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252A - 수증기 배출기 - Google Patents

수증기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252A
KR20100026252A KR1020080085185A KR20080085185A KR20100026252A KR 20100026252 A KR20100026252 A KR 20100026252A KR 1020080085185 A KR1020080085185 A KR 1020080085185A KR 20080085185 A KR20080085185 A KR 20080085185A KR 20100026252 A KR20100026252 A KR 20100026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vapor
duct
blow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관
Original Assignee
조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관 filed Critical 조진관
Priority to KR102008008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6252A/ko
Publication of KR2010002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열 조리기기에 의해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주방 수납장의 천장면에 결로나 곰팡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중앙으로 모아서 흡입하되, 흡기구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유도부에 의해 흡기구로 흡입되는 수증기를 덕트 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고, 수증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수증기가 감지되면 팬 구동부를 구동시켜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흡입되어 집결된 수증기가 전방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 동작 없이 자동으로 수증기 배출기능이 수행되고, 높은 온도의 수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증기가 수납장의 천장면에 응결되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증기 배출기, 주방, 조리기기

Description

수증기 배출기{WATER VAPOR EMISSIONS}
본 발명은 수증기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주방에서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기기는 그 조리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분출한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가열 조리기기는 싱크장 혹은 별도의 수납장에 놓여진다. 그런데 조리 과정에서 분출되는 높은 온도의 수증기에 의해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천장면에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고 고온의 수증기로 인해 싱크장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기기의 뚜껑을 열때에 사용자는 갑자기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고, 나아가 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열 조리기기에 의해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주방 수 납장의 천장면에 결로나 곰팡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수증기 배출기에서 고온의 수증기의 흡입 효율을 더욱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중앙으로 모아서 흡입하되, 흡기구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는 유도부에 의해 흡기구로 흡입되는 수증기를 덕트 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전방의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기기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덕트내로 효과적으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어 높은 온도의 수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증기가 수납장의 천장면에 응결되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흡기구의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수증기가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수증기 배출기는 수증기 감지부에 의해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수증기가 감지되면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부를 구동시켜 블로어를 통해 덕트 내에 집결되는 수증기를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 동작 없이 자동으로 수 증기 배출 기능이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조리중 분출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덕트 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분출되는 고온.고압의 기체로 인해 싱크장이나 수납장에 뒤틀림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천장면에 결로나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로 수증기를 감지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자동으로 동작하고 멈추므로 사용자가 따로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나아가 선반에 수납되는 서로 다른 높이의 복수개의 가열 조리기기들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고온의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는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모아서 안내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의 흡입부(110)와, 흡입부(110)의 상측에 연결되는 흡기구(120)와, 흡기구(120)를 통해 흡입부(110)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흡입된 수증기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140)와, 덕트(140)의 상부벽에 흡기구(120)의 중앙 위치로 형성되되, 흡입부(110)를 통해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덕트(140)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를 가진 유도부(150)와, 유도부(150)에 의해 유도된 덕트(140)내의 수증기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구(170)와, 덕트(140)의 타단에 연결되고 덕트(140) 내의 수증기들을 배기구(170)를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블로어(160)와, 수증기의 발생을 감지하는 수증기 감지부(180)와, 수증기 감지부(180)에서 수증기의 발생이 감지되면 블로어(16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흡입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부(110)는 가열 조리기기가 조리 중에 분출하는 고온의 수증기를 상측 중앙으로 집결시키도록 안내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흡입부(110)의 일부는 수증기 배출기(200)의 하단에 노출되어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흡기구(120)는 흡입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흡입부(110)의 상측에 마련된 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기구(120)는 흡입부(110)의 상측면과 덕트(140)의 일단이 만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덕트(140)에는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부(110)에 의해 상측 중앙으로 모아져서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공기들이 집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덕트(140)는 실제로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후술할 블로어(160)에 의해 배기구(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즉 안내 통로를 마련한다. 바람직하게는 더 효과적인 배출을 위하여 흡기구(120)가 장착된 일단쪽보다 블로어(160)가 구비된 타 단쪽으로 갈 수록 그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40)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도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4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흡기구(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로 수증기가 흡입되는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a)는 유도부(150)의 경사면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흡기구(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덕트(140) 내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유도부(150)는 아래쪽이 뾰족한 원뿔 형태이다. 이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흡입되는 수증기(a)들이 덕트(140)내로 유입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이다.
배기구(170)는 블로어(160)의 구동에 의해 팬이 회전됨에 따라 덕트(140)내에 집결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구(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배출기(200)의 전면에 배치된다. 배기구(17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가 설치되었을 때에 수증기가 방출되어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고 배출되는 수증기가 무리없이 공기중에 확산되기에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어(blower)(160)는 덕트(140)와 연동되고 유도부(150)에 의해 덕트(140) 내로 유입된 수증기들을 배기구(170)로 배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어(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면이 형성되고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의 다수개의 날개(165)들을 포함하는 팬과,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00)는 후술할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300)는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구동전류로 블로어(16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300)가 구동되면 이에 따라 덕트(140)내의 블로어(160)가 구동되고 덕트(140)로 유입된 수증기는 팬의 중앙부로 빨려들어 가게 된다. 그리고 팬의 중앙부로 빨려들어온 수증기는 팬의 회전에 따라 그 흐름 방향이 바뀌어 날개(165)의 회전면을 따라 배출되고 배기구(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는 부흡기구(210)를 더 포함하고, 덕트(140)는 부흡기구(210)와 연동되게 형성되어 부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흡기구(210)는 흡기구(120)와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들면 전기 밥솥과 커피 포트(coffeepot)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가열 조리기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해당 기기를 높이와 부피에 적절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가열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는 흡기구(120)의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흡기구(120)로 유입되는 수증기가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며, 블로어 방향으로는 개방된 차단벽(130)을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단벽(130)은 흡입구(120)를 통해 덕트(140)내로 유입된 수증기(a)가 다시 흡입구(120)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벽(13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20)의 일부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 1 차단벽(130)과, 제 1 차단벽(130)의 양 끝단과 일체로 형성되되, 블로어(16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제 2 차단벽(135)을 포함한다. 이는 수증기가 흡기구(120)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것은 막되, 효과적으로 수증기가 블로어(160)쪽으로 유인될 수 있도록 그 흐름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수증기 감지부(180)는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증기 감지부(180)는 전류 감지부(182)와 온도 감지부(184)를 포함한다. 전류 감지부(182)는 가열 조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가열 조리 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한다. 전류를 감지함에 따라 가열 조리 기기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지부(184)는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감지부(184)는 복수개의 흡기구(120)들 모두에 장 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의 흡기구(100)로 흡입되는 수증기는 가열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로, 흡기구(100)에 수증기가 흡입되면 순간적으로 그 온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온도 센서는 소정의 온도 이상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일정 출력 전류를 출력한다. 그러나, 수증기 감지부(180)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 어떠한 구성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제어부(19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90)는 수증기 감지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이상의 전류 혹은 그 밖에 수증기 감지 신호에 대해 구동부(300)가 회전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에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는 실제 구동부(300)가 회전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90)는 전류 감지부(182)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면 블로어(160)를 약하게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온도 감지부(184)에서 높은 온도의 수증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블로어(160)를 강하게 작동시킨다. 이 때에 제어부(190)는 온도 감지부(184)에서 고온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타이머를 온(on)하여 약 5∼10분동안 강하게 블로어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에 김이 빠지는 시간 정도이다. 타이머를 통하여 구동시간을 계수하고 소정의 시간동안만 블로어를 작동시킴으로써, 따로 사용자가 수증기 배출기의 작동 여부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기 수납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주방기기 수납장은 적어도 하나의 가열 조리기기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고, 전술한 본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200)가 수납 공간의 천장면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높이의 가열 조리기기들을 동시에 수납 및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증기 배출기(200)는 주방기기 수납장에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수증기 배출기(200)의 양측면에 추가로 수평 방향의 안내 레일을 설치하고, 주방기기 수납장에 수증기 배출기(200)의 안내 레일과 만나는 부분에 일 예로 볼트, 너트 같은 체결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탈착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로 수증기가 흡입되는 경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가 탑재된 주방기기 수납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흡입부 120 : 흡기구
130 : 차단벽 140 : 덕트
150 : 유도부 160 : 블로어
170 : 배기구 180 : 수증기 감지부
190 : 제어부 200 : 수증기 배출기
300 : 구동부

Claims (5)

  1.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모아서 안내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의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흡기구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흡입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흡입된 수증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상부벽에 상기 흡기구의 중앙 위치로 형성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상기 흡기구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상기덕트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를 가진 유도부와;상기 유도부에 의해 유도된 덕트내의 수증기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구와; 상기 덕트부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 내의 수증기들을 상기 배기구를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블로어와; 수증기의 발생을 감지하는 수증기 감지부와; 상기 수증기 감지부에서 수증기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블로어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가 : 아래로 뾰족한 원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
  3. 제 2할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기가 : 상기 흡기구의 외벽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로 유입되는 수증기가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블로어 방향으로는 개방된 차단벽;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기가 : 부흡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부홉기구와 연동되게 형성되어 상기 부흡기구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감지부가 : 전류 감지부와, 온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감지부에서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블로어의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고온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블로어를 더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기.
KR1020080085185A 2008-08-29 2008-08-29 수증기 배출기 KR20100026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185A KR20100026252A (ko) 2008-08-29 2008-08-29 수증기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185A KR20100026252A (ko) 2008-08-29 2008-08-29 수증기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252A true KR20100026252A (ko) 2010-03-10

Family

ID=4217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185A KR20100026252A (ko) 2008-08-29 2008-08-29 수증기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6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714B2 (en) Steam cooker
CN107923631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CN106051853B (zh) 烤箱排风罩方法、装置以及系统
US20130180413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KR101291412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2325015B1 (ko) 조리용솥 환기 유도덕트
CN113646588B (zh) 具有抽油烟机设备和灶台的组合设备
KR100735923B1 (ko) 수증기 배출기
JP2012007873A (ja) 室内循環式空気浄化装置
JP5220163B2 (ja) 加熱調理器
KR20080063568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KR20100026252A (ko) 수증기 배출기
KR101659019B1 (ko) 조리기기
JP4190549B2 (ja) 加熱調理器
JP2004076954A (ja) クッキング装置
TW577967B (en) Range hood
JP3218283B2 (ja) 蒸気排出装置
JP2003097838A (ja) レンジフードファン
KR100735924B1 (ko) 수증기 배출장치
JP4736255B2 (ja) 家電収納装置
CN215570607U (zh) 一种集成灶
CN216790242U (zh) 一种具有烹饪装置的集成灶
CN217302926U (zh) 一种集成灶
CN219736027U (zh) 排气组件及灶蒸烤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