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924B1 - 수증기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수증기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924B1
KR100735924B1 KR1020060128063A KR20060128063A KR100735924B1 KR 100735924 B1 KR100735924 B1 KR 100735924B1 KR 1020060128063 A KR1020060128063 A KR 1020060128063A KR 20060128063 A KR20060128063 A KR 20060128063A KR 100735924 B1 KR100735924 B1 KR 10073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unit
water vapor
cook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06012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에서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는 설정된 단말(outlet)을 통해 가열 조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전류가 감지되면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의 변화에 따라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블로어를 구동시킴으로써,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발생되어 흡입구로 유입되는 수증기를 배기구를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기기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적정 위치의 배기구로 배출시킬 수 있어 높은 온도의 수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증기가 수납장의 천장면에 응결되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증기, 배출장치, 주방기기, 가열조리기기, 온도센서

Description

수증기 배출장치{Vapor Exhaus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의 수증기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입력부 110 : 조리 감지부
120 : 수증기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구동부 150 : 표시부
300 : 흡입부 310 : 덕트
320 : 유도부 330 : 배기구
본 발명은 수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에서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수증기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주방에서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기기는 그 조리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분출한다. 통상적으로 이 같은 가열 조리기기는 싱크장 혹은 별도의 수납장에 놓여진다. 그런데 조리 과정에서 분출되는 높은 온도의 수증기에 의해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천장면에 수증기가 응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고 고온의 수증기로 인해 싱크장에 뒤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기기의 뚜껑을 열 때에 사용자는 갑자기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고, 나아가 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열 조리기기에 의해 분출되는 고온의 수증기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주방 수납장의 천장면에 결로나 곰팡이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수증기의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증기 배출을 수행하는 수증기 배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는 설정된 단말(outlet)을 통해 가열 조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전류가 감지되면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의 변화에 따라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블로어를 구동시킴으로써,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발생되어 흡입부로 유입되는 수증기를 배기구를 통해 강제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기기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적정 위치의 배기구로 배출시킬 수 있어 높은 온도의 수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증기가 수납장의 천장면에 응결되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온도의 상승효과에 따라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블로어를 구동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블로어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사용자가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의 변화를 표시부로 출력하되,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화재의 위험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단말을 통해 가열 조리기기로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고, 전류가 감지되면 광 센서를 이용하여 수증 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수증기의 감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하여 이하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는 가열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조리 감지부(110)와,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분출되는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수증기 감지부(120)와, 블로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40)와, 조리 감지부(110)에서 가열 조리 기기의 동작이 감지되면, 수증기 감지부(120)의 수증기 감지 결과에 따라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외 도시된 키입력부(100)는 소정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증기 배출 장치의 전원의 온/오프에 대한 조작신호 혹은 추후에 언급할 블로어(145)의 구동 시간의 설정에 대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조리 감지부(110)는 가열 조리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outlet)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리 감지부(110)에서 가열 조리과정에서 수증기를 배출하는 가열 조리 기기로 전원 공급이 있는지를 먼저 판단한 후에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전류 감지 센서는 공지의 구성으로 전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류 감지 센서는 설정된 단말(outlet)즉 수증기가 배출되는 전기밥솥과 같은 가열 조리 기기가 전원을 공급받는 콘센트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감지 결과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증기 감지부(120)는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분출되는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수증기 감지부(120)는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블로어(145)는 수증기 배출 장치 내의 덕트에 연동되고 덕트 내로 유입된 수증기들을 배기구로 배출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블로어(145)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수증기 배출장치의 흡입부로 흡입된 수증기들을 일 예로 전면에 배치된 배기구(330)를 통해 강제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어(145)는 수직 방향으로 면이 형성되고 회전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의 다수개의 날개들을 포함하는 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140)는 후술할 제어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구동전류로 블로어(145)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40)가 구동되면 이에 따라 덕트내의 블로어(145)가 구동되고 덕트로 유입된 수증기는 팬의 중앙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팬의 중앙부로 빨려들어온 수증기는 팬의 회전에 따라 그 흐름 방향이 바뀌어 날개의 회전면을 따라 배출되고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수증기 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이상의 전류 혹은 그 밖에 수증기 감지 신호에 대해 구동부(140)가 회전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에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는 실제 구동부(140)가 회전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조리 감지부(110)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면 블로어(145)를 약하게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후에 수증기 감지부(120)에서 높은 온도의 수증기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블로어(145)를 강하게 작동시킨다. 이 때에 제어부(130)는 수증기 감지부(120)에서 고온의 수증기가 감지되면 타이머를 온(on)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약 5~10분동안 강하게 블로어를 구동시키고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기 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에 김이 빠지기에 충분한 시간 정도이다. 시간 설정값은 상술한 키입력부(100)를 통한 조작 신호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타이머를 통하여 구동시간을 계수하고 소정의 시간동안만 블로어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증기 배출기의 작동 여부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의 수증기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30)는 수증기 배출 장치의 전원이 ON된 상태이면(단계 S200), 조리 감지부(110)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10). 그리고, 가열 조리 기기에 전원 공급하는 콘센트에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면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을 체크한다(단계 S220). 이때의 온도값을 T1이라 할 수 있다. 즉, T1은 조리가 시작될 때의 온도값으로 거의 상온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온도 감지 센서들로부터 측정되는 복수개의 T1값들을 모두 수집하여, 평균값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지되는 온도를 T2라 한다(단계 S230). 바람직하게는 가열 조리 기기에서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온도가 올라감에 다라 T2의 값은 점점 증가하게 된다.
이 때 제어부(130)는 T2와 T1의 차이를 산출한다(단계 S240). 그리고 두 온도값의 차가 설정된 값T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구동부(140)의 구동을 시작한다. 제어부(130)는 함께 타이머를 구동시킴으로써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250). 그리고, 설정된 시간동안만 구동부(140)를 구동하여 블로어(145)를 통해 수증기가 배출기로 배출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구동부(140)의 구동을 멈춘다.
이 후에 수증기 배출 장치의 전원이OFF(단계 260)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가열 조리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의 전류 감지 및 온도 감지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배출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 장치는 가열 조리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모아서 안내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의 흡입부(300)와, 흡입부(300)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흡입된 수증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310)와, 덕트(310)의 상부벽에 흡입부 상부의 중앙 위치로 형성되되,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가 덕트(310)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를 가진 유도부(320)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는 흡입부(3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입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 수록 점점 좁아지는 깔때기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부(300)는 가열 조리 기기가 조리 중에 분출하는 고온의 수증기를 상측 중앙으로 집결시키도록 안내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흡입부(300)의 일부는 수증기 배출장치의 하단에 노출되어 수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증기 감지부(120)는 흡입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수증기의 배출을 인식할 수 있다.
덕트(310)에는 일단에 연결되는 흡입부(300)에 의해 상측 중앙으로 모아져서 흡입되는 공기들이 집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덕트(310)는 실제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블로어(145)에 의해 배기구(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즉 안내 통로를 마련한다. 바람직하게는 더 효과적인 배출을 위하여 흡입부(300)가 장착된 일 단쪽보다 블로어(145)가 구비된 타 단쪽으로 갈 수록 그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덕트(310)는 그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도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31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흡입부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수직 방향으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유도부(320)의 경사면에 의해 덕트(310) 내로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유도부(320)는 아래쪽이 뾰족한 원뿔 형태이다. 이는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흡입되는 수증기가 덕트(310)내로 유입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이다.
배기구(330)는 블로어(145)의 구동에 의해 팬이 회전됨에 따라 덕트(310)내에 집결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기구(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 배출장치의 전면에 배치된다. 배기구(33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장치가 설치되었을 때에 수증기가 방출되어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고 배출되는 수증기가 무리없이 공기중에 확산되기에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어(145)는 덕트(310)와 연동되고 유도부(320)에 의해 덕트(140) 내로 유입된 수증기들을 배기구(330)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배출장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30)는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의 변화를 표시부(150)로 출력하되,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부(150)는 복수의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감지되는 온도값에 따라 레벨을 구분하여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LED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소정의 온도값이상일 경우에는 또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하거나 깜빡거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위험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수증기 배출기의 고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나치게 고온의 수증기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가열 조리 기기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수증기 배출장치는 수증기 감지부(120)가 광 센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광 센서로 감지되는 광의 반사량을 비교하여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광 센서를 이용하여, 광에 대한 반사율을 비교함으로써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 정도에 따라 수증기의 발생량 정도를 파악할 수도 있다. 광센서는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수증기 발생의 감지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조리기기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적정 위치의 배기구로 배출시킬 수 있어 높은 온도의 수증기로 인해 발생되는 싱크장이나 수납장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증기가 수납장의 천장면에 응결되어 곰팡이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온도의 상승효과에 따라 수증기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블로어를 구동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블로어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사용자가 따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고온의 수증기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가열 조리 기기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반응 속도가 빠른 온도 센서나 광 분산 센서를 이용하여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수증기 발생의 감지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가열 조리 기기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조리 감지부와;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모아서 안내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의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설치되어 가열 조리 기기로부터 분출되는 수증기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수증기 감지부와;
    상기 흡입부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흡입된 수증기를 전방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내에 연동 되는 블로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조리 감지부에서 가열 조리 기기의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수증기 감지부의 수증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감지부는 :
    상기 가열 조리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outlet)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
    수증기가 발생했음을 판단한 이후에 상기 구동부가 소정의 시간동안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감지부는 :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장치가 :
    상기 덕트의 상부벽에 상기 흡입부의 상부 중앙 위치로 형성되되,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가 상기 덕트내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부를 가진 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흡입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장치가 :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의 변화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되,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감지부가 :
    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배출장치.
KR1020060128063A 2006-12-14 2006-12-14 수증기 배출장치 KR10073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63A KR100735924B1 (ko) 2006-12-14 2006-12-14 수증기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63A KR100735924B1 (ko) 2006-12-14 2006-12-14 수증기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924B1 true KR100735924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063A KR100735924B1 (ko) 2006-12-14 2006-12-14 수증기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9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325A (ja) * 1988-10-12 1990-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連動式自動空調換気装置
KR950027265A (ko) * 1994-03-23 1995-10-16 이명관 가스레인지의 배기후드 자동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1618B1 (ko) * 1996-02-01 1999-03-20 김광호 전자렌지의 습기배출장치
KR200289753Y1 (ko) 2002-06-25 2002-09-16 (주)바이오텔 주방용 쿠킹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KR20050042119A (ko) * 2005-04-13 2005-05-04 송운순 건강 레인지후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325A (ja) * 1988-10-12 1990-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連動式自動空調換気装置
KR950027265A (ko) * 1994-03-23 1995-10-16 이명관 가스레인지의 배기후드 자동 작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1618B1 (ko) * 1996-02-01 1999-03-20 김광호 전자렌지의 습기배출장치
KR200289753Y1 (ko) 2002-06-25 2002-09-16 (주)바이오텔 주방용 쿠킹레인지의 안전 제어 장치
KR20050042119A (ko) * 2005-04-13 2005-05-04 송운순 건강 레인지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4273A (ko) 가스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1541B1 (ko) 가스렌지 후드
WO2020078670A1 (en) An exhaust hood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WO2020078669A1 (en) An exhaust hood for detecting the cooking device type
CA2669565A1 (en) Cooking ov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35924B1 (ko) 수증기 배출장치
KR101659019B1 (ko) 조리기기
CN105790107B (zh) 一种自动调控式散热防尘配电柜
KR100735923B1 (ko) 수증기 배출기
EP3527899A1 (en) Ventilation-fan-equipped microwave oven, and cooking system
JP4615493B2 (ja) 加熱調理器
WO2008001609A1 (fr) Dispositif de cuisson par chauffage
KR20130111164A (ko) 건조기 및 그 막힘 검출 방법
JP2008032268A (ja) 加熱調理器
KR20090115408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JP6013086B2 (ja) 加熱調理器
JP5642113B2 (ja) 加熱調理器
JP2515850B2 (ja) 自動換気装置
JP2697285B2 (ja) 排煙装置
KR20100026252A (ko) 수증기 배출기
JP2543263B2 (ja) 温風暖房機の制御装置
EP4276364A1 (en) An exhaust hood with improved automatic operation performance
KR102248633B1 (ko) 하이브리드 렌지후드 제어 시스템
KR100938204B1 (ko) 오븐레인지의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JP4633013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