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921A -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921A
KR20100021921A KR1020080080593A KR20080080593A KR20100021921A KR 20100021921 A KR20100021921 A KR 20100021921A KR 1020080080593 A KR1020080080593 A KR 1020080080593A KR 20080080593 A KR20080080593 A KR 20080080593A KR 20100021921 A KR20100021921 A KR 20100021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generation
rack
power supply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536B1 (ko
Inventor
권원옥
김성운
김명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8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536B1/ko
Priority to US12/414,072 priority patent/US20100042860A1/en
Publication of KR20100021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은, 랙(Rack)에 장착되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 및 랙에 장착되어 다수의 컴퓨팅 장치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랙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되, 랙전원공급장치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와, 다수의 컴퓨팅 장치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다수의 전원 생성부 각각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080593
랙(Rack), 전원공급시스템

Description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Rack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rack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16-02, 과제명: 저비용 대규모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 솔루션 개발].
최근 들어 수십 만대의 기기를 운용하는 데이터 센터를 가진 인터넷 포털업체 등 세계적으로 수 많은 데이터 센터들이 운영되면서,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의 통상적 데이터 센터의 전력 공급 및 분배 방식을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전력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전력공급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a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력공급시스템(1)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발전소(미도시)에서 만들어진 고압 전력은 변전소(2)를 거쳐 300~600V 급의 전압으로 변경되고, 전력 스위칭을 담당하는 전력 전달 스위치(3), 무정전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이하 UPS라 함)(4), 전원분배부(Power Distribution Unit, 이하 PDU라 함)(5)를 거쳐 랙(Rack)(6)으로 공급된다.
도 1b를 더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UPS(4)로부터 랙(6)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계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UPS(4)는 AC/DC 변환부(7) 및 DC/AC 변환부(8)을 포함하며, 300V 이상의 3상 전력을 입력받아 AC/DC 변환 및 DC/AC 변환하여 데이터 센터에서 이용하는 고전압의 교류 전압(AC)을 출력한다.
UPS(4)로부터의 출력전압은 PDU(5)를 통하여서 100V 내지 220V AC 전력으로 변환되어, 서버, 저장장치, 스위치 등의 컴퓨팅 장치(9_1, 9_2, 9_n)가 장착된 랙(6)에 공급된다.
각 컴퓨팅 장치(9_1, 9_2, 9_n) 내부에는, 전원공급부(Power Supply Unit, 이하 PSU라 함)(13) 및 전압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Module, 이하 VRM라 함)(14)이 구비된다. PSU(13)는 AC/DC 변환부(11) 및 DC/DC 변환부(12)을 포함하여 PUD(5)에서 공급되는 100V 내지 220V의 AC 전력을 컴퓨팅 장치(9_1, 9_2, 9_n) 내부의 각종 전자부품(미도시)이 사용하는 +12V, -12V, +5V, +3.3V 등의 직류 전압(DC)으로 변환시켜 VRM(14)으로 공급한다. VRM(14)은 PSU(13)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압(DC)을 각 전자부품(미도시)이 사용하는 직류 전압(DC)으로 변환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데이터 센터에서는 최소 3회의 AC/DC 또는 DC/AC 변환과 적어도 1회의 DC/DC 변환이 수반되어 이에 따른 전력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데이터 센터의 전력손실의 약 20% 정도를 컴퓨팅 장치 내부의 PSU(13)가 차지하고 있다.
즉, 종래의 데이터센터에 장착되는 컴퓨팅 장치(9_1, 9_2, 9_n)는 각각 개별적인 PSU(13)를 가지며, 이들 PSU(13)는 100V 내지 220V 교류 전압(AC)을 입력받아 컴퓨팅 장치(9_1, 9_2, 9_n)에 사용되는 다양한 직류 전압(DC)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AC/DC 및 DC/DC 변환을 수행하게 되어 상당한 전력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랙 단위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또는 시스템), 랙 단위의 전력 공급에 대한 제어방법(또는 시스템), 또는 랙 단위의 전력 공급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또는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랙전원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은, 랙(Rack)에 장착되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 및 상기 랙에 장착되어 상기 다수의 컴퓨팅 장치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랙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랙전원공급장치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와, 상기 다수의 컴퓨팅 장치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 각각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수의 전원 생성부를 포함하며, 랙(Rack)에 장착되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랙전원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컴퓨팅 장치의 소비 전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각 전원 생성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랙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데이터 센터의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데이터 센터에서 전력구조의 변화를 주지 않고, 랙 단위로 전력공급방식만을 변경하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데이터센터에서 쉽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랙전원공급시스템의 상태 및 데이터 센터 전체의 상태 등을 쉽게 파악하여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데이터 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 에서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연결된(connect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랙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100)은 랙전원공급장치(Rack Power Supply Unit, RPSU)(200)와,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와, 랙전원공급장치(200) 및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를 장착하는 랙(400)을 포함한다. 랙전원공급장치(200) 및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가 랙(400)에 장착된 예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랙전원공급장치(200)는 전원분배부(5)로부터 교류 전원, 예컨데 교류의 전압 및/또는 교류 전류를 입력받아 직류 전원, 예컨데 직류 전압 및/또는 교류 전류로 변환하여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로 제공한다. 이러한 랙전원공급장치(200)는, 랙 단위마다 하나씩 구비되어, 랙에서 소비되는 모든 소비 전력을 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은 각각 교류 전압 및 직류 전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는 전환 보드(310)와 전압 레귤레이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보드(310)는 랙전원공급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압, 예컨데 10V~100V의 직류 전압을 DC/DC 변환하여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가 필요한 전압, 예컨데 12V, 5V, 3.3V 등으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전압은 전압 레귤레이터(320)를 통해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 내부의 각 전자 모듈로 제공된다. 다만, 전환 보드(310)와 전압 레귤레이터(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우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랙전원공급장치(200)를 통해,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 내부에서 PSU(도 1b의 13 참조)는 생략될 수 있고, 따라서 불필요한 다단계의 AC/DC 전환이 불필요하게 되고, 예컨데 10~100V의 직류 전압이 곧바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로 제공되어 전력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랙전원공급장치(20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랙전원공급장치(200)는 전원 생성 모듈(210)과, 전력 출력부(220)와, 제어부(230)와, 표시부(240) 및 인터페이스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생성 모듈(210)은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포함하는데,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는, 후술되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턴온되면 교류 전압(AC)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DC)을 생성한다.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는 Hotplug가 지원되며,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고장날 경우 즉시 교체가 가능하다. 랙전원공급장치(200)의 공급 전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상태 정보, AC 입력 전력 정보, DC 출력 전력 정보 등을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전력 출력부(220)는 전원 생성 모듈(210)에서 공급받는 직류 전압(DC)을 다수의 출력 포트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는 출력 포트에 연결되어 직류 전압(DC)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출력 포트의 수는 랙전원공급장치(200)에 최대로 연결 가능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수로 설계될 수 있다. 각 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는, 각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가 소모하는 전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컨데 10V~100V 범위의 직류 전압(DC)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각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출력 전류의 양은 제어부(230)로 전달될 수 있고, 각 출력 포트의 ON/OFF는 제어부(23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이더넷 네트워크, RS232 같은 로컬접속을 통해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직렬인터페이스, 랙 외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온도 및/또는 습도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로부터 감지된 랙 외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이용하여 데이터 센터의 냉방을 제어할 수도 있다.
표시부(240)는, 예컨데 랙전원공급장치(200)와 연결된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총 소비 전류, 입력 교류 전압(AC), 출력 직류 전압(DC), 경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원 생성 모듈(210), 전력 출력부(220), 표시부(240)를 제어하며, 전원 생성 모듈(210), 전력 출력부(220) 각각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이를 수행할 프로세서와 메모리, 사용자 프로그램로직(FPGA)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에는 임베디드 OS가 장착되며 이에 웹서버가 동작할 수 있다. 이 웹서버를 통해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제어와 모니터링 역할을 수행한다. 만약 랙전원공급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관리 서버(도 8의 Management Server 참조)와 통신할 경우 제어부(230)는 수집된 상태 정보 등을 관리 서버(도 8의 Management Server 참조)로 송신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230)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넘버링하여 각각의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에 각각 1 내지 n으로 넘버링하고 각 번호를 이용하여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을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주소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때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식별 하는 방법은 제어부(230)과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와의 통신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가 전원 생성 모듈(210)의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는 랙전원공급장치(200)의 부하-효율 곡선이며, x축은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용량에 대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의 비이고, y축은 이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전력 효율이다. 여기서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용량에 대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의 비는, 예컨데 하나의 랙에 장착되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총 용량에 대한 하나의 랙에 장착되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총 소비 전력의 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에 대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의 비가 대략 50% 내지 80% 일 때,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전력 효율이 높다. 그러나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용량에 대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의 비가 대략 30%이하인 경우에는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전력 효율이 낮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에 대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의 비가 소정 비율, 예컨데 30%이상 되도록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이 500W이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는 5개(도 3에서 n=5인 경우)이고, 초기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이 700W이라고 가정한다. 5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모두 턴온되면 비율은 28%(700/2500×100)가 되고, 4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만이 턴온되고 1개의 전원 생성부(210_n)가 턴오프되면 비율은 35%(700/2000×100)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5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중 4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는 턴온시키고 1개의 전원 생성부(210_n)를 턴오프시킨다.
즉, 5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모두를 턴온시켜 동작시키는 것보다 4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만을 턴온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넘버링된 숫자가 큰 전원 생성부(210_n)부터 작은 전원 생성부(210_1) 방향으로 턴오프하고, 넘버링된 숫자가 작은 전원 생성부(210_1)부터 큰 전원 생성부(210_n) 방향으로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넘버링된 숫자와 관계없이,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에이징(Aging)(또는 노화, 열화)을 고려해서 랜덤하게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 비율이 30%이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부하-효율 곡선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일정한 범위, 예컨데 60% 내지 90%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제어부(230)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및 전력 출력부(220)와 연결되어,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각각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킬 수 있으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제어부(230)는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을 주기적으로, 반복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데이터센터에서 UPS(도 1의 4 참조), PDU(도 1의 5 참조) 같은 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 및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랙전원공급시스템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제어방법은,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 이상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최소 개수보다 적어도 리던던트 수(redundant number) 많은 개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이 1.3 ㎾이고,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Prpus)이 500W이고, 리던던트 수가 1인 경우, 3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가 소비 전력(Prack) 1.3 ㎾이상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나, 리던던트 수 1개 더 많은 4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로써 턴온된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중 어느 하나가 동작중에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다만, 리던던트 수는 동작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리던던트 수가 1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230)는 최초 동작시 모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온시킨다(S510). 모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턴온되어 교류 전압을 입력받아 직류 전압을 생성하고,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는 직류 전압을 제공받아 전력을 소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Prack)을 검출한다. 제어부(230)는 검출한 소비 전력(Prack)을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Prpus)으로 나누고, 나눈 결과(Prack/Prpus)에 리던던트 수 1을 합한 결과(Prack/Prpus+1)가 다수의 전원 생성 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Prack)이 1.3㎾이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Prpus)이 500W이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5개(N=5)인 경우, 제어부(230)는 소비 전력(Prack) 1.3㎾을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Prpus) 500W으로 나누고, 나눈 결과(Prack/Prpus) 2.6에 리던던트 수 1를 합한 결과(Prack/Prpus+1)인 3.6이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인 5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합한 결과(Prack/Prpus+1)인 3.6을 이용하여 턴온된 5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중 몇 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나눈 결과(Prack/Prpus)가 2.6이므로, 3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만이 턴온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하여도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는 동작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5개의 턴온된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중에서 2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를 턴오프해도 되지만, 턴온된 3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리던던트 수 1을 더하여 3.6을 이용하여 턴오프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M)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Prack/Prpus)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M)를 결정할 수 있다(S530).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 5에서 나눈 결과(Prack/Prpus) 2.6의 인티져값인 3(INT(2.6)=3) 및 리던던트 수 1을 빼고, 그 결과인 1을 턴오프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M)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 5에서 합한 결과인 3.6을 빼고, 뺀 결과인 1.4에서 소수점 버림하여 개수(M) 1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개수(M)을 산출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5개의 턴온된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중에서 산출된 개수(M) 1만큼 턴오프시킬 수 있다(S440). 여기서 제어부(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넘버링된 숫자가 큰 전원 생성부(210_n)부터 작은 전원 생성부(210_1) 방향으로 턴오프하여, 제n 전원 생성부(210_n)를 턴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이 수시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30)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Prack)을 반복적으로 검출하여 S520 단계 내지 S54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Prack)이 2.3㎾이어서 소비 전력(Prack)에서 용량(Prpus)으로 나누고, 나눈 결과(Prack/Prpus) 4.6과 리던던트 수 1을 합한 결 과(Prack/Prpus+1)가 5.6이 되어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 5보다 큰 경우, 제어부(230)는 나눈 결과(Prack/Prpus)가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550). 여기서 나눈 결과(Prack/Prpus)가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230)는 관리자에게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새로이 추가하라는 추가 권고를 한다(S560). 즉, 나눈 결과(Prack/Prpus)는 4.6이므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을 감당하기 위해 5개 모두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턴온되어야 하며, 어느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제어부(230)는 관리자에게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추가 권고를 한다(S460).
그러나 나눈 결과(Prack/Prpus)가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보다 큰 경우,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이 5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용량(Prpus)을 초과하는 경우이므로, 제어부(230)는 모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오프시켜 동작을 정지시킨다(S570).
한편,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제어부(230)는 리던던트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이용하여 고장난 전원 생성부를 대체하며, 제어를 위해 넘버링을 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난 제2 전원 생성부(210_2)이 교체되면, 제3 전원 생성부(210_3)가 제2 전원 생성부로, 제n 전원 생성부(210_n)가 제(n-1) 전원 생성부로 다시 넘버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데이터센터에서 UPS(도 1의 4 참조), PDU(도 1의 5 참조) 같은 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랙 레벨(Rack level)에서의 전원공급방식만을 변경하여 랙 단위의 전원 공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어느 하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리던던트 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온시켜 동작시키므로, 랙전원공급시스템(100)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40) 및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랙전원공급시스템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리던던트 수는, 전술한 랙전원공급장치(200)의 부하-효율 곡선을 고려하여 가변될 수 있다. 에컨데, 리던던트 수가 작을수록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에 대한 총 소비 전력(Prack)이 비율 즉, 도 3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의 값이 커지고, 리던던트 수가 클수록 x축의 값이 작아진다. 따라서, 리던던트 수는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전력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리던던트 수의 가변은 제어부(230)가 담당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가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제어방법에서 이전 실시예의 S510 단계 내지 S530 단계, S550단계 내지 S570 단계는 동일하므로 설 명은 생략하고, 이전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도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5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530 단계에서 제어부(230)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N)와,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을 용량(Prpus)으로 나눈 결과(Prack/Prpus)와,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할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M)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30)는 이전에 산출된 개수와 현재 산출된 개수(M)를 비교한다(S640).
현재 산출된 개수(M)가 이전에 산출된 개수에 비해 증가한 경우, 즉 이전보다 턴오프하려는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가 증가한 경우, 산출된 개수(M)만큼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오프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산출된 개수(M)에 관계없이 최소턴온수(예컨데 2)만큼 전원 생성부(210_1, 210_2)를 턴온 상태로 유지하려는 경우, 제어부(230)는 최소턴온수인 2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를 턴온시키고, 나머지 3개 중에서 산출된 개수(M)만큼 턴오프시킬 수 있다. 즉, 여기서 최소턴온수는 산출된 개수(M)에 관계없이 턴온되도록 제어되는 전원 생성부의 개수이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 5에서 현재 산출된 개수(M)를 뺀 결과(N-M)가 최소턴온수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50). 뺀 결과(N-M)가 최소턴온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230)는 산술된 개수(M)만큼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오프하고(S660), 뺀 결과(N-M)가 최소턴온수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소턴온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를 턴온시키고 나머지 전원 생성부(210_3, 210_n)를 모두 턴오프할 수 있다(S670).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산출된 개수(M)가 2이면,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 5에서 2를 뺀 결과(N-M)가 3이되고, 3은 최소턴온수 2보다 크므로, 제어부(230)는 2개의 전원 생성부(210_3, 210_n)를 턴오프한다. 이러한 경우, 최소턴온수인 2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는 턴온되어 있다.
한편, 산출된 개수(M)가 4이면,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 5에서 4를 뺀 결과(N-M)가 1이되고, 1은 최소턴온수보다 작으므로, 제어부(230)는 산출된 개수(M)에 관계없이 2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를 턴온하고, 나머지 3개를 모두 턴오프한다. 이때에도 최소턴온수에 해당하는 2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는 턴온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산출된 개수(M)에 따라 4개의 전원 생성부(210_2, 210_3, 210_n)를 턴오프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1개의 전원 생성부(210_1)만이 턴온되어 동작하게 되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30)는 최소턴온수를 고려하여, 산출된 개수(M)에 관계없이 2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를 턴온시키므로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가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30)가 최소턴온수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온시키기 위해,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개수에서 산출된 개수(M)를 뺀 결과가 최소턴온수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50)를 포함하나, 이와 다른 방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30)는 5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중에서 제1 및 제2 전원 생성부(210_1, 210_2)는 항상 턴온 상태로 유지하고, 나머지 3개의 전원 생성부(210_3, 210_n) 중에서 산출된 개수(M)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S650 단계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최소턴온수가 2인 경우를 에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될 수 있다. 최소턴온수는 관리자가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외부에서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제어부(230)가 최소턴온수를 고려하지 않고 산출된 개수(M)에 따라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턴오프시키는 경우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한편, 현재 산출된 개수(M)가 이전에 산출된 개수(M)에 비해 작아진 경우, 현재 산출된 개수(M)와 이전에 산출된 개수(M)의 차이만큼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를 새로이 추가로 턴온시킨다(S680).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이 1.3㎾에서 1.8㎾로 증가하는 경우, 산출된 개수(M)는 1(=5-INT(2.6)-1)에서 0(=5-INT(3.6)-1)으로 변한다. 따라서 소비 전력(Prack)이 1.3㎾일 때 5개중 1개의 전원 생성부(210_n)가 턴오프되어 있었으나, 소비 전력(Prack)이 1.8㎾로 증가하면, 제 어부(230)는 턴오프되어 있던 1개의 전원 생성부(210_n)를 턴온시킨다.
다음으로, 현재 산출된 개수(M)가 이전에 산출된 개수(M)와 동일한 경우에는,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의 소비 전력(Prack)은 수시로 가변되므로, 가변되는 소비 전력(Prack)에 따라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230)는 S520 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각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의 전면도로서, 랙전원공급장치가 랙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b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전면도이고, 도 7c는 랙전원공급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7d는 도 7a에서 랙전원공급장치와 컴퓨팅 장치들 간의 연결관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100)은 랙(400)과, 랙(400)에 장착된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 및 랙(400)에 장착되어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랙전원공급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7b를 더 참조하면,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240) 및 인터페이스부(250)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40)는, 예컨데 전원생성모듈에서 AC 전류의 총 소모량을 표시하는 소모전류 표시부(240_1), 각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의 동작 및 결함여부, 직류 전압 출력 상태 등을 표시하는 AC 모듈 및 DC 출력 상태 표시부(240_2) 및 경고 표시부(240_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부(250_1)와 네트워크, 직렬인터페이스부(250_2)를 포함한다.
또한 랙전원공급장치(200)의 전면에는 랙 외부의 온도 및 습도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온도 및 습도 센서 인터페이스부(250_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랙전원공급장치(200)의 후면은 n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 m개의 DC 출력 포트(222), Dual AC 전원 입력 포트(224)로 구성될 수 있다. n개의 전원 생성부(210_1, 210_2, 210_3, 210_n)는 Hotplug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m개의 DC 출력 포트(222)는 잭(Jack) 형태의 커넥터로 컴퓨팅 장치(300_1, 300_2, 300_i)와 연결된다. Dual AC 입력부(224)는 PDU(도 2의 5 참조)에서 공급되는 AC 전원을 입력 받는 커넥터로 Dual Input 이 가능한 형태이다.
도 7d에는 랙전원공급장치(200)와 다수의 컴퓨팅 장치(300)의 연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각 컴퓨팅 장치(300)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서 랙전원공급장치(200)의 DC 출력 포트(222)와 연결되어 DC 전원을 입력받는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8에는 다수의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와 관리서버의 네트워크 연결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서버(Management Server)에 전달된다. 각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는 상태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달하면, 관리서버는 각각의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의 관리(Management) 기능 및 모니터링(Monitoring)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는,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로부터각각 온도 정보 및/또는 습도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가 구비된 데이터센터(Data center)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센터(Data center) 내부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데이터센터 내부의 냉방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각 랙전원공급장치(200_1, 200_2, 200_3, 200_n)의 상태 정보는 관리서버의 웹(Web) 접속을 통하여서 데이터센터(Data center) 외부의 모니터링 노드(Monitoring node)에서도 그 정보에 억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 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종래의 전력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전력공급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랙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의 전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랙전원공급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랙전원공급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의 랙전원공급장치와 컴퓨팅 장치들 간의 연결관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랙전원공급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랙전원공급시스템 200: 랙전원공급장치
210: 전원 생성 모듈 210_1~210_n: 전원 생성부
220: 전력 출력부 230: 제어부
240: 표시부 250: 인터페이스부
300, 300_1~300_n: 컴퓨팅 장치 400: 랙

Claims (20)

  1. 랙(Rack)에 장착되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 및
    상기 랙에 장착되어 상기 다수의 컴퓨팅 장치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랙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랙전원공급장치는,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다수의 전원 생성부와,
    상기 다수의 컴퓨팅 장치의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 각각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랙전원공급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용량에 대한 상기 소비 전력의 비가 소정 비율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각 전원 생성부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전력공급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 전력 이상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최소 개수보다 적어도 기 설정된 리던던트 수(redundant number) 만큼 많은 개수의 상기 전원 생성부가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전력공급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 전력을 상기 전원 생성부의 용량으로 나누고 상기 나눈 결과에 상기 리던던트 수를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전력공급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하려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개수만큼 상기 전원 생성부를 턴오프시키는 전력 공급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하려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를 산출하고,
    최소턴온수의 상기 전원 생성부를 턴온시키고,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에서 상기 최소턴온수를 뺀 나머지 중 상기 산출된 개수만큼 상기 전원 생성부를 턴오프시키되,
    상기 최소턴온수는 상기 산출된 개수에 관계없이 턴온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인 전력 공급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하려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개수가 이전에 산출된 개수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산출된 개수와 이전에 산출된 개수의 차이만큼 상기 전원 생성부를 더 턴온시키는 전력 공급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눈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크면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 모두를 턴오프하는 전력 공급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눈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전원 생성부의 추가 권고를 알리는 전력 공급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랙전원공급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공급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랙전원공급장치의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전력공급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랙전원공급장치 주위의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랙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데이터센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하는 전력공급시스템.
  13. 다수의 전원 생성부를 포함하며, 랙(Rack)에 장착되는 다수의 컴퓨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컴퓨팅 장치의 소비 전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 각각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 전력 이상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최소 개수보다 적어도 기 설정된 리던던트 수(redundant number) 만큼 많은 개수의 상기 전원 생성부가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 전력을 상기 전원 생성부의 용량으로 나누고 상기 나눈 결과에 상기 리던던트 수를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각각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하려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개수만큼 상기 전원 생성부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랙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하려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최소턴온수의 상기 전원 생성부를 턴온시키고,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에서 상기 최소턴온수를 뺀 나머지 중 상기 산출된 개수만큼 상기 전원 생성부를 턴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최소턴온수는 상기 산출된 개수에 관계없이 턴온되도록 제어되는 상기 전원생성부의 개수인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와, 상기 나눈 결과와, 상기 리던던트 수를 이용하여 턴오프하려는 상기 전원 생성부의 개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개수가 이전에 산출된 개수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산출된 개수와 이전에 산출된 개수의 차이만큼 상기 전원 생성부를 더 턴온시키는 단계를 포함 하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나눈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크면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를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합한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눈 결과가 상기 다수의 전원 생성부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으면 관리자에게 상기 전원 생성부의 추가 권고를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80080593A 2008-08-18 2008-08-18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KR10106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93A KR101068536B1 (ko) 2008-08-18 2008-08-18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US12/414,072 US20100042860A1 (en) 2008-08-18 2009-03-30 Rack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ack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93A KR101068536B1 (ko) 2008-08-18 2008-08-18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921A true KR20100021921A (ko) 2010-02-26
KR101068536B1 KR101068536B1 (ko) 2011-09-28

Family

ID=4168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593A KR101068536B1 (ko) 2008-08-18 2008-08-18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42860A1 (ko)
KR (1) KR10106853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006B1 (ko) * 2013-05-30 2013-08-26 (주) 인프론티브 컴퓨팅 장치를 위한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WO2013125787A1 (ko) * 2012-02-22 2013-08-29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전원 공급용 인터페이스 보드
WO2013125788A1 (ko) * 2012-02-22 2013-08-29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101427680B1 (ko) * 2013-01-02 2014-09-18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20210085563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다단 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34034B1 (ko) * 2021-06-16 2021-12-02 대한민국 서버 이상 진단 감시 장치
KR102539463B1 (ko) * 2022-12-02 2023-06-02 주식회사 파워엘에스아이 제로 스탠바이 파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572B2 (ja) * 2008-04-25 2012-11-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8638008B2 (en) * 2009-12-22 2014-01-28 Direct Power Tech Ip, Llc 380 volt direct curr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ystems and facilities
US8600575B2 (en) * 2010-09-24 2013-12-03 Synapsens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power usage data from rack power distribution units (RPDUs) us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US8811377B1 (en) 2010-08-30 2014-08-19 Synapsens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rumenting devices to measure power usage using a multi-tier wireless network
US8587929B2 (en) * 2010-10-22 2013-11-19 Eaton Corporation High density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nd related systems and power distribution units
TWI458422B (zh) * 2011-06-02 2014-10-21 Hon Hai Prec Ind Co Ltd 機櫃式伺服器系統
CN102854941B (zh) * 2012-08-22 2016-08-10 曙光信息产业(北京)有限公司 5u14片高密度计算系统
US9323299B2 (en) * 2012-08-27 2016-04-26 Green Light Industries, Inc. Multiple power source unit
US10772239B2 (en) * 2012-11-09 2020-09-08 Lex Industries Ltd. Manufactured data center
US10103574B2 (en) * 2014-06-21 2018-10-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ed concurrent utilization of multiple power supplies
KR20160112792A (ko) * 2015-03-20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센터의 전력 분산공유 장치 및 분산공유 방법
CN104932652A (zh) * 2015-06-09 2015-09-23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可拓展的机架式服务器电源框体
TWI552475B (zh) * 2015-09-16 2016-10-01 碩天科技股份有限公司 可管理剩餘電源的電源分配單元
US10847994B2 (en) 2019-03-15 2020-11-24 Seagate Technology Llc Data center power distribu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2119B2 (en) * 2000-09-27 2006-04-18 Amphus, Inc. Dynamic power and workload management for multi-server system
US6967283B2 (en) 2001-03-20 2005-11-22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Adjustable scalable rack power system and method
US7043647B2 (en) * 2001-09-28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for a rack of servers
US7105950B2 (en) * 2003-09-26 2006-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management in a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ies
US7222246B2 (en) * 2003-09-26 2007-05-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determining number of dynamically temperature-adjusted power supply units needed to supply power according to measure operating temperature of power supply units
KR100722531B1 (ko) * 2005-06-16 2007-05-31 주식회사 이화일렉콤 직류 전원 분배반
US7646109B2 (en) 2005-07-12 2010-0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distributing AC power within an equipment rack
KR100689326B1 (ko) * 2005-11-18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7895455B2 (en) * 2007-06-25 2011-0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ynamic converter control for efficient opera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787A1 (ko) * 2012-02-22 2013-08-29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전원 공급용 인터페이스 보드
WO2013125788A1 (ko) * 2012-02-22 2013-08-29 엔에이치엔비지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CN104169833A (zh) * 2012-02-22 2014-11-26 Naver商务平台株式会社 高效电源供给装置及使用该电源供给装置的电源供给方法
CN104169833B (zh) * 2012-02-22 2017-07-14 Naver商务平台株式会社 高效电源供给装置及使用该电源供给装置的电源供给方法
US9762058B2 (en) 2012-02-22 2017-09-12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Highly efficient power supply unit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ing same
US10355484B2 (en) 2012-02-22 2019-07-16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Highly efficient power supply unit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using same
KR101427680B1 (ko) * 2013-01-02 2014-09-18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고효율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KR101298006B1 (ko) * 2013-05-30 2013-08-26 (주) 인프론티브 컴퓨팅 장치를 위한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KR20210085563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온오프시스템 다단 랙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34034B1 (ko) * 2021-06-16 2021-12-02 대한민국 서버 이상 진단 감시 장치
KR102539463B1 (ko) * 2022-12-02 2023-06-02 주식회사 파워엘에스아이 제로 스탠바이 파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536B1 (ko) 2011-09-28
US20100042860A1 (en)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536B1 (ko) 랙전원공급시스템 및 랙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EP2457303B1 (en) Direct tie-in of a backup power source to motherboards in a server system
KR101228363B1 (ko) 하이브리드 데이터 센터 전력 공급 장치
US10459506B1 (en) Battery state detection by use of voltage in a shared power system background
US9653946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TWI360741B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
US74369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l-time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US8446044B2 (en) Power conversion and distribution scheme for electronic equipment racks
US20060284489A1 (en) Dc-based data center power architecture
US20110213999A1 (en)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an electrical system with direct current
CN108702023B (zh) 机架电力系统和方法
WO2014196472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US7272733B2 (en) Method of providing dynamic power redundancy based on a difference of current power units and currently needed power units
CN113632043A (zh) 可变冗余数据中心电力拓扑
US11224141B2 (en) Server rack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in the server rack system
McClurg et al. Re-thinking data center power delivery: Regulating series-connected voltage domains in software
US7166989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n electronic apparatus
US8704404B2 (en) Electrical assembly and method for supplying without interruption an installation with alternating current
KR100921682B1 (ko) 고효율 데이터 센터 운영을 위한 랙전력공급장치 및 이를활용한 전력공급시스템과 전력공급방법
WO2014196473A1 (ja) サーバ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TWI540421B (zh) 不斷電電力供應系統及方法
CN111381659B (zh) 计算机系统及电源管理方法
JP6253111B2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KR102165619B1 (ko) 최적의 전력효율을 유지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10130263A (ko) 보조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