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267A -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267A
KR20100028267A KR1020080087222A KR20080087222A KR20100028267A KR 20100028267 A KR20100028267 A KR 20100028267A KR 1020080087222 A KR1020080087222 A KR 1020080087222A KR 20080087222 A KR20080087222 A KR 20080087222A KR 20100028267 A KR20100028267 A KR 2010002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unting
wedge
mounting portion
s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8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8267A/ko
Publication of KR2010002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락커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작만으로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를 구비하되, 배터리 분리 구조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휴대폰, 휴대 단말기, 배터리

Description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BATTERY DE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락커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작만으로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자동으로 이탈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에 널리 사용되는 배터리의 장착 방식 중, 배터리 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배터리가 슬라이딩 되면서 장착되도록 하는 방식이고, 다른 한 가지는 배터리의 일단부가 배터리 장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배터리의 나머지 부분을 배터리 장착부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시켜 장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위의 두 가지 방법 모두 배터리가 휴대 단말기에 고정되도록 하는 락커를 이 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때 락커 및 배터리의 일단부에는 각각 걸림홈 및 후크부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는 락커를 작동시켜 걸림홈 및 후크부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를 수직 방향으로 밀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락커에 의한 배터리의 고정상태가 해제된 후에도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에 그대로 거치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배터리의 일부분을 잡아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이탈시켜야 한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슬림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면서 현재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배터리 또한 소형화 및 슬림화 되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형상에 따라 배터리 장착부에 거치된 상태의 배터리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배터리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배터리 분리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이에 해당되는 종래 기술의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직선 X-X'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하우징(110)의 일면에는 배터리(130) 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112)가 형성된다. 배터리 장착부(112)의 일측에는 배터리(130)가 배터리 장착부(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커(locker, 120)가 구비된다.
배터리 장착부(112)의 바닥면에는 고정홈(140)이 형성되고, 고정홈(140)의 양측에는 안내홈(142)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홈(140)에 탄성편(150)이 삽입되면 탄성편(150)의 양측부는 안내홈(142)에 삽입되어, 탄성편(150)이 고정홈(140) 내에 고정된다.
한편, 탄성편(150)의 일부분에는 탄성편(150)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지부(152)가 형성된다. 탄성편(150)은 일반적으로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탄지부(152)는 탄성편(150)이 고정홈(140) 내에 삽입되었을 때 배터리 장착부(112)의 바닥면보다 더 높이 돌출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130)에 형성된 걸림홈(132) 및 후크부(124)가 서로 체결되어, 배터리(130)가 락커(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홈(140)에 삽입된 탄성편(150)의 탄지부(152)는 배터리(130)에 의해 하방향으로 눌려 고정홈(14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130)는 탄지부(152)에 의해 배터리 장착부(도 1의 112 참조)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탄성력을 받게 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130)가 락커(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배터리(130)가 이동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락킹 노브(locking knob, 122)가 사용자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홈(132)으로부터 후크부(124)가 이탈된 상태, 즉 배터리(130) 가 락커(120)에 의해 고정되었던 상태가 해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130)는 탄지부(152)에 의해 화살표로 도시한 배터리 장착부(112)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락킹 노브(122)를 후퇴시키는 동작만으로 배터리(130)가 배터리 장착부(112)로부터 자동적으로 소정 거리 이탈되도록 할 수 있고, 배터리 장착부(112)로부터 이탈된 배터리(130)의 일부분을 잡고 휴대 단말기(도 1의 100 참조)와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탄성편(150)을 배터리 장착부(112)에 장착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에 고정홈(140)을 형성해야 하므로, 하우징(110)이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회로기판이 장착될 공간이 좁아지거나 휴대 단말기(1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도 4에는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일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소정의 위치에는 통공(114)이 형성된다. 이 통공(144)의 하부에는 탄성편(160)이 설치되는데, 탄성편(160)의 중심 부분에는 통공(114)을 관통하여 배터리 장착부(112)로 돌출되는 절곡부(162)가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114) 가장자리의 하우징(110)에 인접하게 고정되는 지지부(164)가 형성된다.
탄성편(160)은 일반적으로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지지부(164)는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 또는 지지 리브(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하우징(110) 또는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어, 탄성편(160)이 배터리(130)의 저면을 탄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 장착부(112)에 배터리(130)가 장착되면, 탄성편(160)의 절곡부(162)가 배터리(130)의 저면에 의해 가압되어 다소 펴지면서 통공(114) 방향으로 이동된다. 배터리(130)가 배터리 장착부(112)에 완전히 장착되면, 절곡부(162)는 통공(114) 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배터리(130)를 탄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배터리(130)를 휴대 단말기(도 1의 100 참조)로부터 분리하고자 하여 락커(도 1의 120 참조)를 작동시켜 배터리(130)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면, 절곡부(162)가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통공(114)을 통하여 배터리 장착부(112)로 상승되면서 배터리(130)의 저면을 배터리 장착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배터리(130)는 절곡부(162)가 통공(114)을 통하여 돌출되는 높이만큼 배터리 장착부(112)로부터 이탈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배터리 장착부(112) 외부로 이탈된 배터리(130)의 일부분을 잡아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도 1의 100 참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편(16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부(164)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 또는 지지 리브(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구성요소가 통공(114)의 가장자리 부분의 하부 또는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이 좁아지거나 휴대 단말기(도 1의 100 참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락커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작만으로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자동적으로 이탈되도록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되, 배터리 분리 구조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부 및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락커가 설치된 배터리 분리 구조에 있어서, 배터리 장착부의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 내에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웨지 및 웨지를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웨지의 일단부에는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배터리의 가장자리 부분이 경사면을 따라 배터리 장착부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밀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웨지는 배터리 장착부의 측면 중 락커가 설치된 측면의 하부에 설치 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장착부의 락커가 설치된 측면의 맞은 편 측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장착부의 바닥면 중 웨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편은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락커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작만으로 배터리가 배터리 장착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자동적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배터리 분리 구조가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휴대 단말기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형상이 동일 또는 유사하고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분리 구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0)의 하우징(210)의 일면에는 배터리 장착부(212)가 형성된다. 배터리 장착부(212)는 배터리(230)의 일면 및 측면이 수용되는 공간으로, 배터리 장착부(212)의 일측에는 후크부(224)가 형성된 락킹 노브(222)를 포함하는 락커(220)가 설치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락커(220)는 배터리 장착부(212)에 삽입된 배터리(230)를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식의 락커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락커(220)는 락킹 노브(220)가 배터리 장착부(21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후크부(224)가 배터리 장착부(212)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후크부(244)가 배터리 장착부(212)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후크부(244)는 배터리 장착부(212)의 바닥면을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장착부(212)의 락커(220)가 설치된 측면의 하부에는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212)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웨지(270)는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웨지(270)의 일면은 배터리 장착부(212)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데, 웨지(270)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배터리 장착부(212)의 바닥면의 소정 위치에는 단자(216)가 설치된다.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212)에 완전히 장착되면 배터리(230)의 일면에 설치된 단자(도시되지 않음) 및 배터리 장착부(212)에 설치된 단자(216)가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 단말기(200)가 배터리(2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자(216)는 배터리(230)에 설치된 단자(도시되지 않음)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는 배터리(230)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234)이다. 단턱(234)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도 5에 표시된 꺾은선 Y-Y'에 의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210)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부(212)의 일측에는 락커(220)가 설치되고, 락커(220)가 설치된 측의 맞은 편 측면 상단부에는 걸림턱(218)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218) 및 배터리(230)에 형성된 단턱(234)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터리(230)의 단턱(234)이 형성된 부분을 배터리 장착부(212)의 걸림턱(218) 아래 부분으로 삽입하면, 단턱(234) 부분이 걸림턱(218)에 의해 고정되 므로, 배터리(230)의 일측이 배터리 장착부(212)에 고정된다.
이때, 배터리(230)의 나머지 부분을 배터리 장착부(212)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시키면 배터리(230)의 저면이 배터리 장착부(212)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212)에 완전히 삽입된다.
즉, 배터리 장착부(212)에 배터리(230)를 장착할 경우, 배터리(230)의 단턱(234)이 형성된 부분을 배터리 장착부(212)의 걸림턱(218) 아래 부분으로 먼저 삽입한 다음, 배터리(230)의 나머지 부분을 배터리 장착부(212)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시킨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걸림턱(218) 및 단턱(234)은 배터리(230)가 락커(220)에 의해 고정되는 측의 맞은 편 단부를 배터리 장착부(212)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예를 들어, 배터리(230)의 일측에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을 돌출 형성하고, 이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에 상응되는 형상을 갖는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을 배터리 장착부(212)의 락커(220)가 설치된 측의 맞은 편 측면에 형성하여, 배터리(230)의 일측이 배터리 장착부(2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배터리(230)의 타측에는 걸림홈(232)이 형성된다. 걸림홈(232)은 락커(220)의 락킹 노브(도 5의 222 참조)에 형성된 후크부(도 5의 224 참조)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212)에 완전히 삽입된 후, 락킹 노브(도 5의 222)를 배터리 장착부(21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후 크부(도 5의 224)가 걸림홈(232)에 삽입되어, 배터리(230)의 타측부가 배터리 장착부(212)의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즉, 배터리(230)의 일측은 걸림턱(218)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락커(220)의 후크부(도 5의 222)에 의해 고정되어 배터리(230)는 배터리 장착부(2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런데,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21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배터리(230)의 타측부, 즉 걸림홈(232)이 형성된 부분의 모서리는 웨지(270)에 접하게 된다.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212)에 삽입됨에 따라 웨지(270)는 배터리(230)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가압되어 배터리 장착부(21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웨지(270)는 하우징(210) 내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 리브(217)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편(280)에 의해 탄지되는데, 웨지(270) 및 탄성편(280)의 작동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는 도 6에 표시된 A부분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에는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소정 거리 이탈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홈(232)에 후크부(224)가 삽입되어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 즉 배터리(230)가 휴대 단말기(도 5의 200 참조)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락커(220)가 설치된 측면의 하단부에는 통공(214)이 형성되고, 통공(214) 내에는 웨지(270)가 설치된다. 웨지(270)는 통공(214) 내에서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다.
웨지(270)의 일단부는,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의 내측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는 통공(214)을 통하여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 내부로 돌출되고,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외측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는 통공(214) 내로 이동되어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 내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웨지(270)의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경사면(271)이 형성되는데, 경사면(271)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 즉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을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웨지(270)의 타단부에는 통공(214)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돌출부(273)가 형성된다. 돌출부(273)는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 거리 이동되면 통공(214)의 가장자리에 걸리면서 웨지(270)의 이동을 제한한다. 여기서, 웨지(270)의 횡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웨지(270)의 타단부는 탄성편(280)의 일단부에 의해 탄지된다. 탄성편(280)의 타단부는 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리브(217)에 고정된다. 탄성편(280)으로는 탄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웨지(270)에는 탄성편(280)에 의해 통공(214)을 통하여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 내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탄성력을 받고 있으나, 웨지(270)의 경사면(271)이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에 접촉되어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내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270)의 저면 및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가 접촉되는 부위에는 가이드 홈(219)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19)은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이동 방향을 한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219)의 깊이는, 경사면(271)이 시작되는 부분이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 또는 바닥면 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 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락킹 노브(도 5의 222 참조)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크부(224)가 걸림홈(232)으로부터 이탈된 상태, 즉 배터리(230)가 락커(2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상태가 해제되어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소정 거리 이탈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도 5의 200)로부터 배터리(230)를 분리하기 위하여 락커(220)가 배터리(230)를 고정하고 있던 상태를 해제하면, 배터리(230)는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 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웨지(270)는 탄성편(280)에 의하여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내측 방향으로 탄지되고 있으므로,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를 밀게 되는데,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는 경사면(273)에 접촉되고 있으므로,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에는 수평 방향의 힘 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힘도 동시에 작용되어 배터리(23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웨지(270)의 경사면(271)이 형성된 부분이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 및 배터리(230)의 저면 사이로 이동되면서,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저면 및 배터리(230)의 저면 사이를 쐐기와 같이 벌리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230)의 경사면(271)과 접촉된 부분은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 내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경사면(271)을 타고 상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 내측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돌출부(273)가 통공(214)의 일측에 접촉될 때까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상방향으로 이탈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이탈된 배터리(230)를 쉽게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되어 배터리(230)를 휴대 단말기(도 5의 200 참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홈(도 7의 219 참조)의 깊이는 경사면(271)이 시작되는 부분이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과 같거나 더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웨지(270)의 일단부 전체에 경사면(271)을 형성하 면 날카로운 첨단부(尖端部)가 형성되어 배터리(230)와의 접촉이 반복되면서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사면(271)은 웨지(270)의 일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난 위치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면(271)이 웨지(270)의 일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벗어난 위치로부터 형성되는 경우에는, 웨지(270)의 일단부에 경사지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사지지 않은 부분이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두 평면이 맞닿게 된다. 이럴 경우에는 웨지(270)에 의해 배터리(23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가이드 홈(도 7의 219)의 깊이는 경사지지 않은 부분의 높이 보다 깊게 형성되어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에 경사면(271)만이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배터리(230)를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다시 장착할 때에는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에 의해 후크부(도 7의 224 참조) 및 웨지(27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되며,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완전히 삽입되면 후크부(도 7의 224 참조)가 걸림홈(232)에 삽입되어 배터리(230)가 락커(220)에 의해 고정되고, 웨지(270)는 통공(214) 내로 이동되며, 탄성편(280)은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는 후크부(도 7의 224 참조) 및 웨지(270)의 경사면(271)과 빈번히 접촉 및 마찰하게 되므로, 후크부(도 7의 224 참조) 및 경사면(271)에는 내마멸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에도 내마멸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도 7의 224 참조) 및 경사면(271)은 배터리(23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조도가 낮게 가공될 수 있다.
한편, 경사면(271) 및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작아질수록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그러나, 배터리(230)를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다시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힘을 가해야만 웨지(270)를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경사면(271) 및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가 커질수록 배터리(230)를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다시 장착시키기는 용이해진다. 그러나, 배터리(230)를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웨지(270)가 배터리(230)에 더욱 많은 힘을 가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경사면(271) 및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배터리(230)의 락커(220)에 의한 고정상태가 해제되었을 때 배터리(230)가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경사면(271) 및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배터리(230)를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에 다시 장착할 때에도 사용자가 배터리(230)를 적절히 가압하면 웨지(270)가 통공(214) 내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이때, 경사면(271) 및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바닥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배터리(230)의 일측 단부 및 경사면(271) 사이의 마찰력 또한 고려하여 형성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리 구조는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 참조)의 측방향에 설치되므로, 배터리 장착부(도 6의 212)의 하방향에 설치되는 메인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210) 내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리 구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도 5의 200 참조)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분리 구조는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PDA,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게임기 등 탈착 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대형일 경우에는 배터리 장착부에 다수의 웨지를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웨지가 배터리 장착부의 둘 이상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표시된 직선 X-X'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배터리 분리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꺾은선 Y-Y'에 의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6에 표시된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휴대 단말기 210 : 하우징
212 : 배터리 장착부 218 : 걸림턱
220 : 락커 222 : 락킹 노브
224 : 후크부 230 : 배터리
232 : 걸림홈 234 : 단턱
270 : 웨지 271 : 경사면
280 : 탄성편

Claims (6)

  1. 배터리 장착부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락커가 설치된 배터리 분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 내에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는 웨지; 및
    상기 웨지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되,
    상기 웨지의 일단부에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내측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측면 중 상기 락커가 설치된 측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상기 락커가 설치된 측면의 맞은 편 측면에는 걸림턱 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장착부의 상기 바닥면 중 상기 웨지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분리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분리 구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080087222A 2008-09-04 2008-09-04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100028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222A KR20100028267A (ko) 2008-09-04 2008-09-04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222A KR20100028267A (ko) 2008-09-04 2008-09-04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267A true KR20100028267A (ko) 2010-03-12

Family

ID=4217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222A KR20100028267A (ko) 2008-09-04 2008-09-04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8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741A (zh) * 2017-11-27 2018-04-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N108111659A (zh) * 2017-11-27 2018-06-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741A (zh) * 2017-11-27 2018-04-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N108111659A (zh) * 2017-11-27 2018-06-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CN108111659B (zh) * 2017-11-27 2020-09-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135B2 (en) Opening mechanism with an easy assembly structure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US910530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electronic module
US8902583B2 (en) Holding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herewith
KR102177757B1 (ko)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JP5623869B2 (ja) 部品保持具の解除操作片
KR20040063775A (ko) 카드용 커넥터 장치
KR20130117690A (ko) 전기 커넥터
KR20160019273A (ko) 카드 보관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 케이스
US9472172B1 (en) Guitar pick dispenser
KR20100028267A (ko) 배터리 분리 구조 및 그것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0602052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receptacle thereof
WO2016155615A1 (zh) 一种卡座及包含该卡座的终端
US7262960B2 (en) Retaining modular mechanism for a hard disk and a modular frame thereof
JP6010648B2 (ja) 収納ケース
KR2014004474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773730B1 (ko) 선반 고정장치
KR101476301B1 (ko) 카드 커넥터
US20100053916A1 (en) Card holding mechanism
KR101130000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키보드 장착구조
KR101468111B1 (ko) 필기구 수납도구
JP5047324B2 (ja) カード固定装置及び携帯端末機
CN109326747B (zh) 具有组装结构的壳体及使用壳体的电子装置
JP2008311314A (ja) 固定構造
US20140167590A1 (en) Enclosure of electronic device with pad assembly
US80546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