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473A -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473A
KR20100028473A KR1020090068847A KR20090068847A KR20100028473A KR 20100028473 A KR20100028473 A KR 20100028473A KR 1020090068847 A KR1020090068847 A KR 1020090068847A KR 20090068847 A KR20090068847 A KR 20090068847A KR 20100028473 A KR20100028473 A KR 20100028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unction
detected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134B1 (ko
Inventor
다케시 아시다
아츠오 소마
사토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3축 방향 진동센서(16)는, 휴대전화장치(1)를 휴대하고 있는 유저의 보행을 검출하여 보행수를 카운트한다. 전화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스피커(15)의 통지동작에 의한 진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전해지기 때문에,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는 보행에 의한 진동 이외의 진동을 검출하게 되어 보행수의 미스카운트를 일으킨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축 방향 진동센서(16)로 검출되는 3방향의 진동 중,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스피커(15)의 통지동작에 의한 진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보행의 검출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보행검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진동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휴대전화 본래의 기능인 통신기능 이외에 전자 보수계 기능을 구비하여 유저의 건강지향에 따르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 이 전자 보수계 기능은 기기 내부에 진동센서를 구비하여, 유저의 보행을 진동센서로 검출하고, 그 보행수를 카운트하여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 보수계 기능의 진동센서로서는, 3축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3축 방향의 가속도 값의 합성값에 의거하여 보행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하는 것이 고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6-293860호 공보 참조).
또, 진동센서는, 예를 들면 전차 등의 교통기관 등을 탔을 때도, 전차의 주행에 의한 진동을 검출하여 미스 카운트하는 것으로, 그 때문에, 전차 등의 교통기관을 탔을 때에는 진동이 검지되어도 카운트를 행하지 않도록 하여 보행에 의한 카운트만을 행하게 하는 것도 고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156361호 공보 참조).
그러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전화의 착신 등이 있었던 경우, 스피커에 의한 경보음 또는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기기 자체의 진동 등에 의하여 착신을 통지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보행수 계측 중에 상기한 경보음 또는 기기 자체의 진동이 이루어지면, 3축의 가속도 센서가 경보음 또는 기기자체의 진동을 검지하여, 보행수 계측이 정확하게 행하여지지 않고 미스카운트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경우, 상기한 일본국 특개2003-156361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착신 통지 중은 보행수 계측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보행 중에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그 때의 보행수가 카운트되지 않게 되어, 정확한 보행수를 계측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단점은 극복되지 않는다.
또, 3축의 가속도 센서는, 보수계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기기 자체의 움직임(모션)을 검출하여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소위 모션 센서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착신 등에 의해 경보음 혹은 기기 자체의 진동이 이루어지면, 모션 검출이 오검출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경보음 또는 기기 자체의 진동은, 전화기능의 착신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알람시각이 되었을 때나 타이머의 타임업시, 또는 게임의 실행시 등에 있어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때 3축의 가속도 센서가 오동작하여, 원래의 기능(예를 들면, 유저의 보행을 진동센서로 검출하여, 그 보행수를 카운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진동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할 때에, 검출해야 할 원래의 진동에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이 가해져, 원래의 진동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 경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복수의 방향 각각의 진동상태를 검출하는 진동 검출수단과, 이 진동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진동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소리 출력에 의한 진동 또는 통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수단과,
이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 또는 발생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진동 판별수단과,
이 진동 판별수단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또는 발생 중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을 배제하면서, 상기 기능 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이다.
(청구항 8)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복수의 방향 각각의 진동상태를 검출하는 진동 검출처리,
이 진동 검출처리에 의해 검출된 진동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실행처리,
소리출력에 의한 진동 또는 통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처리,
이 진동 발생처리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 또는 발생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진동 판별처리,
이 진동 판별처리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또는 발생 중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처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을 배제하면서, 상기 기능 실행처리를 제어하는 기능 제어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할 때에,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을 배제하여 정확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및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설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읽으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관련 도면은 실례일뿐으로, 본 발명의 한계를 규정하고 있지 않음을 명확하게 인지하기 바란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일례인 휴대전화장치(1)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1에서, 중앙제어부(CPU)(2)는, 기억부(3)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이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기억부(3)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도시 생략)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제어부(2)는, 상기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이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무선통신부(송수신부)(4)(통신수단)는, 전화의 통화기능으로서의 동작시에는 안테나(5)로부터 도입된 음성의 무선신호를 수신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한 후에, 음성 신호처리부(6)를 거쳐 수화 스피커(7)로부터 음성 출력시킨다. 또, 송화 마이크(8)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처리부(6)에서 처리시킨 후에 무선통신부(4)로 보내고, 무선통신부(4)에서는 음성 신호를 송신 베이스 밴드 신호로 부호화한 후에 안테나(5)로부터 송신 출력시킨다.
또, 전자 메일기능, 인터넷 접속기능 등의 동작시에는, 안테나(5) 및 무선통신부(4)를 거쳐 전자 메일의 송수신 및 웹 사이트의 열람이 가능하고, 전자 메일의 송수신 정보 및 웹 사이트의 열람정보는 표시부(9)에 보내져 표시 출력된다.
표시부(9)는, 예를 들면 도트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 표시장치 또는 EL 표시장치로 구성되고, 전화장치로서 필요한 정보(상대방의 전화번호, 전파 수신상태, 전지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메일이나 웹 사 이트의 내용 표시를 행한다. 또,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수계 기능에서 카운트(계수)된 보행수 값도 표시부(9)에 표시된다.
조작부(10)는, 이 휴대전화장치(1)에 설치된 조작 키이고, 상세한 것은 도시생략하고 있으나, 전원의 온/오프 키, 수치정보 및 문자정보를 입력하는 수치 문자입력키, 각종 기능(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및 종료를 선택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키(보수계 기능의 동작개시 및 정지를 지시하는 보수계 키를 포함한다), 통상은 경보음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착신통지를 뒤에서 설명하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하여 행하게 하도록 설정하는 매너모드 키 및 통화의 온훅 키 및 오프훅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되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드레스북 기능의 어드레스북 정보(다수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등)를 기억하는 어드레스북 정보 기억부(12A), 메일기능의 송수신 메일정보를 기억하는 메일정보 기억부(12B), 인터넷 기능의 웹 사이트의 URL 정보 등을 기억하는 웹 정보 기억부(12C) 등의 기억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에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정보도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은 「0」이며 착신이 있어 유저에게 착신 통지를 행할 때에 플래그 정보 「1」이 설정되는 통지 중 플래그 기억부(12D), 상기 착신의 통지를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행하게 할 때에 「1」이 설정되는 바이브레이터 플래그 기억부(12E), 상기 착신의 통지를 통 지용 스피커에 의해 행하게 할 때에 「1」이 설정되는 경보음 플래그 기억부(12F), 착신 통지 중에 오프훅 키 조작이 이루어져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 「1」이 설정되는 통화 중 플래그 기억부(12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에는, 보수계 관련의 기억부로서, 보수계 기능의 동작 중에 「1」이 설정되는 보수계 동작 플래그 기억부(12H) 및 보행수를 카운트하는 보행수 카운터(12I)도 설치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계시부(13)는, 기준 신호를 계수하여 현재의 년, 날짜, 요일, 시분 등의 현재 일시 정보를 얻는 시계 회로부(도시 생략)나, 알람 시각 등이 설정되어 현재 시각정보가 알람 시각정보와 일치하면 알람음 등에 의해 알람 시각에 이른 것을 통지하는 알람 시각 회로부(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이브레이터(14)(진동 발생수단, 착신 통지수단)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4A)에 도시 생략한 추가 설치된 모터(14B)이고, 휴대전화장치(1)의 기기 케이스(도시 생략) 내부의 회로 기판(17)에 설치되고, 모터(14B)의 회전에 의하여 회로 기판(17)을 거쳐 휴대전화장치(1)의 기기 케이스를 진동시키는 것이다.
도 1의 통지용 스피커(15)는, 대음량의 경보음에 의해 착신을 유저에게 알리게 하는 것이고, 또, 착신시 이외의, 예를 들면 음악 재생기능의 동작시 등에서도 대음량으로 음악을 경보음으로 재생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통지용 스피커(15)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7)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3축 방향 진동센서(16)(진동 검출수단)는, X축(세로), Y축(가로) 및 Z축(상하)방향의 가속도로부터 휴대전화장치(1) 각각의 방향의 진동의 크기를 얻는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지고, 휴대전화장치(1)를 휴대한 유저의 보행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7)의 상기 모터(14B)와 통지용 스피커(15)의 사이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14)[모터(14B)]의 회전축(14A)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그 진동이 회로 기판(17)을 거쳐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전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바이브레이터(14)[모터(14B)]의 회전에 의해 회로 기판(17)은 화살표 Y축 방향(가로방향) 및 화살표 Z축 방향(상하방향)으로 진동하기 때문에, 3축 방향 진동센서(16)는 바이브레이터(14)[모터(14B)]에 의한 Y축(가로)방향 및 Z축(상하)방향의 진동을 검지하게 되어 있다(주기 : 검지를 여기(余技)없이 한다는 의미이다).
한편, 회로 기판(17)에 설치된 통지용 스피커(15)도 그 경보음 진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전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통지용 스피커(15)로부터 경보음이 이루어지면, 그 경보음에 의한 상하방향의 진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전해지고, 3축 방향 진동센서(16)는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Z축(상하)방향의 진동을 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전원부(18)는 도시 생략한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와, 이 2차 전지의 전지전압이 저하하였을 때에 각 회로부를 백업하는 백업전지로 이루어져, 상기한 각 회로부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앙제어부(CPU)(2), 기억부(3)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는 전체로서, 기능 처리수단, 진동 판별수단, 기능 제어수단, 정지 판별수단, 보행수 검출수단의 기능을 실현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전화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플로우차트는, 중앙제어부(CPU)(2)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4에서, 단계 S1에서는, 전원 오프상태에서 조작부(10)의 전원 온 키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전원 온 키가 조작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2로 진행하고, 대기처리를 행하여 휴대전화장치(1)를 전화의 착신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 S2에서 대기처리가 완료된 후는 단계 S3으로 진행하여, 도 2의 통지 플래그 기억부(12D)의 통지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시점에서는, 통지 플래그는 「1」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 S4로 진행하여, 도 2의 통화 중 플래그 기억부(12C)의 통화 중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시점에서는, 통화 중 플래그도 「1」로는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5의 단계 S5로 진행하여, 착신의 유무가 판별(검출)된다.
착신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진행하나, 착신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하여, 조작부(10)의 보수계 키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보수계 키는, 그 최초의 키 조작으로 보수계(보행수의 카운트) 기능을 개시시키고, 2회째의 조작으로 보수계 기능을 정지시키는 키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 S7에서 보수계 키의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도 2의 보수계 플래그 기억부(12H)의 보수계 플래그가 「0」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보수계 플래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수계 기능의 동작 중에 「1」이 설정되는 플래그이고,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는, 보수계 플래그는 「0」이기 때문에, 단계 S9로 진행하여 보수계 플래그가 「1」로 설정되고, 다음 단계 S9에서 보수계의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값(진동량)에 의거하여 보행수가 도 2의 보행수 카운터 기억부(12I)에서 계수되고, 그 계수값이 표시부(9)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 S8에서 보수계 플래그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이미 보수계 플래그가 「1」의 보수계 동작상태에서 보수계 키가 조작된 것으로 하여 단계 S11로 진행하고, 그 단계 S11에서 보수계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며, 다음 단계 S12에서 보행수 계측의 정지 처리가 이루진다.
상기 단계 S7에서, 보수계 키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때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다른 키 조작의 유무가 검출된다. 이 단계 S13의 다른 키 조작의 검출은, 상기한 전원 온 키, 보수계 키 및 뒤에서 설명하는 온훅 키, 오프훅 키 이외의 키 조작이고, 각각의 키 조작이 검출되면, 단계 S14로 진행하여 각각의 키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전원 온시에는, 착신의 통지를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경보음 으로 행하게 하도록 설정되나, 상기 단계 S13에서 매너모드 키가 조작된 것이 검출되면, 단계 S14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의 도시 생략한 매너모드 플래그를 「1」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하여, 착신시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바이브레이터(14)에 의한 착신 통지가 이루어진다.
또, 발호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이나, 어드레스북의 데이터 입력, 메일 기능에서의 메일문 작성을 위한 키 입력의 검출 등은 모두 상기 단계 S13에서 이루어지고, 그 키 입력에 따른 처리가 단계 S14에서 행하여진다.
상기 단계 S13에서 다른 키 입력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때에는 단계 S15로 진행하여 보수계 플래그 기억부(12H)의 보수계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져, 보수계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단계 S16로 진행하여 보수계 처리가 이루어지고, 보수계 플래그가 「0」인 경우는 도 4의 단계 S2의 대기처리로 되돌아간다.
즉, 단계 S7에서 보수계 키가 조작되고, 단계 S9에서 보수계 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그것 이후는 상기 단계 S16에서 보수계 처리가 이루어져, 보행이 있었던 때에 그 수가 계수되고 표시부(9)에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16의 보수계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단계 S5에서, 착신이 검출되면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도 2의 통지 중 플래그 기억부(12D)의 통지 중 플래그가 「1」로 설정됨과 동시에, 다음 단계 S17에서, 그 때의 통지 모드가 매너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매너모드가 설정되어 있던 경우에는, 단계 S18로 진행하여, 바이브레이터 플래그 기억부(12E)의 바이 브레이터 플래그를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다음 단계 S19에서, 바이브레이터(14)에 의한 진동처리를 개시시키고, 그 후, 도 4의 단계 S3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7에서, 매너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에서 도 2의 경보음 플래그 기억부(12F)의 경보음 플래그가 「1」로 설정됨과 동시에, 다음 단계 S21에서,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경보음이 개시되고, 그 후 도 4의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즉, 단계 S5에서 착신이 검출된 경우에는, 통지 중 플래그가 「1」로 설정됨과 동시에, 그 때에 매너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 중 어느 한쪽에 의한 착신통지가 개시되어 도 4의 단계 S3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착신 검출 후에 단계 S3로 되돌아간 경우, 단계 S3에서는, 통지 중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어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 중 어느 한쪽에 의한 착신통지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 검출되기 때문에 다음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는, 보수계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보수계 기능이 동작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보수계 기능이 동작 중인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고,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는 그대로 단계 S24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 S23은, 도 5의 단계 S16의 보행수 처리와 동일한 보행수 처리이고, 그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나, 보행이 있었던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보행수의 카운트를 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단계 S24로 진행하는 것이다. 단계 S24는, 조작부(10)의 오프훅 키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이며, 오프훅 키가 조작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25 이후의 처리로 진행하나, 오프훅 키의 조작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착신 종료의 처리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착신 종료처리란, 예를 들면, 유저가 착신을 거부하기 위하여 착신 거부 키의 조작을 행한 것, 또는 착신이 있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출하는 처리이며, 착신 거부 키의 조작이나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가 검출되었을 때에는 단계 S27로 진행하나, 그렇지 않을 때에는 단계 S26으로부터 단계 S3로 되돌아간다.
즉, 착신의 통지 중에서는, 보행수 기능이 동작 중인 경우, 단계 S24의 오프훅 키의 조작검출 또는 단계 S26의 착신종료의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상기 단계 S3, S22, S23, S24 및 S26의 처리가 반복되게 되어, 착신 통지 중의 보행은 단계 S23에서 검출되어 카운트되게 된다.
단계 S24에서 오프훅 키의 조작이 검출되면, 다음 단계 S25에서는 통지 중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고, 다음 단계 S28에서는,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착신의 통지를 정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바이브레이터 플래그 및 경보음 플래그도 동시에 「0」으로 설정된다.
다음 단계 S29에서는, 도 2의 통화 중 플래그 기억부(12G)의 통화 중 플래그를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다음 단계 S30에서 전화를 걸어온 상대와의 통화를 개시시키는 처리를 행하여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26에서 착신 종료의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S27로 진행하여 단계 S25와 마찬가지로 통지 중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고, 다음 단계 S31에서 단계 S28과 마찬가지로 착신의 통지를 정지하는 처리를 행한 후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 S24에서 오프훅 키의 조작이 검출되면 단계 S25 이하로 진행하고, 단계 S29에서 통화 중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통화가 개시되면, 이것 이후는, 단계 S4에서 통화 중 플래그가 「1」인 것이 검출되기 때문에, 단계 S32로 진행하여 통화처리가 이루어지고, 다음 단계 S33에서 보수계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 즉 보수계 기능의 동작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보수계 기능의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35로 진행하여 온훅 키의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의 검출이 이루어지나, 보수계 기능의 동작 중의 경우에는 단계 S33로부터 단계 S34로 진행하고, 보행이 있었던 경우 이것을 계수하는 보행수 처리를 행한 후 단계 S35로 진행한다.
즉, 착신 후 오프훅 키의 조작이 이루어져 통화가 개시되면, 온훅 키의 조작이 단계 S35에서 검출될 때까지는, 단계 S3, S4, S32, S33, S34 및 S35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그 때문에, 통화 중이더라도 보행하고 있으면, 그 보행은 단계 S34에서 검출되어 카운트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계 S35에서 온훅 키의 조작이 검출되면, 단계 S36에서 통화 중 플래그가 「0」으로 되돌아가고, 다음 단계 S37에서 통화 정지처리가 이루어져 단계 S2의 대기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단계 S16, S23 및 S34의 보행수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먼저 단계 B1에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서 3축 방향의 진동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진동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진동량을 도시 생략한 기억부에 기억시킨 후 단계 B2로 진행한다.
즉,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X축, Y축, Z축 방향 중 어느 것에서도 미리 정해진 값의 진동량이 검출된 경우에는, 각각의 진동량을 기억부에 기억시킨 후 단계 B2로 진행하여 바이브레이터(14)가 진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바이브레이터(14)가 진동 중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도 2의 바이브레이터 기억부(12E)의 바이브레이터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바이브레이터 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B3으로 진행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량 중, X축 방향의 진동량만을 사용하여, 그 진동량이 미리 정해진 값을 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보행의 유무를 판단하고, 보행있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보행수 카운터(12I)의 값을 증분(+1)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B4에서 보행수 카운터(12I)의 값, 즉 보행계 기능의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의 보행의 누계값을 표시부(9)에 표시시킨다.
상기 단계 B2에서 바이브레이터의 진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B5로 진행하여, 착신 통지용 스피커(15)가 구동 중(경보음 중)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착신 통지용 스피커(15)가 구동 중(경보음 중)이었던 경우에는, 다음 단계 B6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진동량만을 사용하여 보행의 유무를 판별하고, 보행있음이 라고 판단한 경우에, 보행수 카운터(12I)의 값을 증분한다.
또, 단계 B5에서 착신 통지용 스피커(15)가 구동 중(경보음 중)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B7로 진행하여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량에 의거하여 보행의 유무를 판별하여, 보행있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보행수 카운터(12I)의 값을 증분한다.
즉, 도 4의 단계 S23의 보행처리에서는, 착신 통지 중이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가 구동 중이고, 바이브레이터(14)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축 방향 진동센서는 바이브레이터(14)의 진동에 의한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을 검지하여, 보행에 의한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바이브레이터(14)의 구동 중(단계 B2에서 YES)은 단계 B3에서 X축 방향의 진동만으로 보행을 검출하고 있는 것이다.
또, 착신 통지용 스피커(15)가 구동 중인 경우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진동에 의한 Z축 방향의 진동을 검지하여, 보행에 의한 Z축 방향의 진동 검지를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 중(단계 B5에서 YES)은 단계 B6에서 X축 및 Y축 방향의 진동만으로 보행을 검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도 4의 단계 S34 및 도 5의 단계 S16에서는, 착신에 의한 바이브레이터(14) 및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항상 단계 B7로 진행하여 X축, Y축 및 Z축의 3축 방향의 진동에 의거하여 보행 수가 검출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33 및 단계 S16에서도, 단계 B2, B3, B5 및 B6의 처리 단계를 설치하고 있는 것은, 예를 들면 착신 통지 중이 아닌 상태에서, 보행 중에 현재 시각이 알람 시각에 이르러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통지가 이루어진 경우, 보행에 의한 진동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착신 통지 중과 동일하게 하여 보행을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행에 의한 원래의 진동을 3축 방향 진동센서(16)로 검출하여 보행수를 카운트할 때에, 착신 통지를 위해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라는 다른 요인에 의한 진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가해져도,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진동을 배제하여 보행수 계측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미스카운트가 발생하지 않고 보수계의 카운트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3축 방향 진동센서는, 예를 들면 유저가 기기장치 자체를 손으로 잡고 소정의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그 움직임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소위 모션 컨트롤 처리에도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모션 컨트롤 처리에서, 경보음 등에 의한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회로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나, 조작부(10)에는, 모 션 컨트롤 기능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션 컨트롤 키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 1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에는, 휴대전화장치(1) 자체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의 검출에 따라, 각각 처리해야 할 내용이 등록 기억된 모션 테이블(20)이 설치되어 있다.
즉, 모션 테이블(2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동작 기억부(21), 모드 기억부(22) 및 실행처리 기억부(23)로 구성되어 있고, 검출동작 기억부(21)에는 휴대전화장치(1) 자체의 움직임(모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 모드 기억부(22)에는, 예를 들면 모션 동작이 행하여졌을 때의 모드명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실행처리 기억부(23)에는, 검출동작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동작이 검출되고 또한 그 때의 모드가 모드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이었던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장치(1)가 검출동작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로 2회 흔들린 것, 즉 「좌우 2회의 진동」이 검출되고 또한 그 때의 모드가 모드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메일열람 모드」이었던 경우, 실행처리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메일 본문의 표시」라는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에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의해 검출된 진동값이 차례로 기억되는 진동값 기억부(도시 생략)도 설치되어 있고, 휴대전화장치(1) 자체가 어떠한 움직임을 한 것을 이 진동값 기억부에 차례로 기억된 진동값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중앙제어부(CPU)(2), 기억부(3)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는 전체로서, 모션 제어수단의 기능을 실현한다.
다음에, 이 제 2 실시형태의 모션 컨트롤의 동작에 대하여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 차트도, 중앙제어부(CPU)(2)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8에서, 모션 컨트롤 기능을 온시키는 모션 컨트롤 키가 조작되면, 단계 C1에서 모션 컨트롤의 초기화 처리가 이루어지고, 다음 단계 C2에서,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3축 방향의 진동값의 검출이 개시된다.
다음 단계 C3에서는, 바이브레이터(14)의 진동 개시정보가 있는지의 여부의 검출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착신이 있으면, 그 후는 바이브레이터 또는 경보음이 계속하여 구동하는 실시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착신 통지는, 예를 들면 1초 구동하고 다음 1초는 휴지한다는 단속적인 통지로 하는 것이 있고, 이와 같은 경우, 구동 중인 것을 그 때마다 검출하여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검출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아주 복잡한 구성이 된다. 그래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바이브레이터(14) 또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개시의 예정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그 후는, 구동의 유무에 관계 없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검출동작을 제어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단계 C3에서의 바이브레이터(14)의 진동 개시정보가 있는 것이 검출 되면 단계 C4로 진행하여,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을 측정하지 않은 무효상태(OFF)로 하여, X축 방향만의 진동값을 측정(검출)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 단계 C5에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X축 방향의 진동값을 검출하여 상기 진동값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다음 단계 C6에서는, 그때까지 진동값 기억부에 기억된 진동값으로부터 휴대전화장치(1) 자체의 움직임을 판정하고, 다음 단계 C7에서, 그 움직임이 모션 테이블(20)의 검출동작 기억부(21)에 등록(기억) 되어 있는 동작(모션)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 모션 컨트롤 기능이 막 개시된 시점에서는, 진동값 기억부의 진동값이 적기 때문에, 단계 C6에서의 모션의 판정은 할 수 없고, 또, 등록이 끝난 모션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단계 C5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상기 단계 C5 내지 C7의 처리가 반복하여 행하여지면 진동값 기억부에 기억된 진동값이 많아져, 모션의 판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등록이 끝난 모션과 일치한 경우는 단계 C7로부터 단계 C8로 진행한다.
단계 C8은, 일치한 모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처리이며, 즉, 그 때의 모드가, 모션 테이블(20)의 일치한 등록이 끝난 모션에 대응하는 모드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인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모드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실행처리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좌우 2회의 진동」이 검출되고 또한 그 때의 모드가 모드 기억 부(22)에 기억되어 있는「메일열람 모드」인 경우, 실행처리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메일 본문의 표시」라는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다.
단계 C8의 처리가 이루어진 후는 단계 C9로 진행하여, 모션 컨트롤 기능을 종료하는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 즉, 모션 컨트롤 기능을 오프시키는 모션 컨트롤 키의 키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키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단계 C10로 진행하여, 모션 컨트롤 기능을 종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 C9에서 모션 컨트롤 기능을 오프시키는 키 조작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C5로 되돌아가,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의한 진동 검출을 계속한다.
또한, 단계 C5에서, 진동 검출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C11로 진행하여, 바이브레이터(14)의 구동 종료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면, 바이브레이터(14)에 의한 착신 통지가 개시된 후, 이 모션 컨트롤 기능의 동작 중에 오프훅 동작이 이루어져 바이브레이터(14)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에는, 이 단계 C11에서 바이브레이터(14)의 구동 종료가 검출되고, 그 결과, 단계 C11로부터 단계 C2로 되돌아간다.
단계 C2에서는, 다시 3축 방향의 진동검출을 개시시키고, 단계 C3으로 진행한다. 이 시점에서는 이미 바이브레이터(14)에 의한 구동은 종료되어 있기 때문에, 단계 C3으로부터 단계 C12로 진행한다.
단계 C12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개시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 시점에서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개시 정보는 존재하 지 않기 때문에 단계 C13으로 진행하여,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3축 방향 전체의 진동값의 검출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C14에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진동 발생의 유무를 판단하여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진동값을 상기 진동값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다음 단계 C15에서 모션의 판정을 행한다.
이것 이후의 단계 C16 내지 C18의 처리는, 단계 C7 내지 C9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휴대전화장치(1) 자체의 모션이 모션 테이블(20)에 기억된 모션과 일치하면, 그 모션에 대응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단계 C14, C16 및 C18의 판단처리에서, 각각 판단결과가 No인 경우에는 단계 C3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은 상기 단계 C13 내지 C18에서,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3축 방향 전체의 진동값에 의거하여 모션의 검출을 한창 행하고 있을 때에 바이브레이터(14)나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이 개시된 경우, 그것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 C13 내지 C18을 계속하여 처리하고 있는 동안에 착신이 있고, 매너모드가 아닌 경보음에 의한 착신 통지가 설정되어 있던 경우, 단계 C12에서 스피커 구동개시 정보가 검출되어 단계 C19로 진행한다.
단계 C19에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Z축 방향의 진동검출을 무효(OFF)로 하여, X축 및 Y축 방향만의 진동값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 단계 C20에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로 진동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진동이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X축 및 Y축 방향의 진동값을 진동값기억부에 기억시키고, 다음 단계 C21에서 휴대전화장치(1) 자체의 움직임을 판정한다.
이것 이후의 단계 C22 내지 C24의 처리는, 단계 C7 내지 C9에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휴대전화장치(1) 자체의 모션이 모션 테이블(20)에 기억된 모션과 일치하면, 그 모션에 대응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단계 C20에서, 진동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C25로 진행하여,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종료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구동종료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C2로 되돌아간다. 이것은,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착신 통지가 개시된 후, 이 모션 컨트롤 기능의 동작 중에 오프훅 동작이 이루어져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에, 단계 C13 내지 C18의 3축 방향의 진동 검출에 의한 모션 검출로 되돌아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 2 실시형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를 유저가 기기자체를 손으로 잡고 소정의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그 모션(움직임)을 검출하여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모션 컨트롤에 사용한 예이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착신 통지를 위한 바이브레이터(14)나 착신 통지용 스피커(15)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배제하여 기기 자체의 정확한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3축 방향 진동센서(16)의 3축 방향 중, 영향을 받는 방향의 진동을 측정하지 않도록 하고 있어, 소비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있으나,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3축 방향의 진동량을 측정하여 기억시키고 나서, 특정한 방향의 진동량을 배제하고(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향의 진동량에 의거하여 모션을 검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중 어느 쪽의 방법이어도, 아주 용이한 구성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착신 통지의 발생에 의해 특정한 방향의 진동량만으로 모션 검출을 행하고 있어도, 착신 통지가 정지되면 단계 C11 또는 단계 C25에서 그것이 즉시 검출되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모션 검출인 단계 C13 이후의 처리를 재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화기능의 착신통지가 이루어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각이 되었을 때나 타이머의 타임업 시, 또는 게임의 실행 시 등에 있어서 경보음이나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도, 검출용의 3축의 가속도 센서의 진동 검출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회로 기판(17) 상에 3축 방향 진동센서(16), 착신 통지용 스피커(15) 및 바이브레이터(14)를 배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 기판 상이 아닌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착신 통지용 스피커(15) 또는 바이브레이터(14)의 진동이 3축 방향 진동센서(16)에 의한 진동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검출된 진동을 배제하는 방향도, 3축 방향 진동센서(16), 착신 통 지용 스피커(15) 및 바이브레이터(14)의 각각의 배치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는 것은 명백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장치(1)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음악 플레이어, PDA 등, 어떠한 전자기기이어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이 특정부분의 구체적인 언급과 함께 묘사되어 있기는 하나, 본 발명은 그 설명의 그 어떤 구체성에 의해서도 제한받지 않고, 관련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는 그 모든 특정부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전화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의 상세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바이브레이터(14), 착신 통지용 스피커(15) 및 3축 방향 센서(16)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
도 4는 도 1의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
도 5는 마찬가지로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
도 6은 도 4 및 도 5의 보행수 처리의 상세한 플로우차트도,
도 7은 도 1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기억부(12)의 상세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플로우차트도이다.

Claims (8)

  1. 복수의 방향 각각의 진동상태를 검출하는 진동 검출수단과, 이 진동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진동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처리수단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소리 출력에 의한 진동 또는 통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수단과,
    이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 또는 발생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진동 판별수단과,
    이 진동 판별수단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또는 발생 중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을 배제하면서,상기 기능 처리수단을 제어하는 기능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수단은, 상기 진동 검출수단으로 검출되는 각 방향의 진동 중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 검출결과를 제외함 으로써,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수단은, 상기 진동 검출수단으로 검출되는 각 방향으로 진동 중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의 검출 자체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판별수단은,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이 정지하는, 또는 정지하였다고 판별하는 정지 판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제어수단은, 상기 정지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이 정지하는 또는 정지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한 진동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 검출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기능 처리수단의 제어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수단은, 상기 진동 검출수단이 검출한 각 진동상태에 의거하여 당해 전자기기를 몸에 지니고 있는 유저의 보행수를 검출하는 보행수 검출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수단은, 상기 진동 검출수단이 검출한 각 진동상태에 의거하여 유저가 동작시킨 당해 전자기기의 모션을 판별하고, 당해 전자기기의 모션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모션 제어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과,
    이 통신수단에 대한 착신이 있었던 것을 통지하는 착신 통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한 진동은, 상기착신 통지수단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복수의 방향 각각의 진동상태를 검출하는 진동 검출처리,
    이 진동 검출처리에 의해 검출된 진동에 의거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 실행처리,
    소리출력에 의한 진동 또는 통지를 위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처리,
    이 진동 발생처리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 또는 발생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진동 판별처리,
    이 진동 판별처리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또는 발생 중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상기 진동 발생처리에 의한 진동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진동을 배제하면서, 상기 기능 실행처리를 제어하는 기능 제어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90068847A 2008-09-04 2009-07-28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056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6647 2008-09-04
JP2008226647 200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473A true KR20100028473A (ko) 2010-03-12
KR101056134B1 KR101056134B1 (ko) 2011-08-10

Family

ID=418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47A KR101056134B1 (ko) 2008-09-04 2009-07-28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6134B1 (ko)
CN (1) CN101668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8372A1 (en) * 2014-08-14 2016-02-18 Nokia Corporation User Interaction With an Apparatus Using a Location Sensor and Microphone Signal(s)
JP6560826B2 (ja) * 2016-06-28 2019-08-14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利用状態判定装置、利用状態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157016B (zh) * 2019-12-27 2021-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记步方法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0346B2 (ja) 2004-03-30 200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処理装置
CN1779731A (zh) * 2004-11-26 2006-05-31 陈侑郁 可全方位接收无线计步信号的无线计步器
JP4030995B2 (ja) 2004-12-01 2008-01-0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携帯型経路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68075B (zh) 2012-12-05
CN101668075A (zh) 2010-03-10
KR101056134B1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3993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101902808B1 (ko) 손목 시계, 긴급 구조 요청 방법, 및 단축 다이얼 방법
JP5092909B2 (ja) 携帯端末
US9544407B2 (en) Gyroscopic alerting mechanism for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7924656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cceleration sensor
JP2009171302A (ja) 携帯電子機器
CN103477374B (zh) 振动控制
JP2008227639A (ja) 端末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CN107422846B (zh) 振动发生装置及电子设备
CN108900728A (zh) 提醒方法、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056134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5348678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79873A1 (en) Notification message reminder method, notification message reminder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00249569A (ja) 歩数計及び携帯型複合装置
JP2009290306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61757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応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63956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1200471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3612884B (zh) 关机闹钟的实现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769871A (zh) 发声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JP5688215B2 (ja) 電子機器及びアラーム出力方法
US202100355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JP5125822B2 (ja) 携帯情報処理装置、計測制御方法および計測制御プログラム
JP5310595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4048701A (ja) 携帯端末、及び報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