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683A -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683A
KR20100026683A KR1020080085784A KR20080085784A KR20100026683A KR 20100026683 A KR20100026683 A KR 20100026683A KR 1020080085784 A KR1020080085784 A KR 1020080085784A KR 20080085784 A KR20080085784 A KR 20080085784A KR 20100026683 A KR20100026683 A KR 20100026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glove
nonwoven fabric
film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희
Original Assignee
한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윤희 filed Critical 한윤희
Priority to KR1020080085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683A/ko
Publication of KR2010002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joining step and the severing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 B29L2022/002Glo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비닐 장갑을 제조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 겹의 부직포를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공급시키는 부직포 공급부; 상기 부직포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에 장갑 형상의 장갑부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부직포 절단부; 제 1 비닐필름이 상기 장갑부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공급 롤러가 구비되는 제 1 필름공급부; 상기 제 1 비닐필름과 상기 장갑부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3겹이 위치되는 제 1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1 열융착부; 제 2 비닐필름이 상기 제 1 적층부의 상부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이송 롤러가 구비되는 제 2 필름공급부; 및 상기 제 1 적층부와 상기 제 2 비닐필름이 상호 적층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를 접착 실링하는 제 2 열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비닐 장갑 형성공정과 부직포 형성공정을 연속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연속적인 형성 공정을 통해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RUS AND METHOD FOR VINYL GLOVE}
본 발명은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에서 배어 나오는 땀 등을 실시간으로 흡수하도록 비닐 장갑 내부에 부직포를 형성시키도록 한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을 만들 때 위생상 또는 각종의 양념 등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위생비닐 장갑을 사용한다. 이러한 위생비닐 장갑은 통상 비닐로 제조되며, 2장의 비닐을 펼친 손모양으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선을 따라 2장의 비닐을 접착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일회용 비닐 장갑은 김치, 나물, 생선 등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 및 취급해야 할 경우 및 머리염색, 도배, 페이트칠, 자동차 세차, 화학실험, 화초손질 등 각종 오염물질, 유해물질을 처리하는 경우에 각각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위생처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재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일 회 사용 후 폐기 처분된다.
이러한 일회용 비닐 장갑은 일반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 비닐필름을 사용하며, 이런 한 쌍의 비닐필름을 롤러를 통해 이동시킨 후, 상하 작동하는 고주파 융착기 등으로 장갑형태로 재단함과 동시에, 손목부를 제외한 비닐필름의 가장자리를 순간적으로 열융착시켜서 수밀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비닐 장갑을 완성하였다.
한편, 일회용 비닐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다 보면, 수밀성이 유지되는 장갑의 특성상, 착용과 동시에 공기유통이 되지 않아, 계절이나 작업환경 등에 따라, 손에서 땀이 배어나올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손에서 난 땀은 비닐 장갑과 손이 서로 달라붙게 하여, 매우 불쾌한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이렇게 땀이 찬 비닐 장갑을 계속하여 장시간 사용을 하게 되면, 피부가 헐게 되거나, 피부병을 일으킬 수도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일회용 비닐 장갑 내부에 땀을 흡수하는 부직포 등을 형성하여, 손에서 배어 나오는 땀 등을 실시간으로 흡수하여 줌으로서, 항상 보송보송하고 부드러운 촉감으로 상쾌하게 작업하고자 한 비닐 장갑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일회용 비닐 장갑은 그 특성상 한번 쓰고 버리는 것이기 때문에, 값이 저렴해야 하나, 종래 일회용 비닐 장갑에 부직포를 형성시키는 공정은 미리 제조된 비닐 장갑에 부직포를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바, 보푸라기가 자주 일어나게 되고,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여,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 장갑을 형성할 때, 비닐 장갑 형성공정과 부직포 형성공정을 연속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연속적인 형성 공정을 통해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생 비닐 장갑을 제조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 겹의 부직포를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공급시키는 부직포 공급부; 상기 부직포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에 장갑 형상의 장갑부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부직포 절단부; 제 1 비닐필름이 상기 장갑부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공급 롤러가 구비되는 제 1 필름공급부; 상기 제 1 비닐필름과 상기 장갑부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3겹이 위치되는 제 1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1 열융착부; 제 2 비닐필름이 상기 제 1 적층부의 상부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이송 롤러가 구비되는 제 2 필름공급부; 및 상기 제 1 적층부와 상기 제 2 비닐필름이 상호 적층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를 접착 실링하는 제 2 열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 절단부는 상기 부직포를 상기 장갑부로 절단시키는 손 모양의 장갑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절단부는 그 저면에 손 형상과 동일하도록 절단날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날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는 비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제 1 부직포와 제 2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직포의 폭이 상기 제 2 부직포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부직포의 일측으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갑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부직포의 연장부에 위치되고, 상기 장갑부의 타측은 상기 연장부와 대향되는 제 1, 2 부직포의 타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에서 상기 장갑부의 양측으로 가이드부가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부직포의 외면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부직포의 외면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하 운동되면서, 상기 제 1, 2 부직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열융착부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승강판; 및 상기 제 1 적층부에 상기 장갑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주파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를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는 열금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열융착부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승강판; 및 상기 제 2 적층부에 고주파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가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에 상호 접착 실링되도록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는 열금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생 비닐 장갑을 제조하는 비닐 장갑 제조방법에 있어서, 두 겹으로 된 부직포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직포 공급단계; 상기 부직포에 장갑 형상의 장갑부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부직포 절단단계; 상기 장갑부의 하부에 제 1 비닐필름을 공급시키는 제 1 비닐필름 공급단계; 상기 제 1 비닐필름과 상기 장갑부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3겹이 위치되는 제 1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1 열융착 단계; 상기 장갑부의 상부에 제 2 비닐필름을 공급시키는 제 2 비닐필름 공급단계; 및 상기 제 1, 2 비닐필름과 상기 부직포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에 상기 장갑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가 상기 장갑부와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2 열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비닐 장갑 형성공정과 부직포 형성공정을 연속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연속적인 형성 공정을 통해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부직포 재질의 연장부 내면이 비닐 재질의 비닐필름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비닐 장갑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이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는 부직포 권취부(12)에 권취되어 있는 두 겹의 부직포(16)를 공급시키는 부직포 공급부(10), 부직포(16)에 장갑 형상의 장갑부(28)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부직포 절단부(20), 제 1 비닐필름(36)을 공급시키는 제 1 필름공급부(30), 제 2 비닐필름(46)을 공급시키는 제 2 필름공급부(40) 및 제 1, 2 비닐필름(36, 46)을 상호 열융착시키는 제 1, 2 열융착부(50, 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16)는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는 일반적인 것으로서, 부직포(16) 이외에 면, 스펀지 등의 흡수성이 양호하고, 인체에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닐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통용되는 의미의 합성수지로 된 필름을 총칭하는 의미로써, 비닐기를 갖는 비닐수지 뿐만아니라, 비닐기를 갖지 않더라도 시중에서 사용되는 비닐봉투,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비닐제품의 비닐과 마찬가지로 투명하고 햇빛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폴리에틸렌필름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일컫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부직포 공급부와 부직포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장갑절단부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직포 공급부(10)는 부직포(16), 부직포 권취부(12) 및 가이드롤러(14)를 포함한다. 부직포(16)는 두 겹으로 구성되고, 부직포 권취부(12)에 귄취되어 있으며, 이렇게 권취된 부직포(16)는 권출되면서, 가이드롤러(14)에 가이드 되어, 부직포 절단부(20) 방향으로 이송된다. 가이드롤러(14)는 부직포(16)를 계속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 구비한다.
여기서 두 겹으로 구성된 부직포(16)는 제 1 부직포(16a)와 제 2 부직포(16c)를 포함하며, 제 1 부직포(16a)의 폭이 제 2 부직포(16c)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제 1 부직포(16a)의 일측으로 연장부(16b)가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부직포(16a)에 연장부(16b)가 구비되면, 부직포(16)의 외측으로 제 1, 2 비닐필름(36, 46)이 위치되어 제조된 비닐 장갑(58: 도 7 도시) 내부에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때, 연장부(16b)의 외면에 제 1 비닐필름(36)이 위치되고, 연장부(16b) 내면에 제 2 비닐필름(46)이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부직포 재질의 연장부(16b) 내면이 비닐 재질의 제 2 비닐필름(46)에 달라붙지 않게 되어, 비닐 장갑(58)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이 보다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부직포 절단부(20)는 권출된 부직포(16)의 상부에 설치되며, 부직포 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부직포(16)에 장갑형상의 장갑부(28)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손 모양의 장갑절단부(22)와, 상기 장갑절단부(22)를 일정하게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프레임(26)과, 상기 이동프레임(26)을 상하 안내하는 지지부(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장갑절단부(22)의 저면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위생장갑의 형상과 동일하게 날카로운 절단날(23a)을 형성하여, 부직포 공급부(10)에서 이송되는 부직포(16)에 장갑부(28)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킨다. 이때, 상기 절단날(23a)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는 부직포(16)를 자를 수 없도록 비절단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비절단부(23b)는 손의 손가락 단부, 손가락 마디 등과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비절단부(23b)에 의하여, 장갑부(28)는 부직포(16)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갑부(28)의 일측은 제 1 부직포(28a)의 연장부(28b)에 위치되고, 장갑부(28)의 타측은 연장부(28b)에 대향되는 제 1, 2 부직포(28a, 28c)의 타측에 위치되어, 손의 손목이 위치되는 장갑부(28)의 일측은 한 겹으로 구성되고, 손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장갑부(28)의 타측은 두 겹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장갑부(28)는 가이드롤러(14)를 따라 부직포 공급부(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필름공급부(30: 도 4 도시)로 위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제 1 필름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필름공급부(30)는 제 1 필름권취부(32)에 권취되어 있는 제 1 비닐필름(36)을 공급시키는 것으로서, 제 1 비닐필름(36)이 계속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공급 롤러(34) 다수 개를 구비한다. 이때, 다수 개의 공급 롤러(34)는 부직포 공급부(10)의 하부에 위치되되, 장갑부(28)가 형성된 부직포(16)가 제 1 비닐필름(36)의 상부에 크로스 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장갑부(28)가 제 1 비닐필름(36)의 상부에 위치되어, 총 3 겹이 적층되는 제 1 적층부(38)에 제 1 열융착부(50: 도 7 도시)가 위치되면서, 제 1 열융착부(50)의 고주파 열융착에 의하여 장갑부(28)의 테두리가 제 1 비닐필름(36)에 접착 및 실링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열융착부(50)는 하기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장갑부(28)가 제 1 비닐필름(36)에 열융착 될 때, 두 겹으로 구성되 는 장갑부(28)가 정밀하게 열융착 되도록 하기 위하여, 부직포(16)에서 장갑부(28)의 양측으로 가이드부(37)가 위치된다. 가이드부(37)는 제 1 가이드부(37a)와 제 2 가이드부(37b)로 구성되며, 제 1 가이드부(37a)는 부직포(16)의 제 1 부직포(16a) 외면에 위치되고, 제 2 가이드부(37b)는 부직포(16)의 제 2 부직포(16c) 외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가이드부(37a)와 제 2 가이드부(37b)는 상하 운동되면서 부직포(16)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가이드부(37)가 부직포(16)를 고정시킨 후, 장갑부의 테두리를 제 1 비닐필름(36)에 열융착시키게 되면, 장갑부(28)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비닐필름(36)이 정밀하게 열융착 되므로, 불량률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제 2 필름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필름공급부(40)는 제 2 필름귄취부(42)에 귄취되어 있는 제 2 비닐필름(46)을 공급시키는 것으로서, 제 2 비닐필름(46)이 계속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 롤러(44) 다수 개를 구비한다. 여기서 다수 개의 이송 롤러(44)는 제 1 적층부(38)의 상부에 제 2 비닐필름(46)이 위치되도록 공급 롤러(3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적층부(38)와 제 2 비닐필름(46)이 상호 적층 위치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48)에 제 2 열융착부(54)가 위치되면서, 열융착을 실시하여, 제 1, 2 비닐필름(36, 46)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제 1, 2 비닐필 름(36, 46)의 테두리를 상호 접착 및 실링되도록 구성된다. 제 2 열융착부(54)는 하기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는 제 1 적층부(38)에 열융착을 실시하는 제 1 열융착부(50)와, 제 2 적층부(48)에 열융착을 실시하는 제 2 열융착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열융착부(50)는 제 1 비닐필름(36) 및 장갑부(28)가 상호 적층 위치되면서 총 3겹이 위치되는 제 1 적층부(38)에 상기 장갑부(2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열융착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승강판(51), 실린더(53) 및 열금형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판(51)은 제 1 적층부(38)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며,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53)는 승강판(51)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며, 유압, 공압 등의 통상의 실린더(53)에 의하여 승강판(51)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열금형부(52)는 상기 승강판(51)의 배면에 위치되고, 장갑부(2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열금형부(52)는 제 1 적층부(38)의 장갑부(28)를 고온으로 융착 가열하도록 고주파 열선(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장갑부(28)가 부직포(16)에서 떨어져나감과 동시에, 손이 삽입되는 손목부를 제외한 상기 장갑부(28)의 테두리가 제 1 비닐필름(36)에 접착 실링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도 4에서는 제 1 열융착부(50)를, 상기 도 6에서는 제 2 열융착부(54)를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 한다.
제 2 열융착부(54)는 제 1 비닐필름(36), 장갑부(28) 및 제 2 비닐필름(46)이 상호 적층 위치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48)에 고주파 열융착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승강판(55), 실린더(57) 및 열금형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판(55)은 제 2 적층부(48)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며,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57)는 승강판(55)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며, 유압, 공압 등의 통상의 실린더(57)에 의하여 승강판(55)이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열금형부(56)는 상기 승강판(55)의 배면에 위치되며, 장갑부(2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열금형부(56)는 제 2 적층부(48)의 제 1, 2 비닐필름(36, 46)을 고주파로 융착 가열하도록 고주파 열선(미도시)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36, 46)을 장갑부(28)와 대응되는 형상, 즉,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손이 삽입되는 손목부를 제외한 상기 제 1, 2 비닐필름(36, 46)의 테두리가 상기 장갑부(28)의 테두리에 상호 접착 실링되도록 하여, 비닐 장갑(58)으로 제조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조되는 비닐 장갑(58)은 제 2 필름공급부(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이송밸트(60) 등에 의하여 포장센터 등으로 이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동작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방법의 각 과정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두 겹으로 형성된 부직포(16)가 부직포 공급부(10)의 가이드롤러(14)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ST 10). 이렇게 공급된 부직포(16)는 부직포 절단부(20)에서 장갑형상의 장갑부(28)로 절단된다(ST 12).
그 후, 절단된 장갑부(28)는 제 1 필름공급부(3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제 1 비닐필름(36)에 위치되며(ST 14), 장갑부(28)가 제 1 비닐필름(36)의 상부에 위치되어, 총 3 겹이 적층되는 제 1 적층부(38)에 제 1 열융착부(50)가 위치되면서, 제 1 열융착부(50)의 열융착에 의하여 장갑부(28)의 테두리가 제 1 비닐필름(36)에 접착 및 실링된다(ST 16).
이어서, 제 1 적층부(38)의 상부에는 제 2 비닐필름(46)이 상호 겹쳐지도록 위치되며(ST 18). 이처럼 제 1 적층부(38)와 제 2 비닐필름(46)이 상호 적층 위치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48)에 제 2 열융착부(54)가 위치되면서, 고주파 열융착을 실시하여, 제 1, 2 비닐필름(36, 46)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손이 삽입되는 손목부를 제외한 제 1, 2 비닐필름(36, 46)의 테두리가 장갑부(28)와 상호 접착 및 실링되도록 하여, 비닐 장갑의 제작이 완료된다(ST 20).
상기 각 과정별 동작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통하여 비닐 장갑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의 연속적인 형성 공정을 통해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비닐 장갑을 형성할 때, 종래 비닐 장갑 형성공정과 부직포 형성공정을 연속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여, 제품의 연속적인 형성 공정을 통해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전체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부직포 공급부와 부직포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장갑절단부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제 1 필름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제 2 필름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방법의 각 과정에 따른 비닐 장갑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직포 공급부 12: 부직포 권취부
14: 가이드롤러 16: 부직포
16a: 제 1 부직포 16b: 연장부
16c: 제 2 부직포 20: 부직포 절단부
22: 장갑절단부 23a: 절단날
23b: 비절단부 24: 지지부
26: 이동프레임 28: 장갑부
30: 제 1 필름공급부 32: 제 1 필름권취부
34: 공급 롤러 36: 제 1 비닐필름
37: 가이드부 37a: 제 1 가이드부
37b: 제 2 가이드부 38: 제 1 적층부
40: 제 2 필름공급부 42: 제 2 필름권취부
44: 이송 롤러 46: 제 2 비닐필름
48: 제 2 적층부 50: 제 1 열융착부
51: 승강판 52: 열금형부
53: 실린더 54: 제 2 열융착부
55: 승강판 56: 열금형부
57: 실린더 58: 비닐 장갑
60: 이송밸트

Claims (8)

  1. 위생 비닐 장갑을 제조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에 있어서,
    두 겹의 부직포를 다수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공급시키는 부직포 공급부;
    상기 부직포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부직포에 장갑 형상의 장갑부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부직포 절단부;
    제 1 비닐필름이 상기 장갑부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공급 롤러가 구비되는 제 1 필름공급부;
    상기 제 1 비닐필름과 상기 장갑부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3겹이 위치되는 제 1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1 열융착부;
    제 2 비닐필름이 상기 제 1 적층부의 상부로 공급되도록 다수의 이송 롤러가 구비되는 제 2 필름공급부; 및
    상기 제 1 적층부와 상기 제 2 비닐필름이 상호 적층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를 접착 실링하는 제 2 열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절단부는 상기 부직포를 상기 장갑부로 절단시키는 손 모양의 장갑절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갑절단부는 그 저면에 손 형상과 동일하도록 절단날이 형성되되, 상기 절단날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는 비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제 1 부직포와 제 2 부직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직포의 폭이 상기 제 2 부직포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부직포의 일측으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부의 일측은 상기 제 1 부직포의 연장부에 위치되고,
    상기 장갑부의 타측은 상기 연장부와 대향되는 제 1, 2 부직포의 타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서 상기 장갑부의 양측으로 가이드부가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
    상기 제 1 부직포의 외면에 위치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부직포의 외면에 위치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하 운동되면서, 상기 제 1, 2 부직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융착부는 :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승강판; 및
    상기 제 1 적층부에 상기 장갑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고주파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를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는 열금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융착부는 :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승강판; 및
    상기 제 2 적층부에 고주파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가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에 상호 접착 실링되도록 상기 승강판에 설치되는 열금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장치.
  8. 위생 비닐 장갑을 제조하는 비닐 장갑 제조방법에 있어서,
    두 겹으로 된 부직포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직포 공급단계;
    상기 부직포에 장갑 형상의 장갑부가 형성되도록 절단시키는 부직포 절단단계;
    상기 장갑부의 하부에 제 1 비닐필름을 공급시키는 제 1 비닐필름 공급단계;
    상기 제 1 비닐필름과 상기 장갑부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3겹이 위치되는 제 1 적층부에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장갑부의 테두리가 상기 제 1 비닐필름에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1 열융착 단계;
    상기 장갑부의 상부에 제 2 비닐필름을 공급시키는 제 2 비닐필름 공급단계; 및
    상기 제 1, 2 비닐필름과 상기 부직포가 상호 적층되면서 총 4겹이 위치되는 제 2 적층부에 상기 장갑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열융착을 실시하여,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을 손모양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비닐필름의 테두리가 상기 장갑부와 접착 실링되도록 하는 제 2 열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장갑 제조방법.
KR1020080085784A 2008-09-01 2008-09-01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00026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84A KR20100026683A (ko) 2008-09-01 2008-09-01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84A KR20100026683A (ko) 2008-09-01 2008-09-01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83A true KR20100026683A (ko) 2010-03-10

Family

ID=4217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84A KR20100026683A (ko) 2008-09-01 2008-09-01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6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482A (ko) 2018-12-11 2020-06-19 이상일 비닐장갑 제조기의 비닐장갑 접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482A (ko) 2018-12-11 2020-06-19 이상일 비닐장갑 제조기의 비닐장갑 접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9926C (en) Elastic lamin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elastic laminate
CA2670087C (en) Self-sticking bibs and method of making
RU259693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леящего к телу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с пониженным скручиванием,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го в направлении, перпендикулярном машинному
CN104783969B (zh) 用于生产设有侧幅可作为裤子穿的卫生物品的方法和装置
BR112012014968B1 (pt) método para fabricar tecido não tecido perfurado revestido por extrusão, tecido não tecido perfurado revestido por extrusão e artigo absorvente
JP5731617B2 (ja) シート融着体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接合装置
KR101912011B1 (ko) 단열재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제조에 적합한 장치
US20070087089A1 (en) Bacon package and foam stiffner for use therein
JP2011200725A (ja) 衛生製品
JP5212844B2 (ja) 化粧用コットン
US9003568B2 (en) Disposable glove
CN104522920B (zh) 一种衣物边缘无缝无子口热熔贴合方法
KR20100026683A (ko) 비닐 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61334B1 (ko) 이중융착날이 구비된 비닐장갑제조장치
JP4020902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GB2433413A (en) Glove liner made from laminated material
CN214395704U (zh) 一种居中透气复合膜
KR101564633B1 (ko) 캡을 이용한 헤어팩
KR102430214B1 (ko) Tpu를 포함하는 일회용 위생 장갑
JP2004149935A (ja) 紙製断熱手袋
TWI508713B (zh)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gasket compound for disposable disposable body
EP2921096B1 (en) Disposable hand cover
US20230301381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Manufacturing Gloves, and Othe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Using Multi-Ply Flexible Films
JP5414106B2 (ja) 体液吸収性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854025B1 (ko) 미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