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987A -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987A
KR20100026987A KR1020090073941A KR20090073941A KR20100026987A KR 20100026987 A KR20100026987 A KR 20100026987A KR 1020090073941 A KR1020090073941 A KR 1020090073941A KR 20090073941 A KR20090073941 A KR 20090073941A KR 20100026987 A KR20100026987 A KR 20100026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mapping
bit
bits
code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4371B1 (ko
Inventor
권동승
곽병재
박범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061,371 priority Critical patent/US8605751B2/en
Priority to PCT/KR2009/004826 priority patent/WO2010024619A2/en
Priority to EP09810224.7A priority patent/EP2324587B1/en
Priority to TW098129015A priority patent/TWI443999B/zh
Priority to JP2011524906A priority patent/JP5399495B2/ja
Priority to CN200980143000.4A priority patent/CN102197616B/zh
Publication of KR20100026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14Conversion to or from non-weight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심볼 매핑 장치에서, 채널 부호화기는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복수의 정보 비트와 복수의 리던던시 비트를 포함하는 코드워드를 출력한다. 심볼 매핑기는 코드워드 단위로 매핑 방식을 변경하면서 코드워드를 심볼에 매핑한다.
심볼, 변조, QAM, 신뢰도, 부호화, 코드워드

Description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SYMBOL}
본 발명은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02-01, 과제명: 차세대 전술국방통신 원천기술개발].
정보 비트(information bits)를 채널 부호화기(channel coder)로 부호화하면, 채널 부호화기는 정보 비트(information bits)에 리던던시 비트(redundancy bits)가 추가된 코드워드(codeword)를 출력한다. 이러한 채널 부호화기의 예로 컨볼루션널 터보 코드(convolutional turbo code, CTC) 등의 시스티매틱 채널 부호화기(systematic channel coder)가 있다.
변조 방식 중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은 전송 데이터의 복수의 비트를 하나의 심볼(symbol)의 위상(phase)과 크기(amplitude) 정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변조 방식이다. 16-QAM은 하나의 심볼로 4비트를 전송할 수 있고, 64-QAM은 하나의 심볼로 6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6-QAM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4비트 단위로 나누어 각각을 16개의 심볼 중 하나에 매핑한 후 변조하여 전송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심볼 매핑 방식이 그레이 매핑(gray mapping)이다. 그레이 매핑에 따라 변조된 4비트 심볼을 수신한 경우 수신 심볼의 각 비트의 신뢰도가 다르다. 수신 비트의 신뢰도는 예를 들면 로그 우도비(log likelihood ratio, LLR)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신뢰도의 차이로 인해 코드워드를 심볼에 어떻게 매핑하는지에 따라서 수신 심볼의 수신 성능, 예를 들면 블록 오류율(block error rate, BLER)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된 패킷이 수신단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패킷을 재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재전송 방식으로 예를 들면 복합 자동 반복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방식이 있다. 이러한 재전송 방식에서 재전송 패킷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신뢰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심볼 매핑 장치에서 전송 데이터를 심볼에 매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코드워드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전송을 위해 상기 코드워드를 제1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제2 전송을 위해 상기 코드워드를 상기 제1 매핑 방식과 다른 제2 매 핑 방식에 따라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워드의 어느 하나의 비트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따라 매핑된 비트의 신뢰도와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따라 매핑된 비트의 신뢰도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코드워드의 어느 하나의 비트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의 제1 비트에 매핑되고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의 제2 비트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심볼 내에서의 상기 제1 비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비트의 위치가 다르거나,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에 대해서 시프트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송은 IR(incremental redundancy) 모드의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방식에 따른 재전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채널 부호화기 및 심볼 매핑기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채널 부호화기는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코드워드를 출력하고, 상기 심볼 매핑기는 상기 코드워드를 심볼에 매핑하며, 재전송 시에 코드워드 단위로 매핑 방식을 변경하면서 상기 코드워드를 심볼에 매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심볼 매핑 장치에서 전송 데이터를 심볼에 매핑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전송 비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송 비트를 원형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송 비트를 상기 원형 버퍼로부터 읽어서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형 버퍼의 끝에서 상기 전송 비트를 다시 읽을 때마다 상기 원형 버퍼로부터 읽은 비트를 상기 심볼에 매핑하는 매핑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코드워드 단위로 매핑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서로 다른 매핑 방식이 상호 보완 역할을 하여서 블록 오류율, 다이버시티 이득 등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시퀀스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전송 데이터를 변조하는 경우에 심볼 내 각 비트의 신뢰도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16-QAM의 그레이 매핑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변조 방식의 한 예로 16-QAM을, 심볼 매핑 방식의 한 예로 그레이 매핑을, 신뢰도의 한 예로 LLR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그레이 매핑에서는 인접 심볼 간에 한 비트의 값만 다르고 나머지 비트의 값은 동일하다. 하나의 16-QAM 성상도(QAM constellation)에 대해서 그레이 매핑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도 1은 복수의 그레이 매핑 중 한 예를 나타내며, 도 1의 심볼에서는 4개의 비트가 i1, i2, q1, q2의 순으로 위치한다.
이 경우, 인페이즈(in-phase) 성분으로 매핑되는 비트 중 첫 번째 비트(i1)의 평균 LLR 값이 두 번째 비트(i2)의 평균 LLR 값보다 크고, 쿼드러쳐(quadrature) 성분으로 매핑되는 비트 중 첫 번째 비트(q1)의 평균 LLR 값이 두 번째 비트(q2)의 평균 LLR 값보다 크다. 그러므로 도 1에서는 4비트 심볼 중 첫 번째 및 세 번째 비트(i1, q1)가 두 번째 및 네 번째 비트(i2, q2)보다 신뢰도가 높다.
이와 같이 그레이 매핑 등의 심볼 매핑 방식에서 각 비트의 신뢰도는 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채널 부호화기의 출력인 코드워드의 비트들을 심볼에 매핑하는 방식(bit-to-symbol mapping, 앞으로 "BSM"이라 함)에 따라 전송 패킷의 블록 오류율과 같은 수신 성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호화율을 (1/3)이고, 전송 블록, 즉 전송 패킷의 길이가 정보 비트의 길이의 두 배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장치(200)는 채널 부호화기(channel coder)(210), 심볼 매핑기(220) 및 송신기(23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채널 부호화기(210), 예를 들면 시스티매틱 채널 부호화기는 전송 데이터(310)를 부호화한다. 그러면 채널 부호화기(210)에서는 복수의 정보 비트(information bits)에 복수의 리던던시 비트(redundancy bits)가 추가된 형태의 코드워드(320)가 출력된다. 정보 비트는 부호화 전의 전송 데이터와 동일한 비트이고, 리던던시 비트는 전송 데이터에 대한 리던던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비트이다. 채널 부호화기(210)의 부호화율을 (1/3)이라 하면, 채널 부호화기(210)의 출력인 코드워드(320)는 정보 비트(310)의 3배의 길이를 가진다.
심볼 매핑기(220)는 초기 전송을 위해 코드워드(320) 중 전송 블록의 길이에 해당하는 비트(331)를 하나의 BSM 방식(앞으로 "BSM 방식 1"이라 함)으로 심볼에 매핑하고, 송신기(230)는 이와 같이 매핑된 심볼들로 이루어진 전송 블록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초기 전송). 한편, 심볼 매핑기(220)가 심볼 매핑을 하기 전에 정보 비트와 리던던시 비트 중 적어도 일부는 천공(puncturing)될 수 있으며, 또한 정보 비트와 리던던시 비트는 각각 인터리빙될 수 있다.
초기 전송 후에 수신단으로부터 부정 응답(negative acknowledge, NAK)을 수신하는 경우, 송신기(230)는 코드워드(320) 중 초기 전송에서 전송되지 않았던 리던던시 비트를 재전송한다. 이러한 재전송 방식으로 IR(incremental redundancy) 모드의 HARQ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전송에서 전송할 리던던시 비 트의 길이가 전송 블록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리던던시 비트와 함께 코드워드(320)의 정보 비트가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두 번째 전송에서 심볼 매핑기(220)는 전송 블록의 길이에 해당하는 비트[도 3에서는 코드워드(320)의 리던던시 비트 중 일부와 코드워드(320)의 정보 비트]를 다른 BSM 방식(앞으로 "BSM 방식 2"라 함)으로 심볼에 매핑하고, 송신기(230)는 이와 같이 매핑된 심볼들로 이루어진 전송 블록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두 번째 전송 후에 수신단으로부터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송신기(230)는 코드워드(320) 중 두 번째 전송에서 전송되지 않았던 리던던시 비트를 재전송한다. 이를 위해, 세 번째 전송에서 심볼 매핑기(220)는 전송 블록의 길이에 해당하는 비트[도 3에서는 코드워드(320)의 리던던시 비트]를 또 다른 BSM 방식(앞으로 "BSM 방식 3"이라 함)으로 심볼에 매핑하고, 송신기(230)는 이와 같이 매핑된 심볼들로 이루어진 전송 블록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수신단은 초기 전송 및 재전송에서 수신한 비트들을 모두 이용하여 정보 비트를 복원한다. 심볼 매핑기(220)는 수신단에서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BSM 방식 1 내지 3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심볼 매핑기(220)는 BSM 방식 2가 BSM 방식 1을 보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심볼 매핑기(220)는 어떤 심볼이 한번은 BSM 방식 1로 매핑되어 전송되고 다른 한번은 BSM 방식 2로 매핑되어 전송되는 경우에 우수한 수신 성능이 나올 수 있도록 BSM 방식 1 및 2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심볼 매핑기(220)는 BSM 방식 3을 BSM 방식 1 및 2로 매핑되어 수신된 심볼과 BSM 방식 3으로 매핑되어 수신된 심볼을 결합하는 경우에 최대의 다이 버스티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BSM 방식 2는 BSM 방식 1에 최적화되어 설정되므로, BSM 방식 2와 BSM 방식 3 사이의 상호 보완성은 BSM 방식 1과 BSM 방식 3 사이의 상호 보완성 및 BSM 방식 1과 BSM 방식 2 사이의 상호 보완성보다 떨어진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두 번째 전송에서 BSM 방식 2로 매핑되고 세 번째 전송에서 BSM 방식 3으로 매핑되어 전송된 리던던시 비트의 경우 다른 비트에 비해서 다이버시티 이득이 떨어진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전송 단위로 BSM 방식을 변경하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달리 코드워드(320) 단위로 BSM 방식을 변경한다. 즉, 심볼 매핑기(220)는 한번은 코드워드(320)를 BSM 방식 1로 심볼에 매핑하고, 다음 번에는 코드워드(320)를 BSM 방식 2로 심볼에 매핑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d0, d1, …, dN-1, dN, dN+1, …, d2N-1, d2N, d2N+1, …, d3N-1)를 원형 버퍼(circular buffer)(510)에 저장한 후에, 원형 버퍼(510)의 끝에서 코드워드(d0, d1, …, dN-1, dN, dN+1, …, d2N-1, d2N, d2N+1, …, d3N-1)를 다시 읽을 때마다 BSM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면 송신기(230)는 초기 전송에서는 BSM 방식 1로 매핑된 정보 비트와 리던던시 비트로 이루어진 전송 블록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초기 전송 후에 수신단으로부터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송신기(230)는 BSM 방식 1로 매핑된 리던던시 비트와 BSM 방식 2로 매핑된 전송 비트로 이루어진 전송 블록을 수신단으로 전송한다. 두 번째 전송 후에 수신단으로부터 부정 응답을 수신하는 경우, 송신 기(230)는 BSM 방식 2로 매핑된 리던던시 비트로 이루어진 전송 블록을 전송한다.
이 경우 코드워드(320)의 모든 비트들이 한번은 BSM 방식 1로 매핑되어 전송되고 또 한번은 BSM 방식 2로 매핑되어 전송되므로, BSM 방식 1과 BSM 방식 2이 상호 보완 역할을 하여서 블록 오류율, 다이버시티 이득 등의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심볼 매핑기(220)는 BSM 방식 1에서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할당된 비트를 BSM 방식 2에서는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할당하고, BSM 방식 1에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할당된 비트를 BSM 방식 2에서는 보다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할당함으로써, BSM 방식 1과 BSM 방식 2을 상호 보완적으로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BSM 방식 1과 BSM 방식 2을 상호 보완적으로 설정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BSM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도 1에 도시한 16-QAM의 그레이 매핑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320)의 비트들을 차례로 심볼의 4비트(i1, i2, q1, q2)에 매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코드워드(320)의 홀수 번째 비트가 i1 및 q1 비트에 매핑되고, 코드워드(320)의 짝수 번째 비트가 i2 및 q2 비트에 매핑된다. 즉, 심볼 매핑기(220)는 홀수 번째 비트를 짝수 번째 비트에 비해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도 6에서 i1 및 q1 비트에 매핑한 비트들을 i2 및 q2 비트에 매핑하고, 도 6에서 i2 및 q2 비트에 매핑한 비트들을 i1 및 q1 비트에 매핑한다. 이와 같이 하면 코드워드(320)의 홀수 번째 비트가 i2 및 q2 비트에 매핑되고, 코드워드(320)의 짝수 번째 비트가 i1 및 q1 비트에 매핑된다. 즉, 심볼 매핑기(220)는 짝수 번째 비트를 홀수 번째 비트에 비해서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한다.
이에 따라,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를 한번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BSM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매핑하고 또 한번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BSM 방식 중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매핑한다. 그러면 심볼 매핑기(220)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되었던 비트를 재전송에서는 보다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하고,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되었던 비트를 재전송에서는 보다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SM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16-QAM의 그레이 매핑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도 1에 도시한 성상도에 성상 시프트(constellation shift)를 적용한 성상도를 사용하여 코드워드를 심볼에 매핑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성상도의 각 사분면에서 4개의 성상점 이 중심으로 모이는 형태로 성상 시프트를 적용한다. 그러면 서로 다른 값의 i1 또는 q1 비트를 가지는 두 심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고, 서로 다른 값의 i2 또는 q2 비트를 가지는 두 심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i1 및 q1 비트의 신뢰도는 도 1에 비해 더 높아지고, i2 및 q2 비트의 신뢰도는 도 1에 비해 더 낮아진다.
도 9를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성상도의 각 사분면에서 4개의 성상점이 중심에서 멀어지는 형태로 성상 시프트를 적용한다. 그러면 서로 다른 값의 i1 또는 q1 비트를 가지는 두 심볼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서로 다른 값의 i2 또는 q2 비트를 가지는 두 심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i1 및 q1 비트의 신뢰도는 도 1에 비해 낮아지고, i2 및 q2 비트의 신뢰도는 도 1에 비해 높아진다.
이에 따라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를 한번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성상도 중 하나의 성상도를 사용하는 BSM 방식으로 매핑하고 또 한번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성상도 중 다른 하나의 성상도를 사용하는 BSM 방식으로 매핑할 수 있다. 그러면 심볼 매핑기(220)는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되었던 비트를 재전송에서는 보다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하고 낮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되었던 비트를 재전송에서는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가지는 비트에 매핑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SM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송신기(230)는 복수의 안테나(안테나 1, 안테나 2)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의 일부 비트(i1', i2', q1', q2')를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 1을 통해 송신될 비트에 매핑하고, 코드워드의 다른 일부 비트(i1", i2", q1", q2")를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 2를 통해 송신될 비트에 매핑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 중에서 도 10에서 안테나 1을 통해 송신된 비트(i1', i2', q1', q2')를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 2를 통해 송신될 비트에 매핑하고, 코드워드 중에서 도 10에서 안테나 2를 통해 송신된 비트(i1", i2", q1", q2")를 복수의 안테나 중에서 안테나 1을 통해 송신될 비트에 매핑한다.
이에 따라, 심볼 매핑기(220)는 코드워드를 한번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BSM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매핑하고 또 한번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BSM 방식 중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매핑할 수 있다. 그러면 안테나 1을 통해 송신된 비트가 다음 전송에서는 안테나 2를 통해 전송되므로,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장치(200)는 코드워드 단위로 BSM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처음에 전송된 코드워드의 각 비트와 재전송된 코드워드 의 각 비트가 상호 보완하는 역할을 하여서, 블록 오류율, 다이버시티 이득 등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BSM 방식으로 심볼 내에서 매핑되는 비트를 변경하는 방식(도 6 및 도 7 참고), 심볼에 매핑할 때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을 시프트하는 방식(도 8 및 도 9 참고), 그리고 안테나 사이에서 비트를 재배열하는 방식(도 10 및 도 11 참고)을 각각 사용하거나, 이들 3개의 방식 중 적어도 2개의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심볼 당 4개의 비트가 존재하는 16-QAM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방법은 16-QAM 이외의 변조 방식(예를 들면 22n QAM)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드워드의 길이가 정보 비트의 길이(N)의 3배(3N)인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코드워드의 길이는 정보 비트의 길이 사이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코드워드의 길이가 정보 비트의 길이(N)의 2배(2N), 4배(4N), 5배(5N)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16-QAM의 그레이 매핑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형 버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BSM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1. 심볼 매핑 장치에서 전송 데이터를 심볼에 매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코드워드를 출력하는 단계,
    제1 전송을 위해 상기 코드워드를 제1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제2 전송을 위해 상기 코드워드를 상기 제1 매핑 방식과 다른 제2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워드의 어느 하나의 비트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따라 매핑된 비트의 신뢰도와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따라 매핑된 비트의 신뢰도가 다른 심볼 매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는 평균 로그 우도비(log likelihood ratio, LLR) 값이 클수록 높은 심볼 매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워드의 어느 하나의 비트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의 제1 비트에 매핑되고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따라 심볼의 제2 비트에 매핑되는 심볼 매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심볼 내에서의 상기 제1 비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비트의 위치가 다른 심볼 매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에 대해서 시프트되어 있는 심볼 매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심볼 내에서의 상기 제1 비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비트의 위치가 동일한 심볼 매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심볼 내에서의 상기 제1 비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비트의 위치가 다른 심볼 매핑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매핑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트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제2 비트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상기 제1 안테나와 다른 제2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심볼 매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심볼 내에서의 상기 제1 비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비트의 위치가 동일한 심볼 매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심볼 내에서의 상기 제1 비트의 위치와 상기 제2 비트의 위치가 다른 심볼 매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매핑 방식에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은 상기 제1 매핑 방식에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에 대해서 시프트되어 있는 심볼 매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은 IR(incremental redundancy) 모드의 복합 자동 재전송 요 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방식에 따른 재전송인 심볼 매핑 방법.
  14.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코드워드를 출력하는 채널 부호화기, 그리고
    상기 코드워드를 심볼에 매핑하며, 재전송 시에 코드워드 단위로 매핑 방식을 변경하면서 상기 코드워드를 심볼에 매핑하는 심볼 매핑기
    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매핑기는 상기 코드워드 중 적어도 일부가 매핑되는 비트의 신뢰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매핑 방식을 변경하는 심볼 매핑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매핑기는,
    상기 코드워드의 적어도 일부 비트가 심볼 내에서 할당되는 비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식,
    상기 코드워드를 심볼에 할당할 때 사용하는 성상도의 성상점을 시프트하는 방식, 그리고
    상기 코드워드의 적어도 일부 비트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를 변경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서 상기 매핑 방식을 변경하는 심볼 매핑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은 IR(incremental redundancy) 모드의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방식에 따른 재전송인 심볼 매핑 장치.
  18. 심볼 매핑 장치에서 전송 데이터를 심볼에 매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전송 비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전송 비트를 원형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송 비트를 상기 원형 버퍼로부터 읽어서 심볼에 매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원형 버퍼의 끝에서 상기 전송 비트를 다시 읽을 때마다 상기 원형 버퍼로부터 읽은 비트를 상기 심볼에 매핑하는 매핑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비트 중 적어도 일부가 매핑되는 비트의 신뢰도가 달라지도록 상기 매핑 방식을 변경하는 심볼 매핑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코드워드 중 적어도 일부 비트가 심볼 내에서 할당되는 비트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매핑 방식을 변경하는 심볼 매핑 방법.
KR1020090073941A 2008-08-28 2009-08-11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KR10133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61,371 US8605751B2 (en) 2008-08-28 2009-08-28 Symbol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PCT/KR2009/004826 WO2010024619A2 (en) 2008-08-28 2009-08-28 Symbol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EP09810224.7A EP2324587B1 (en) 2008-08-28 2009-08-28 Symbol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TW098129015A TWI443999B (zh) 2008-08-28 2009-08-28 符元映射裝置及方法
JP2011524906A JP5399495B2 (ja) 2008-08-28 2009-08-28 シンボルマッピング装置および方法
CN200980143000.4A CN102197616B (zh) 2008-08-28 2009-08-28 码元映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4303 2008-08-28
KR1020080084303 2008-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987A true KR20100026987A (ko) 2010-03-10
KR101334371B1 KR101334371B1 (ko) 2013-11-29

Family

ID=421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941A KR101334371B1 (ko) 2008-08-28 2009-08-11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05751B2 (ko)
EP (1) EP2324587B1 (ko)
JP (1) JP5399495B2 (ko)
KR (1) KR101334371B1 (ko)
CN (1) CN102197616B (ko)
TW (1) TWI443999B (ko)
WO (1) WO201002461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925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86582B1 (ko) 2019-01-09 2020-03-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 배수 기능을 갖는 욕조
KR20200061438A (ko) 2018-11-23 2020-06-03 주식회사 아티마 입욕자의 익사 사고 방지 욕조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5781B2 (en) 2012-11-28 2017-09-05 Sony Corporation Broadcast system and method for error correction using redundant data
WO2014082915A1 (en) * 2012-11-28 2014-06-05 Sony Corporation Receiver for receiving data in a broadcast system using redundancy data
GB2545260A (en) * 2015-12-11 2017-06-14 Nordic Semiconductor Asa Signal processing
US11032031B2 (en) * 2016-01-18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HARQ LLR buffer and reordering buffer management
EP3223446A1 (en) 2016-03-22 2017-09-27 Xieon Networks S.à r.l. A method for protecting a link in an optical network
EP3240226A1 (en) * 2016-04-26 2017-11-01 Xieon Networks S.à r.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super channel
US10608786B2 (en) * 2017-02-24 2020-03-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specifying ordered sequences of coding sub-channels
US10958379B2 (en) * 2017-05-12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Mapping of channel encoded bits to symbol for retransmission
CN110198204B (zh) * 2019-05-16 2021-09-2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低时延重传方法及装置
CN114765570A (zh) * 2021-01-15 2022-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846B1 (ja) 2001-02-21 2003-1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ンスタレーションリアレンジメントを用いたデータ送信装置
EP2375606B1 (en) * 2001-03-26 2017-09-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a data packet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us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DE10124417A1 (de) * 2001-05-18 2002-11-21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KR100689551B1 (ko) * 2001-06-18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및수신장치 및 방법
KR100450968B1 (ko) 2001-06-27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526525B1 (ko) * 2001-10-17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재전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44347B1 (ko) * 2001-10-29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GB2391778A (en) * 2001-10-31 2004-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transmission system in which bits are inverted and/or the mapping of bits to symbols is rearrang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previous retransmissions
KR100557167B1 (ko) * 2001-11-0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재전송 장치 및 방법
ATE303687T1 (de) * 2001-11-16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ybrides arq verfahren zur datenpaketübertragung
EP1552639B1 (en) * 2002-10-18 2008-0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stellation rearrangement for arq transmit diversity schemes
JP2008541583A (ja) 2005-05-13 2008-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Harqにおける変調方式切替によるビット信頼性均等化
US8301950B2 (en) 2005-08-19 2012-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variable sub-carrier mapping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0950654B1 (ko) * 2006-03-03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87269B1 (ko) * 2006-08-2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차 변조 기반의 버스트 매핑 방법및 장치
KR20080084456A (ko) * 2007-03-16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
US8677204B2 (en) * 2008-05-05 2014-03-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925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44915A (ko) * 2015-06-09 201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 전송을 위한 전력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210045965A (ko) * 2015-06-09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중첩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61438A (ko) 2018-11-23 2020-06-03 주식회사 아티마 입욕자의 익사 사고 방지 욕조의 제어방법
KR102086582B1 (ko) 2019-01-09 2020-03-09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긴급 배수 기능을 갖는 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4619A3 (en) 2010-04-22
KR101334371B1 (ko) 2013-11-29
CN102197616B (zh) 2015-05-06
US20110158257A1 (en) 2011-06-30
US8605751B2 (en) 2013-12-10
JP2012501568A (ja) 2012-01-19
TW201108658A (en) 2011-03-01
TWI443999B (zh) 2014-07-01
EP2324587A4 (en) 2014-06-04
CN102197616A (zh) 2011-09-21
EP2324587B1 (en) 2019-07-03
WO2010024619A2 (en) 2010-03-04
EP2324587A2 (en) 2011-05-25
JP5399495B2 (ja)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71B1 (ko)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JP3753677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の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3480846B1 (ja) コンスタレーションリアレンジメントを用いたデータ送信装置
KR100944589B1 (ko)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전송 시스템
US20070002969A1 (en)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333111A (ja) データ再送方法
US85653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t allocation and interleaving
JP5135603B2 (ja) マルチレベル符号化変調を用いた再送方法、送信機および受信機
KR101509728B1 (ko) 심볼 매핑 방법 및 장치
CN101335691B (zh) 一种数据传输方法、交织器和通信装置
KR101182856B1 (ko) 재전송 방법 및 장치
JP4427094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受信方法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01068138B (zh) 使用信号星座重排的混合自动请求重发的方法
JP4500288B2 (ja) データ送信装置
KR101137349B1 (ko) 복수의 패리티 검사 행렬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방법
JP4427095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442947B1 (ko)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방식 시스템에서의 신호 사상장치 및 그 방법
JP4429378B2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85379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pping symb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