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978A - 보호 피난처 - Google Patents

보호 피난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978A
KR20100022978A KR1020097026056A KR20097026056A KR20100022978A KR 20100022978 A KR20100022978 A KR 20100022978A KR 1020097026056 A KR1020097026056 A KR 1020097026056A KR 20097026056 A KR20097026056 A KR 20097026056A KR 20100022978 A KR20100022978 A KR 2010002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shelters
shelter
roof
tra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헤셀덴
Original Assignee
헤스코 베스티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709319A external-priority patent/GB070931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709569A external-priority patent/GB070956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803661A external-priority patent/GB2449328B/en
Application filed by 헤스코 베스티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헤스코 베스티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2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10Independent shelters; Arrangement of independent splinter-proof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5/00Tent, canopy, umbrella, or cane
    • Y10S135/906Arched structure

Landscapes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전쟁 지역 내에서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안전하며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보호 피난처가 제공된다. 상기 피난처는 대향하는 외측 벽과 상기 외측 벽들 사이로 연장하는 지붕 구조물로 형성되며, 상기 지붕 구조물은 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트레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트레이 부재는 지붕 구조물을 통해 제 1 보호 층을 제공하기 위해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재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트레이 부재는 상기 대향 벽으로부터 떨어진 중앙에서의 피난처의 내부 높이가 상기 벽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상기 피난처를 가로지르는 얕은 아아치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호 피난처 {PROTECTIVE SHELTER}
본 발명은 보호 피난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러한 피난처는 전쟁 지역 내에서 보호 지역을 제공하며 신속, 안전 및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
순간적인, 또는 신속 건설 피난처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건을 필요로 하지만, 일반적으로 피난처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수준과 구조물을 건설하는데 필요한 속도, 신뢰성 및 용이함 사이의 절충이 존재한다.
또한, 피난처에 의해 요구되는 보호 정도는 시간과 알려진 보호 피난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아마도 적절한 초기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면 더 낮거나 더 높은 보호 수준이 필요한 시나리오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지된 그러한 피난처에 대해 장점을 갖는 피난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을 구현한 피난처의 예들은 최소 인원수를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구조물의 각각의 별도 부품들이 한 손에 의해 제거 및 들어올릴 수 있는 방식으로 신속하고, 유력하며 신뢰성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별도의 부품들은 2 m × 2.2 m와 같은 팔레트 칫수를 갖는 팔레트 상에서 편평하게 적층된 미조립 형태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는 크기가 유리하다.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대향 외측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들 사이로 연장하는 지붕 구조물을 제공하는 보호 피난처를 제공하며, 상기 지붕 구조물은 지붕 구조물 내에 제 1 보호 층을 제공하기 위해 내층(inner skin)을 형성하는 토양, 모래 또는 골재(aggregate material)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트레이(tray)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부재는 빔(beam)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배열되며, 상기 빔은 대향 지지대로부터 멀어지는 중앙 쪽에서의 피난처의 내부 높이가 지지대의 높이보다 높도록 피난처를 가로지르는 얕은 아아치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얕은 아아치 구조물의 신속하고 신뢰성 있는 형성을 보조하기 위해, 지지 빔 부재는 유리하게, 동일한 형상과 구성의 빔을 포함하며, 상기 빔의 단부면은 각각의 빔의 길이방향 길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각지거나 경사져 있다. 상기 평면에 대한 각도는 유리하게 7.5°이다.
추가의 장점으로서, 측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되는 트레버스 빔의 단부들은 앵커 조립체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트레버스 빔의 수직 부재는 상기 빔들을 지지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플리치(flitch)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섹션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섹션들은 빔 내부에 제어가능한 허용공차를 갖는 채널들이다. 유리하게, 이러한 방식으로 트레버스 빔을 플리치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강력하고 연속적인 지붕 빔을 생성한다.
앵커 조립체는 유리하게, 피난처의 길이를 따라 트레버스 빔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며 각각의 트레버스 빔이 인접 앵커 조립체 유닛에 고정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이들들 사이에 샌드위치 식으로 끼이도록 배열된다. 이와는 달리, 각각의 앵커 조립체 유닛이 인접 트레버스 빔들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이들 사이에 샌드위치 식으로 끼이도록 배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앵커 조립체 유닛에는 피난처 벽의 상부면의 길이를 따라 연장함으로써 상기 벽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린텔 빔(lintel beam)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경질의 발판(footing)/지지 구조물이 트레버스 지붕 빔과의 고정 연결을 통해 제공된다. 상호 연결된 앵커 조립체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그러한 경질 지지 구조물은 외벽이 손상되거나 외벽의 일체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약화된다면, 전체 지붕 구조물의 경도와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지됨으로써 상기 벽(들)에 대한 그러한 어떤 손상에도 불구하고 지붕 구조물이 제위치에 유지되는 유리한 역할을 하는 빙식으로 전술한 린텔 빔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은 유리하게, 상기 트레이 부재로부터 이격되고 프리-디토네이션(pre-detonation) 스크린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제 2 층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은 유리하게, 상기 트레이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층, 및 토양, 모래, 골재 층으로부터 약 1 m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레이 부재는 대향 단부에 상호 연결가능한 결합 구조물을 가지는 일련의 상호 연결된 동일한 트레이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의 특징으로서,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층 위에 제공되는 지붕 구조물의 부분들은 유리하게, 예를 들어 비계용 기둥(scaffold pole)과 같은 내측 연결된 금속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기둥은 지붕의 전체 구조물 내부에 지붕 트러스 및 서까래 기둥(rafter pole)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일 예로서,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은 19 mm 두께의 합판(plywoo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 및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지붕 구조물이 피난처의 대향 벽들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개비온 유닛(gabion unit) 상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한 특히 유리하다.
상기 벽 구조물은 유럽 특허 0 466 726호의 요지인 구조물 블록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전체 보호 피난처는 필요에 따라, 그리고 직면한 위험 수준과 요구되는 보호 수준에 따라 대응하는 방식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단 개비온들이 피난처의 벽을 형성하도록 제위치에 있다면, 지붕 구조물이 최소 필요 인원과 전술한 부품들의 사용을 통해서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래버스 빔과 그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트레이, 및 그 상부에 제공되는 토양, 모래 또는 기타 골재 층에 의해서 구조적으로 강력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폭파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의 보호를 일차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보호 수준은 필요할 때 신속하고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다시 구성될 수 있는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을 포함함으로써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보호 수준의 적용 정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피난처에 의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이후에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피난처의 단면도이며,
도 1a는 도 1의 보호 피난처의 연결 구조물인 지붕 트러스와 지지대의 추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1b는 도 1의 보호 피난처의 지붕 트러스와 지지대의 다른 추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호 피난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호 피난처의 추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추가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보호 피난처의 다른 추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추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피난처, 특히 피난처의 지붕 구조물 상에 놓이는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의 추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지붕 구조물 내부의 지붕 트러스를 지붕 구조물의 트레버스 빔에 연결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트레버스 빔의 정면도이며,
도 7a는 트레버스 빔의 횡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1의 보호 피난처의 지붕 트러스와 지지대의 다른 추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는 도시되었지만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은 지붕 구조물의 일부를 다시 형성하는 트레이 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의 구조물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보호 피난처의 이격된 벽과 지지 대향 벽의 사시도이다.
도 1을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피난처(1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피난처(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이 상부에 지지되어 있는 정렬된 개비온으로 형성되는 대향 측벽(12a,12b)이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지붕 구조물은 피난처(1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대향 측벽(12a,12b)에 평행한 한 쌍의 평행한 길이방향 빔(14,16)을 포함한다.
대향 측벽(12a,12b)의 상부면 상에 일부 지지되도록 피난처(10)의 폭을 가로질러 피난처에 수직한 방식으로 연장하고 길이방향 빔(14,16) 상에 지지되는 것은 직렬 연결되는 세 개의 긴 트레버스 빔(18,20,22)을 포함하는 트레버스 빔 구조물 이다.
대향 측벽(12a,12b) 각각의 상부면 상에 지지되는 트레버스 빔(18,22) 각각은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과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대향 측벽(12a,12b) 상에 트레버스 지붕 빔 구조물(18,20,22)을 위한 고정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그러한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도 측벽(12a,12b)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경질의 고정 린텔 빔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트레버스 지붕 빔(18,20,22)에의 연결을 통해서 상호연결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 각각에 대한 형상과 구성 및 구조의 세부 사항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후에 추가로 상세히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버스 빔(18,20,22)은 주변에 대해 작은 각도로 위치되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트레버스 빔(18,20,22)은 대향 측벽(12a,12b)들 사이로 연장하는 얕은 아아치를 형성한다.
이후의 도 7의 추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각각의 트레버스 빔(18,20,22)의 각각의 단부면은 상기 빔의 길이방향 길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작은 각도, 바람직하게 7.5°정도로 제공되어서, 각각 직렬 연결된 트레버스 빔(18,20,22)의 각각의 단부면이 맞닿을 때 얕은 아아치가 적합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러한 얕은 아아치의 제공으로 지지 대향 측벽(12a,12b)에 제공해야 할 높이와 그에 따른 대향 측벽(12a,12b)에 제공해야 할 두께로 유리하게 제한하면서, 보호 피난처에 적합한 내부 높이를 유리하게 제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 구조재의 신중한 설계를 통해서, 지붕 구조물은 각각의 단일 부품들이 한 손으로 들어 올려지고 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트레버스 빔(18,20,22)으로부터, 그리고 트레버스 빔(18,20,22)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것은 각각의 지붕 트러스(24,26;28,30;32,34) 쌍이다.
도시된 예에서, 지붕 트러스는 금속 기둥 형태이며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로부터 이격된 지붕 트러스(24,26;28,30;32,34) 기둥의 각각의 쌍의 단부는 이후에 설명하는 지붕 구조물의 다른 특징들에 의해 또는 직접적으로 함께 연결된다.
지붕 트러스(24,26;28,30;32,34)의 각각의 쌍은 도시된 방식으로 피난처(10)의 지붕 구조물의 상부를 가로질러 횡단 방식으로 연장하는 서까래 기둥(36,38)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서까래 기둥(36,38)의 외측 단부는 피난처(10)의 지붕 구조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대향 측벽(12a,12b)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처마 기둥(40)에 연결된다.
서까래 기둥(36,38)의 내측 단부는 도시된 예에서, 비계용 튜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피난처(10)의 지붕 구조물의 상부 길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중앙 리지 기둥(42)에 연결된다.
처마 기둥(40)에서와 같이, 리지 기둥(42)은 피난처(10)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대향 외측 측벽(12a,12b) 및 길이방향 빔(14,16)에 평행한 방식으로 연장한다.
추가의 특징으로서, 길이방향 빔(14,16)에 대한 내측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내측 소기구(44,4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가 개비온의 외측 벽 주위에 설계되었지만, 충분하지 않은 지지를 제공해도 된다면 조절가능한 소기구(48,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물에 대한 적합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벽 구조물 내에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후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까래 기둥(36,38) 및 최외측 지붕 트러스(24,3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합판 패널로 형성될 수 있는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52)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는 리지 기둥(42), 서까래 기둥(36,38) 및 지붕 트러스(28,30)의 교차지점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유사하게, 도 1b는 처마 기둥(40), 서까래 기둥(38) 및 지붕 트러스(32,34)의 교차지점을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상기 구조물을 완성하고 그 구조물에 약간의 내후성을 제공하기 위해, 대향 측벽(12a,12b)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외측 지붕 직물 커버(54)가 제공된다.
도 1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도시된 실시예의 보호 피난처(10)의 지붕 구조물은 두 개의 층 구조물로 유효하게 형성되며,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은 제 1 외층으로서 합판 패널에 의해 제공되며, 다소 높은 보호성과 경도를 갖는 제 2 내층은 트레버스 빔(18,20,22)의 각각의 평면 내에 표면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며 그 내부에 도 1에 화살표(A)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 모래 또는 기타 골재들이 위치되는 측면으로 연장하는 트레이 섹션(이후의, 예를 들어 도 8 참조)에 의해 제공된다.
합판 패널(52)에 의해 제공되는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이 예를 들어, 후속 모르타르 라운드(motar round)의 디토네이션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지는 한, 그러한 어떤 폭풍의 결과물도 지붕 구조물의 트레이 상에 위치된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층(18)에 의해 유리하게 흡수됨으로써 지붕 구조물의 내층의 전체적인 일체성을 유지하고 상기 구조물 내에 위치된 피난민에 대한 적절한 보호 수준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52)과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층(80) 사이의 거리는 적합한 폭풍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1 미터 정도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의 보호 피난처의 평면도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 중 단지 하나 만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만, 피난처(10)의 길이를 따라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상기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인접 트레버스 빔(18,22)은 이후에 더 후술되지만 그 인접 쌍의 위치가 도 2에 화살표(23)로 표시되어 있는 빔 앵커 조립체에 의해 분리되나 단단히 연결된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련의 알루미늄 트레이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버스 빔(18,20,22)의 각각의 쌍들 사이에 장착되며 이들 빔의 각각 의 섹션은 트레이가 장착되는 렛지를 제공하도록 역 T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트레이의 일 예의 정확한 구성은 도 8과 관련하여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트레버스 빔(18,20,22)의 각각의 쌍들 사이에 위치되는 일련의 상호 연결된 트레이가 토양, 모래 또는 기타 골재 층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한,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층을 제공하기 이전에 트레이 상에 토목섬유(geotextile) 층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토목섬유 재료는 트레버스 빔에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 유리하게 클립 고정되거나 일반적으로 고정된다.
그러한 토목섬유 층(도면에 도시 않음)은 지붕 구조물을 통해 피난처에 의해 제공되는 설비의 내측으로 모래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지 트레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층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또한 도 1에 단면으로 도시한 보호 구조물에 대한 특정 치수를 명확히 나타낸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유사한 평면도가 제공되지만, 본 도면에서는 단지 지붕 트러스 구조물(24,26,28,30,32,34)만이 리지 기둥(42)과 처마 기둥(40)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과 같이, 지붕 구조물(24,26,28,30,32,34)이 보호 피난처(10)의 길이를 따라 반복된다.
도 4와 관련하여, 지붕 트러스, 리지 기둥 및 처마 기둥들이 또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도면에서는 서까래 기둥(36)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서까래 기둥은 일련의 지붕 트러스의 어느 한 쪽으로 보호 피난처(10)의 지붕 구조물을 가로질러 각각 쌍을 이루며 연장한다.
합판 시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52)은 도 5에 완성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19 mm 두께의 합판 시이트가 후속 모르타르 등의 디토네이션을 보장하기 위한 시도로 사용된다.
이후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지붕 트러스를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부재(도 1에 도시 않음)의 부분 단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지붕 트러스(26)에 대한 참조로 도시되며 각각의 커넥터는 내부에 지붕 트러스(26)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블라인드 보어(26)를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 보어(56)로부터 이격된 커넥터의 단부에는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된 러그(58,60)가 제공되며, 상기 러그에 의해 커넥터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에 볼트 고정될 수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도 1에 도시된 3 개의 트레버스 빔(18,20,26) 중의 하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트레버스 지붕 빔(18,20,22)으로서 사용된 것과 같은 빔 및 도 7의 빔(18)의 횡단면도이다.
지붕 빔(18)의 역 T자형 단면은 지붕 구조물의 일부로서 추가로 설명되는 모래, 토양 또는 골재-지지 트레이들 각각의 측면 길이부와 결합하도록 배열되는 측 면 연장 지지부(19,21)를 참조하여 도 7a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해될 수 있듯이, 트레버스 빔(18)의 각각의 단부면은 각져 있거나 경사진 구성이며 바람직하게 각각의 트레버스 빔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대해 7.5°의 각도로 오프셋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미리 연결된 트레버스 빔(18,20,22)은 얕은 아아치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도 7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은 빔(18,20,22)의 각각의 각진/경사형 단부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빔(18,20,22)을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그러한 얕은 아아치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트레버스 빔(18,20,26)의 위치적 선택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구조물이 효율적이고 신속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구멍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멍들에 의해 볼트가 수용되어 트레버스 빔(18,20,22)의 플리치 플레이트 또는 브래킷 부재와 직렬 연결되며,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트러스(26,28,30,32)와도 연결된다. 도 7b는 예시적인 플리치 플레이트(70)의 상세한 정면도이며, 상기 플리치 플레이트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블라인드 보어(56)를 포함하는 커넥터 부재 및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이 부착된다. 상기 빔과 플리치 플레이트와의 정렬을 위해 선택적인 마커 바(72)가 플리치 플레이트(7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는 내부에 토양, 모래 또는 골재를 수용하고 유산탄 등에 대한 필요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평행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들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트레이 중 하나의 트레이(62)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해될 수 있듯이, 각각의 트레버스 빔(18,20,22)은 각각의 인접 빔 쌍이 렛지를 제공하여 그 사이에 긴 트레이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역 T자형 횡단면부를 가진다.
피난처(10)의 폭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트레버스 빔(18,20,22)에서와 같이, 트레이(26)는 피난처(10)의 폭을 가로질러, 그리고 물론 각각의 평행한 트레버스 빔 구조물(18,20,22)과 공동 결합된 구성물(64,66)로 제공되는 각각의 단부들 사이로 연장되는 직렬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도 8로부터 이해될 수 있듯이, 두 개 또는 그보다 많은 트레이(62)가 상호 연결될 때 하나의 트레이의 직립 결합 구성물(66)이 직렬 연결된 인접 트레이의 후크 구성물(64) 내에 수용된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은 신속, 안전하고 강하지만 경량인 피난처용 지붕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각각의 트레이 구조는 프리-디토네이션 스크린의 근처에서 발생될 수 있는 어떤 폭풍에 대한 굽힘 저항을 제공하며 또한 내부에 제공된 토양, 모래 또는 골재의 중량을 안정하게 지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측면으로 연장하는 지붕(68)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는 도 1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 중의 하나가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외벽(12a)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의 측면도이며, 상기 유닛은 하나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한 쌍의 측면으로 연장하는 발판(29)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으로부터 경사진 면판(31)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각으로 상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도 10에 추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의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용접된 것은 도 9에 하나가 도시된 한 쌍의 단부 판(25)이다.
각각의 단부 판(25)은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을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레버스 빔(18) 및 특히 그와 결합되는 볼트와 플리치 플레이트 설비에 결합하기 위해 배열되는 한 쌍의 구멍(27)을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세부 사항들이 상기 유닛(23)의 평면도로서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벽부(25,25')가 측면 연장 판(31)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각 발판(29,29')의 각각의 위치도 도시되어 있다.
도 1 장치의 사용시, 복수의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은 나란한 방식으로 위치되며 트레버스 지붕 빔(18)에 고정되는 각각의 측면 판(25,25')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각 두 개의 인접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23)이 공통의 트레버스 지붕 빔(18)에 연결되고 또한 효과적으로 분리되어서, 상기 벽(12a)의 상부 영역의 길이를 따라 상호연결된 지붕 빔 앵커 조립체 유닛(31)과 이격된 트레버스 빔(18)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적인 린텔 빔이 제공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피난처의 출입구는 피난처 문의 외측에 위치되며 예를 들어, 7 개의 배스천 유닛(bastion unit)의 라인으로 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이격된 벽(74)의 제공에 의해 추가로 보호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지붕 구조물용 포치(76: porch)가 피난처와 이격된 벽 사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포치는 내부에 모래가 제공되는 보다 작은 개비온 유닛이 제공되는 크레이트 구조물(crate structure)을 포함한다.
그 다음에, 지붕 구조물용 보호 포치(76)를 보호 피난처용 출입구에 제공하는 크레이트 지지 개비온 위에, 지붕 구조물에 의해 보호 피난처의 전반적인 내측 영역에 제공되는 보호 수준을 피난처 출입구의 영역으로 확장하기 위해 프리-디토네이션 층의 연장부가 제공될 수 있다.
프리-디토네이션 층은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층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일 수 있다면 어떤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고 물론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고려될 수 있는 상기 합금은 중량/강도 비율의 관점에서 특히 유리함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호 피난처의 특징들은 후 조립을 위한 조립되지 않은 납작한 포장 형태(flat-pack form)로 공급될 수 있다고 또한 이해해야 한다.

Claims (23)

  1. 보호 피난처로서,
    대향하는 외측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사이로 연장하는 지붕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붕 구조물은 상기 지붕 구조물 내에 제 1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내층을 형성하는 토양, 모래 또는 골재 재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트레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부재는 빔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빔들은 상기 대향하는 지지대로부터 떨어진 중앙에서의 상기 피난처의 내부 높이가 상기 지지대의 높이보다 높도록 상기 피난처를 가로지르는 얕은 아아치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대향하는 외측 지지대들 사이로 연장하는 트레버스 빔인,
    보호 피난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동일한 형상과 구성을 가지는,
    보호 피난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버스 빔들의 단부면은 상기 각각의 빔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보호 피난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에 대한 각도는 7.5°인,
    보호 피난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물은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제 2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배열되는 외층을 형성하며 상기 트레이 부재 위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보호 피난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보호 스크린인,
    보호 피난처.
  8. 제 1 항 및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물은 외측 직물 커버를 더 포함하는,
    보호 피난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부재와 상기 스크린 사이의 간격은 1 m 정도인,
    보호 피난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외측 지지대는 벽 또는 개비온인,
    보호 피난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비온은 구조 블록을 제공하기 위해 충전 재료로 채워지도록 채택되는 케이지 구조물이며, 상기 케이지 구조물은 개방 메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벽 또는 벽들 및 상기 개방 메쉬의 내측에 놓여지는 라이닝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닝 재료는 상기 라이닝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개방 메쉬를 통과하게 될 특정 재료에 의해 상기 케이지 구조물이 채워질 수 있게 하는,
    보호 피난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버스 빔은 상기 피난처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길이방향 빔에 의해 지지되도록 추가로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빔은 수직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조절가능한 소기구(props)인,
    보호 피난처.
  15.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지붕 트러스를 더 포함하는,
    보호 피난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트러스는 상기 트레버스 빔에 고정되고 상기 트레버스 빔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도록 각각의 쌍으로서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붕 트러스는 상기 트레버스 빔의 각각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 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트러스의 각각의 쌍은 상기 트레버스 빔의 말단부로부터 기단부까지의 정점에서 만나도록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서까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보호 피난처.
  20.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버스 빔의 단부들은 상기 대향하는 외측 지지대 상에 장착되는 앵커 조립체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조립체는 상기 피난처의 길이를 따라 상기 트레버스 빔을 이격시키도록 배열되며 또한 각각의 상기 빔이 인접 앵커 조립체 유닛들 사이에 샌드위치식으로 효과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보호 피난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처의 폭을 따라 연결되는 트레버스 빔들은 플리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연결되는,
    보호 피난처.
  23.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보호 피난처.
KR1020097026056A 2007-05-15 2008-04-18 보호 피난처 KR201000229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709319.8 2007-05-15
GB0709319A GB0709319D0 (en) 2007-05-15 2007-05-15 Protective shelter
GB0709569A GB0709569D0 (en) 2007-05-18 2007-05-18 Protective shelter
GB0709569.8 2007-05-18
GB0800652.0 2008-01-15
GBGB0800652.0A GB0800652D0 (en) 2007-05-15 2008-01-15 Protective shelter
GB0803661.8 2008-02-28
GB0803661A GB2449328B (en) 2007-05-15 2008-02-28 Protective she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978A true KR20100022978A (ko) 2010-03-03

Family

ID=3914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056A KR20100022978A (ko) 2007-05-15 2008-04-18 보호 피난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8434270B2 (ko)
EP (2) EP1992768B1 (ko)
JP (1) JP2010526954A (ko)
KR (1) KR20100022978A (ko)
CN (1) CN101675200B (ko)
AT (2) ATE435348T1 (ko)
CA (1) CA2683921C (ko)
CY (2) CY1109411T1 (ko)
DE (1) DE602008000036D1 (ko)
DK (2) DK1992768T3 (ko)
EA (1) EA017509B1 (ko)
ES (1) ES2328422T3 (ko)
GB (1) GB0800652D0 (ko)
GE (1) GEP20125490B (ko)
HK (1) HK1137791A1 (ko)
JO (1) JO2610B1 (ko)
PL (2) PL1992768T3 (ko)
PT (2) PT1992768E (ko)
TW (1) TW200912105A (ko)
WO (1) WO2008139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0B1 (ko) * 2010-05-25 2010-09-14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건축물의 제진용 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5744B2 (en) * 2006-12-15 2010-08-03 Global Shelter Systems, Inc. Construction block
GB0800652D0 (en) * 2007-05-15 2008-02-20 Hesco Bastion Ltd Protective shelter
US8209916B2 (en) * 2008-07-21 2012-07-03 Global Shelter Systems, Inc. Construction block
GB2465182B (en) * 2008-11-07 2013-07-31 Hesco Bastion Ltd Protective shelter
US20100126545A1 (en) * 2008-11-25 2010-05-27 Bullivant Todd J Rapidly deployable military vehicle repair facility
US20110226166A1 (en) * 2010-03-19 2011-09-22 Recon International FZE Overhead protection system
GB2479789B (en) * 2010-04-23 2013-08-14 Hesco Bastion Ltd Protective shelter
US9010230B2 (en) 2012-10-24 2015-04-21 Shieldpro, Llc Anti-ballistic shelters
US9382721B2 (en) * 2013-07-29 2016-07-05 Steven P. Morta Modular security system for above-ground structures
US10702085B1 (en) 2013-12-19 2020-07-07 Deck Dressings, Llc. Deck curtain system and method of use
US9567800B1 (en) * 2013-12-19 2017-02-14 Deck Dressings, LLC Deck curtain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6702905B (zh) * 2016-11-30 2018-07-27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挂式防护棚架施工法
RU174852U1 (ru) * 2017-07-24 2017-11-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Юг Технохим" Навес
JP7023784B2 (ja) * 2018-05-08 2022-02-22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防護構造
US11274464B2 (en) * 2018-09-13 2022-03-15 Baker Engineering & Risk Consultants, Inc. Fragment-, overpressure-, radiation-, and toxic-resistant emergency safety shelter
GB2581484B (en) * 2019-02-15 2021-11-24 Hesco Bastion Ltd Roof structure
US20220087353A1 (en) * 2020-09-22 2022-03-24 The Frame Job LLC Flexible frame with articulating joints
RU2750189C1 (ru) * 2020-10-19 2021-06-2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ихайловская военная артиллер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Защитное габ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824A (en) * 1910-02-08 Daniel P Daley Reinforced concrete floor construction.
US1821355A (en) * 1928-10-20 1931-09-01 Murray Richard Ceiling, floor, and roof construction
FR856983A (fr) * 1939-03-13 1940-08-19 Dispositif pour le corsetage de cuves et leur protection contre les attaques aériennes
US2793720A (en) * 1951-12-24 1957-05-28 Kwikform Ltd Scaffolding and other structural elements
US2985264A (en) * 1954-10-19 1961-05-23 Julius G Forstmann Form supporting girder
US3008435A (en) * 1957-12-27 1961-11-14 Dupuy Gaston Bomb-proof structure
US3206896A (en) * 1962-03-21 1965-09-21 Kelsey Hayes Co Roof structure for radiation shelter
NO127021B (ko) * 1972-02-17 1973-04-24 Dyno Industrier As
US3820294A (en) 1973-07-23 1974-06-28 C Parker Interlocking modules for rapid construction of shelters and barriers
US3940892A (en) * 1974-05-23 1976-03-02 Charles Lindbergh Self-erecting aircraft structure
FR2432580A1 (fr) * 1978-03-07 1980-02-29 Ardorel Ets Procede et revetement pour isoler thermiquement et proteger une construction
US4248342A (en) * 1979-09-24 1981-02-03 King Paul V Blast suppressive shielding
US4590721A (en) * 1982-12-16 1986-05-27 Berg Jeremy R Wood panel earth shelter construction
US4592184A (en) * 1984-07-16 1986-06-03 Joel I. Person Composite floor system
SE440112B (sv) 1984-10-25 1985-07-15 Lucksta Bergenstroem Ind Ab Mobil huskonstruktion
JPS63173697U (ko) * 1987-05-06 1988-11-10
EP0620326A1 (en) 1989-04-07 1994-10-19 Hesco Bastion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a method of making building and shoring structural blocks
US5159790A (en) * 1989-04-07 1992-11-03 Harding Lewis R Frame structure
PH31226A (en) * 1993-08-19 1998-05-12 Blazley Design Pty Ltd Explosion resistant building structures.
US7353642B1 (en) * 1995-07-17 2008-04-08 Jose Luis Henriquez Concrete slab system with self-supported insulation
US5740643A (en) * 1995-08-24 1998-04-21 Huntley; Henry Fireproof building
US5761862A (en) * 1995-10-03 1998-06-09 Hendershot; Gary L. Precast concret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5613453A (en) * 1995-12-29 1997-03-25 Donovan; John 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suppressing explosive detonations
US6173662B1 (en) * 1995-12-29 2001-01-16 John L. Donova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ing and suppressing explosive detonations
US6412231B1 (en) * 2000-11-17 2002-07-02 Amir Palatin Blast shelter
US6805035B2 (en) * 2002-12-06 2004-10-19 The Boeing Company Blast attenuation device and method
US7073306B1 (en) * 2003-05-29 2006-07-11 Harry Edward Hagaman Method of building
GB0800652D0 (en) * 2007-05-15 2008-02-20 Hesco Bastion Ltd Protective shel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40B1 (ko) * 2010-05-25 2010-09-14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건축물의 제진용 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5064A1 (en) 2010-01-20
GB0800652D0 (en) 2008-02-20
CY1111770T1 (el) 2015-10-07
JP2010526954A (ja) 2010-08-05
US20080283106A1 (en) 2008-11-20
DK1992768T3 (da) 2009-10-12
JO2610B1 (en) 2011-11-01
EP1992768B1 (en) 2009-07-01
PT2145064E (pt) 2011-09-01
EA017509B1 (ru) 2013-01-30
EA200971057A1 (ru) 2010-04-30
US7856761B2 (en) 2010-12-28
PL2145064T3 (pl) 2011-11-30
CN101675200A (zh) 2010-03-17
HK1137791A1 (en) 2010-08-06
GEP20125490B (en) 2012-04-25
PT1992768E (pt) 2009-09-28
DE602008000036D1 (de) 2009-08-13
PL1992768T3 (pl) 2009-12-31
EP1992768A1 (en) 2008-11-19
US8434270B2 (en) 2013-05-07
CN101675200B (zh) 2012-01-18
CY1109411T1 (el) 2014-08-13
WO2008139211A1 (en) 2008-11-20
US20100107938A1 (en) 2010-05-06
ES2328422T3 (es) 2009-11-12
CA2683921C (en) 2016-09-27
TW200912105A (en) 2009-03-16
ATE512270T1 (de) 2011-06-15
CA2683921A1 (en) 2008-11-20
DK2145064T3 (da) 2011-08-29
ATE435348T1 (de) 2009-07-15
EP2145064B1 (en)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2978A (ko) 보호 피난처
ES2877406T3 (es) Armazón tridimensional de acero ligero formado por vigas bidireccionales dobles continuas
US8549792B2 (en) Protective shelter
AU2012214539A1 (en) Precast wall panels and method of erecting a high-rise building using the panels
EP2844802B1 (en) SANDWICH PANEL and METHOD OF BUILDING SUCH A SANDWICH PANEL
US20130047829A1 (en) Protective shelter
RU2656399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ортового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GB2449328A (en) Blast shelter
JP3238390U (ja) シェルター
RU2279520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панель
KR101096999B1 (ko) 방탄 방폭 건축물
SU1090835A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RU47024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и стена из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BE872700A (nl) Werkwijze voor het optrekken van een bouwconstructie en volgens deze werkwijze opgetrokken bouwconstructie
CZ17790U1 (cs) Prefabrikovaná lehká stavba
EP2021556A1 (en) Structural section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MXPA06005049A (es) Sistema modular prefabricado para construccion rapida de casas-habitacion seriales, edificios, bodegas o naves industriales, armables y desarmables y proceso de instalacion.
KR20080002715U (ko) 다목적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