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867A -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867A
KR20130016867A KR1020110079042A KR20110079042A KR20130016867A KR 20130016867 A KR20130016867 A KR 20130016867A KR 1020110079042 A KR1020110079042 A KR 1020110079042A KR 20110079042 A KR20110079042 A KR 20110079042A KR 20130016867 A KR20130016867 A KR 2013001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user terminal
sensitive word
sensitiv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7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6867A/ko
Publication of KR2013001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은,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 및 추천단어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한다. 추천단어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추천 단어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한다.

Description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User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sensitive word, and method of displaying sensitive word using user devic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character input devic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단순한 통화기능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확대되어 종합적인 통신기기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기능을 포함하여 음성통화가 곤란하거나 정해진 약속시간 등과 같은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는 저렴한 요금으로 일정 용량의 문자 데이터를 타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수신함으로써 채팅기능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전자메일 서비스도 개발되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기능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더하여 휴대 가능한 정보 기기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문자 전송, 전화번호, 스케줄, 메모, 및 기타 정보 등의 입력 기능은 기본으로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채팅 및 웹서핑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다.
상기 부가기능은 대부분이 문자를 입력하여 수행하는 기능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착된 키패드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통화 품질을 좋게 하는 것 외에도 문자를 쉽게 입력하여 문구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중요한 분야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폰)의 추천 단어 기능 또는 철자법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 문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이 작성될 때, 인간의 특정 신체부위 용어 또는 비속어와 같은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추천 단어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는 추천단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보다 낮은 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민감한 단어는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를 지시하는 용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철자법에 맞는 단어와 비교하여 철자법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 중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민감한 단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민감도 필드(field)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은,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문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추천 단어 중 민감한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추천단어 표시부를 통해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은,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 문장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문장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문장에 대해 철자법에 맞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철자법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자법 검사를 수행한 결과 상기 입력된 문장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은, 추천 단어 기능을 사용하여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용어를 포함하는 민감한 단어를 다른 추천 단어와 차별하여 보여주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전자문서, 발송할 문자 메시지, 또는 전송할 이메일의 내용에 민감한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입력하는 것을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자법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민감한 단어를 다른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와 차별하여 보여주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문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용이하게 검토(review)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0)을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본 발명과 비교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가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문서(전자문서), 문자 메시지(단문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할 때, 사용자 단말의 추천 단어 기능 또는 철자법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문자의 철자를 보다 정확하게 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문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에서 작성한 문자의 철자법은 정확해지지만, 민감한 어휘(예를 들어,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어휘)는 사용자 단말의 추천 단어 기능 또는 철자법 검색 기능에 의해 명확히 표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0)을 나타내는 블락 다이어그램(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부(105), 통신부(110), 제어부(115), 데이터베이스(database)(130), 표시부(display unit)(135), 및 추천단어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이동통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또는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와 같은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문자 입력기의 기능 또는 철자법 검색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은 문자 입력기 또는 철자법 검색기로도 언급될 수 있다.
입력부(105)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들과, 제어부(115)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워드 프로세서, 이메일 소프트웨어, 또는 문자 메시지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보드(키패드(key pad))를 포함할 수 있다. 워드 프로세서 등을 구동하기 위해, 입력부(105)는 마우스(mouse)와 같은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제어부(115)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또는 문장은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35)에 표시된다. 사용자 단말(100)이,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인 경우, 키보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동작하는 스크린 키보드(screen keyboard)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는 한국어 또는 영어일 수 있다.
통신부(110)는 입력부(105)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어 작성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사용자 단말(100) 외부의 유선망 또는 무선망으로 송신(발송)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외부의 유선망 또는 무선망으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15)의 제어를 통해 철자법에 맞는 단어 등에 관한 철자법의 추가 정보를 외부의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베이스(130)의 철자법 정보는 업데이트(update)될 수 있다.
제어부(11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5)는, 통신부(110)의 동작, 단어 추천부(120)의 동작, 철자법 검사부(125)의 동작, 데이터베이스(130)의 동작, 표시부(135)의 동작, 및 추천단어 표시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단어 추천부(120) 및 철자법 검사부(125)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이 문자 입력기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15)에서 철자법 검사부(125)가 제거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이 철자법 검색기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15)에서 단어 추천부(120)가 제거될 수 있다. 단어 추천부(120) 또는 철자법 검사부(125)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5)(또는 단어 추천부(12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워드 프로세서, 이메일 소프트웨어, 또는 문자 메시지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키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여 추출한다. 즉, 제어부(115)(또는 단어 추천부(120))는 추천 단어 기능(단어 자동완성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5)(또는 철자법 검사부(125))는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철자법에 맞는 단어와 비교하여 철자법 검사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15)(또는 철자법 검사부(125))는 철자법 검색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DB)(130)는 저장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철자법 데이터베이스로서 철자법(맞춤법)에 맞는 단어들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는 단어에 붙는 조사 또는 단어들 사이의 띄어쓰기 등에 관한 철자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철자법에 맞는 단어들 중 민감한 단어를 저장하는 민감도 필드(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5)가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민감한 단어를 검색(접근)하는 속도가 빠를 수 있다. 민감한 단어는 유방과 같은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를 지시(indication)하는 용어(어휘), 욕설, 은어, 또는 비속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민감한 단어는 데이터베이스(130) 이외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표시부(135)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 중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5)는 민감한 단어에 특정한 색상의 물결모양 밑줄(물결선)을 표시하는 것에 의해 다른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와 시각적으로 다르게 보여줄 수 있고 상기 민감한 단어를 눈에 띄게 강조(highlight)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35)는 민감한 단어를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다른 단어와 차별하여 보여주므로, 사용자(예를 들어, 직업상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의사 또는 국어학자)는 표시부(135)를 통해 문서, 발송할 문자 메시지, 또는 전송할 이메일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용이하게 또는 다시 한 번 검토(review)한 후 문서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5)는 추천단어 표시부(140)에서 민감한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터치될 때),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단어 선택이 맞는 지 확인(여부)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추천단어 표시부(140)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추천 단어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추천단어 표시부(140)는 민감한 단어를 특정한 색상 또는 특정한 폰트(글자체)(font)로 표시하거나, 또는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를 추천단어 표시부(140) 내의 첫째 줄에 표시하고 민감한 단어를 추천단어 표시부(140)의 둘째 줄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민감한 단어를 다른 추천 단어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다르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추천단어에 대해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되는 민감한 단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때(터치할 때)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다른 추천단어가 선택할 때와 다른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 또는 청각 피드백(audible 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민감한 단어 선택 시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부는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다른 추천단어가 선택될 때의 진동과 다른 종류의 진동을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민감한 단어 선택 시 사용자에게 단어 선택이 맞는 지 다시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35)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추천단어 표시부(140)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보다 낮은 순위로 표시(배치)할 수 있다. 추천단어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추천단어의 우선순위는 사용빈도가 많은 단어가 먼저 배치되는 순위이거나 또는 한글 “가나다”순서로 배치되는 순위일 수 있다.
따라서 추천단어 표시부(140)는 민감한 단어를 다른 추천 단어와 차별하여 보여줄 수 있으므로, 추천단어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전자 문서, 발송될 문자 메시지, 또는 전송될 이메일의 내용에 민감한 단어를 선택하여 포함시킬 지 여부에 대해 주의를 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문서 등의 내용에 민감한 단어를 선택하여 입력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입력하는 것을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이동통신단말로서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200)의 화면에는, 문자 메시지를 받는 사람의 이동통신단말 번호(휴대폰 번호)가 표시되는 수신인 표시부(수신인 표시창)(205), 문자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되는 표시부(210), 표시부(210)에 표시된 문자로 시작하는 추천단어를 표시하는 추천단어 표시부(215), 및 수신인 표시부(205)와 표시부(210)에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25)가 배치된다. 입력부(225)는 다수의 키 버튼(230)들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200)은 추천단어 기능을 사용한다.
이동통신단말(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225)를 통해 “자”라는 문자가 입력되면 표시부(210)에 “자”라는 문자가 표시되고 추천단어 표시부(215)에 “자”로 시작되는 추천단어들(추천단어 리스트(list))인 “자”, “자주”, “자자”, “자제”, “자지”, 및 “자꾸”가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추천단어 더 보기 버튼(220)이 선택(클릭(click))되면 자”로 시작되는 추가적인 추천단어가 추천단어 표시부(215)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 단어 표시부(215)에 의해 표시된 추천단어를 선택(클릭(click))하여 문자 메시지를 완성한 후 표시부(210)의 전송 버튼을 선택하면 수신인 표시부(205)에 표시된 이동통신단말 번호로 완성된 문자 메시지가 전송된다. 전술한 이동통신단말(200)의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200)에 포함된 추천단어 표시부(215)는 특정 신체 부위 용어인 “자지”를 다른 추천 단어들의 색상과 다른 색상(예를 들어, 빨간색)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추천단어 표시부(215)는 “자지”를 다른 추천단어인 “자꾸”보다 후순위로 배치하여 “자지”의 우선순위를 낮출 수도 있다. 따라서 “자지”가 다른 추천 단어들인 “자주”등에 비해 시각적으로 부각되고 표시되는 우선순위가 낮으므로, 사용자는 “자지”라는 용어의 선택에 주의를 하거나 또는 “자지”라는 용어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문자 메시지를 받는 사람에게 잘못된 또는 민망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00)는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이고,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300)의 디스플레이 동작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또는 200)의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된다.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300)는 철자법 검색 기능을 사용한다.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또는 도 2)에 도시된 입력부(105 또는 225)를 통해 전자 문서에“안녕하세요? 철장법이 엉망인 단어입니다. 자지 말고 그냥 가지.”라는 문장이 입력된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5)(또는 제어부(115)의 철자법 검사부(125))는 상기 문장에 대해 철자법 검사를 수행하여 철자법이 틀린 “철장법”이라는 단어와 특정 신체부위 용어인“자지”라는 단어에 물결모양 밑줄들(305, 310)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300)는, 예를 들어, “철장법”이라는 단어에 표시된 물결모양 밑줄(물결선)(305)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자지”이라는 단어에 표시된 물결모양 밑줄(310)을 오렌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지”가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다른 단어인 “철장법”과 마찬가지로 시각적으로 부각되므로,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의 표시부(300)에 표시된 전자 문서의 내용을 용이하게 검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들(100, 2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은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입력 단계(405), 추천단어 추출단계(410), 및 민감한 단어 표시단계(415)를 포함한다.
문자 입력 단계(405)에서,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입력부(105 또는 225)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문자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135 또는 210)에 표시된다.
추천단어 추출단계(410)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115)가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여 추출한다.
민감한 단어 표시단계(415)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추천 단어 중 민감한 단어를 사용자 단말의 추천단어 표시부(140 또는 215)를 통해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민감한 단어는, 예를 들어, 특정 색상 또는 특정한 폰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추천단어에 대해 시각적으로 다르게 표시되는 민감한 단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른 추천단어가 선택할 때와 다른 촉각 피드백 또는 청각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민감한 단어는 유방과 같은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표현, 욕설, 또는 은어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130)의 민감도 필드(field)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은 도 1 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또는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은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장 입력 단계(505), 철자법 검사 수행단계(510), 및 민감한 단어 표시단계(515)를 포함한다.
문장 입력 단계(505)에서,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작성될 때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입력부(105)를 통해 문장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문장은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135 또는 300)에 표시된다.
철자법 검사 수행단계(510)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115)가 상기 입력된 문장에 대해 철자법에 맞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를 참조하여 철자법 검사를 수행한다.
민감한 단어 표시단계(515)에 따르면, 제어부(115)는 상기 철자법 검사를 수행한 결과 상기 입력된 문장에 포함되고 민감한 단어를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135 또는 300)를 통해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민감한 단어는, 예를 들어, 특정 색상의 물결모양 밑줄(물결선)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민감한 단어는 유방과 같은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표현, 욕설, 또는 은어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130)의 민감도 필드(field)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과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은 별도의(독립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도 4의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과 도 5의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은 함께 적용되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의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400)이 수행된 후, 도 5의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500)이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문서,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용이하게 반복하여 검토(review)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5: 제어부
120: 단어 추천부
125: 철자법 검사부
130: 데이터베이스
135: 표시부
140: 추천 단어 표시부
210: 표시부
215: 추천 단어 표시부
300: 표시부

Claims (16)

  1.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추천 단어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는 추천단어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보다 낮은 순위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민감한 단어의 색상을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의 색상과 다르게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민감한 단어의 폰트(font)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의 폰트와 다르게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를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의 첫째 줄에 표시하고 상기 민감한 단어를 추천단어 표시부의 둘째 줄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에서 상기 민감한 단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단어가 선택될 때의 진동과 다른 종류의 진동을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에서 상기 민감한 단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추천단어 표시부에서 상기 민감한 단어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단어 선택이 맞는 지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한 단어는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를 지시하는 용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단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철자법에 맞는 단어와 비교하여 철자법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 중 민감한 단어를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철자법 검사가 수행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한 단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민감도 필드(field)에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
  13.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문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문자를 포함하고 철자법에 맞는 추천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추천 단어 중 민감한 단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추천단어 표시부를 통해 상기 민감한 단어를 제외한 추천 단어와 다르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한 단어는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표현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15. 전자 문서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자 문서 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이메일이 작성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해 문장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문장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문장에 대해 철자법에 맞는 단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철자법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자법 검사를 수행한 결과 상기 입력된 문장에 포함된 민감한 단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한 단어는 인간의 특정 신체 부위 표현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KR1020110079042A 2011-08-09 2011-08-09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KR20130016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42A KR20130016867A (ko) 2011-08-09 2011-08-09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42A KR20130016867A (ko) 2011-08-09 2011-08-09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67A true KR20130016867A (ko) 2013-02-19

Family

ID=4789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042A KR20130016867A (ko) 2011-08-09 2011-08-09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68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920A1 (en) * 2019-09-27 2021-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olving text sensitivity based bias in language model
KR20220084915A (ko) * 2020-12-14 2022-06-21 박지우 클라우드 기반 문법 교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920A1 (en) * 2019-09-27 2021-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olving text sensitivity based bias in language model
KR20220084915A (ko) * 2020-12-14 2022-06-21 박지우 클라우드 기반 문법 교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604B2 (en) Typing assistance for editing
US20200026415A1 (en) Method for creating short messa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146404B2 (en) String prediction
US9977779B2 (en) Automatic supplementation of word correction dictionaries
US20140035823A1 (en) Dynamic Context-Based Language Determination
WO2017136440A1 (en) Proofing task pane
US20140040741A1 (en) Smart Auto-Completion
US9009624B2 (en) Keyboard gestures for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KR102581452B1 (ko) 텍스트를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9557818B2 (en) Contextually-specific automatic separators
US20200285324A1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character inputting program
CN110785762B (zh) 用于编写电子消息的系统和方法
KR20130016867A (ko) 민감한 단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및 사용자 단말의 민감한 단어 표시 방법
KR10083427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모바일 단말기
JP5674140B2 (ja) テキスト入力装置、テキスト入力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245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150098096A (ko) 어플리케이션이 연동 가능한 자동완성 텍스트 입력 방법 및 디바이스
JP5876642B2 (ja) 文章ファイル評価装置、文章ファイル評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128595A (ko)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단말기 및 상용구를 이용한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JP2008165820A (ja) 電子メール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JP5363522B2 (ja) 日本語の単字入力を支援する機能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4106068B2 (ja) 電子メール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
JP2010108254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117770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내장한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