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426A -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426A
KR20100024426A KR1020097026584A KR20097026584A KR20100024426A KR 20100024426 A KR20100024426 A KR 20100024426A KR 1020097026584 A KR1020097026584 A KR 1020097026584A KR 20097026584 A KR20097026584 A KR 20097026584A KR 20100024426 A KR20100024426 A KR 2010002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background sound
component
suppression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시마다
도시유키 노무라
아키히코 스기야마
오사무 호우슈야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G10L25/84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for discriminating voice from 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이다.
입력 신호, 신호 수신부, 분석 정보, 신호 분석부, 신호 분석 장치

Description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SIGNAL ANALYSIS DEVICE, SIGNAL CONTROL DEVICE, ITS SYSTEM,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음원(音源)이 소망 음성과 배경 잡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의 배경 잡음을 억압하는 시스템으로서, 잡음 억압 시스템(이하, 노이즈 서프레서(noise suppressor)라고 한다.)이 알려져 있다. 노이즈 서프레서는, 원하는 음성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잡음(노이즈)을 억압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노이즈 서프레서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입력 신호를 사용해서 잡음 성분의 파워 스펙트럼(power spectrum)을 추정하고, 입력 신호로부터 잡음 성분의 추정 파워 스펙트럼을 뺀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음성 신호에 혼재하는 잡음이 억압된다. 또한, 이들 노이즈 서프레서는, 잡음 성분의 파워 스펙트럼을 계속적으로 추정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잡음의 억압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노이즈 서프레서에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이하, 제 1 관련 기술이라고 한다.)
통상, 제 1 관련 기술의 노이즈 서프레서는, 통신에 이용될 경우, 부호화기 의 전처리로서 기능한다. 노이즈 서프레서의 출력은 부호화되어, 통신로를 통해 전송된다. 수신부에서는, 신호가 복호되어 가청 신호가 생성된다. 제 1 관련 기술의 노이즈 서프레서를 사용한 1입력의 잡음 억압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전부 억압할 수 없어 잔류하는 잔류 잡음과, 출력되는 강조 음성의 왜곡은 트레이드오프(trade-off)의 관계에 있다. 잔류 잡음을 줄이면 왜곡이 늘어나고, 왜곡을 줄이면 잔류 잡음이 늘어난다. 각각의 이용자에 따라, 잔류 잡음과 왜곡의 밸런스(balance)의 최적 상태는 다르다. 그러나, 노이즈 서프레서가 부호화기의 앞에 있는, 즉 송신부에 있는 구성에서는, 이용자는 잔류 잡음과 왜곡의 밸런스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으로서, 비특허문헌1에 개시된 도 58에 나타나 있는 수신측 노이즈 서프레서가 알려져 있다.(이하, 제 2 관련 기술이라고 한다.) 제 2 관련 기술의 구성은, 송신부가 아닌 수신부에 잡음 억압부(9501)가 포함되어 있다. 잡음 억압부(9501)는, 복호기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잡음 억압의 처리를 행한다. 이때문에, 이용자가 잔류 잡음과 왜곡의 밸런스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2002-204175호
비특허문헌1 : 2007년 1월, 아이·이·이·이·인터내셔널·컨퍼런스·온·컨슈머·일렉트로닉스, 6.1-4, 제 2호(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UMER ELECTRONICS, 6.1-4, JAN,2007)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제 1 관련 기술에서는, 이용자가 잔류 잡음과 왜곡의 밸런스를 자신의 기호에 맞게 조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상술한 제 2 관련 기술이 있다.
그러나, 제 2 관련 기술에서는, 제 1 관련 기술에서 송신부가 행하고 있던 노이즈 서프레서의 연산을 수신부가 행하기 때문에, 수신부의 연산량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2 관련 기술에서는, 수신부에 노이즈 서프레서 이외의 중요한 기능이 있을 때에는, 노이즈 서프레서 기능을 포함할 수 없거나, 또는 노이즈 서프레서 기능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신부(또는 재생부)의 연산량이 많고, 음질이나 수신기 기능의 제한에 의한 편리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또한, 제 1 관련 기술 및 제 2 관련 기술의 구성도, 음성과 배경 잡음의 분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일반적인 신호의 분리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이며, 그 목적은, 적은 연산량으로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고, 입력 신호를 구성 요소마다 제어할 수 있는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rendering)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이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송신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신호 분석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부로부터의 신호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부에서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부호화부(100)의 구성예.
도 3은 복호부(150)의 구성예.
도 4는 신호 분석부(101)의 구성예.
도 5는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예.
도 6은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구성예.
도 7은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구성예.
도 8은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예.
도 9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의 구성예.
도 10은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제 2 구성예.
도 11은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의 제 2 구성예.
도 12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제 3 구성예.
도 13은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제 2 구성예.
도 14는 신호 처리부(172)의 제 2 구성예.
도 15는 억압 계수 계산부(252)의 구성예.
도 16은 신호 처리부(172)의 제 3 구성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8은 신호 제어부(350)의 구성예.
도 19는 신호 처리부(360)의 구성예.
도 20은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의 구성예.
도 21은 배경음 정보 수정부(460)의 구성예.
도 22는 배경음 정보 수정부(460)의 제 2 구성예.
도 23은 배경음 정보 수정부(460)의 제 3 구성예.
도 24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의 제 2 구성예.
도 25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의 제 3 구성예.
도 26은 신호 처리부(360)의 제 2 구성예.
도 27은 억압 계수 계산부(452)의 구성예.
도 28은 신호 처리부(360)의 제 3 구성예.
도 29는 억압 계수 계산부(452)의 제 2 구성예.
도 3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1은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예.
도 32는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제 2 구성예.
도 33은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제 3 구성예.
도 34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의 구성예.
도 35는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제 4 구성예.
도 36은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의 구성예.
도 3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8은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구성예.
도 39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의 구성예.
도 40은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제 2 구성예.
도 41은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1)의 구성예.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3은 신호 분석부(900)의 구성예.
도 44는 신호 분석부(900)의 제 2 구성예.
도 45는 분석 정보 생성부(911)의 구성예.
도 46은 분석 정보 생성부(911)의 제 2 구성예.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8은 부호화부(1100)의 구성예.
도 49는 신호 분석부(1101)의 구성예.
도 50은 복호부(1150)의 구성예.
도 51은 신호 제어부(1151)의 구성예.
도 52는 신호 분석부(101)의 제 2 구성예.
도 53은 신호 제어부(151)의 제 2 구성예.
도 54는 신호 분석부(101)의 제 3 구성예.
도 55는 신호 제어부(151)의 제 3 구성예.
도 5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8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송수신부
10, 13, 90 송신부
15, 18, 35, 55, 75 수신부
100, 1100 부호화부
101, 900, 1101 신호 분석부
102 다중화부
110, 120, 171, 920 변환부
111 양자화부
121, 911, 912 분석 정보 생성부
150, 1150 복호부
151, 350, 1151 신호 제어부
152 분리부
160 역(逆)양자화부
161, 173 역변환부
172, 360 신호 처리부
200, 1020 배경음 추정부
201, 252, 452 억압 계수 계산부
202 배경음 정보 생성부
203, 207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
204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
205 배경음 부호화부
250, 450 억압 계수 재구성부
251, 451, 470 승산기
253 감산기
260 억압 계수 복호부
261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
262 억압 계수 변환부
263 배경음 복호부
264 억압 계수 생성부
460 억압 계수 수정부
461 신호 대 배경음 비 수정부
464 배경음 수정부
471 비교부
472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
473 스위치
550, 750 출력 신호 생성부
560, 565 신호 제어부
561, 563, 564, 655, 760, 761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
562 렌더링부
651, 653, 851, 853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
652 렌더링 정보 생성부
910 양자화 왜곡 계산부
1200 신호 분리 분석부
1201 분리 필터 부호화부
1202 분리 필터 복호부
1203 필터
1210 음 환경 분석부
1211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
1212 음 환경 정보 복호부
1213 음 환경 정보 처리부
1300, 1301 컴퓨터
2021 억압 계수 부호화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양호한 형태
본 발명의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은, 송신부(10)와 수신부(15)가 전송로에서 접속된 구성이다. 송신부(10)는,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 신호를 출력한다. 전송 신호는, 전송로를 통하여, 수신부(15)에 입력된다. 수신부(15)는, 전송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송신부, 전송로, 수신부를 각각, 녹음부, 축적 매체, 재생부로서도 된다.
송신부(10)는, 부호화부(100), 신호 분석부(101) 및 다중화부(102)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는, 부호화부(100) 및 신호 분석부(101)에 입력된다. 신호 분석부(101)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산출한다. 신호 분석부(101)는, 분석 정보를 다중화부(102)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0)는, 입력 신호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부(100)는, 부호화 신호를 다중화부(102)에 출력한다. 다중화부(102)는, 부호화부(100)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신호와 신호 분석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분석 정보를 다중화한다. 다중화부(102)는, 다중화된 신호를 전송 신호로서 전송로에 출력한다.
수신부(15)는, 복호부(150), 신호 제어부(151) 및 분리부(152)로 구성된다. 먼저, 전송 신호는 분리부(152)에 입력된다. 분리부(152)는, 전송 신호를 주신호와 분석 정보로 분리한다. 계속해서, 분리부(152)는, 주신호를 복호부(150)에, 분석 정보를 신호 제어부(151)에 각각 출력한다. 복호부(150)는, 주신호를 복호하여, 복호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복호부(150)는, 복호 신호를 신호 제어부(151)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복호 신호는 일반적인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신호 제어부(151)는, 분리부(152)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복호부(150)로부터 받은 복호 신호를,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조작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조작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 대신, 복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군을 단위로 하여 조작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부호화부(100)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화부(10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부호화 신호를 출력한다. 부호화부(100)는, 변환부(110)와 양자화부(111)로 구성된다. 먼저, 입력 신호가, 변환부(110)에 입력된다. 이어서, 변환부(110)는, 입력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고, 제 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변환부(110)는, 제 1 변환 신호를 양자화부(111)에 출력한다. 그리고, 양자화부(111)는, 제 1 변환 신호를 양자화하여, 부호화 신호로서 출력한다.
변환부(110)는, 복수의 입력 신호 샘플을 정리해서, 1블록을 구성하고, 이 블록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을 적용한다. 주파수 변환의 예로서는, 푸리에 변환, 코사인 변환, KL(카르넨-뢰베) 변환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변환의 구체적인 연산에 관련되는 기술 및 그 성질은, 비특허문헌2(1990년, 「디지털·코딩·오브·웨이브폼즈」, 프렌티스·홀(DIGITAL CODING OF WAVEFORM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O SPEECH AND VIDEO, PRENTICE-HALL,1990.))에 개시되어 있다.
변환부(110)는 또한, 1블록의 입력 신호 샘플을 창(窓) 함수로 분류한 결과에 대하여, 전술한 변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창 함수로서는, 해밍(Hamming), 해닝(Hanning)(핸), 카이저(Kaiser), 블랙맨(Blackman) 등의 창 함수가 알려져 있다. 또한, 더욱 복잡한 창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창 함수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3(1975년, 「디지털·시그널·프로세싱」, 프렌티스·홀(DIGITAL SIGNAL PROCESSING, PRENTICE-HALL, 1975.)) 및 비특허문헌4(1993년, 「멀티레이트 시스템즈·앤드·필터 뱅크스」, 프렌티스·홀(MULTIRATE SYSTEMS AND FILTER BANKS, PRENTICE-HALL, 1993.))에 개시되어 있다.
변환부(110)가 복수의 입력 신호 샘플로부터 1블록을 구성할 때에, 각 블록에 겹침(오버랩)을 허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블록 길이의 30%의 오버랩을 적용할 경우에는, 어떤 블록에 속하는 신호 샘플의 최후 30%는, 다음 블록에 속하는 신호 샘플의 최초 30%로서 복수의 블록에서 중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오버랩을 갖는 블록화와 변환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변환부(110)는, 대역 분할 필터 뱅크(filter bank)로 구성해도 된다. 대역 분할 필터 뱅크는, 복수의 대역 통과 필터로 구성된다. 대역 분할 필터 뱅크는, 수신한 입력 신호를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양자화부(111)에 출력한다. 대역 분할 필터 뱅크의 각 주파수 대역은 등(等) 간격이어도 되고, 부등(不等) 간격이어도 된다. 부등 간격으로 대역 분할함으로써, 저역(低域)에서는 좁은 대역으로 분할해서 시간 분해능을 낮게, 고역(高域)에서는 넓은 대역으로 분할해서 시간 분해능을 높게 할 수 있다. 부등 간격 분할의 대표예로는, 저역을 향해서 대역이 점차 반분(半分)으로 되는 옥타브(octave) 분할이나 인간의 청각 특성에 대응한 임계 대역 분할 등이 있다. 대역 분할 필터 뱅크와 그 설계법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4에 개시되어 있다.
양자화부(111)는, 입력된 신호의 용장성을 제거하고, 부호화 신호를 출력한다. 용장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입력된 신호의 상관이 최소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마스킹(masking) 효과 등의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청각상 인지되지 않는 신호 성분을 제거해도 된다. 양자화 방법으로서는, 선형 양자화, 비선형 양자화 등의 양자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양자화된 신호는, 하프만 부호화(Huffman coding) 등을 사용해서 용장성을 더욱 제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복호부(150)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호부(150)는, 주신호를 수신하고, 복호 신호를 출력한다. 복호부(150)는, 역양자화부(160)와 역변환부(161)로 구성된다. 역양자화부(160)는, 수신한 각 주파수의 주신호를 역양자화하고, 복수의 주파수 성분으로 구성되는 제 1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역양자화부(160)는, 제 1 변환 신호를 역변환부(161)에 출력한다. 역변환부(161)는, 제 1 변환 신호를 역변환하고, 복호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역변환부(161)는, 복호 신호를 출력한다.
역변환부(161)가 적용하는 역변환은, 변환부(110)가 적용하는 변환과 대응하는 역변환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변환부(110)가, 복수의 입력 신호 샘플을 정리해서 1블록을 구성하고, 이 블록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을 적용할 때에는, 역변환부(161)는 동일 수의 샘플에 대하여 대응하는 역변환을 적용한다. 또한, 변환부(110)가 복수의 입력 신호 샘플로부터 1블록을 구성할 때에, 각 블록에 겹침(오버랩)을 허용할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하여, 역변환부(161)는 역변환 후의 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오버랩을 적용한다. 또한, 변환부(110)를 대역 분할 필터 뱅크로 구성할 때에는, 역변환부(161)를 대역 합성 필터 뱅크로 구성한다. 대역 합성 필터 뱅크와 그 설계법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4에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의 부호화부(100)와 복호부(150)의 설명에서는, 내부에 변환부를 포함하는 변환 부호화를 상정해서 설명했지만, 펄스 부호 변조(PCM), 적응 차분 펄스 부호 변조(ADPCM), 또한 CELP 등으로 대표되는 분석 합성 부호화를 적용해도 된다. PCM/ADPCM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CELP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5(1985년 3월, 아이·이·이·이·인터내셔널·컨퍼런스·온·어쿠스틱스·스피치·앤드·시그널·프로세싱,25.1.1,(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25.1.1, MAR, 1985, pp.937-940) 937∼940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부호화부(100)는, 부호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입력 신호를 그대로 다중화부(102)에 출력하고, 복호부(150)는, 복호 처리를 행하지 않고 주신호를 그대로 신호 제어부(151)에 입력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부호화·복호 처리에 따르는 신호의 왜곡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무왜곡의 압축·신장 처리를 부호화부(100) 및 복호부(150)에서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신호 제어부(151)는, 입력 신호에 왜곡을 생기게 하지 않고 복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신호 분석부(10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101)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신호 분석부(101)는, 변환부(120)와 분석 정보 생성부(121)로 구성된다. 변환부(120)는, 수신한 입력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제 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변환부(120)는, 제 2 변환 신호를 분석 정보 생성부(121)에 출력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제 2 변환 신호를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제 2 변환 신호를 복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구성 요소군으로 분해하여, 분석 정보를 계산해도 된다. 신호 분 석부(101)는, 분석 정보에 용장성이 있을 때에는, 분석 정보를 부호화해도 된다. 이에 따라, 분석 정보의 용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변환부(120)에서의 변환 방식에 관해서는, 변환부(110)에서의 변환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복호 신호와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변환부(171), 신호 처리부(172) 및 역변환부(173)로 구성된다. 변환부(171)는, 수신한 복호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여, 제 2 변환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제 2 변환 신호를 신호 처리부(172)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72)는, 제 2 변환 신호를, 분석 정보를 사용해서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변경하여, 수정 복호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72)는,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72)는, 복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구성 요소군으로 분해하여,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변경해도 된다. 분석 정보 생성부(121)에서 분석 정보가 부호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172)는 복호 처리를 행하고 나서 상기의 처리를 행한다. 역변환부(173)는,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역변환부(173)는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역변환부(173)에서의 역변환 방식에 관해서는, 역변환부(161)에서의 역변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신호의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부에서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신호 분석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는, 음원으로서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 2 실시 형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다. 제 1 실시 형태와는, 신호 분석부(101)와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이 다르다. 신호 분석부(101)는,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목적음과 배경음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분석 정보로서 다중화부(102)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151)는, 복호 신호와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해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 1 실시예는,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억압 계수는,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에 작용시킴으로써, 배경음을 억압하는 것이다. 신호 제어부(151)는 억압 계수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신호 분석부(101)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분석계 정보 계산부(121)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분석계 정보 계산부(121)와 다르다. 또한, 신호 제어부(151)는 도 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의 신호 제어부(151)와 다르다.
도 6을 참조하여,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제 2 변환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배경음 추정부(200)와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로 구성된다. 배경음 추정부(200)는, 제 2 변환 신호를 수신하고, 배경음의 추정을 행하여, 배경음의 정보를 생성한다. 배경음 추정부(200)는, 배경음의 정보를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에 출력한다. 배경음의 정보로서는, 배경음의 진폭 절대값이나 에너지, 배경음과 입력 신호의 진폭비나 에너지비 및 이들의 평균값 등이 있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를 수신한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에 의거하여,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억압 계수 또는 부호화된 억압 계수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억압 계수 계산부(201)와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로 구성된다. 억압 계수 계산부(201)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를 사용하여,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적절한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억압 계수 계산부(201)는, 억압 계수를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의 계산 방법에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비특허문헌6(1984년 12월, 아이·이·이·이·트랜잭션즈·온·어쿠스틱스·스피치·앤드·시그널·프로세싱, 제 32권, 제 6호,(IEEE TRANSACTIONS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VOL.32, NO.6, PP.1109-1121, Dec.1984) 1109∼1121페이지)에 최소 평균 자승 오차 단시간 스펙트럼 진폭에 기초하는 방법(MMSE STSA), 비특허문 헌7(1985년 4월, 아이·이·이·이·트랜잭션즈·온·어쿠스틱스·스피치·앤드·시그널·프로세싱, 제 33권, 제 2호,(IEEE TRANSACTIONS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VOL.33, NO.2, PP.443-445, Apr.1985) 443∼445페이지)에 최소평균 자승 오차 대수 스펙트럼 진폭에 기초하는 방법(MMSE LSA), 비특허문헌8(2005년 7월, 유라십·저널·온·어플라이드·시그널·프로세싱, 제 2005권, 제 7호,(EURASIP JOURNAL ON ADVANCES IN SIGNAL PROCESSING, VOLUME 2005, Issue 7, JUL,2005, pp.1110-1126.) 1110∼1126페이지)에 최소 평균 자승 오차 단시간 스펙트럼 진폭에 기초하는 방법(MMSE STSA) 등이 개시되어 있다.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는, 억압 계수를 받아, 부호화한다.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는, 부호화된 억압 계수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한다.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는, 선형 양자화, 비선형 양자화 등의 양자화를 행하고, 하프만 부호화 등에 의해 부호화된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억압 계수의 용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는, 정보량을 삭감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이들 부호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억압 계수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해도 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172)는, 제 2 변환 신호와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72)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와 승산기(251)로 구성된다. 제 2 변환 신호가 승산기(251)에 입력되고, 분석 정보가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에 입력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입력된 분석 정보를 사용해서 억압 계수를 재구성하여, 억압 계수를 승산기(251)에 출력한다. 승산기(251)는, 제 2 변환 신호와 억압 계수를 승산하여, 수정 복호 신호를 생성한다. 승산기(251)는,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억압 계수를 수신하고,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억압 계수 복호부(260)로 구성된다. 억압 계수 복호부(260)는, 수신한 억압 계수를 복호한다. 억압 계수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억압 계수 복호부(260)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比)를 계산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신호 제어부(151)는, 신호 대 배경음 비에 의거하여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이 억압 계수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에서, 배경음이 억압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신호 분석부(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101)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도 4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와 제 1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6에 나타나 있는 분석 정보 생성부(121)에 포함되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구성이 다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배경음 생성부(20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출력한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억압 계수 계산부(201),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3), 및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로 구성된다. 억압 계수 계산부(201)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를 사용하여,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적절한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억압 계수 계산부(201)는,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3)에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의 계산 방법은, 도 7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억압 계수 계산부(201)의 계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3)는, 입력된 억압 계수(G)를 사용하여,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계산한다. 입력 신호를 X, 목적음을 S, 배경음을 N이라고 하면,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2
[수학식 3]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3
이 정의에 의한 R은, 배경음이 잡음일 때에, 사전 신호 대 잡음비(사전 SNR)로서 알려져 있다. 식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수학식 4]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4
를 얻는다.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3)는, 계산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에 출력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는, 입력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부호화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는,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한다. 부호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에서의 부호화 처리와 동일한 부호화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 대 배경음 비(R)의 용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는, 정보량을 삭감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신호 대 배경음 비(R)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해도 된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신호 제어부(15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5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와 제 1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신호 처리부(172)에 포함되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의 구성이 다르다.
도 11을 참조하여,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분석 정보로서 수신하고, 억압 계수(G)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와 억압 계수 변환부(262)로 구성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수신한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복호하고,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억압 계수 변환부(262)에 출력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R)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변환부(262)는,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억압 계수(G)로 변환한다. 그리고, 억압 계수 변환부(262)는, 억압 계수(G)를 출력으로 한다. R로부터 G로의 변환은, [수학식 4]에 의거하여 행한다. [수학식 4]를 G에 대해서 풀면,
[수학식 5]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5
를 얻는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다른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와 비교하면, 본 구성예의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억압 계수 계산부(20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이 다르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의 구성에서는, 신호 대 배경음 비(R)의 정의로서, [수학식 3] 대신에 [수학식 6]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정의에 의한 R은, 배경음이 잡음일 때, 사후 신호 대 잡음비(사후 SNR)로서 알려져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6
즉, 본 구성예는, 배경음이 잡음일 경우에는, 사전 SNR을 대신하여 사후 SNR을 분석 정보로서 사용하는 구성이다. [수학식 6]의 R은, 억압 계수(G)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입력 신호와 배경음으로 계산된다. 이것에 의해,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7)는,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의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 대 배경음 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7)는,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에 출력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의 동작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신호 대 배경음 비 부호화부(204)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수학식 6]에 대입하고, S와 N이 무(無)상관이라고 가정하면,
[수학식 7]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7
를 얻는다. 즉, 신호 대 배경음 비 계산부(203)에 있어서, [수학식 7]을 사용해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계산해도 된다.
본 구성예에 있어서, 수신측의 도 8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상술의 구성예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수신한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복호하고,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억압 계수 변환부(262)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변환부(262)는, 신호 대 배경음 비(R)를 억압 계수(G)로 변환하고, 억압 계수(G)를 출력한다. R로부터 G로의 변환은, [수학식 8]에 의거하여 행한다. 즉, [수학식 7]을 G에 대해서 풀면,
[수학식 8]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8
를 얻는다.
계속해서,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신호 분석부(101)가 배경음 그 자체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신호 제어부(151)는 배경음을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먼저, 신호 분석부(10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101)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도 4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구성과 다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구성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121)의 구성예와 비교하면,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가 배경음 부호화부(205)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제 2 변환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배경음을 출력한다. 본 구성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121)는, 배경음 추정부(200)와 배경음 부호화부(205)로 구성된다. 본 구성예의 배경음 추정부(200)는, 배경음 그 자체를, 배경음 부호화부(205)에 출력한다. 배경음 부호화부(205)는, 입력된 배경음을 부호화해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배경음의 용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경음 부호화부(205)는, 정보량을 삭감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배경음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배경음을 분석 정보로서 출력해도 된다.
부호화 처리에 대해서는, 억압 계수 부호화부(2021)와 동일한 부호화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신호 제어부(15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151)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도 5에 도시된다.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과 다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172)의 구성예와 비교하면,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가 억압 계수 계산부(252)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172)는, 제 2 변환 신호와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배경음을 수신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72)는, 억압 계수 계산부(252)와 승산기(251)로 구성된다. 제 2 변환 신호가 억압 계수 계산부(252) 및 승산기(251)에 입력되고, 부호화된 배경음이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 계산부(252)에 입력된다. 억압 계수 계산부(252)는, 배경음과 제 2 변환 신호에 의거하여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억압 계수 계산부(252)는, 억압 계수를 승산기(251)에 출력한다. 승산기(251)는, 제 2 변환 신호와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여, 억압 계수 계산부(252)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계산부(252)는, 배경음 복호부(263)와 억압 계수 생성부(264)로 구성된다. 배경음 복호부(263)는,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배경음을 수신한다. 그 리고, 배경음 복호부(263)는, 부호화된 배경음을 복호하고, 배경음을 억압 계수 생성부(264)에 출력한다. 배경음이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배경음 복호부(263)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배경음을 출력한다.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배경음과 제 2 변환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배경음과 제 2 변환 신호에 의거하여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적절한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이 억압 계수의 계산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계산부(201)와 동일한 계산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의 계산 방법에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전술의 비특허문헌6, 비특허문헌7, 또는 비특허문헌8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해서 신호 처리부(172)의 다른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처리부(172)는, 제 2 변환 신호와 부호화된 배경음을 수신하고, 배경음이 제거된 신호를 수정 복호 신호로서 출력한다. 본 구성예의 신호 처리부(172)는, 배경음 복호부(263)와 감산기(253)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변환 신호가 감산기(253)에 입력되고,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배경음이 배경음 복호부(263)에 입력된다. 배경음 복호부(263)는, 부호화된 배경음을 복호하고, 배경음을 감산기(253)에 출력한다. 분석 정보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배경음일 경우에는, 배경음 복호부(263)는 불필요하다. 감산기(253)는, 제 2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감산한다. 그리고, 감산기(253)는, 배경음이 제거된 신호를 수정 복호 신호로서 출력한다. 배경음이 잡음일 경우, 이 감산은 스펙트럼 감산으로서 알려져 있다. 스펙트럼 감산에 관련되는 기술이, 비특허문헌9(1979년 4월, 아이·이·이·이·트랜잭션즈· 온·어쿠스틱스·스피치·앤드·시그널·프로세싱, 제 27권, 제 2호, (IEEE TRANSACTIONS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VOL.27, NO.2, PP.113-120, April 1979) 113∼120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감산기(253)에는, 감산에 더해서, 부가 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가 기능으로서, 감산 결과 부(負)로 될 때에 이것을 제로(zero) 또는 미소한 정(正)의 값으로 보정하는 기능, 감산 결과의 최소값을 정의 값으로 설정하는 리미터(limiter) 기능, 또는 배경음 정보에 대하여 계수를 승산하거나 정수를 가산하거나 하는 것으로 수정한 후에 감산하는 기능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송신부(10)는, 입력 신호가 복수 채널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분석 정보를 채널마다 독립적으로 산출해도 된다. 또한, 송신부(10)는, 입력 신호의 모든 채널의 합을 산출하고, 합 신호로부터 모든 채널에서 공통인 분석 정보를 산출해도 된다. 또는, 송신부(10)는, 입력 신호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의 입력 신호의 합을 산출하고, 그 합 신호로부터 그룹에서 공통인 분석 정보를 산출해도 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수신부(15)는, 각 채널에 대응하는 분석 정보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분석 정보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공통인 분석 정보로서 산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송신부(10)는, 등 간격으로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고, 분할한 주파수 대역마다 분석 정보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송신부(10)는, 인간의 청각 특성에 맞추어, 저주파수 대역은 미세하게 분할하고, 고주파수 대역은 거칠게 분할하여, 분할한 단위로 분석 정보를 산출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분석 정보의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신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므로,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억압 계수 또는 신호 대 배경음 비로 한 분석 정보의 계산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분석 정보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신부(35)는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특정한 음원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나 있는 제 3 실시 형태와 도 1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 형태를 비교하면, 수신부(15)에 포함되는 신호 제어부(151)가 수신부(35)에 포함되는 신호 제어부(35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부, 전송로, 수신부를 각각, 녹음부, 축적 매체, 재생부로 해도 된다. 이후, 도 1과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을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350)의 구성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350)는, 변환부(171), 신호 처리부(360) 및 역변환부(173)로 구성된다.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신호 제어부(151)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부(172)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처리부(360)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제어부(350)는,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제어부(350)는, 신호 제어 정보와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복호부(150)로부터 받은 복호 신호를,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조작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350)는,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 대신에, 복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군을 단위로 하여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신호 처리부(360)는, 변환부(171)로부터의 제 2 변환 신호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제 2 변환 신호의 주파수 성분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360)는,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주파수마다의 분석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60)는, 제 2 변환 신호를, 분석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로 분해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60)는,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는 주파수마다의 파라미터에 따라,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변경한 수정 복호 신호를 작성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60)는, 분석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복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구성 요소군으로 분해해도 된다.
계속해서, 수정 복호 신호의 작성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어떤 주파수 대역(f)에서의 복호 신호의 주파수 성분(즉, 제 2 변환 신호)을 Xk(f), k=1,2,…,P(P는 복호 신호의 채널수), 구성 요소의 주파수 성분을 Yj(f), j=1,2,…,M(M은 구성 요소수),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수정한 구성 요소의 주파수 성분을 Y'j(f), 수정 복호 신호를 X'k(f)라고 하면, 분석 파라미터에 의해 규 정되는 변환 함수 F501과,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변환 함수 F502를 사용해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수학식 9]
Figure 112009078734350-PCT00009
[수학식 10]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0
[수학식 11]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1
여기에서, 변환 함수 F503은 수정 구성 요소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하는 함수이다.
또한, 함수 F500, F501, F502, F503을 통합해서
[수학식 12]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2
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변환 함수 F504는 분석 파라미터와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변환 함수의 구체예로서, 주파수 대역(f)의 분석 파라미터 B(f)를,
[수학식 13]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3
로 나타내고, 신호 제어 정보에 따라서 정해지는 주파수마다의 파라미터 A(f)를
[수학식 14]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4
로 나타내면, [수학식 9]로부터 [수학식 12]는,
[수학식 15]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5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복호 신호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하는 행렬은 D(f)×A(f)×B(f)로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D(f)는 임의인 P행 M열의 행렬이며, 예를 들면, D(f)로서 B(f)의 역행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D(f)로서 B(f)의 역행렬을 사용하는 것은 수정 구성 요소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하는 조작으로서 타당하다.
신호 제어 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 제어 정보로서는, 수신부에 미리 등록되어 있었던 이용자의 기호 등의 개인 정보, 수신부의 동작 상태(스피커를 오프로 하고 있는 등의 외부 환경 정보를 포함), 수신부의 종류나 형식, 전원이나 전지의 이용 상태나 잔량, 안테나의 종류나 상태(접혀 있는 등의 형상, 방향 등)가 있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는, 다른 형식으로 자동적으로 획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신호 제어 정보는, 수신부 내부 또는 근방에 설치된 센서를 경유하여, 자동적으로 획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자동적으로 획득되는 신호 제어 정보로서는, 외부 잡음량, 밝기, 시간대, 지리적인 위치, 기온, 영상(映像)과의 동기 정보, 카메라를 통한 바코드 정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신부에서 받은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음원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고, 수신부에서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므로, 수신부의 신호 분석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는, 수신부에 입력되는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목적음과 배경음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와 제 2 실시 형태를 비교하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신부(15)에 포함되는 신호 제어부(151)가 도 17에 나타나 있는 수신부(35)에 포함되는 신호 제어부(350)로 구성되 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 제어 정보가 신호 제어부(350)에 입력되어 있다. 신호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3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350)는, 변환부(171), 신호 처리부(360) 및 역변환부(173)로 구성된다. 제 2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도 5에 나타나 있는 신호 제어부(151)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부(172)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처리부(360)로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는,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신호 처리부(360)의 구성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신호 처리부(360)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신호 처리부(172)에 포함되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가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로 구성되어 있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외부로부터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 신호 제어 정보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제 2 변환 신호, 분석 정보 및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와 승산기(451)로 구성된다. 제 2 변환 신호가 승산기(451)에 입력되고,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가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에 입력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입력된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해서 수정 억압 계수를 생성 한다. 수정 억압 계수는,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해서 분석 정보로서 수신한 억압 계수를 수정한 것이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기(451)에 출력한다. 승산기(451)는, 제 2 변환 신호와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여, 수정 복호 신호를 생성한다. 승산기(451)는,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억압 계수 수정부(460)를 포함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도 9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는, 억압 계수 수정부(460)를 포함하지 않는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억압 계수를 수정한다. 이 신호 제어 정보는, 이미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억압 계수 복호부(260)와 억압 계수 수정부(460)로 구성된다. 억압 계수 복호부(260)는, 수신한 억압 계수를 복호한다. 억압 계수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억압 계수 복호부(260)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억압 계수를 억압 계수 수정부(460)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입력된 억압 계수를 수정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도 21을 참조하여, 억압 계수 수정부(460)의 제 1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본 구성예의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승산기(470)로 구성된다. 승산기(470)는,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의 적(積)을 계산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본 구성예에서는, 신호 제어 정보는, 억압 계수에 대한 배율이 입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간이한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억압 계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여, 억압 계수 수정부(460)의 제 2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본 구성예의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비교부(471)로 구성된다. 비교부(471)는,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비교부(471)는, 최대 비교를 행할 경우에는,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 중 큰 쪽의 값을 출력한다. 또한, 비교부(471)는, 최소 비교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들 경우에는, 신호 제어 정보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이 입력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신호의 범위를 미리 규정할 수 있고, 상정 외의 신호가 출력되어서 음질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여, 억압 계수 수정부(460)의 제 3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의 제 3 구성예는, 상술한 제 1 구성예와 제 2 구성예를 조합시킨 것이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본 구성예의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승산 기(470), 비교부(471),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472) 및 스위치(473)로 구성된다.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472)는,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기(470), 비교부(471), 또는 스위치(473)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신호 제어 정보에는, 승산기(470)에서 사용하는 억압 계수의 배율과, 비교부(471)에서 사용하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에는, 스위치(473)에서의 선택을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472)는, 신호 제어 정보로서 억압 계수의 배율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억압 계수의 배율을 승산기(470)에 출력한다. 승산기(470)는, 억압 계수와 억압 계수의 배율과의 적을 계산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스위치(473)에 출력한다.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472)는, 신호 제어 정보로서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비교부(471)에 출력한다. 비교부(471)는, 억압 계수와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른 신호를 수정 억압 계수로서 스위치(473)에 출력한다.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472)는, 선택을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제어 정보를 스위치(473)에 출력한다. 스위치(473)는, 지정 억압 계수 제어부(472)로부터 제어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그 신호 제어 정보에 따라, 승산기(470)의 출력 또는 비교부(471)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출력한다.
이어서,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목적음과 배경음의 구성비인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분석 정보로서 사용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360)는, 도 19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와 같지만,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의 구성이 다르다.
도 2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제 2 실시 형태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와 비교하면, 본 구성예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신호 대 배경음 비 수정부(46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 신호 대 배경음 비 수정부(461) 및 억압 계수 변환부(262)로 구성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수신한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복호하고,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신호 대 배경음 비 수정부(461)에 출력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출력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수정부(461)는, 외부로부터 받은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입력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수정하고, 수정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생성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의 수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억압 계수 수정부(460)와 동일한 수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신호 제어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의 배율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수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수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의 배율에 의해 수정된 신호 대 배경음 비와 신호 대 배경음 비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의해 수정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선택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정해도 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수정부(461)는, 수정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 변환부(262)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변환부(262)는, 수정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도 11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변환부(262)와 동일한 변환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수정한 후, 수정 신호 대 배경음 비 억압 계수로 변환한다. 신호 제어 정보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의 제 2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 3 실시예는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나서,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구성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 2 실시 형태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250)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억압 계수 수정부(4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와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재구성부(450)는,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 억압 계수 변환부(262) 및 억압 계수 수정부(460)로 구성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부호화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수신하여, 복호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 복호부(261)는,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 변환부(262)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변환부(262)는, 복호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한다. 억압 계수 변환부(262)는, 억압 계수를 억압 계수 수정부(460)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외부로부터 받은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배경음 정보 변환부(262)로부터 입력된 억압 계수를 수정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신호 제어 정보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의 구성은, 도 20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의 억압 계수 수정부(460)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는, 분석 정보로서 배경음 그 자체를 사용할 경우의 구성예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360)의 제 1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제 2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172)의 억압 계수 계산부(252)가, 본 실시예의 신호 처리부(360)에서 억압 계수 계산부(452)로 구성되어 있다. 억압 계수 계산부(452)는, 외부로부터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360)는, 제 2 변환 신호, 부호화된 배경음 및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360)는, 억압 계수 계산부(452)와 승산기(251)로 구성된다. 제 2 변환 신호가 억압 계수 계산부(452) 및 승산기(251)에 입력되고, 부호화된 배경음이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 계산부(452)에 입력된다. 억압 계수 계산부(452)는, 부호화된 배경음, 제 2 변환 신호 및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수정 억압 계수를 계산한다. 그리고, 억압 계수 계산 부(452)는,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기(251)에 출력한다. 승산기(251)는, 제 2 변환 신호와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수정 복호 신호를 역변환부(173)에 출력한다. 신호 제어 정보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을 참조하여, 억압 계수 계산부(452)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 계산부(452)는, 제 2 변환 신호, 부호화된 배경음 및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계산부(452)는, 배경음 복호부(263), 배경음 수정부(464), 억압 계수 생성부(264)로 구성된다.
배경음 복호부(263)는, 부호화된 배경음을 수신하여, 복호한다. 배경음 복호부(263)는, 복호된 배경음을 배경음 수정부(464)에 출력한다. 배경음이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배경음 복호부(263)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배경음을 배경음 수정부(464)에 출력한다. 배경음 수정부(464)는,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배경음을 수정한다. 배경음의 수정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억압 계수 수정부(460)와 동일한 수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신호 제어 정보로서 배경음의 배율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배경음을 수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로서 배경음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배경음을 수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로서 배경음의 배율에 의해 수정된 배경음과 배경음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에 의해 수정된 배경음을 선택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정해도 된다. 배경음 수정부(464)는, 수정된 배경음을 억압 계수 생성부(264)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제 2 변환 신호와 수정된 배경음을 사용해서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적절한 억압 계 수를 계산한다. 이 억압 계수의 계산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계산부(201)와 동일한 계산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신호 제어 정보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부(360)의 제 2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구성예의 신호 처리부(360)는, 배경음 복호부(263), 배경음 수정부(464) 및 감산기(253)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부(360)는, 제 2 변환 신호, 부호화된 배경음 및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배경음이 제어된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변환 신호가 감산기(253)에 입력된다. 또한, 부호화된 배경음이 분석 정보로서 배경음 복호부(263)에 입력된다. 배경음 복호부(263)는, 입력된 부호화된 배경음을 복호한다. 그리고, 배경음 복호부(263)는, 복호된 배경음을 배경음 수정부(464)에 출력한다. 배경음이 부호화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배경음 복호부(263)는, 복호 동작을 행하지 않고, 배경음을 출력한다. 배경음 수정부(464)는,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해서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 배경음을 생성한다. 배경음 수정부(464)는, 수정 배경음을 감산기(253)에 출력한다. 감산기(253)는, 제 2 변환 신호로부터 수정 배경음을 감산하고, 감산 결과를 출력한다.
이어서, 제 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는, 복호된 배경음로부터 억압 계수를 생성한 후,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구성이다.
도 29를 참조하여, 억압 계수 계산부(45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 압 계수 계산부(452)는, 제 2 변환 신호, 부호화된 배경음 및 신호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억압 계수 계산부(452)는, 배경음 복호부(263), 억압 계수 생성부(264), 억압 계수 수정부(460)로 구성된다.
배경음 복호부(263)는, 부호화된 배경음을 수신하여, 복호한다. 그리고, 배경음 복호부(263)는, 복호된 배경음을 억압 계수 생성부(264)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제 2 변환 신호와 복호된 배경음으로부터 억압 계수를 생성한다. 이 억압 계수의 계산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계산부(201)와 동일한 계산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억압 계수 생성부(264)는, 억압 계수를 억압 계수 수정부(460)에 출력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수신한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수정 억압 계수를 생성한다. 억압 계수의 수정에 대해서는, 도 23에 나타나 있는 억압 계수 수정부(460)와 동일한 수정 방법을 적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신호 제어 정보로서 억압 계수의 배율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로서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정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로서 억압 계수의 배율과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를 선택하는 제어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정해도 된다. 억압 계수 수정부(460)는, 수정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신호 제어 정보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신부(또는 녹음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므로, 신호의 제어만을 행하는 수신부의 연산량을 삭감하고,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에서 받은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한 음원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0과 제 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17을 비교하면, 수신부(35)가 수신부(55)로 구성되는 점에서 다르다. 수신부(55)는, 전송 신호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복수의 채널로 구성되는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제 3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도 입력으로 하는 점, 출력 신호가 복수의 채널로 구성되는 신호인 점이 다르다.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란, 복호 신호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와 수신부(55)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정보이다. 예를 들면, 복호 신호에 혼합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의 정위(定位) 정보를 나타낸다. 음상(音像)을 모호하게 해서 정위감(定位感)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구성 요소마다 각 채널로의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는, 특정한 1개의 채널(예를 들면 스피커)로부터 출력해도 되고, 복수의 채널에 분배해서 출력해도 된다.
수신부(55)는, 제 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17의 수신부(35)와 비교하면, 신호 제어부(350)가 출력 신호 생성부(550)로 구성되는 점에서 다르다.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복호 신호, 분석 정보, 신호 제어 정보에 더해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도 입력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구성예를 도 31, 제 2 구성예를 도 32, 제 3 구성예를 도 33에 나타낸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 1 구성예에서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신호 제어부(560),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1), 렌더링부(562)로 구성된다. 본 구성예에서는, 렌더링부(562)에 입력되는 수정 복호 신호가,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미리 구성 요소마다 조작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신호 제어부(560)는, 복호 신호와 분석 정보를 입력으로 한다. 먼저,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분석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분석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복호 신호를 각 구성 요소로 분해한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각 구성 요소를 조작해서 수정 구성 요소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정 구성 요소를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신호를 수정 복호 신호로서 렌더링부(562)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560)는, 수정 복호 신호와 수정 구성 요소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수정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1)에도 출력한다. 여기에서, 복호 신호는 일반적인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신호 제어부(560)의 다른 동작예로서, 수정 구성 요소를 생성하지 않고, 분석 파라미터와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복호 신호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할 때에 사용한 수정 파라미터를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1)에 출력한다.
이하에, 신호 제어부(560)의 동작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어떤 주파수 대역(f)에 있어서의 복호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Xk(f), k=1,2,…,P(P는 복호 신호의 채널수), 구성 요소의 주파수 성분을 Yj(f), j=1,2,…,M(M은 구성 요소수),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수정한 구성 요소의 주파수 성분을 Y'j(f), 수정 복호 신호를 X'(f)라고 하면, 분석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되는 변환 함수 F501과,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변환 함수 F502를 사용해서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수학식 9]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6
[수학식 10]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7
[수학식 11]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8
여기에서, 변환 함수 F503은 수정 구성 요소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하는 함수이며, 수정 파라미터는 변환 함수 F503의 역함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된다.
다른 동작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함수 F500, F501, F502, F503을 통합해서
[수학식 12]
Figure 112009078734350-PCT00019
로 해도 된다. 이 때, 변환 함수 F504는 분석 파라미터와 신호 제어 정보와 수정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주파수 대역(f)의 분석 파라미터 B(f)를,
[수학식 13]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0
로 나타내고, 신호 제어 정보 A(f)를
[수학식 14]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1
로 나타내면, [수학식 9]로부터 [수학식 12]는
[수학식 15]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2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복호 신호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하는 행렬은 D(f)×A(f)×B(f)로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D(f)는 임의인 P행 M열의 행렬이며, 수정 파라미터를 E(f)로 하면,
[수학식 16]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3
로 된다. 예를 들면, D(f)로서 B(f)의 역행렬을 사용하면, 수정 파라미터는 E(f)=B(f)로 된다. 또한, [수학식 1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D(f)로서 B(f)의 역행렬을 사용하는 것은 수정 구성 요소를 수정 복호 신호로 변환하는 조작으로서 타당하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1)는, 신호 제어부(560)로부터 출력된 수정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입력 단자를 통해서 공급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고,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부(562)에 출력한다.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체예로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 U(f)와 렌더링 정보 W(f)를,
[수학식 17]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4
로 나타내면, W(f)=U(f)×E(f)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Q는 출력 신호의 채널수다.
또한, 렌더링 정보는 수정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정보이며, 신호간의 에너지차, 시간차, 또는 상관(相關) 등을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다. 렌더링 정보의 일례로서 비특허문헌 10(2007년, 아이에스오/아이이씨 23003-1:2007 파트1 엠펙 서라운드(ISO/IEC 23003-1:2007 Part 1 MPEG Surround))에 개시된 정보가 알려져 있다.
렌더링부(562)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1)로부터 출력된 렌더링 정보를 사용하여, 신호 제어부(560)로부터 출력된 수정 복호 신호를 변환해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변환의 방법으로서, 비특허문헌10에 개시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10에 개시되어 있는 MPEG Surround 디코더를 사용했을 경우, 렌더링 정보로서 MPEG Surround 디코더에 공급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한다. 또한, MPEG Surround 디코더 내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지 않고 렌더링부에 공급해도 된다.
상기에서는, 신호 제어부(560)의 출력으로서,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수정 복호 신호가, 렌더링부(562)에 공급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신호 제어부(560)의 출력에 있어서, 수정 복호 신호가 역변환되어 시간 신호로서 렌더링부(562)에 공급될 경우, 렌더링부(562)에서는, 시간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하고나서 처리를 행한다. 렌더링부(562)의 출력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신호를 역변환한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출력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Vk(f), k=1,2,…,Q(Q는 출력 신호의 채널수)로 해서,
[수학식 18]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5
로 하면, 렌더링부의 동작은, V(f)=W(f)×X'(f)로 된다.
이어서, 제 2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 2 구성예에서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와 렌더링부(562)로 구성된다. 본 구성예에서는, 렌더링 정보에 구성 요소마다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시켜, 렌더링부(562)에서, 구성 요소마다의 조작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는,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입력으로 한다. 먼저, 분석 정보를 복호하고,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분석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분석 파라미터와 신호 제어 정보로부터 수정 분석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수정 분석 파라미터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렌더링 정보를 계산하여, 렌더링부(562)에 출력한다.
또한,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의 다른 동작예로서, 수정 분석 파라미터를 생성하지 않고, 분석 파라미터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렌더링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주파수 대역(f)의 수정 분석 파라미터 B'(f)를,
[수학식 19]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6
로 하면,
수정 분석 파라미터 B'(f)는, A(f)×B(f)로 해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7]에 나타나 있는 렌더링 정보 W(f)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 U(f)와 수정 분석 파라미터 B'(f)를 사용하여, W(f)=U(f)×B'(f)로 할 수 있다. 다른 동작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정 분석 파라미터 B'(f)를 계산하지 않고, W(f)=U(f)×A(f)×B(f)로 해도 된다.
렌더링부(562)의 동작은, 본 실시 형태의 제 1 구성예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V(f)=W(f)×X(f)로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복호 신호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렌더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 3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제 3 구성예에서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4)와 렌더링부(562)와 신호 제어부(565)로 구성된다. 본 구성예에서는, 복호 신호를 렌더링한 신호를 사용하여, 신호 제어 정보에 근거해 각 구성 요소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4)는, 분석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입력이으로 해서, 렌더링 정보를 출력한다. 처음에, 분석 정보를 복호하고,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분석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분석 파라미터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렌더링 정보를 계산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수학식 13] 및 [수학식 17]에서 정의한 분석 파라미터 B(f)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 U(f)로부터, 렌더링 정보 W(f)는, W(f)=U(f)×B(f)로 할 수 있다.
렌더링부(562)는, 복호 신호와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 제어부(565)에 대하여 출력한다. 렌더링부(562)는, 본 실시 형태의 제 1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어떤 주파수 대역(f)에서의 렌더링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Ik(f), k=1,2,…,Q(Q는 출력 신호의 채널수)로 하면, 렌더링 신호는, I(f)=[I1(f) I2(f) … IQ(f)]T = W(f)×X(f)로 된다.
신호 제어부(565)는, 렌더링 신호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 V(f)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에 의해 규정되는 변환 함수 F505를 사용해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수학식 20]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7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수학식 14]와 [수학식 17]에서 정의한 신호 제어 정보 A(f)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 U(f)를 사용하면, [수학식 20]은,
[수학식 21]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8
로 나타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신부에 있어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 신호의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각 구성 요소의 정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음원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분석 정보의 계산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분석 정보의 계산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음원으로서 목적음과 배경음이 혼재한 입력 신호를 대상으로 하고, 전송 신호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 5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도 30에 도시되지만, 신호 분석부(101)와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에서 다른 점이 있다. 그래서, 이하, 신호 분석부(101)와 출력 신호 생성부(5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실시예는, 분석 정보가 억압 계수인 경우이다. 도 30에 있어서,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근거해 억압 계수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신호 분석부(101)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출력 신호 생성부(5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를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는 도 30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은, 제 5 실시 형태에서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제 2 구성예와 동일하게 도 32에 도시되지만,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의 구성에서 다른 점이 있다. 그래서,이하,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4에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로 구성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는, 분석 정보로부터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억압 계수를 재구성하고, 신호 제어 정보에 근거해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공급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주파수 대역(f)의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억압 계수를 gi(f), i=1,2,…,P(P는 복호 신호의 채널수)로 하고, 목적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 정보를 Amain(f), 배경음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 정보를 Asub(f)로 하면, 구성 요소 파라미터 H(f)는,
[수학식 22]
Figure 112009078734350-PCT00029
로 나타낼 수 있다.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수학식 17]에 있어서 M=2인 경우를 생각하면, 렌더링 정보 W(f)는, W(f)=U(f)×H(f)로 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의 다른 구성예로서, 도 34에서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를 통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억압 계수를 산출하고,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계산하고,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부(652)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수학식 17]에 있어서 M=2인 경우를 고려하면, 렌더링 정보 W(f)는,
[수학식 23]
Figure 112009078734350-PCT00030
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실시예는, 분석 정보가 신호 대 배경음 비인 경우이다. 도 30에 있어서,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출력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제 1 실시예와는, 신호 분석부(101)와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이 다를뿐이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분석 정보로서 산출하는 신호 분석부(101)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는 도 30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32 및 도 34에 도시된다.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는, 도 34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의 구성이 다르다. 그래서,이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는,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산출하고, 신호 대 배경음 비로부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한 후,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22]를 사용해서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제 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조작하고, 조작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나서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 변환된 억압 계수를 g'i(f)로 하면, 구성 요소 파라미터 H(f)는,
[수학식 24]
Figure 112009078734350-PCT00031
로 된다.
도 32의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의 다른 구성예로서, 도 34에서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1)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를 통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산출하고, 신호 대 배경음 비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계산하여,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부(562)에 출력한다.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제 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한 후,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23]을 사용해서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계산하여,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부(562)에 출력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제 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조작하고, 조작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나서, 변환한 억압 계수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산출해도 된다. 이 경우, 렌더링 정보 W(f)는,
[수학식 25]
Figure 112009078734350-PCT00032
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는, 분석 정보가 배경음인 경우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배경음을 계산한다. 이것에 대응 하여, 출력 신호 생성부(550)는,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배경음을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제 1 실시예와는, 신호 분석부(101)와 출력 신호 생성부(550)에 있어서의 구성이 다를뿐이다. 배경음을, 분석 정보로서 산출하는 신호 분석부(101)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경음을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는 도 30의 출력 신호 생성부(550)의 구성예를 도 35에 나타낸다. 도 35는, 도 32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와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가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하,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는, 복호 신호와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입력으로 해서,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렌더링 정보를 생성하여 렌더링부(562)에 대하여 출력한다. 도 36에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는, 변환부(171)와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3)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로 구성된다. 변환부(171)는, 복호 신호를 각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해서 제 2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변환 신호를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3)에 대하여 출력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3)는, 제 2 변환 신호와 분석 정보와 신호 제어 정보를 입력으로 한다.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배경음을 산출하고,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으로부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출력한다.
이하, 구성 요소 파라미터의 산출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제 1 방법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경음과 제 2 변환 신호로부터 억압 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억압 계수에 대하여 [수학식 22]를 적용하고,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제 2 방법에서는, 제 4 실시 형태의 제 4 실시예,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배경음과 신호 제어 정보와 제 2 변환 신호로부터 억압 계수를 산출한다. 상술의 방법에 의해 산출된 억압 계수에 대하여, [수학식 24]를 적용해서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또한, 도 35의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655)의 다른 구성예로서, 도 36에서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653)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를 통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제 2 변환 신호와, 분석 정보를 복호한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배경음과,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계산하여, 렌더링 정보를 렌더링부(562)에 출력한다.
이하, 렌더링 정보의 산출 방법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제 1 방법에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경음으로부터, 복호 신호를 사용해서 억압 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수학식 23]을 사용해서 억압 계수와 신호 제어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산출한다. 제 2 방법에서는, 제 4 실시 형태의 제 4 실시예,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배경 음과 신호 제어 정보와 제 2 변환 신호로부터 억압 계수를 산출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산출된 억압 계수에 대하여, [수학식 25]를 사용해서 억압 계수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렌더링 정보를 산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신부에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의 정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한 음원만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분석 정보의 계산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분석 정보의 계산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7과 제 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30을 비교하면, 도 30의 수신부(55)가, 도 37에서는 수신부(75)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수신부(75)는, 전송 신호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입력으로 해서, 복수의 채널로 구성되는 신호를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 5 실시 형태에서의 수신부(55)와는, 신호 제어 신호를 입력으로 하지 않는 점과, 출력 신호 생성부(550)가 출력 신호 생성부(750)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는, 복호 신호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출력 신호 생성부(750)는, 음원에 대응한 각 구성 요소 대신에, 복수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군을 단위로 하여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부(75)는, 제 5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수신부(55)와 비교하면, 출력 신호 생성부(550)가 출력 신호 생성부(750)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8에, 도 37의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출력 신호 생성부(750)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와 렌더링부(562)로 구성된다. 출력 신호 생성부(750)는, 제 5 실시 형태에서의 도 32에 나타내는 출력 신호 생성부(550)와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563)가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하,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는, 분석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입력이으로 해서, 렌더링 정보를 출력한다. 먼저,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하는 분석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또한, 분석 파라미터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사용하여,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변환의 구체예로서, 렌더링 정보 W(f)는, [수학식 13]과 [수학식 17]을 사용하여, W(f)=U(f)×B(f)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B(f)는 주파수 대역(f)의 분석 파라미터, U(f)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이다.
본 구성예에서는, 렌더링 정보에 구성 요소마다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시켜, 렌더링부(562)에서, 구성 요소마다의 조작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신부에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입력 신호의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각 구성 요소의 정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분석 정보의 계산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분석 정보의 계산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음원으로서 목적음과 배경음이 혼재한 입력 신호를 대상으로 하고, 수신부에 공급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사용해서, 목적음과 배경음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의 정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제 7 실시 형태와 같이, 도 37에 도시되지만, 신호 분석부(101)와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 신호 분석부(101)와 출력 신호 생성부(7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실시예는, 분석 정보가 억압 계수인 경우이다. 송신부(10)에서의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출력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 생성부(750)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와 억압 계수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억압 계수를 분석 정보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신호 분석부(101)에 대해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억압 계수를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는 도 37의 출력 신호 생성 부(750)의 구성예는, 제 7 실시 형태의 출력 신호 생성부(750)와 동일하게 도 38에 도시되지만,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의 구성이 다르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의 구성예를 도 39에 나타낸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1)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로 구성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1)는, 분석 정보를 입력으로 한다.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억압 계수를 재구성하고,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출력한다. 이 변환의 구체예로서, 주파수 대역(f)의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억압 계수를 gi(f)로 하면, 구성 요소 파라미터 H(f)는, [수학식 22]에 있어서, Amain(f)=1, Asub(f)=1인 경우로 된다. 즉,
[수학식 26]
Figure 112009078734350-PCT00033
로 된다.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대해서는, 제 6 실시 형태에서, 도 34를 사용해서 설명한 대로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실시예는, 분석 정보가 신호 대 배경음 비인 경우이다. 송신부(10)에서의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출력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 생성부(750)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사용해서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분석 정보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신호 분석부(101)에 대해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는 도 37의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구성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38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에서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9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1)의 구성이 다르다. 이하,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1)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1)는, 분석 정보를 입력으로 해서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산출한다. 또한, 신호 대 배경음 비로부터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출력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의 산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26]을 사용하여, 억압 계수로부터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는, 분석 정보가 배경음인 경우이다. 송신부(10)에서의 신호 분석부(101)가, 분석 정보로서 배경음을 출력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출력 신호 생성부(750)는, 배경음과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근거해 복호 신호를 제어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분석 정보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신호 분석부(101)에 대해서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경음을 사용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을 제어하는 도 37의 출력 신호 생성부(750)의 구성예를 도 40에 나타낸다. 도 40은, 도 38의 제 1 실시예와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0)가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1)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는, 도 34를 사용해서 이미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1)는, 복호 신호와 분석 정보와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로부터 복호 신호와 출력 신호의 관계를 주파수 성분마다 나타낸 렌더링 정보를 생성하여 렌더링부(562)에 공급한다. 도 41에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761)는, 변환부(171)와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3)와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로 구성된다. 변환부(171)는, 복호 신호를 각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해서 제 2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변환 신호를,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3)에 공급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 생성부(853)는, 분석 정보와 제 2 변환 신호를 입력으로 한다. 분석 정보를 복호하여 배경음을 산출하고, 제 2 변환 신호와 배경음에 의거하여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렌더링 정보 생성부(652)에 출력한다. 구성 요소 파라미터의 산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경음을 억압 계수로 변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26]을 사용해서 억압 계수로부터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신부에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음과 배경음의 정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억압 계수 또는 신호 대 배경음 비로 한 분석 정보의 계산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분석 정보의 계산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송신부(10)가 송신부(9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신부(10)에 포함되는 신호 분석부(101)가, 송신부(90)에 포함되는 신호 분석부(9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분석부(900)에는, 입력 신호와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 및 제 8 실시 형태에서, 송신부(10)에 포함되는 신호 분석부(101)를 본 실시 형태의 신호 분석부(900)로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입력 신호와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가 신호 분석부(900)에 입력되도록 하면 된다.
제 9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신호 분석부(900)가 부호화부에서 발생한 양자화 왜곡의 영향을 고려한 분석을 행함으로써, 수신부(15)에서 복호를 행할 때에 발생하는 양자화 왜곡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3을 참조하여, 신호 분석부(900)의 제 1 구성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900)는, 입력 신호와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로부터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부호화 신호는 양자화 왜곡이 가해진 신호이므로, 양자화 왜곡량을 고려해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분석부(900)는, 입력 신호와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신호 분석부(900)는, 변환부(120), 복호부(150),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 분석 정보 생성부(911) 및 변환부(920)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는, 변환부(120)에 입력된다. 또한,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는, 복호부(150)에 입력된다.
복호부(150)는, 부호화부(10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신호의 복호를 행한다. 복호부(150)는, 복호 신호를 변환부(920)에 출력한다. 변환부(920)에서는, 복호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한다. 변환부(92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를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에 출력한다.
변환부(120)는, 입력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한다. 변환부(12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를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 및 분석 정보 생성부(911)에 출력한다.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와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를 비교하고, 양자화 왜곡량을 주파수 성분마다 계산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차를, 그 주파수에 있어서의 양자화 왜곡으로 해도 된다.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는,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을 분석 정보 생성부(911)에 출력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변환부(120)로부터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로부터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을 수신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에 대해서,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입력 신호를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분해한다. 그리고,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에 대해서,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복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구성 요소군으로 분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양자화 왜곡량을 고려하여, 수신부에서의 복호시에, 양자화 왜곡이 저감되도록 분석 정보의 계산을 행한다. 예를 들면,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그 주파수에서의 양자화 왜곡의 크기로부터, 양자화 왜곡이 청각 마스킹되도록, 분석 정보를 계산해도 된다. 여기에서,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청각 마스킹에 있어서,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큰 주파수의 주변 주파수에서는, 작은 성분은 들리기 어려워지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로부터 주변 주파수에서 들리기 어려워지는 성분의 크기를 마스킹 특성이라고 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마스킹 특성을 모든 주파수에 있어서 계산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각 주파수에 있어서, 양자화 왜곡의 영향을 고려해서 분석 정보의 보정을 행한다. 마스킹 특성보다 양자화 왜곡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양자화 왜곡이 들리기 어렵다. 이 경우에는, 양자화 왜곡의 영향이 적으므로,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분석 정보의 보정은 행하지 않는다. 마스킹 특성보다 양자화 왜곡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마스킹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양자화 왜곡을 저감시키도록 분석 정보를 보정한다. 예를 들면,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양자화 왜곡도 배경음과 동시에 억압하도록 작은 억압 계수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분석 정보 생성부(911)가 분석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수신부에서 복호를 행했을 때에 양자화 왜곡이 청각 마스킹되어, 왜곡이나 잡음이 저감된다.
지금까지 청각 마스킹을 고려해서 양자화 왜곡을 저감하는 바와 같은 분석 정보의 보정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청각 마스킹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주파수에서 양자화 왜곡을 저감하도록 분석 정보를 보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44를 참조하여, 신호 분석부(900)의 제 2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900)는, 입력 신호와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신호 분석부(900)는, 변환부(120), 복호부(150),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 분석 정보 생성부(912) 및 변환부(920)로 구성된다.
입력 신호는, 변환부(120)에 입력된다. 또한, 부호화부(100)로부터의 부호화 신호는, 복호부(150)에 입력된다.
복호부(150)는, 부호화부(10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 신호의 복호를 행한다. 복호부(150)는, 복호 신호를 변환부(920)에 출력한다. 변환부(920)에서는, 복호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한다. 변환부(92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를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와 분석 정보 생성부(912)에 출력한다.
변환부(120)는, 입력 신호를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한다. 변환부(12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를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에 출력한다.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와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양자화 왜곡량을 주파수 성분마다 계산한다. 예를 들면,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와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의 차를, 그 주파수에 있어서의 양자화 왜곡으로 해도 된다.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는,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을 분석 정보 생성부(912)에 출력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2)는, 변환부(920)로부터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를 수신하고,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로부터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을 수신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2)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복호 신호에 대해서, 각 주파수 성분에 대응한 입력 신호를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분해한다. 그리고, 분석 정보 생성부(912)는,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2)는, 양자화 왜곡을 저감하도록 보정된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양자화 왜곡이 저감되는 바와 같은 분석 정보의 계산에 대해서는, 제 1 구성예와 동일하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분석부(900)의 제 1 구성예 및 제 2 구성예는, 부호화부(100)에서 발생한 부호화 왜곡의 효과를 저감하도록 분석 정보의 생성을 행함으로써, 수신부(15)에서 복호를 행할 때에 발생하는 양자화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는, 음원으로서 목적음과 배경음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게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진다. 본 실시 형태는, 도 43에서의 본 발명의 제 9 실시 형태의 구성의 분석 정보 생성부(911)의 구성이 다르다.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에서의 분석 정보 생성부(91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분석 정보 생성부(121)와 도 45에 나타나 있는 분석 정보 생성부(911)를 비교하면, 양자화 왜곡 계산부(910)로부터의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이 입력되는 점이 다르다. 또한, 분석 정보 생성부(121)에 포함되는 배경음 추정부(200)가, 분석 정보 생성부(911)에 포함되는 배경음 추정부(10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도 43의 설명과 중복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와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와 배경음 추정부(1020)로 구성된다.
배경음 추정부(1020)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와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를 수신한다. 배경음 추정부(1020)는, 양자화 왜곡량을 고려하여, 배경음의 추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배경음 추정부(1020)는, 추정한 배경음에 양자화 왜곡을 가산한 것을 추정 배경음로서, 분석 정보 생성부(121)에 포함되는 배경음 추정부(200)와 동일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배경음 추정부(1020)는, 양자화 왜곡 이 고려된 배경음의 정보를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에 출력한다.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배경음의 정보에 의거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양자화 왜곡이 고려된 분석 정보를 출력한다.
수신부(15)는, 양자화 왜곡이 고려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복호 신호의 제어를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복호 신호의 제어에 있어서, 양자화 왜곡을 고려한 고품질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5)에서 복호를 행할 때에 발생하는 양자화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는,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 신호 대 배경음 비 또는 배경음 그 자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분석 정보로서 억압 계수를 부호화하여, 출력할 경우에는, 도 43에서의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억압 계수를 산출하여, 부호화한다. 억압 계수를 출력하기 위해서, 분석 정보 생성부(911)에서의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로서 도 7에 나타나 있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도 42에서의 수신부(15)의 신호 제어부(151)는, 억압 계수에 의한 복호 신호의 제어에 대응한 구성으로 한다.
분석 정보로서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부호화하여, 출력할 경우에는, 도 43에서의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신호 대 배경음 비를 산출하여, 부호화한다. 신호 대 배경음 비를 부호화하기 위해서, 분석 정보 생성부(911)에서의 배경음 정보 생성부(202)로서 도 10에 나타나 있는 구성이나, 도 12에 나타나 있는 구성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도 42에서의 수신부(15)의 신호 제어부(151)는, 신호 대 배경 음 비에 의한 복호 신호의 제어에 대응한 구성으로 한다.
분석 정보로서 배경음 그 자체를 부호화하여, 출력할 경우에는, 도 43에서의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배경음 추정부(1020)에서 추정한 추정 배경음을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도 46을 참조하여, 분석 정보로서 배경음 그 자체를 출력하는 분석 정보 생성부(911)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구성예의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와 각 주파수의 양자화 왜곡량를 수신하고, 부호화된 배경음을 출력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911)는, 배경음 부호화부(205)와 배경음 추정부(1020)로 구성된다. 배경음 추정부(10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5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배경음 부호화부(205)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이 경우, 도 42에서의 수신부(15)의 신호 제어부(151)는, 배경음에 의한 복호 신호의 제어에 대응한 구성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0 실시 형태는, 양자화 왜곡이 고려된 억압 계수, 신호 대 배경음 비 또는 배경음에 의거하여, 복호 신호의 제어를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복호 신호의 제어에 있어서, 양자화 왜곡을 고려한 고품질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5)에서 복호를 행할 때에 발생하는 양자화 왜곡이나 부호화 왜곡을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는, 송신부 측에서의 연산량과,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부 측에서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의 제어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저감한다.
도 4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와, 도 4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는, 송신부(10)가 송신부(13)로 구성되어 있는 점, 수신부(15)가 수신부(18)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는, 송신부 안에 있는 변환부를 공용하고, 수신부 안에 있는 변환부를 공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송신부(13) 및 수신부(18)의 연산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송신부(10)와 도 47에 나타나 있는 송신부(13)는, 부호화부(100)가 부호화부(1100)로 구성되어 있는 점, 신호 분석부(101)가 신호 분석부(1101)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부(1100)가 주파수 성분 분해된 입력 신호를 신호 분석부(1101)에 출력하고 있다.
도 48을 참조하여, 부호화부(1100)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부호화부(100)와 도 48에 나타나 있는 부호화부(1100)는, 변환부(110)의 출력인 제 1 변환 신호가, 신호 분석부(1101)에 출력되는 점에서 다르다. 변환부(110) 및 양자화부(111)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2와 중복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부호화부(1100)의 연산량은, 도 2에 나타나 있는 부호화부(100)와 출력되는 신호가 다를뿐이므로, 부호화부(100)의 연산량과 거의 동일하다.
도 49를 참조하여, 신호 분석부(110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신호 분석부(101)와 도 49에 나타나 있는 신호 분석부(1101)는, 신호 분석부(101)에 포함되어 있는 변환부(120)가 삭제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분석 정 보 생성부(121)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신호 분석부(1101)는, 부호화부(1100)로부터 제 1 변환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한 제 1 변환 신호는 분석 정보 생성부(121)에 입력된다. 여기에서, 도 48에 나타나 있는 부호화부(1100) 내의 변환부(110)와, 도 4에 나타나 있는 신호 분석부(101) 내의 변환부(120)를 비교하면, 변환부에 공급되는 입력 신호가 동일해서, 변환부의 동작이 동일하면, 각각의 출력인 제 1 변환 신호와 제 2 변환 신호는 동일해진다. 그 때문에, 변환부(110)와 변환부(120)의 동작이 동일할 경우, 신호 분석부(1101)에서는 변환부(120)를 삭제하고, 신호 분석부(1101)가 출력하는 제 1 변환 신호를 제 2 변환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신호 분석부(1101)의 연산량은, 변환부(120)의 연산량에 상당하는 만큼만, 신호 분석부(101)보다 삭감된다.
수신부에 대해서,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신부(15)와 도 47에 나타나 있는 수신부(18)는, 복호부(150)가 복호부(1150)로 구성되어 있는 점과, 신호 제어부(151)가 신호 제어부(1151)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도 50을 참조하여, 복호부(1150)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복호부(150)와 복호부(1150)는, 복호부(1150)에서 역변환부(161)가 삭제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역양자화부(16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복호부(150)는, 역양자화부(160)가 출력하는 제 1 변환 신호를 역변환부(161)에 의해 시간 영역 신호로 역변환하고, 복호 신호로서 도 5에 나타나 있는 변환부(171)에 출력하고 있다. 도 5에서는, 변환부(171)가 복 호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변환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대로, 변환부(110)와 변환부(120)의 동작이 동일할 경우, 제 1 변환 신호를 제 2 변환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복호부(1150)는, 역양자화부(160)가 출력하는 제 1 변환 신호를 신호 제어부(1151)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부(172)에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 역변환부(161)가 삭제되어 있다.
도 51을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115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신호 제어부(151)와 도 51에 나타나 있는 신호 제어부(1151)는, 신호 제어부(1151)에 있어서 변환부(171)가 삭제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신호 처리부(172) 및 역변환부(17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의 설명과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도 5의 신호 제어부(151)는, 시간 영역 신호로서 입력된 복호 신호가 변환부(171)에 의해 제 2 변환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72)에 출력하고 있다. 상술한 대로, 변환부(110)와 변환부(120)의 동작이 동일할 경우, 제 1 변환 신호를 제 2 변환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 제어부(1151)에 포함되는 신호 처리부(172)는, 역양자화부(160)가 출력하는 제 1 변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변환부(171)가 제거되어 있다.
여기에서, 신호 제어부(1151)에 복호부(11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착안하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 형태와 도 47에 나타나 있는 제 11 실시 형태는, 역양자화부(160)가 출력하는 신호가, 역변환부(161) 및 변환부(171)를 통과했 는지 여부의 차이가 있다. 제 1 변환 신호를 제 2 변환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경우에 있어서, 제 1 실시 형태 및 제 11 실시 형태 모두, 역양자화부(160)가 출력하는 신호의 주파수 성분과 신호 제어 처리부(172)에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성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신호 제어부(1151) 내의 신호 처리부(172)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신호 처리부(172)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복호부(1150)의 연산량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역변환부(161)의 연산량에 상당하는 만큼만, 복호부(150)보다 삭감되어 있다. 또한, 신호 제어부(1151)의 연산량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변환부(171)의 연산량에 상당하는 만큼만, 신호 제어부(151)보다 삭감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해서, 변환부(120), 역변환부(161) 및 변환부(160)의 각각의 연산량에 상당하는 만큼만, 제 1 실시 형태보다 연산량이 삭감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 11 실시 형태의 연산량 삭감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로부터 제 10 실시 형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연산량 삭감의 효과를 갖는다.
이상,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부터 제 11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음원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산출하고, 수신측에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복호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여기에서, 구체예를 사용해서 상세를 더 설명한다. 입력 신호는, 이용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음성, 악기 소리 등이 있다. 이 밖에, 소리에 의한 감시를 목적으 로 할 경우에는, 각 기계가 발생하는 동작음이나, 조작자의 음성이나 발소리 등이 있다.
입력 신호에 복수의 구성 요소가 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은,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하는 구성이다. 구성 요소가 복수 있을 경우, 도 1에 나타나 있는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적용된다. 신호 분석부(101) 및,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 신호 분석부(101)가 다중화부(102)에 출력하는 정보, 분리부(152)로부터 신호 제어부(151)에 보내지는 정보에 대해서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2를 참조하여, 신호 분석부(101)의 제 2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101)의 제 2 구성예는, 구성 요소가 복수 있을 경우에 적용하는 구성이다. 이 신호 분석부(101)는, 음 환경 분석부(1210)와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1211)로 구성되어 있다. 음 환경 분석부(1210)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정보를 분석한다. 음 환경 분석부(1210)는, 구성 요소 분석 정보를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1211)에 출력한다.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1211)는, 음 환경 분석부(1210)로부터 입력된 구성 요소 분석 정보를 부호화한다. 그리고,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1211)는, 부호화된 구성 요소 분석 정보를 도 1에 나타나 있는 다중화부(10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도 1에 나타나 있는 다중화부(102)는,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1211)로부터 입력된 구성 요소 분석 정보에 대응한 다중화를 행한다.
음 환경 분석부(121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음 환경 분석부(1210)에서의 복수 음원의 정보의 분석 방법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 음원의 정보의 분석 방법으로서, 비특허문헌11(2005년, 「스피치·인핸스먼트」, 슈프링거, (Speech Enhancement, Springer, 2005, pp.371-402), 371페이지로부터 402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는 신호 분리의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복수 음원의 정보의 분석 방법으로서는, 음 정경(情景) 분석, 컴퓨테이셔널·오디토리·신·어낼리시스 (Computational Auditory Scene Analysis), 단일 입력 신호 분리, 싱글·채널·시그널·세퍼레이션, 등으로 불리는 신호 분리의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이들 신호 분리의 수법에 의해, 음 환경 분석부(1210)는, 입력 신호를 복수의 각 구성 요소로 분리한다. 또한, 음 환경 분석부(1210)는, 분리된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해야 할 구성 요소 분석 정보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이 구성 요소 분석 정보는, 여러가지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 분석 정보로서는,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나, 각 주파수 성분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의 비율이나, 각각의 구성 요소 그 자체의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가 있다. 구성 요소의 비율에는, 예를 들면, 입력 신호와의 진폭비, 입력 신호와의 에너지비, 및 이들의 평균값 등이 포함된다.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의 크기에는, 예를 들면, 진폭 절대값, 에너지, 및 이들의 평균값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신호 분리의 방법에 따라서는, 신호 분리의 도중에 있어서, 출력해야 할 분석 결과 그 자체, 또는, 출력해야 할 분석 결과에 용이하게 변환가능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신호 분리를 최후까지 행하지 않고, 신호 분리를 행하는 도중부터 출력해야 할 분 석 결과를 얻는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3을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예는, 구성 요소가 복수 있을 경우에 적용하는 구성이다. 신호 제어부(151)는, 음 환경 정보 복호부(1212) 및 음 환경 정보 처리부(1213)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제어부(151)는, 복호부(150)로부터의 복호 신호, 분리부(152)로부터 분석 정보를 부호화한 신호를 수신한다. 음 환경 정보 복호부(1212)는, 분리부(152)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부호화한 신호를 복호한다. 음 환경 정보 복호부(1212)는, 복호한 분석 정보를 출력해서 음 환경 정보 처리부(1213)에 출력한다. 분석 정보는, 도 52에 나타나 있는 신호 분석부(101)에 포함되는 음 환경 분석부(1210)가 출력한 분석 정보에 상당한다. 음 환경 정보 처리부(1213)는, 음 환경 정보 복호부(1212)로부터 입력된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복호 신호의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의 방법은, 제어의 목적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경음을 억압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이상,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가 복수 있을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가 복수 있을 경우에 적용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다. 제 2 실시 형태로부터 제 11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신호 분석부 및 신호 제어부 또는 출력 신호 생성부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 5 실시 형태로부터 제 8 실시 형태의 구성과 같이, 각 구성 요소의 출력을 복수의 채널로 구성되는 출력 신호에 정위시키는 제어를 행 해도 된다.
또한, 입력 신호의 채널수가 복수일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신호 분석부(101)에서의 분석 방법으로서, 지향성 제어, 빔 포밍(Beamforming), 블라인드 신호원 분리(Blind Source Separation)나,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으로 불리는 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특히, 입력 신호의 채널수가 목적음 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상술한 배경음 정보의 추정 방법이나 제 13 실시 형태에서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지향성 제어, 빔 포밍(Beamforming), 블라인드 신호원 분리(Blind Source Separation)나, 독립 성분 분석(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만을 사용하여, 분석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지향성 제어 및 빔 포밍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12(2001년, 「마이크로폰·어레이즈」, 슈프링거, (Microphone Arrays, Springer, 2001)), 및 비특허문헌13(2005년, 「스피치·인핸스먼트」, 슈프링거, (Speech Enhancement, Springer, 2005, pp.229-246), 229페이지로부터 246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블라인드 신호원 분리 및 독립 성분 분석의 방법에 관련되는 기술은, 비특허문헌14(2005년, 「스피치·인핸스먼트」, 슈프링거, (Speech Enhancement, Springer, 2005, pp.271-369), 271페이지로부터 369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분석 방법을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구성이 적용된다. 또한, 신호 분석부(101)의 구성, 신호 제어부(151)의 구성, 신호 분석부(101)가 다중화부(102)에 출력하는 정보, 및, 분리부(152)로부터 신호 제어부(151)에 보내지는 정보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 신호는 복 수 채널의 신호다. 기본적인 동작은, 제 1 실시 형태의 동작과 동일하여, 도 1과 중복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4를 참조하여, 신호 분석부(101)의 제 3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분석부(101)의 제 3 구성예는, 입력 신호의 채널수가 복수일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본 구성예의 신호 분석부(101)는, 입력 신호의 분석 방법으로서, 독립 성분 분석의 방법을 사용한다. 본 구성예의 신호 분석부(101)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의 신호 분리를 위한 필터 계수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한다.
신호 분석부(101)는, 신호 분리 분석부(1200)와 분리 필터 부호화부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분리 분석부(1200)는, 독립 성분 분석의 방법에 의해, 분리 필터 계수를 산출한다. 분리 필터 계수는,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의 신호 분리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필터 계수이다. 그리고, 신호 분리 분석부(1200)는, 분리 필터 계수를 분리 필터 부호화부(1201)에 출력한다. 분리 필터 부호화부(1201)는, 신호 분리 분석부(1200)로부터 입력된 분리 필터 계수를 부호화한다. 분리 필터 부호화부(1201)는, 부호화 분리 필터 계수를 분석 정보로서 출력한다.
도 55를 참조하여, 신호 제어부(151)의 제 3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신호 제어부(151)의 제 3 구성예는, 입력 신호의 채널수가 복수일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신호 제어부(151)는, 분리 필터 복호부(1202)와 필터(1203)로 구성되어 있 다. 분리 필터 복호부(1202)는, 분리부(152)로부터 분석 정보로서 부호화된 분리 필터 계수를 수신한다. 그리고, 분리 필터 복호부(1202)는, 부호화 분리 필터 계수를 복호하고, 분리 필터 계수를 필터(1203)에 출력한다. 필터(1203)는, 복호부(150)로부터 복수 채널의 복호 신호를 수신하고, 분리 필터 복호부(1202)로부터 분리 필터 계수를 수신한다. 그리고, 필터(1203)는, 복수 채널의 복호 신호에 대하여, 분리 필터 계수에 근거하는 필터 처리를 행한다. 필터(1203)는,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의 신호가 분리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대로, 입력 신호의 채널수가 복수일 경우, 본 발명의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은, 입력 신호의 분석을 송신부에서 행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입력 신호의 채널수가 복수일 경우에도, 송신부에서의 신호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부에서 복수 음원으로 구성되는 입력 신호를 각 음원에 대응한 구성 요소마다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에서 신호의 분석을 행하므로, 수신부는 신호 분석에 관련되는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4 및 도 55에 나타나 있는 구성예는, 입력 신호의 분석 정보로서 분리 필터의 필터 계수를 사용했지만, 제 1 실시 형태로부터 제 1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분석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그것을 위해서는, 도 54에 나타나 있는 신호 분리 분석부(1200)는, 분리 필터가 산출하고, 분리 필터를 사용한 신호 분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에 따라, 분리 필터 부호화부(1201)는, 도 52에 나타나 있는 음 환경 정보 부호화부(1211)로 구성된다.
또한, 신호 분석부(101)에서의 입력 신호의 분석 방법으로서는, 독립 성분 분석 뿐만 아니라, 비특허문헌12 내지 15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분석 방법을,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11 실시 형태에서의 분석 방법에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분석 방법에 따라서는, 분석의 도중에, 출력해야 할 분석 결과, 또는, 출력해야 할 분석 결과로 용이하게 변환가능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 경우에는, 분석을 최후까지 행하지 않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분석의 처리를 변경해도 된다.
도 5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11 실시 형태까지, 1방향 통신만을 고려하였다. 즉, 단말에 내장된 송신부로부터, 다른 단말에 내장된 수신부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제 12 실시 형태는, 쌍방향 통신을 고려하고, 1대의 송수신 단말에 본 발명을 적용한 송신부와 수신부의 양쪽을 내장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송신부와 수신부의 양쪽을 내장하는 본 발명을 적응한 단말로서는,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11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송신부 및 수신부를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부와 수신부의 양쪽을 가짐으로써, 텔레비전 회의 단말이나 휴대 전화 등의 쌍방향 통신에 이용했을 때에,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방송 등, 1방향의 음성 통신이 행하여질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방송국의 송신 단말은, 예를 들면, 적어도 도 1에 나타나 있는 송신부(10)를 구비하면 된다. 방송국이란, 방송 면허를 가지는 방송국 뿐만 아니라, 다지점 텔레비전 회의의 메인 회장 등, 음성을 송신하고, 수신을 거의 행하지 않는 지점을 포함한다. 이 경우의 송신 단말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 내지 제 11 실시 형태에서의 송신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수신만을 행하는 지점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신호 분석 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수신만을 행하는 지점에서의 수신 단말에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도 1에 나타나 있는 수신부(15)를 구비하면 된다. 이 수신 단말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 내지 제 11 실시 형태에서의 수신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5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3 실시 형태에 근거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 형태는,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터(1300, 1301)로 구성된다. 컴퓨터는, 중앙 처리 장치, 프로세서,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컴퓨터(1300)는,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12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처리를 행하고, 입력 신호를 받아 전송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근거해 동작한다. 한편, 컴퓨터(1301)는,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12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되는 처리를 행하고, 전송 신호를 받고,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근거해 동작한다. 또한, 제 1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송신부 및 수신부를 모두 가질 경우, 송신 처리와 수신 처리를 동일한 컴퓨터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 내지 제 13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부, 전송로, 수신부의 동작으로서 설명했지만, 각각, 녹음부, 축적 매체, 재생부로 대체해 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송신부(10)는, 전송 신호를 비트 스트림(bit stream)으로서 축적 매체에 출력하고, 축적 매체에 비트 스트림을 기록해도 된다. 또한, 수신부(15)는, 축적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비트 스트림을 취출하여, 비트 스트림을 복호해서 처리를 행함으로써 출력 신호를 생성해도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실시 형태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실시 형태 및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이다.
또한,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로 분해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발명은, 상기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상 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배경음 추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배경음 추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목적음과 배경음의 비(比)를 생성하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 발명은,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배경음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이다.
또한, 제 9 발명은, 상기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0 발명은, 상기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1 발명은, 상기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2 발명은, 상기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억압 계수 생성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4 발명은, 상기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배경음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억압 계수 생성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감산하는 감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6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이다.
또한, 제 17 발명은, 상기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8 발명은, 상기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9 발명은, 상기 제 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0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억압 계수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1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 수정부는,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2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 수정부는,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3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 수정부는,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는 승산부와,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산부의 결과와 상기 비교부의 결과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4 발명은, 상기 제 2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정보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5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수정하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 수정부와, 상기 수정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6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억압 계수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7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는 배경음 정보 수정부와,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8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억압 계수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9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는 배경음 정보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감산하는 감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0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이다.
또한, 제 31 발명은, 상기 제 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제어부는,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2 발명은, 상기 제 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와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3 발명은, 상기 제 3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4 발명은, 상기 제 3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5 발명은, 상기 제 33 또는 제 3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렌더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6 발명은, 상기 제 30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7 발명은, 상기 제 3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제어부는,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8 발명은, 상기 제 3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억압 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9 발명은, 상기 제 3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 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0 발명은, 상기 제 3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신호와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1 발명은, 상기 제 38 내지 제 4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렌더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2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3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4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5 발명은, 상기 제 44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6 발명은, 상기 제 4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로서,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7 발명은, 상기 제 4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로서,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목적음과 배경음의 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8 발명은, 상기 제 4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9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0 발명은, 상기 제 4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1 발명은, 상기 제 4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2 발명은, 상기 제 5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3 발명은, 상기 제 4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4 발명은, 상기 제 5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5 발명은, 상기 제 5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6 발명은, 상기 제 5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감산하고, 이 감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7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이다.
또한, 제 58 발명은, 상기 제 5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59 발명은, 상기 제 5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0 발명은, 상기 제 5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1 발명은, 상기 제 6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2 발명은, 상기 제 6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고,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3 발명은, 상기 제 6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고,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4 발명은, 상기 제 6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고,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산부의 결과와 상기 비교부의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5 발명은, 상기 제 6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정보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6 발명은, 상기 제 6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7 발명은, 상기 제 6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8 발명은, 상기 제 6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69 발명은, 상기 제 6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 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0 발명은, 상기 제 60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감산하고, 이 감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1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해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이다.
또한, 제 72 발명은, 상기 제 7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3 발명은, 상기 제 71 발명에 있어서,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와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해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4 발명은, 상기 제 7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와 상기 분석 정 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5 발명은, 상기 제 7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6 발명은, 상기 제 74 또는 제 7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7 발명은, 상기 제 7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8 발명은, 상기 제 7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79 발명은, 상기 제 7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억압 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0 발명은, 상기 제 7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1 발명은, 상기 제 7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와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2 발명은, 상기 제 79 내지 제 81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3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 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제 84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제 85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제 86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87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이다.
또한, 제 88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처리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이다.
또한, 제 89 발명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이다.
본 출원은, 2007년 6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2007-168544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전부를 여기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분석 또는 제어를 행하는 장치, 신호 분석 또는 제어를 컴퓨터에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9)

  1.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석부는,
    상기 입력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배경음 추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배경음 추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목적음과 배경음의 비(比)를 생성하는 배경음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배경음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장치.
  8.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 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乘算)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억압 계수 생성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배경음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억압 계수 생성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감산(減算)하는 감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6.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는 변환부와,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억압 계수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 수정부는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 수정부는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 수정부는,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는 승산부와,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산부의 결과와 상기 비교부의 결과를 선택하는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정보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 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수정하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 수정부와,
    상기 수정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억압 계수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는 배경음 정보 수정부와,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는 억압 계수 변환부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억압 계수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는 승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는 배경음 정보 수정부와,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감산하는 감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0.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rendering)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제어부는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와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렌더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 제어부는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억압 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40.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 생성부는,
    상기 신호와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구성 요소 정보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41.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렌더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장치.
  42.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를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로서,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7.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로서,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추정된 배경음으로부터 목적음과 배경음의 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8.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배경음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방법.
  49.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 어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5.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 정보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생성하 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6.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배경음을 감산하고, 이 감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7.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59.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 주파수 성분으로 분해된 변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고,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고, 억압 계수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4.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승산하고,
    상기 억압 계수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승산부의 결과와 상기 비교부의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 정보는 억압 계수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6.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7.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8.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69.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음 정보를 억압 계수로 변환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억압 계수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수정 억압 계수를 승산하고, 이 승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0.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경음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변환 신호로부터 상기 수정 배경음 정보를 감산하고, 이 감산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1.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3. 제 71 항에 있어서,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와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5.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와 상기 구성 요소의 관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6. 제 74 항 또는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7.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요소는 목적음과 배경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8.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 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79.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억압하기 위한 억압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억압 계수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80.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목적음과 상기 배경음의 비를 나타내는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목적음 배경음 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81.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배경음을 나타내는 배경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와 상기 배경음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구성 요소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 요소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상기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렌더링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82. 제 79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방법.
  83.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4.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5.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부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6.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신호 분석 처리
    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분석 프로그램.
  87.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분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
  88.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특정한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정보를 받고, 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신호 제어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 처리
    를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
  89.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받는 신호 수신 처리와,
    상기 구성 요소의 출력을 제어하는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를 받고, 상기 분 석 정보와 상기 구성 요소 렌더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신호 생성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제어 프로그램.
KR1020097026584A 2007-06-27 2008-06-26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00024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8544 2007-06-27
JPJP-P-2007-168544 2007-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426A true KR20100024426A (ko) 2010-03-05

Family

ID=4018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584A KR20100024426A (ko) 2007-06-27 2008-06-26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5242B2 (ko)
EP (2) EP2172929B1 (ko)
JP (1) JP5556175B2 (ko)
KR (1) KR20100024426A (ko)
CN (2) CN101689372B (ko)
WO (1) WO2009001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2906B2 (ja) * 2007-06-27 2013-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多地点接続装置、信号分析及び装置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0911331D0 (en) * 2009-06-30 2009-08-12 Univ Aston Characterising properties or behaviour of biological cells
WO2012107561A1 (en) 2011-02-10 2012-08-16 Dolby International Ab Spatial adaptation in multi-microphone sound captur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886A (en) * 1988-11-03 1990-12-25 Sprint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dynamically slotted information
EP0653846B1 (en) * 1993-05-31 2001-12-19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or decoding signals, and recording medium
JPH07203400A (ja) 1993-10-15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メディアレンダリングマーカーとその使用方法
JPH08102687A (ja) * 1994-09-29 1996-04-16 Yamaha Corp 音声送受信方式
JP3568255B2 (ja) * 1994-10-28 2004-09-22 富士通株式会社 音声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3355598B2 (ja) * 1996-09-18 2002-1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源分離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JP3679215B2 (ja) * 1997-01-22 2005-08-03 日本放送協会 アナウンスとbgmが混合された信号からアナウンスとbgmのレベルを各別に推定する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て構成したアナウンスとbgmのレベル差を測定する装置
US7415120B1 (en) * 1998-04-14 2008-08-19 Akiba Electronics Institute Llc User adjustable volume control that accommodates hearing
JP4163294B2 (ja) * 1998-07-31 2008-10-08 株式会社東芝 雑音抑圧処理装置および雑音抑圧処理方法
JP2000099096A (ja) 1998-09-18 2000-04-07 Toshiba Corp 音声信号の成分分離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音声符号化方法
US6782361B1 (en) * 1999-06-18 2004-08-24 Mcgill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ground acoustic noise during a discontinued/reduced rate transmission mode of a voice transmission system
JP3484112B2 (ja) 1999-09-27 2004-01-06 株式会社東芝 雑音成分抑圧処理装置および雑音成分抑圧処理方法
US6351733B1 (en) * 2000-03-02 2002-02-26 Hearing Enhancement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JP2001265398A (ja) * 2000-03-16 2001-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適応型雑音抑圧音声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JP2002182687A (ja) * 2000-12-15 2002-06-26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音声認識用騒音低減装置のデータ配信システム、車載音声認識用騒音低減装置、及びサーバ
JP4282227B2 (ja) 2000-12-28 2009-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イズ除去の方法及び装置
US6829018B2 (en) * 2001-09-17 2004-1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hree-dimensional sound creation assisted by visual information
JP3786038B2 (ja) 2002-03-14 2006-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入力信号処理方法および入力信号処理装置
BR0304540A (pt) * 2002-04-22 2004-07-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s para codificar um sinal de áudio, e para decodificar um sinal de áudio codificado, codificador para codificar um sinal de áudio, aparelho para fornecer um sinal de áudio, sinal de áudio codificado, meio de armazenagem, e, decodificador para decodificar um sinal de áudio codificado
DE60311794C5 (de) * 2002-04-22 2022-11-10 Koninklijke Philips N.V. Signalsynthese
JP4162604B2 (ja) * 2004-01-08 2008-10-08 株式会社東芝 雑音抑圧装置及び雑音抑圧方法
US8027478B2 (en) * 2004-04-16 2011-09-27 Dublin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sound source separation
JP4963962B2 (ja) 2004-08-26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チャネル信号符号化装置およびマルチチャネル信号復号装置
US7667728B2 (en) * 2004-10-15 2010-02-23 Lifesize Communications, Inc. Video and audio conferencing system with spatial audio
EP1691348A1 (en) 2005-02-14 2006-08-1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Parametric joint-coding of audio sources
JP2006262241A (ja) * 2005-03-18 2006-09-2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ノイズ低減装置及びノイズ低減制御プログラム
JP2007168544A (ja) 2005-12-20 2007-07-05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5337941B2 (ja) * 2006-10-16 2013-11-06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 フェルダールング デァ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アシュンク エー.ファオ マルチチャネル・パラメータ変換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092409B1 (en) * 2006-12-01 2019-01-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comm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media signal,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apparatus for processing mix signa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2929A4 (en) 2012-05-16
US20100189280A1 (en) 2010-07-29
WO2009001886A1 (ja) 2008-12-31
JPWO2009001886A1 (ja) 2010-08-26
CN102436822A (zh) 2012-05-02
CN101689372B (zh) 2013-05-01
EP2560164A2 (en) 2013-02-20
EP2172929B1 (en) 2018-08-01
EP2560164A3 (en) 2013-04-17
CN101689372A (zh) 2010-03-31
US9905242B2 (en) 2018-02-27
EP2172929A1 (en) 2010-04-07
CN102436822B (zh) 2015-03-25
JP5556175B2 (ja)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2980B2 (ja) 複数の入力データストリームのミキシングのための装置
JP4589366B2 (ja) 忠実度最適化可変フレーム長符号化
JP5773124B2 (ja) 信号分析制御及び信号制御の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83093B2 (ja) ビット率拡張音声符号化及び復号化装置とその方法
US20110112843A1 (en) Signal analyzing device, signal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US9118805B2 (en) Multi-point connection device, signal analysis and device, method, and program
JP5668923B2 (ja) 信号分析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と、信号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JP5313967B2 (ja) ビット率拡張音声符号化及び復号化装置とその方法
KR20070035029A (ko) 신호 복호화 장치
KR20100024426A (ko) 신호 분석 장치와, 신호 제어 장치와, 그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WO2009087923A1 (ja) 信号分析制御、信号分析、信号制御の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143197A (ja) 再生装置
JP2000244325A (ja) Mpegオーディオの復号化方法
KR20070008377A (ko) 주파수 크기데이터 양자화/역양자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이용한 오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21

Effective date: 201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