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566A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566A
KR20100024566A KR1020080083181A KR20080083181A KR20100024566A KR 20100024566 A KR20100024566 A KR 20100024566A KR 1020080083181 A KR1020080083181 A KR 1020080083181A KR 20080083181 A KR20080083181 A KR 20080083181A KR 20100024566 A KR20100024566 A KR 2010002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input
unit
survey
w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to KR102008008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566A/ko
Publication of KR2010002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을 입력할 때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어 및 조사를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검출하는 유추단어검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를 추출하는 조사추출부;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에 입력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며, 상기 조사추출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조사를 선택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조사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조사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단어, 조사, 한글 입력, 유추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korean alphabet for handy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을 입력할 때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문자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본체에 많은 크기로 설치되고, 인터넷,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나 메일(mail)등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해 짐에 따라, 한글 또는 영어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의 문자 메시지 또는 텍스트 입력 기능이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의 입력시 신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모든 단어들을 추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5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장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12),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20), 문자입력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6), 및 제어부(10)를 갖는다. 여기서 저장부(16)에는 해당 언어로 표시 가능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 저장부(18)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5의 키 입력부(20)에 마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20)에는 통화키(21), 확인키(23), 취소키(25), 종료키(27), 및 문자/숫자 입력키(30)가 구비된다. 여기서 문자/숫자 입력키(30)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어부(10)는 키 입력부(20)로부터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 이후 표시된 단어들 중 키 입력부(20)를 통해 소정의 단어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선택된 단어를 입력을 위한 단어로 선택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문자가 한글인 경우, 제어부(10)는 한 글자(예를 들어, '가')가 입력되면 입력된 한글자(가)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하고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하여 해당 단어의 입력을 추천한다.
도 7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0)는 입력되는 단어의 등록 명령에 따라, 해당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에 저장한다(S11). 제어부(10)는 현재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 모드가 문자 입력 모드인지를 판단하고(S13), 문자 입력 모드이면 키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를 입력받아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S15).
제어부(10)는 표시된 문자(예를 들어, '가' 등)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들을, 단어 저장부(18)로부터 검색한다(S17). 이때 제어부(10)는 검색한 모든 단어들을 정렬하여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S19).
제어부(10)는 표시된 단어들 중 입력 및 표시를 위해 해당 단어의 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21). 표시되는 단어들 중 단어의 선택이 없으면, 제어부(10)는 S15 단계를 수행한다. 표시된 단어들 중 어느 하나의 단어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12)를 통해 표시한다(S23).
그런데,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입력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들을 모두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모두 나열식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한 문자로 시작하는 모든 검색된 단어들을 확인해가면서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의 범주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지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를 검색하여 추천하기 때문에, 오히려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일일이 확인하여 선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시작하는 100개 단어가 검색되어 표시되고 표시된 100개의 단어들 중 필요한 단어가 100번째에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표시된 100개의 단어를 첫 번째 단어부터 일일이 확인하여 100번째에 위치하는 단어를 선택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자입력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본 방법의 제안에 따른 문자의 신속한 입력을 위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상황에 따라 직접 단어를 입력하는 것보다 오히려 문자 입력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추천된 단어를 신속하게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4~20개의 단어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저장부에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의 어미활용, 마침표 등을 모두 포함할 뿐만 아니라 조사까지도 포함시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첫글자만 입력하더라도 단어 및 조사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문장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단어 및 조사를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검출하는 유추단어검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를 추출하는 조사추출부;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에 입력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며, 상기 조사추출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조사를 선택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조사 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조사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는 상기 유추단어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단어 중 표시부에 표시된 단어의 사용빈도,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단어추천기능에서 제공되지 않는 어절 입력시 프로그램 학습에 의해 저장되는 사용자 단어를 기초로 상기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사용빈도가 높은, 그리고 사용자 지정 분야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부에 정렬 및 저장하는 단어추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가능한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저장부; 상기 입력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들을 저장하는 조사저장부; 상기 단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단어들을 저장하는 추출단어저장부; 및 상기 조사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조사들을 저장하는 추출조사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어는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적 특성을 지닌 어미활용를 포함한다.
상기 단어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추천단어,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및 제조된 이후에 저장명령에 따라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가 별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상기 조사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조사 및 확장조사와, 제조된 이후에 저장명령에 따라 학습에 의한 조사가 별도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한글입력모드에서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체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조사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조사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조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에서, 원하는 단어가 없는 경우 한글입력모드에서 해당문자를 입력한 다음, 프로그램에서 학습에 의해 사용자 단어를 단어저장부에 추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습에 의해 추가 저장된 단어는 이후에 동일한 단어 입력 시 단어저장부에서 우선적으로 검출되어 표시부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된다.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기본추천단어 및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이후에 학습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 단어 중 상기 학습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 단어,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순으 로 정렬하되, 표시부에 표시된 단어의 사용빈도 순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어절의 첫음절만 입력만으로도 완전한 문장을 이룰 수 있도록 화면에 단어는 물론 조사를 추천리스트에 추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개인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어부(50), 표시부(51), 키 입력부(52), 문자편집부(53), 단어추출부(54), 조사추출부(55), 사용빈도추출부(56), 유추단어검출부(57), 저장부(58)를 갖는다.
제어부(5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 입력모드 또는 메모 입력모드에서 저장부(58)로부터 단어, 즉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의 어미활용 등 및, 조사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모든 경우에 단어 및 조사를 추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51)는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표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표시부(51)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표시부(51)는 LCD 제어부(50)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 방식에 의해 입력부로 동작할 경우 제어부(50)는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자판을 터치하여 문자 입력시 오류 없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키 입력부(52)는 숫자나 문자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 및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키들을 구비한다. 즉, 한글자모 입력을 통한 문자 입력 및 입력한 문자로 시작하는 단어의 선택을 위한 기능들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해당 키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키 입력부(52)는 입력되는 해당 명령 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문자편집부(53)는 키 입력부(52)로부터 입력되는 한글문자(자모)의 조합특성에 따라 조합한다. 이때 조합된 문자들은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51)를 통해 표시한다.
단어추출부(54)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51)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문장으로부터 단어를 추출한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문장의 종류는 키 입력부(52) 또는 터치스크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편집된 문자/문장, 저장부(58)에 저장된 문자/문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는 조사를 제외한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 및 동사의 어미활용 심지어는 마침표, 물음표 등의 기호를 모두 포함하며, 띄어쓰기에 의해 구분되는 어절을 모두 포함한다.
조사추출부(55)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51)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문장으로부터 조사를 추출한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문장의 종류는 키 입력부(52) 또는 터치스크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편집된 문자/문장, 저장부(58)에 저장된 문자/문장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추출부(55)는 문법적으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도록 구분하여 추출하여 표시하며, 예를 들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기본조사로 에, 의, 가, 는, 를, 와, 로('ㄹ'로 끝나는 경우 포함)을 추천하게 되며,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에, 의, 이, 은, 을, 과, 으로('ㄹ'로 끝나는 경우 제외)를 추천하게 된다. 그리고, 확장조사로 추가적으로 에서, 에게, 에는, 도, 만, 부터, 까지 등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빈도추출부(56)는 단어추출부(54)에서 추출한 해당 단어별 사용빈도를 체크하여 그 정보를 저장부(58)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빈도란 해당단어가 화면에 표시된 횟수와 현재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해당 단어의 표시 시간에 따른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빈도추출부(56)의 기능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추단어검출부(57)는 키 입력부(52)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51)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상기 우선순위 또는 사용자 지정 분야, 프로그램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에 따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지정 분야란 휴대폰 단말기 제조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추천단어외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추천단어로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관심분야에 대해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되는 분야이며, 예를 들어, 경제, 교육 학습, 국가 및 지역, 대학교 및 서울 지하철 역, 법률 용어, 업무 영어, 인터넷 용어, 컴퓨터 용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어추천 기능에서 제공하지 않은 어절을 입력할 경우 프로그램에서 학습하여 다음에 동일한 입력이 있을 경우 우선적으로 추천해 주는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기능에 따라 학습되어진 단어를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50)는 유추단어검출부(57)에서 우선순위, 사용자 지정 분야, 프로그램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에 따라 검출한 단어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검출한 단어의 수는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환경설정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단어의 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유추단어검출부(57)에 의해 검출한 단어의 수를 제한할 수 있고, 추천시점, 단어 또는 조사를 선택적으로 추천하도록 제어할 수 있 다.
예를들어 추천단어를 추천하는 시점은 첫 한 음절 + 자음 입력 시 실행되도록 하거나, 첫 한 음절 입력 시 추천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첫 한 음절 및 다음 첫번째 자음까지 입력할 때 단어를 추천함으로써, 추천단어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은 일반 어절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번째 방법은 첫 한 음절 입력시 단어를 추천함으로써, 추단단어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사용자 지정 분야별 어절이나 프로그램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 입력어절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58)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단어 및 조사 검색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58)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저장부(59), 조사저장부(60), 추출단어저장부(61)를 갖는다.
단어저장부(59)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단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지정 분야별 용어 및 이후에 프로그램 학습에 의한 저장 명령에 따라 입력된 단어들을 저장하고 있다.
조사저장부(6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 시 제공되는 기본조사 및 확장조사, 그리고 이후에 프로그램 학습에 의한 저장 명령에 따라 입력된 조사들을 저장하고 있다.
추출단어저장부(61)는 단어추출부(54)에 의해 추출된 단어들을 사용출처(단어저장부(59),사용자 지정 분야, 학습) 및 사용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한다. 이때 추출 단어 저장부는 단어추출부(54)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자모순서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도 있고, 사용출처 별로 구분하여 자모순서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추출단어저장부(61)는 단어추출부(54)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각 단어들의 사용빈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할 수 있다.
추출조사저장부(62)는 조사추출부(55)에 의한 추출된 조사들을 기본조사를 앞에 확장조사를 뒤에 정렬 및 저장하거나, 조사저장부(60) 또는 학습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한다. 이때 추출조사저장부(62)는 조사추출부(55)를 통해 추출된 조사들의 자모순서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도 있고, 조사저장부(60) 또는 학습에 따라 구분하여 자모순서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추출조사저장부(62)는 조사추출부(55)를 통해 추출된 단어들을 각 단어들의 사용빈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 및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기에는 제조시 기본 추천단어, 기본 조사, 사용자 지정 분야별 추가 추천단어, 확장조사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S51).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지정 분야를 설정하여 분야별 추가 추천단어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하지 않더라도 단말기의 환경설정에서 기본적으로 지정분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게 된다(S52).
제어부(50)는 단말기 메뉴에서 메모 기능을 선택한 경우 메모 문자입력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S53), 사용자가 키 입력부(52) 또는 터치스크린의 입력부로 한글을 입력하기를 기다리게 되고, 사용자가 단어의 첫 음절을 입력하게 되면(S54), 표시부(51)에 첫 음절이 표시됨과 동시에 제어부(50)가 유추단어검출부(57)를 제어하여 단어저장부(59)로부터 입력된 음절로 시작하는 단어를 검색한다(S55).
이때, 제어부(50)는 단어추출부(54)를 제어하여 유추단어검출부(57)를 통해 검출한 단어들 중 프로그램 학습에 의해 저장된 어절,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기본 추천단어를 추출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추출단어저장부(61)에 정렬 및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정렬 및 저장된 단어를 사용자가 지정한 단어 수에 따라 표시부(51) 화면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S59).
계속해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단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S60), 상기 표시된 추천단어에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단어를 직접 키 입력부(52) 또는 터치스크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며, 단어추천기능에서 제공하지 않는 단어를 프로그램에서 학습하여 단어저장부(59)에 별도로 추가 저장한다(S57,S58). 여기서,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는 다음에 동일한 입력이 있을 경우 우선적으로 추천해 주게 된다.
상기 표시된 추천단어에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가 있어서 이를 선택하 면(S60), 제어부(50)가 표시부(51)를 통해 선택된 단어를 표시하게 된다(S61).
그다음, 상기 추천단어가 화면에 표시되면서 제어부(50)가 조사추출부(55)를 제어하여 조사저장부(60)로부터 입력된 선택단어 끝의 자음 또는 모음에 따라 문법적으로 맞는 조사를 검색하여 추출조사저장부(62)에 저장한다(S62). 이때, 저장부는 사용빈도추출부(56)를 제어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추출조사저장부(62)에 저장된 조사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부(51)를 통해 표시한다(S66).
계속해서, 사용자는 표시부(51)에 표시된 조사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만약 추천단어 다음에 조사를 입력하지 않고 다른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의 첫음절을 입력하여 S54~S67을 수행한다.
상기 단어와 문법적으로 이에 대응되는 조사를 입력한 경우에는 띄어쓰기를 입력하며(S68), 다음으로 문장이 완성될 때까지 전술한 S55~S68(중간어절), 또는 S55~61(마지막 어절)을 수행한다.
도 3및 도 4는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화면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3은 화면 하단에 단어 첫 음절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스크린의 표기부에 필기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는 경우이고, 도 4는 화면 하단에 단어 첫 음절을 터치스크린의 자판을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으로 입력하는 경우이다.
도 3에서 '가'를 입력하는 경우 화면에 '가게', '가격', '가격비교', '가고', '가공', '가공할', '가구', '가급적'의 추천단어가 '가' 바로 아래에 팝업되 고, 사용자가 '가격비교'를 선택하는 경우에 추천단어 리스트는 없어지면서, 메인 화면에 '가격비교'가 표시되고, 격조사 '에', '의', '들', '가', '와', '는', '를', '로'가 팝업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띄어쓰기를 한 후 '중'을 입력하는 경우에 화면에 '중용', '중요성', '중요하게', '중요하다.', '중요하다고', '중요한'이 팝업되고, 사용자가 '중요하다고'를 선택하는 경우에 추천단어리스트가 사라지고, 다시 띄어쓰기를 한다.
그 다음, '생'을 입력하면, '생각', '생각난다', '생각된다', '생각됩니다.', '생각되다', '생각이나', '생각인가요.'가 팝업되고, 사용자가 '생각된다'를 선택하는 경우 '생각된다'가 메인화면에 표시되면서 팝업리스트는 없어지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팝업리스트에 각 단어 및 조사마다 앞에 번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표시된 번호를 키 입력부(52) 또는 터치스크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여 선택하나, 상기 단어가 입력됨에 따라 팝업리스트가 단어 하단에 붙어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므로, 화면이 산만하여 보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도 4에서는 팝업리스트가 도 3과 달리 입력된 단어와 분리되어 터치스크린의 입력부 위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위로 스타일러스 펜을 터치하면 터치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해당 단어를 출력하여 추천단어 리스트가 사라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도 5의 키 입력부(20)에 마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제어부 51 : 표시부
52 : 키 입력부 53 : 문자편집부
54 : 단어추출부 55 : 조사추출부
56 : 사용빈도추출부 57 : 유추단어검출부
58 : 저장부 59 : 단어저장부
60 : 조사저장부 61 : 추출단어저장부
62 : 추출조사저장부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에 있어서,
    단어 및 조사를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들을 검출하는 유추단어검출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를 추출하는 조사추출부;
    상기 유추단어 검출부에서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단어를 표시부에 입력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며,
    상기 조사추출부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조사를 선택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조사의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조사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추단어검출부를 통해 검출한 단어 중 표시부에 표시된 단어의 사용빈 도,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단어추천기능에서 제공되지 않는 어절 입력시 프로그램 학습에 의해 저장되는 사용자 단어를 기초로 상기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사용빈도가 높은, 그리고 사용자 지정 분야 순으로 소정의 단어들을 저장부에 정렬 및 저장하는 단어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가능한 단어들을 저장하는 단어저장부;
    상기 입력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들을 저장하는 조사저장부;
    상기 단어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단어들을 저장하는 추출단어저장부; 및
    상기 조사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조사들을 저장하는 추출조사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어는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적 특성을 지닌 어미활용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어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추천단어,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및 제조된 이후에 저장명령에 따라 학습에 의한 사용자 단어가 별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사저장부는 휴대용 단말기 제조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조사 및 확장조사와, 제조된 이후에 저장명령에 따라 학습에 의한 조사가 별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7.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에 있어서,
    한글입력모드에서 해당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유추 가능한 단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단어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단어를 한글입력모드에서 입력되어 표시된 문자와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체된 단어 끝의 자모에 맞는 조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조사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조사의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조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에서, 원하는 단어가 없는 경우 한글입력모드에서 해당문자를 입력한 다음, 프로그램에서 학습에 의해 사용자 단어를 단어저장부에 추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학습에 의해 추가 저장된 단어는 이후에 동일한 단어 입력 시 단어저장부에서 우선적으로 검출되어 표시부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기본추천단어 및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이후에 학습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 단어 중 상기 학습에 의해 저장된 사용자 단어, 사용자 지정 분야별 용어 순으로 정렬하되, 표시부에 표시된 단어의 사용빈도 순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KR1020080083181A 2008-08-26 2008-08-26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100024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181A KR20100024566A (ko) 2008-08-26 2008-08-26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181A KR20100024566A (ko) 2008-08-26 2008-08-26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566A true KR20100024566A (ko) 2010-03-08

Family

ID=4217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181A KR20100024566A (ko) 2008-08-26 2008-08-26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5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61B1 (ko) * 2011-04-25 2012-06-25 전덕규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1337785B1 (ko) * 2011-10-26 2013-12-06 (주)정글시스템 조사를 자동 제시하는 한글 입력기 및 자동 조사 제시 방법
WO2014163373A1 (en) * 2013-04-03 2014-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61B1 (ko) * 2011-04-25 2012-06-25 전덕규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1337785B1 (ko) * 2011-10-26 2013-12-06 (주)정글시스템 조사를 자동 제시하는 한글 입력기 및 자동 조사 제시 방법
WO2014163373A1 (en) * 2013-04-03 2014-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US9946458B2 (en) 2013-04-03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824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a multifunctional interactive dictionary database for referencing polysemous symbol sequences
TWI394065B (zh) 在精簡鍵盤解疑系統中的多重預測
TWI443551B (zh) 用於輸入方法編輯器之方法及系統,及電腦程式產品
US8788508B2 (en) Object access system based upon hierarchical extraction tree and related methods
US20070100619A1 (en) Key usage and text marking in the context of a combined predictive text and speech recognition system
US20150169537A1 (en) Using statistical language models to improve text input
US20160180741A1 (en) Pronunciation learning device, pronunciation learn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for pronunciation learning
JP2014149604A (ja) 辞書情報表示装置、辞書情報表示方法、辞書情報表示プログラム、辞書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バ装置、端末装置
KR101791930B1 (ko) 문자입력 장치
US20140067731A1 (en)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entry prediction
JP2010198241A (ja) 中国語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285324A1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haracter inputting program
US7212967B2 (en) Chinese phonetic transcription input system and method with comparison function for imperfect and fuzzy phonetic transcriptions
KR20160107383A (ko) 언어 문장 패턴 제안을 위한 생성 시스템
KR201000245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CN104077011A (zh) 一种同类型文档间的关联方法和终端设备
KR20120118520A (ko) 난이도별 어휘 분류가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CN111694443A (zh) 一种以触摸手势作为交互方式的输入法
US8386236B2 (en) Method for prompting by suggesting stroke order of chinese character,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119375B (zh) 单词输入方法
KR101243754B1 (ko) 한글 자모를 활용한 중국 문자의 발음 표기 시스템
KR20100013108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휴대용단말기
JP2010015515A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
JP6264412B2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130016867A (ko)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