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3697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3697A
KR20100023697A KR1020080082600A KR20080082600A KR20100023697A KR 20100023697 A KR20100023697 A KR 20100023697A KR 1020080082600 A KR1020080082600 A KR 1020080082600A KR 20080082600 A KR20080082600 A KR 20080082600A KR 20100023697 A KR20100023697 A KR 20100023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re
insulator
motor
teeth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680B1 (ko
Inventor
임민규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6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6Sta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02K1/165Shape, form or location of the slo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6Ro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터 코어의 서로 인접하는 티스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지 않도록 하여 코일 권선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세탁기에 적용되는 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적용 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의 상측 및 하측에서 인접하는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에 의해, 인접하는 티스 사이에 활용가능한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는 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터 코어의 서로 인접하는 티스 사이의 공간이 감소하지 않도록 하여 코일 권선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세탁기에 적용되는 모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적용 예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로터의 회전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이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이 세탁기의 드럼에 연결되어 드럼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냉장고의 팬과 연결되어 필요한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팬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모터의 스테이터 분해 사시도이다. 스테이터는 크게 스테이터 코어(11), 상부 인슐레이터(20), 그리고 하부 인슐레이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11)는 환형의 백요크(12)와, 백요크(12)의 외주를 따라서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티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스테이터 코어(11)의 외측에 로터(미도시)가 구비되어 회전하는 아웃터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 이터가 도시된 것이다.
그리고, 적층된 환형의 백요크(12)에는 각 층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스테이터 코어가 형성되도록 코킹부(14)가 형성된다. 티스(13)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 된다. 그러나 티스(13)는 일반적으로 도체 재질이므로, 티스(13)와 코일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가 일반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스테이터 코어(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슐레이터(20, 30)가 구비된다. 즉, 상부 인슐레이터(20)와 하부 인슐레이터(30)가 스테이터 코어(11)와 결합되어 스테이터 코어(11)를 감싸게 된다. 이때, 티스(13)를 감싸는 권선부(21, 31)에 코일이 권선 된다.
한편, 인슐레이터(20, 30)의 내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 보스(25, 35)가 형성되고, 체결 보스에는 스테이터를 드럼세탁기의 터브 후벽면(미도시)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26, 36)이 형성된다.
상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에서, 인슐레이터(20, 30)의 권선부(21, 31)는 각 티스(13)의 양 측면과 상하면 및 배면을 모두 감싸는 구조이다. 이러한 권선부(21, 31)에 코일이 감기게 될 경우, 각 티스(13)의 양측면에 형성된 권선부(21, 31)의 두께만큼, 코일이 감길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의 감소는 권선부(21, 31)에 감길 수 있는 코일의 권선수 및 코일의 직경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코일이 감길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터 및 모터가 장착된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과 코어 간의 절연을 위해 보다 적은 공간이 이용되도록 하는 모터 및 모터가 장착된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와 코어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모터 및 모터가 장착된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와 코일 간의 절연 강도를 유지하는 모터 및 모터가 장착된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의 상측 및 하측에서 인접하는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에 의해, 인접하는 티스 사이에 활용가능한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티스의 슈를 고정 지지하는 권선부를 구비하여, 코일의 권선과, 티스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티스의 양 측면에서의 절연을 위한 절연 박막을 구비하여, 권선되는 코일과 티스 간의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상부 또는 하부 인슐레이터의 베이스에 절연 박막을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티스와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티스와 상부 또는 하부 인슐레이터에 고정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의 폭과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의 티스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 사이에 스테이터 코어가 삽입가능한 공간의 폭이 가변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한 드럼 세탁기는 절연 박막이 분리가능하도록 절연 박막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상부 또는 하부 인슐레이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코일의 감길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역기전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모터 및 드럼 세탁기의 고출력(고성능) 및 고속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과 코어 간의 절연을 위해 보다 적은 공간이 이용되도록 하여, 다양한 코일의 권선수 및 코일 직경을 지닌 코일이 권선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와 코어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모터 및 드럼 세탁기의 구조상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와 코일 간의 절연 강도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모터 및 드럼 세탁기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된다.
하기에서는 드럼 세탁기가 예시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 방식은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으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드럼세탁기는, 구동방식에 따라서는 모터의 구동력이 모터 풀리 및 드럼 풀리에 감긴 벨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드럼에 전달되는 간접 연결 방식과, 모터의 로터가 드럼에 직결되어 곧 바로 모터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직결식으로 나뉜다.
여기서, 모터의 구동력이 드럼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고 모터 풀리 및 드럼 풀리에 감긴 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방식은 구동력 전달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 생하게 되고, 동력 전달과정에서 많은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존 드럼세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를 이용한 직결식 드럼세탁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장착되는 직결식 드럼세탁기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드럼세탁기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캐비닛(1) 내측에 터브(2)가 설치되고, 터브(2) 내측 중앙에는 드럼(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2) 후방측에는 모터가 설치되는데, 터브 후벽부에 스테이터(6)가 고정되고, 로터(5)는 스테이터(6)를 감싸면서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3)에 축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터브 후벽부와 스테이터 사이에는 터브(2)의 후벽부의 외곽 형상과 거의 동형을 이루며 스테이터의 체결시 터브 후벽부에 고정되어 스테이터의 하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스테이터의 동심도(同心度)가 유지되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터브 서포터가 개재(介在)된다. 이러한 터브 서포터는 일반적으로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하며, 터브(2)의 후벽부 대부분을 덮는다.
한편, 상기 캐비닛(1) 전방에는 도어(7)가 설치되고, 도어(7)와 터브(2)(Tub) 사이에는 가스켓(8)이 설치된다. 또한, 캐비닛(1) 상부면 내측과 터브(2) 외주면 상부측 사이에는 터브(2)를 지지하는 행잉 스프링(9)(Hanging spring)이 설치되고, 캐비닛(1) 하부면 내측과 터브(2) 외주면 하부측 사이에는 탈수시 발생하는 터브(2)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프릭션 댐퍼(1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전면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배면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6)는 스테이터 코어(11), 상부(또는 상측) 인슐레이터(40), 하부(또는 하측) 인슐레이터(50) 및 절연 박막(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11)는 환형의 백요크(12)와, 백요크(12)의 외주를 따라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티스(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테이터 코어(11)의 외측에 로터(15)가 구비되어 회전하는 아웃터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이터가 도시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반대로 티스(13)가 백요크(12)의 내주를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테이터는 이너 로터 타입 모터의 스테이터가 될 것이다. 또한, 티스(13)의 일단에는 슈(13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 코어(11)는 강판을 타발하여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측에 원형으로 발생되는 강판 조각 등은 필요가 없게 되어 재료가 낭비될 여지가 많다. 따라서, 띠형상의 백요크와 백요크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티스를 나선 형상으로 굴곡시켜 가면서 적층하여 스파이럴 코어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파이럴 코어 형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된 환형의 백요크(12)에는 각 층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스테이터 코어가 형성되도록 코킹부(14)가 형성된다.
인슐레이터(40, 50)는 코일(미도시)이 티스(13)에 권선되는 경우, 티스(13) 는 도체 재질이므로, 티스(13)와, 코일 사이의 절연을 위한 구비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스테이터 코어(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인슐레이터(40, 50)가 구비된다. 즉, 상부 인슐레이터(40)와 하부 인슐레이터(50)가 스테이터 코어(11)의 상면과 하면에 결합된다.
먼저,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40), (50)는 원형 형상의 베이스(42), (52) 와, 반경 방향으로 베이스(42), (52)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티스(44) 및 하부 티스(54)를 각각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티스(44), (54)는 스테이터 코어(11)의 티스(13)의 상측(또는 상면) 및 하측(또는 하면)에 각각 대응하여, 티스(13)의 상측 및 하측과, 이후에 감겨지는 코일 간의 절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코어(11)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40), (50)의 내측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 보스(45), (55)가 각각 형성되고, 체결 보스(45), (55)에는 스테이터(6)를 드럼세탁기의 터브 후벽면(미도시)에 위치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46), (56)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체결 보스(45), (55)는 반드시 터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아닐 수 있으며, 그 적용례에 따라 모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미도시) 내지는 모터 하우징(미도시)과 고정 결합되기 위한 구성일 수도 있다.
상부 인슐레이터(40)의 체결홀(46)과, 하부 인슐레이터(50)의 체결홀(56)은 상부 인슐레이터(40), 스테이터 코어(11), 그리고 하부 인슐레이터(50)가 결합 시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체결홀을 형성한다. 이러한 체결홀에 볼트(미도시) 등을 통하여 스테이터 전체가 전술한 터브 등에 고정된다. 또한, 상부 인슐레이터(40)의 체결 보스(45)는 하부 인슐레이트(50)을 향하여 돌출된 지지부(45a)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지지부(45a)는 다양한 높이를 지닌 스테이터 코어(11)에 적용되어, 상부 인슐레이터(40)와, 하부 인슐레이터(50) 및 스테이터 코어(11)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지지부(45a)는 상부 인슐레이터(40)의 사출 시에 그 크기(또는 높이)가 가변되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지지부(45a)는 하부 인슐레이터(50)의 체결 보스(55)에 형성되거나, 상부 인슐레이터(40)의 체결 보스(45) 및 하부 인슐레이터(50)의 체결 보스(55)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홀(46), (56) 내부에는 금속 재질의 관(미도시)이 삽입되어, 상부 인슐레이터(40)와, 스테이터 코어(11) 및 하부 인슐레이터(50) 간의 결합시에, 체결홀(46), (56)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이 금속 재질의 관은 일체형(관의 끊김이 없는 형태)의 관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을 권선함에 있어서, 3상(u, v, w)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티스(13)에 코일의 권선이 종료되면 코일은 상부 인슐레이터(40)에 형성된 코일 감김 리브(41)에 감겨 고정된 후 이웃하는 두 개의 티스(13)를 건너서 다음 티스(13)에 다시 권선된다. 코일 감김 리브(41)는 상측을 향하여 베이스(42)에 형성된다. 이러한 코일의 시작단과 말단은 각각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48)과 중성점 탭 터미널(49)에 위치된다. 여기서, 전원 접속용 탭 터미널(48)에는 3 상(Phase)의 전원이 u, v, w 각 상의 코일에 인가된다. 아울러, 각 상의 코일의 말단들은 모두 중성점 탭 터미널(49)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성점을 형성하게 된다. 탭 터미널(48), (49)는 외형이 절연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인슐레이터(40) 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코일 감김 리브(41)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원주 방향 따라 인슐레이터 리브(40a)이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인슐레이터 리브(40a)는 상부 인슐레이터(40)뿐만 아니라 하부 인슐레이터(50)에도 형성된다. 이러한 인슐레이터 리브(40a)은 소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인슐레이터(40, 50)의 내측의 수분이 티스(44, 54)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인슐레이터 리브(40a)는 코일이 권선되는 높이 보다 높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스테이터(6)를 취급할 때 주변의 다른 물건 등에 코일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즉, 바닥에 내려 놓는 경우에는 바닥에 인슐레이터 리브(40a)만 접촉하고 코일은 바닥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코일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절연 박막(60)은 이웃하는 티스(13) 사이에 형성되어, 코일이 이 절연 박막(60)의 위에 감기도록 하여, 티스(13)와, 코일 간의 절연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절연 박막(60)은 스테이터 코어(11)의 백요크(12) 측면에 대응하는 면(60a)과, 티스(13)의 대응하는 측면들에 대응하는 면(60b), (60c)와, 상부 티스(44) 및 하부 티스(54)에 대응하는 면(60d), (60e)으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티스(13) 사이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연 박막(60)은 일면이 접착제에 의해 티스(13)의 측면에 피복되거나, 열 압착될 수도 있다. 절연 박막(60)은 예를 들면, PE (Poly-ethylen) 계열 수지가 사용될수 있다.
이 절연 박막(60)은 종래 기술에서의 권선부(21)의 두께에 비하여 현저하게 얇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코일이 감길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때, 각 티스(13)의 양 측면과, 상부 티스(44) 및 하부 티스(54)를 따라서, 코일이 권선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40), (50)는 스테이터 코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가 인서트 사출되어 인슐레이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 및 4b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전면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배면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편의상 스테이터 코어(11)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설명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티스(44)는 외부 방향의 단부에 권선부(43)를 구비하여, 이후에 권선되는 코일이 상부 티스(44) 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권선부(43)는 티스(13)의 슈(13a)의 상측을 고정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상부리브(43a), (43b)와, 제1 및 제2 상부리브(43a), (43b)의 측면과 권선부(43)의 저면에 권선부(43)의 진행 방향(또는 원주 방향)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상부리브(43c), (43d)를 구비한다. 티스(13)의 슈(13a)의 상측은 제1 및 제2상부리브(43a), (43b)과, 제3 및 제4상부리브(43c), (43d)에 의해, 제3 및 제4 상부리브(43c), (43d)의 외부 방향에 형성된 공간(수용공간 또는 수용홈)으로 진입하여, 고정된다. 도시된 걸림턱(47)은 상술된 절연 박막(6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티스(54)는 외부 방향의 단부에 권선부(53)를 구비하여, 이후에 권선되는 코일이 하부 티스(54) 상에 위치되도록 가이 드하게 된다. 권선부(53)는 티스(13)의 슈(13a)의 상측을 고정하기 위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하부리브(53a), (53b)와, 제1 및 제2하부리브(53a), (53b)의 측면과 선부(53)의 상면에 권선부(53)의 진행 방향(또는 원주 방향)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된 제3 및 제4하부리브(53c), (53d)를 구비한다. 티스(13)의 슈(13a)의 하측은 제1 및 제2하부리브(53a), (53b)과, 제3 및 제4하부리브(53c), (53d)에 의해, 제3 및 제4하부리브(53c), (53d)의 외부 방향에 형성된 공간(수용공간 또는 수용홈)으로 진입하여, 고정된다.
도 5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배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a 및 4b와 함께 고려되어, 베이스(42), (52)를 향하는 권선부(43), (53)의 내측면을 살펴본다.
권선부(43)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상부리브(43a, 43b)와, 제3 및 제4상부리브(43c, 43d)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절연 박막(60)이 진입하게 되며, 면(43e, 43f)에 접하게 된다. 또한, 절연 박막(60)의 고정 및 이탈 방지를 위해 걸림턱(43g, 43h)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면(43e, 43f)에 형성된다. 또한, 면(43e, 43f)에 절연 박막(60)이 일부분 삽입될 수 있는 수용홈(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권선부(53)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하부리브(53a, 53b)와, 제3 및 제4하부리브(53c, 53d)에 의해 형성된 공간(수용공간 또는 수용홈)으로 절연 박막(60)이 진입하게 되며, 면(53e, 53f)과, 제3 및 제4하부리브(53c, 53d)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도 6은 도 3의 모터의 스테이터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점선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의 스테이터(6)는 코일이 감기기 전의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인슐레이터(40)와, 스테이터 코어(11)와, 하부 인슐레이터(50)가 결합되며, 각 티스(13) 사이에 절연 박막(60)이 각각 삽입되거나 접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11)의 티스(13)의 슈(13a)의 상하단이 권선부(43), (53)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의해 고정 장착된다.
절연 박막(60)은 상부 인슐레이터(40)와, 하부 인슐레이터(50)에 양 단부가 접하여 고정되고, 스테이터 코어(11)의 티스(13) 측면과, 백요크(12)의 측면에 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절연 박막(60)은 상부 인슐레이터(40)의 베이스(42)에 형성된 걸림턱(47)에 의해, 외부 또는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제한된다. 이러한 걸림턱은 하부 인슐레이터(50)의 베이스(52)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스(13)의 상단에 상부티스(44)가 위치되고 티스(13)의 하단에 하부 티스(54)의 위치하여, 스테이터 코어(11)의 고정과, 티스(13)와, 권선되는 코일 간의 절연이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티스(13)의 폭과 상부티스(44) 및 하부티스(54)의 폭은 동일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스(13)의 폭이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부티스(44) 및 하부티스(54)의 폭은 코일이 감기는 공간을 극대화시키는 점에 상 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절연 박막(60)의 상단과 하단이 상부 티스(44) 및 하부 티스(54)의 적어도 일부분까지 피복하도록 위치되어, 티스(13)와 코일 간의 절연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티스(13)의 폭이 상부 티스(44) 및 하부 티스(54)의 폭보다 다소 작은 경우, 도 8과 같이 절연 박막(60)이 형성될 수도 있고, 절연 박막(60)이 티스(13)의 양 측면의 넓이에 대응되도록 되어, 접착되거나 고정됨으로써, 절연을 유지할 수도 있다.
상술된 경우들에서, 상부 티스(44) 및 하부 티스(54)의 폭과, 티스(13)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하여, 상부티스(44)와, 하부티스(54)가 티스(13)의 측면을 덮지 않거나, 덮는 면이 최소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코일이 감길 수 있는 공간이 극대화된다. 또한, 절연 박막(60)의 두께는 절연정도에 따라 상당히 얇게 형성되도록 하여, 코일이 감길 수 있는 공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티스(13)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수에 비례하여, 역기전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고 출력 및 고속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권선수로 코일이 감길 경우에도, 보다 큰 직경을 지닌 코일이 권선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터 및 모터를 장착하는 드럼 세탁기에서의 속도 가변폭이 증가하게 되어, 세탁 등과 같은 공정에서 다양한 속도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부(43)의 하면과 제1 및 제2상부리브(43a, 43b) 및 제3 및 제4상부리브(43c, 43d)에 의해 형성되되, 반경 방향의 외측에 형성 된 공간에 티스(13)의 슈(13a)를 고정하며, 반경 방향의 내측에 형성된 면(43e), (43f)으로 절연 박막(60)의 면(60d), (60e)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이터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장착되는 드럼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전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부 및 하부 인슐레이터들의 배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모터의 스테이터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Claims (13)

  1. 백요크와, 백요크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서 돌출된 티스로 이루어진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이 권선되되, 스테이터 코어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코일과 스테이터 코어 사이가 절연되도록 하는 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스테이터 코어의 백요크 또는 티스의 측면에 대응하여 장착되어, 코일과 스테이터 코어 사이가 절연되도록 하는 절연 박막을 구비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절연 박막은 스테이터 코어의 백요크 또는 티스의 측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절연 박막은 스테이터 코어의 서로 이웃하는 티스 사이에서, 서로 이웃하는 티스의 측면들과, 이들 측면 사이의 백요크의 측면에 대응하여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의 백요크에 대응하는 베이스와,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에 대응하는 티스로 이루어지고,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의 폭과, 인슐레이터의 티스의 폭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슐레이터의 티스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에 형성된 슈를 고정하고, 권선되는 코일이 인슐레이터의 티스 상에 위치되도록 인슐레이터의 티스의 단부에 형성된 권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권선부는 절연 박막의 양 단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5항에 있어서, 권선부는 절연 박막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4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측면에 절연 박막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4항에 있어서, 인슐레이터는 상부 인슐레이터와, 하부 인슐레이터로 구성되며, 스테이터 코어가 삽입가능한 공간의 폭이 가변되도록 하는 지지부가 상부 인슐레이터 또는 하부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이 권선되되, 스테이터 코어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대응하는 제1절연 부재와, 스테이터 코어의 측면에 대응하는 제2절연부재를 구비하되, 제2절연부재의 두께가 제1절연부재의 두께보다 얇도록 형성된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절연부재와 제2절연부재는 분리되되, 제1절연부재 상에 코일이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2절연부재는 스테이터 코어의 측면 또는 제1절연부제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2절연부재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 사이에 삽입되며, 인슐레이터는 제2절연부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80082600A 2008-08-22 2008-08-22 모터 KR10158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600A KR101582680B1 (ko) 2008-08-22 2008-08-22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2600A KR101582680B1 (ko) 2008-08-22 2008-08-22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697A true KR20100023697A (ko) 2010-03-04
KR101582680B1 KR101582680B1 (ko) 2016-01-05

Family

ID=4217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2600A KR101582680B1 (ko) 2008-08-22 2008-08-22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9923A (ja) * 2018-02-28 2019-09-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回転電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205A (ja) * 1999-10-08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およびその応用機器
KR20060078845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웃터로터타입 모터의 스테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205A (ja) * 1999-10-08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およびその応用機器
KR20060078845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웃터로터타입 모터의 스테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9923A (ja) * 2018-02-28 2019-09-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回転電機
CN110212672A (zh) * 2018-02-28 2019-09-06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旋转电机的定子以及旋转电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680B1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8741B2 (en) Stator of outer rotor type moto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336014B2 (en) Stator of outer rotor type motor for drum type wash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7342344B2 (en) Stator of outer rotor type moto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362028B2 (en) Stator of outer rotor type motor for drum type washer
EP1854199B1 (en) Dual rotor type motor
US20080122300A1 (en) Motor
JP2005137911A (ja) ドラム洗濯機
US862189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755242B2 (en) Mo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060084139A (ko) 이중 로터형 모터
EP1718793B1 (en) Stator of outer rotor-type moto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640803B1 (ko) 이중 로터형 모터
KR20040075780A (ko) 벨트와 풀리 링크를 통해 기구학적으로 연결된 회전드럼을가진 세탁기 및 그와 유사한 가전제품용의 동기전기모터
KR101033574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KR20100023697A (ko) 모터
KR101033573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KR101033570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KR100587297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95195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CN212392717U (zh) 电动机、定子、转子、洗衣机、烘干机和洗衣烘干机
KR101033576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KR101295574B1 (ko) 세탁기 모터
KR101033575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KR101033571B1 (ko) 드럼세탁기용 아웃터로터형 모터의 스테이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