sortie separees
JP5174669B2 (ja) 2005-09-12 2013-04-03 テスコム・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ンクマニホールド組立体
US8056577B2 (en) 2006-03-20 2011-11-15 Tes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to dispense fluid from a bank of containers and to refill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03540A1 (en) 2014-07-17
CN101680603A (zh) 2010-03-24
AU2014203539A1 (en) 2014-07-17
JP2010531413A (ja) 2010-09-24
AU2014203539B2 (en) 2015-07-16
JP5194117B2 (ja) 2013-05-08
NO20093428L (no) 2010-03-10
EP2472167A2 (en) 2012-07-04
RU2009147674A (ru) 2011-07-20
MX2009013687A (es) 2010-03-30
EP2472168A3 (en) 2018-03-21
AU2014203540B2 (en) 2015-07-16
CN101680603B (zh) 2011-08-31
CA2689203C (en) 2014-07-29
EP2165112A2 (en) 2010-03-24
EP2472168A2 (en) 2012-07-04
AU2008266126B2 (en) 2014-07-24
CA2689203A1 (en) 2008-12-24
WO2008157242A3 (en) 2009-03-12
RU2462655C2 (ru) 2012-09-27
EP2472167A3 (en) 2018-03-28
WO2008157242A2 (en) 2008-12-24
KR101547704B1 (ko) 2015-08-26
US20080271796A1 (en) 2008-11-06
BRPI0813168A2 (pt) 2014-12-23
US7905252B2 (en) 2011-03-15
AU2008266126A1 (en)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9090A (ko)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76955B1 (ko) 일련의 컨테이너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고, 이것을 재충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