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260A - 개량 톱 - Google Patents
개량 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5260A KR20100025260A KR1020080083958A KR20080083958A KR20100025260A KR 20100025260 A KR20100025260 A KR 20100025260A KR 1020080083958 A KR1020080083958 A KR 1020080083958A KR 20080083958 A KR20080083958 A KR 20080083958A KR 20100025260 A KR20100025260 A KR 201000252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w
- tooth
- angle
- blade
- saw bla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33/00—Sawing tools for saw mills,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 B27B33/02—Structural design of saw blades or saw teeth
- B27B33/10—Hand saw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2—Straight saw blades; Strap saw blades
- B23D61/123—Details of saw blad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1/00—Hand saws without power drive; Equipment for hand sawing, e.g. saw horses
- B27B21/04—Cross-cut saws; Pad s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량 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을 들여서 쉽게 피절단물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톱니를 개선한 개량 톱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톱은 주로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한 도구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톱(1)의 구성을 도 4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하는 손잡이(2)와 상기 손잡이(2)에 일단이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긴 길이의 톱날바디(3)와 상기 톱날바디(3)의 하방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하는 톱니(4)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톱니(4)에는 경사면(5)을 교호로 형성하여 손잡이(2) 방향과 하단에 첨예한 연삭면(6)과 날끝(7)을 형성하여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 톱니(4)의 연삭면(6)과 날끝(7)을 연결하는 날끝선(P)이 이루는 톱니각도는 톱날바디(3) 전체에 형성되는 톱니(4) 모두가 동일한 각도(약 80°전후)를 이루도록 형성하고 있으며, 절삭력을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톱날바디(3)를 원호형상 으로 형성하는 경우도 자주 있는 편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톱에 적용되는 톱니의 연삭면과 날끝을 연결하는 날끝선이 이루는 톱니각도가 톱날바디의 시작에서부터 끝까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힘으로 톱을 잡고 당겨야 하기 때문에 절단에 많은 힘을 소모하여야 하므로 이용자의 피로도를 증가시켜 작업을 효율적이면서 능률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톱을 이용하여 목재를 절단하고자 할 때 초기에 톱을 당기는 데 상당한 힘이 들어가는 것은 물론, 시작위치의 톱날이 목재에 걸림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톱날의 시작부위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톱날의 끝부위에는 심한 진동(떨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이 절단되는 목재와 마찰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톱날이 일직선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지그재그 형태로 왕복하기 때문에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절단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비스듬할 경우 절단되는 과정에서 톱날바디가 목재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절단면을 고르게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톱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고른 절단면을 유지하지 못하여 절단 후 별도로 고르기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일단에 구비하는 손잡이의 전방으로 긴 길이로 돌출시키는 톱날바디와, 상기 톱날바디의 하방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는 톱니와, 상기 톱니에 경사면을 교호로 형성하여 전,후 방향과 하단에 첨예한 연삭면과 날끝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톱에 있어서;
상기 톱니의 연삭면과 날끝을 연결하는 날끝선이 이루는 톱니각도를 시작부위에서 끝 부위로 갈수록 크게 형성하여,
절단 과정에서 걸림 현상과 진동 배제와 적은 힘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톱날바디에 형성하는 톱니각도를 시작위치에서부터 끝으로 갈수록 크기를 달리하여 절단 초기에 적은 힘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절단하면서도 톱이 걸림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절단성을 좋게 하면서 톱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켜 대외적인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이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톱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톱의 톱날을 발췌한 도면으로서 시작부위(손잡이 가까운 방향) 톱날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톱의 톱날을 발췌한 도면으로서 끝 부위(손잡이에 대하여 먼 방향) 톱날의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톱(100)은 이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단에 손잡이(101)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101)의 전방으로 긴 길이의 톱날바디(102)를 돌출시킨다.
상기 톱날바디(102)의 하방으로 등 간격으로 톱니(103)를 형성하고, 상기 톱니(103)에는 경사면(104)을 교호로 형성하여 전,후 방향과 하단에 첨예한 연삭면(105)과 날끝(106)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톱니(103)를 개선하여 이용자들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걸림현상이나 진동 등에 의한 떨림 현상 없이 목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톱니(103)의 연삭면(105)과 날끝(106)을 연결하는 날끝선(P)이 이루는 톱니각도(α)를 시작부위(S)에서 끝 부위(F)로 갈수록 크게 하여 초기에 걸림 현상을 배제하면서 적은 힘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톱니(103)의 시작부위(S)에서 끝 부위(F)까지의 톱니각도(α)의 가변범위는 약 1∼1.5°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작부위(S)의 톱니각도(α)가 끝 부위(F)의 톱니각도(α)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니각도(α)의 가변범위를 1∼1.5°를 벗어나게 될 경우에는 직각에 근접하여 절단 초기에 걸림 현상이 심하게 일어나게 되고, 직각에서 멀어지게 되면 절삭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톱(100)은,
톱날바디(102)의 시작부위(S)에 형성되는 톱날각도(α)는 작게 하고 끝 부위(F)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톱날각도(α)를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목재 등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예로서 톱(100)의 손잡이(101)가 수평이고 톱날바디(102)의 길이가 300㎜일 경우에는 시작부위(S)의 톱니각도(α)를 82.5°로 하고 끝 부위 톱니각도(α)를 83.5°로 형성하여 톱니각도(α)의 가변범위를 1°로 하여 목재 등을 절단해 보았다.
목재 등을 절단하기 위하여 톱날바디(102)에 형성되는 시작부위(S)의 톱니각도(α)가 날끝선(P)과 이루는 각이 90°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초기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걸림 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시작부위(S)의 톱니각도(α)가 작고 끝 부위(F)의 톱니각도(α)가 크기 때문에 절단 과정에서 처음부터 무리하게 힘을 주지않고 스무드하게 톱(100)을 왕복시키면 쉽게 절단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신체적으로 큰 무리를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톱(100)이 걸리게 되는 현상이 없게 되므로 절단 작업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한 떨림 현상이 없어지게 되고, 절단면이 고르고 절단 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된 목재 등의 품질을 높이고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톱(100) 이용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톱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톱의 톱날을 발췌한 도면으로서 시작부위(손잡이 가까운 방향) 톱날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개량 톱의 톱날을 발췌한 도면으로서 끝부위(손잡이에 대하여 먼 방향) 톱날의 정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톱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톱
102; 톱날바디
103; 톱니
106; 날끝
Claims (2)
- 일단에 구비하는 손잡이(101)의 전방으로 긴 길이로 돌출시키는 톱날바디(102)와;상기 톱날바디(102)의 하방에 등 간격으로 형성하는 톱니(103)와;상기 톱니(103)에 경사면(104)을 교호로 형성하여 전,후 방향과 하단에 첨예한 연삭면(105)과 날끝(106)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톱(100)에 있어서;상기 톱니(103)의 연삭면(105)과 날끝(106)을 연결하는 날끝선(P)이 이루는 톱니각도(α)를 절단 과정에서 걸림 현상과 진동 배제와 적은 힘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시작부위(S)에서 끝 부위(F)로 갈수록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톱니(103)의 시작부위(S)에서 끝 부위(F)까지의 톱니각도(α)의 가변범위는 약 1∼1.5°의 범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3958A KR20100025260A (ko) | 2008-08-27 | 2008-08-27 | 개량 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3958A KR20100025260A (ko) | 2008-08-27 | 2008-08-27 | 개량 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5260A true KR20100025260A (ko) | 2010-03-09 |
Family
ID=4217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3958A KR20100025260A (ko) | 2008-08-27 | 2008-08-27 | 개량 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25260A (ko) |
-
2008
- 2008-08-27 KR KR1020080083958A patent/KR201000252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94262B2 (en) | Reciprocating saw blade | |
CA2800720C (en) | Double-sided reciprocating saw blade and related method | |
US10857605B2 (en) | Reciprocating saw blade with curved cutting edge | |
US10118238B2 (en) | Blade for a reciprocating saw | |
US20200122347A1 (en) | Hook blade accessory tool for an oscillating tool | |
US10307917B2 (en) | Cutting blade for oscillating tool | |
US9884380B2 (en) | Saw blade with multiple tangs | |
US10549435B2 (en) | Oscillating tool with modified mounting interface for increasing cut depth | |
CN209850839U (zh) | 刀片及摆动动力工具 | |
KR20100025260A (ko) | 개량 톱 | |
US20150360306A1 (en) | Filing Tool Attachment for a Reciprocating Tool | |
US9901960B2 (en) | Accessory for a reciprocating power tool | |
JP7061789B2 (ja) | 鋸刃 | |
AU2019100981A4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ing Metal or Wood | |
JP5443150B2 (ja) | 木材用レシプロソーの刃 | |
JP3161186U (ja) | 鋸刃 | |
JP2011073175A (ja) | レシプロソー | |
JP5801452B1 (ja) | 削り線形成具 | |
KR200482462Y1 (ko) | 깔때기 모양 구멍 조각용 끌 | |
JP6204071B2 (ja) | 電動鋸用鋸刃 | |
AU778443B2 (en) | Shearing com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