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345A -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 Google Patents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345A
KR20100021345A KR1020090035266A KR20090035266A KR20100021345A KR 20100021345 A KR20100021345 A KR 20100021345A KR 1020090035266 A KR1020090035266 A KR 1020090035266A KR 20090035266 A KR20090035266 A KR 20090035266A KR 20100021345 A KR20100021345 A KR 2010002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mobile phone
frame
main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박상화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텍
Priority to KR102009009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2361A/ko
Priority to PCT/KR2009/005611 priority patent/WO2010067952A2/ko
Priority to US13/146,285 priority patent/US8238986B2/en
Priority to PCT/KR2009/007816 priority patent/WO2010093117A2/ko
Priority to CN200980156719.1A priority patent/CN102318201B/zh
Priority to KR1020100006347A priority patent/KR1016215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화면부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해주는 틸트 동작이 더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최적의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프레임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틸트회전부에 의한 회전동작과 휴대폰 중간부재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틸트회전부의 회전동작 및 걸림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브라켓; 스탑퍼샤프트; 및 스프링볼을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의 안정적인 틸트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Figure P1020090035266
휴대폰, 틸트, 슬라이딩

Description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Tilt Type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and Holder for Terminal using there}
본 발명은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더와 프레임을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상기 프레임을 통한 수직방향으로의 틸트 동작이 더 가능하도록 구성된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동의 편의성으로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왔으며, 휴대폰의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변형되어 왔다.
종래에는 바 타입, 플립형 및 폴더형 휴대폰 등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휴대폰 액정화면의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여 휴대폰 화면부가 슬랑이딩 작동되며 휴대폰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방식이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폰 고유의 통화 기능에서 더 나아가 특히, 무선인터넷이나 멀 티미디어 등 다양한 부가기능이 함께 제공되며 널리 사용되어짐에 따라, 휴대폰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구조적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과 더불어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해주는 틸트동작이 가능한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방식의 휴대폰이 요구되고 있다.
즉, 휴대폰 통화를 의도할 경우에는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무선인터넷, DMB,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시청을 목적할 경우에는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해주는 틸트 동작이 구현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최적의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는 슬라이딩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이 개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화면부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해주는 틸트 동작이 더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최적의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틸트형 슬라이딩 모듈을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로서,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어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레임(30); 상기 프레임(30)에 의한 안내를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0); 상기 프레임(30)과 슬라이더(10)에 각각 연결되어 반자동 방식의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발생시켜 주는 탄성장치(80);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0)의 회전동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틸트회전부(38); 상기 틸트회전부(38)와 연결되어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안정적인 틸트동작을 안내해 주기 위한 제어브라켓(40);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틸트회전부(38)의 회전동작시 단계별 멈춤동작 및 안정적인 틸트상태 유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볼(70); 상기 스프링볼(70)의 탄성력에 의한 삽입 걸림동작과 외력에 의한 이탈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볼 걸림공(46a, 46b);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최대 틸트회전각을 제한시켜주기 위한 스탑퍼샤프트(60); 상기 틸트회전부(38)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탑퍼샤프트(60)에 의한 상·하측면 걸림동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스탑퍼샤프트 제어공(32);
상기 스탑퍼샤프트(6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탑퍼샤프트 체결공(44); 상기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40)을 연결시켜주며, 상기 틸트회전부(38)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50); 및 상기 메인샤프트(50)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메인샤프트 체결공(4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단말기 지지대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0) 과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과 결합하는 브라켓 (220)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구부러진 밑부분에 스토퍼 (201) 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스토퍼 (201) 는 브라켓 (220) 의 스토퍼 (222) 에 걸리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306) 가 끼워지는 홀과 내스프링 (300), 외스프링 (304) 및 스프링볼 (302) 이 끼워지는 걸림홀 (206) 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220) 이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 밑면의 놓여진 상태에서 샤프트 (201)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220) 에 형성된 2 개의 걸림공 (224) 에 내스프링 (300) 과 외스프링 (304) 에 의해 텐션을 받는 스프링볼 (302) 이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고,
상기 걸림공 (224) 의 직경은 스프링볼 (302)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0) 은 브라켓 (200) 에 샤프트 (306) 로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0) 이 올려지고 내려지면서 스프링볼 (302) 이 걸림공 (224) 에 걸리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공은 2 개 또는 3 개이고,
상기 단말기 지지대는 휴대폰의 뒷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에 의하면, 휴대폰 화면부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도록 해주는 틸트 동작이 더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최적의 편의를 제공해줄 수 있는 슬라이딩 상태를 구현해 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에 의하면, 휴대폰 화면부의 단계별 틸트 동작이 가능하여 틸트 경사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에 의하면, 스탑퍼샤프트와 제어공을 통하여 최대 틸트각을 제한해 줄 수 있어, 휴대폰 화면부가 필요이상으로 무작위적 틸트 회전 동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더(10)와 프레임(30)을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상기 프레임(30)을 통한 수직방향으로의 틸트 동작이 더 가능하도록 구성된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통상적인 슬라이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탄성장치(80),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는 프레임(30) 및 상기 프레임(30)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0)를 활용한 구조로 이루어진 장치들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두 단계로 구분되는 동작 구간 즉, 평면 슬라이딩 동작 구간 및 틸트 동작 구간을 발생시켜 최종적으로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해준다.
상기 평면 슬라이딩 단계란 휴대전화의 화면부가 휴대폰 몸체와 평행을 이루며 직선 운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평면 슬라이딩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틸트 동작 단계란 휴대전화의 화면부가 휴대폰 몸체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틸트 동작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와 틸트 동작 구동부로 구성된다.
먼저,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는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어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30); 내부에 'ㄷ'자 형태의 길다란 홈을 갖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더(10)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0); 상기 가이드레일 (20)을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수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30) 양단을 각각 'ㄱ'자 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가이드레일 삽입단(36); 상기 가이드레일(20)을 통하여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실행해주는 슬라이더(10); 및 스프링 텐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10)의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발생시켜 주는 슬라이드 탄성장치(8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10)의 양측 모서리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ㄷ'자형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0) 양단을 각각 'ㄴ'자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상기 슬라이드 탄성장치(80)는 일반적으로 스 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휴대전화의 슬라이딩 운동이 반자동 방식으로 발생되도록 해주는 기구로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식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용 슬라이딩 모듈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탄성장치(80) 역시, 상기 토션 스프링 방식 또는 코일 스프링 방식 중 어느 것을 채택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슬라이드 탄성장치(80)는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용 슬라이딩 모듈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세부적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의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 방식의 탄성장치(80)가 적용된 슬라이딩 모듈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탄성장치(80)의 양단에는 원통형 모양의 리벳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리벳은 프레임(30)에 끼워지고, 다른 쪽 리벳은 슬라이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0)가 상기 프레임(30)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탄성장치(80)는 상기 프레임(30)의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구비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개의 탄성장치(80)만을 구비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평면 슬라 이딩 구동부를 통한 휴대폰 화면부의 평면 슬라이딩 구간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휴대폰 화면부의 틸트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1 을 참조하여 틸트 동작 구동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틸트 동작 구동부는 기본적으로, 상기 프레임(30) 양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틸트회전부(38)에 의한 회전동작과 휴대폰 중간부재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안정적인 회전동작 및 걸림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브라켓(40)을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의 틸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트회전부(38)는 상기 프레임(30) 양측 모서리단에 각각 한개씩 한쌍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30) 모서부의 상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삽입단(36)이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틸트회전부(38)가 형성된다.
상기 틸트회전부(38)는 메인샤프트(50)를 통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메인샤프트(50)를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작동과 스프링볼(70)을 이용한 회전동작의 멈춤을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의 틸트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회전동작과 멈춤작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트회전부(38)에는 메인샤프트(50)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회전공(34); 스탑퍼샤프트 (60)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제어공(32); 및 의도된 위치에서 휴대폰 화면부의 상향 틸트 동작을 멈춤 완료시키기 위한 스프링볼(70)이 삽입 장착되는 스프링볼 걸림공(46a,4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샤프트(50)는 별도 구비된 메인샤프트(50)가 상기 틸트회전부(38)에 형성된 회전공(34)을 관통 삽입하며 상기 제어브라켓(40)에 형성된 메인샤프트 체결공(42)에 체결되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를 별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메인샤프트 기능을 위한 회전돌기가 틸트회전부(38)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42)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틸트회전부(38)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축으로 회전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링볼(7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로드부(74)와 구형상으로 구성된 걸림쇠(7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동작 구동부는 상기 로드부(74)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쇠(72)가 상기 제어브라켓(40)에 형성된 걸림공(46a,46b)에 단계적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동작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틸트회전부(38)가 의도된 위치에서 회전작동이 멈춤 완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브라켓(40)에는 상기 메인샤프트(50)를 통하여 상기 틸트회전부(38)를 상기 제어브라켓(40)에 체결시키기 위한 메인샤프트 체결공(42); 상기 스탑퍼샤프트(60)를 상기 제어브라켓(40)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탑퍼샤프트 체결공(44); 상기 스프링볼(70)의 단계별 걸림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볼 제 1 걸림공(46b), 제 2 걸림공(46a); 및 상기 제어브라켓(40)을 휴대폰 중 간부재 (90) 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판(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트회전부(38)가 상기 제어브라켓(40)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메인샤프트 (50)가 상기 틸트회전부(38)의 회전공(34) 및 제어브라켓(40)의 메인샤프트 체결공(42)을 관통하며 삽입됨으로써, 상기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4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브라켓(40)에 체결된 상기 틸트회전부(38)는 상기 메인샤프트(50)를 중심축으로 하여, 휴대폰 중간부재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제어브라켓(40)의 내부에서 회전동작이 이루진다.
도 2 는 휴대폰이 슬라이딩 동작 발생되기 전 단계이고, 도 3 은 슬라이더가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완료한 단계이고, 도 4 는 휴대폰 화면부의 프레임이 슬라이더와 함께 상향 틸트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고, 도 5(a) 는 도 2 및 도 3 단계에서의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5(b) 는 도 4 단계에서의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트 동작 구동부를 통한 상향 틸트 동작의 발생 및 제어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에 의한 틸트 동작이 발생하기 전 단계 즉, 도 2 및 도 3 의 평면 슬라이딩 구간을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볼(70)은 상기 제어브 라켓(40)에 형성된 제 1 걸림공(46b)에 삽입되어 제 1 걸림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프레임(30)이 안정적으로 휴대폰 몸체와 평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며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상기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완료된 후, 휴대폰 화면부의 상향 틸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10)에 수직방향 외력을 가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안정적인 상향 틸트 동작의 발생과 제어가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프레임(30) 하면에 돌출 형성된 틸트회전부(38)가 상기 메인샤프트(50)를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틸트회전부(38)의 회전운동의 발생과 동시에, 상기 틸트회전부(38)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볼(70)은 상기 제 1 걸림공(46b)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 1 걸림공(46b)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공(46a)으로 이동하여 삽입됨으로써 제 2 걸림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볼(70)을 이용한 제 2 걸림동작을 통하여 휴대폰 사용자는 단계별 틸트 동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도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30)이 멈춤 완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휴대폰 화면부의 상향 경사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탑퍼샤프트(60) 의 구성으로 인해 틸트회전부 (38) 의 최종 틸트동작 완료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30)에 과도한 외력이 도 5 (b) 를 기 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더 가질 경우, 상기 스프링볼(70)이 상기 제 2 걸림공(46a)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틸트회전부(38)에는 두 개의 스프링볼 걸림공 (46a,46b)만을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걸림공을 더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30)에 형성된 스프링볼(70)이 추가로 형성된 걸림공에 단계별로 걸림동작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프레임(30)의 단계별 틸트 동작이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세 개 이상의 스프링볼 걸림공을 형성할 경우에는, 휴대폰 화면부의 단계별 틸트 동작이 가능하여, 틸트 경사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30)에 형성된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탑퍼샤프트(60)가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제어공(32) 및 제어브라켓(40)의 스탑퍼샤프트 체결공(44)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탑퍼샤프트(60)와 제어공(32)은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최대 틸트각을 제한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최종 틸트동작 완료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30)에 과도한 외력이 더 가질 경우, 상기 스프링볼(70)이 상기 제 2 걸림공(46a)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휴대폰 사용자에 의한 과도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볼(70)이 상기 제 2 걸림공(46a)으로부터 이탈되면 휴대폰 화면부는 상향 경사진 틸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무작위적으로 회전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프링볼(70)의 이탈을 방지하여 휴대폰 화면부의 안정적인 틸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트회전부(38)에는 타원형 모양으로 구성된 제어공(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틸트회전부(38)에 형성된 타원형 모양 제어공(32)에 관통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어브라켓(40)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스탑퍼샤프트(60)는 상기 스프링볼(70)이 제 1 걸림공(46b)에 위치한 상태(즉, 틸트 동작 발생 전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공(32)의 상측면에 접하며 위치하게 된다.
이후, 휴대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볼(70)이 상기 제 1 걸림공(46b)으로부터 이탈 이동하여 제 2 걸림공(46a)에 삽입 완료되면, 상기 스탑퍼샤프트 (60)는 상기 제어공(32)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면으로 이동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어공(32)의 하측면과 걸림동작이 발생되어 상기 틸트회전부(38) 즉, 상기 프레임(30)은 더이상 회전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와 같은 스탑퍼샤프트 (60)와 제어공(32)을 통한 회전동작의 제어를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도된 위치에서의 틸트동작 완료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샤프트(50)는, 상기 메인샤프트(50)의 반복적인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에 형성된 메인샤프트 체결공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체결공(42)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공(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메인샤프트(50)의 끝단부 (52) 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윗면이 평평한 터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끝단부 (52) 는 상기 끝단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요철홈을 갖도록 구성된 휴대폰 중간부재 (90) 의 삽입부 (94) (도 6 참조) 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50)는 상기 제어브라켓(40)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동작이 발생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틸트회전부(38)의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샤프트(50)가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체결공(42)으로부터 빠져나와 앞부분의 일정부분이 돌출되게 구성한다. 메인샤프트(50) 의 일부분, 즉 끝단부 (52)가 제어브라켓(40)의 체결공(42)으로부터 빠져나와 돌출되고, 체결공 (42) 과의 경계부분에는 메인샤프트(50)의 둘레를 따라 움푹 파인 형태로 구성된 끼움홈(54)을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 (54) 에는 상기 끼움홈(54)의 폭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 고정자(56)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50)가 상기 제어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자 (56) 이외에도 납땜 등의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메인샤프트 (50) 를 제어브라켓 (40) 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이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200)은, LCD 와 같이 특정 내용을 표시해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화면부 케이스(80); 사용자가 목적하는 휴대폰 기능을 입력받고 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패드(100);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200) 및 상기 키패드(100)를 안정적으로 휴대폰에 결합 고정시켜 주기 위한 중간부재(90); 및 상기 중간부재(90)가 결합 고정되고 배터리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하부 케이스(110)로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90)와 화면부 케이스 (110)에 결합되어 상기 화면부 케이스(80)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구간 및 틸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결합 구성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화면부 케이스(80)는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200)의 슬라이더(10)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10)에 의한 평면 슬라이딩 작동 및 상기 프레임(30)에 의한 틸트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써, 휴대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화면부 케이스의 슬라이딩 또는 틸트 상태를 제공해 준다.
상기와 같이 화면부 케이스(80)의 평면 슬라이딩 작동 및 틸트 작동을 발생시켜 주는 상기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200)은 상기 중간부재(90)에 결합되 어 고정되어 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브라켓(40)과 상기 제어브라켓(40)의 폭방향 양단에 날개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체결판(48)이 이루는 형상 즉, 'T' 자형의 요철홈(92)을 갖도록 상기 중간부재(90)에 형성된 결합홈(92)에 상기 제어브라켓 (40) 및 체결판(48)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48)에는 고정볼트 (130)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볼트(130)가 상기 중간부재(9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판(48)의 삽입공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어브라켓(40)은 안정적으로 상기 중간부재 (90)에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간부재 (90) 에는 윗면이 평평한 터널 형상을 가지는 메인샤프트(50)의 끝단부 (52) 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메인샤프트(50) 의 끝단부 (52) 와 동일한 형상의 요철홈을 가지는 삽입부 (94)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브라켓(40) 을 휴대폰 중간부재 (90) 의 요철홈 (92) 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판(48)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체결판 (48) 은 제어브라켓 (48) 의 일단부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폰 슬라이딩모듈 (200) 에 대해 수만 번에 걸친 틸트동작을 하면 제어브라켓 (40) 의 휴대폰 중간부재 (90) 에 대한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브라켓 (40) 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어브라켓 (40) 의 외부로 돌출된 메인샤프트(50) 의 끝단부 (52) 가, 끝단 부 (52) 와 동일한 형상의 요철홈으루 구성된 중간부재 (94) 의 삽입부 (94) 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50)는 제어브라켓 (40) 이 중간부재 (90) 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제어브라켓 (40) 이 체결판 (48) 과 메인샤프트 (50) 의 끝단부 (52) 가 함께 앞뒤로 중간부재 (90) 에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폰 슬라이딩모듈 (200) 에 대해 수만 번에 걸친 틸트동작을 하더라도 제어브라켓 (40) 의 휴대폰 중간부재 (90) 에 대한 고정력이 약해지는 일이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부재 (90) 의 요철홈 (92) 에 고정된 제어브라켓 (40) 의 체결판 (48) 은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200) 이 최대한 슬라이딩 되고 틸트된 경우에도 화면부 케이스 (80) 에 의해 가려져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만일 메인샤프트 (50) 가 중간부재 (90) 의 삽입부 (94) 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어브라켓 (40) 을 중간부재 (90) 에 고정시키는 구성 대신에 또 하나의 T 자형 체결판을 메인샤프트 (50) 가 위치되는 쪽에 하나 더 설치하여 제어브라켓 (40) 을 중간부재 (90) 에 고정되게 한다면, 고정시 키패드 (100) 에 압력을 가할 수 있거나, 휴대용 슬라이딩 모듈 (200) 이 슬라이딩하고 틸트되는 동작을 하는 동안에 화면부케이스 (80) 의 안쪽면이 너트 (122) 에 의해서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메인샤프트 (50) 를 중간부재 (90) 의 안쪽의 삽입부 (94) 에 삽입시키는 구성으로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200)이 장착된 상기 중간부 재(9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20)와 너트(122)의 체결을 통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결합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200)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이 휴대폰 상에서 안정적으로 실행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슬라이더(10)와 프레임 (30)을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상기 프레임 (30)을 통한 수직방향으로의 틸트 동작이 더 가능하도록 구성된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통상적인 슬라이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탄성장치 (80),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는 프레임(30) 및 상기 프레임(30)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 (10)를 활용한 구조로 이루어진 장치들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는 두 단계로 구분되는 동작 구간 즉, 평면 슬라이딩 동작 구간 및 틸트 동작 구간을 발생시켜 최종적으로 휴대폰 화면부가 상향 경사지게 슬라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해준다.
평면 슬라이딩 단계란 휴대전화의 화면부가 휴대폰 몸체와 평행을 이루며 직선 운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평면 슬라이딩' 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틸트 동작 단계란 휴대전화의 화면부가 휴대폰 몸체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작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틸트 동작'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와 틸트 동작 구동부로 구성된다.
먼저,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는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어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 (30); 내부에 'ㄷ'자 형태의 홈을 길이방향으로 가지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더 (10)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74); 상기 가이드레일 (74) 을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수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30) 양단을 각각 'ㄱ'자 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가이드레일 삽입부(31); 상기 가이드레일 (74)을 통하여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실행해주는 슬라이더(10); 및 스프링 텐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10)의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발생시켜 주는 슬라이드 탄성장치 (80) 로 구성된다.
슬라이더 (10) 의 양측 모서리는 상기 가이드레일 (74)의 'ㄷ'자형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0) 양단을 각각 'ㄴ'자 형으로 절곡하여 구성한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상기 슬라이드 탄성장치 (80)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휴대전화의 슬라이딩 운동이 반자동 방식으로 발생되 도록 해주는 기구로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식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용 슬라이딩 모듈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탄성장치(80) 역시, 상기 토션 스프링 방식 또는 코일 스프링 방식 중 어느 것을 채택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슬라이드 탄성장치 (80)는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용 슬라이딩 모듈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세부적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 의 제 2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 방식의 탄성장치 (80)가 적용된 슬라이딩 모듈이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탄성장치 (80)의 양단에는 원통형 모양의 리벳 (82)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 리벳 (82) 은 프레임(30)의 리벳홈 (76)에 끼워지고, 다른 쪽 리벳 (82) 은 슬라이더 (10)의 리벳홈 (12) 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 (10)가 프레임 (30)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탄성장치(80)는 프레임(30)의 좌우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구비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개의 탄성장치 (80)만을 구비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 듈은 평면 슬라이딩 구동부를 통한 휴대폰 화면부의 평면 슬라이딩 구간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휴대폰 화면부의 틸트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동작 구동부의 확대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틸트 동작 구동부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틸트 동작 구동부는 기본적으로, 프레임(30) 양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틸트프레임 (88)에 의한 틸트동작과 틸트프레임 (88) 의 안정적인 상하 틸트동작 및 걸림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브라켓 (90)을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의 틸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프레임 (88) 은 프레임 (30) 양측의 모서리 밑부분에 각각 한개씩 한쌍이 레이저용접 등을 통하여 프레임 (30) 과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틸트 프레임 (88) 은 MIM 금속성형사출 (Metal injection Mold)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MIM 은 금속류를 분말로 잘게 쪼개 금형으로 찍어내는 기술이다. 반면에 프레임은 서스 (SUS) 의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가공에 의해 제조한다. 또한 가이드 레일 (74) 은 합성수지 POM 등의 재질로서, 프레임 (30) 의 양끝단의 모서리에 인서트사출공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결합된 프레임 (30) 가이드레일 (74) 및 틸트프레임 (88) 은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렸을때 프레임 (30) 이 프레스가공이 가능한 금속 플레이트 재질이기 때문에 파손의 가능성이 적고, 또한 틸트프레임(88) 만을 금속성형사출에 의해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레일 (74) 및 틸트프레임 (88) 이 프레임 (30) 과 일체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가 된경우에는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렸을때 파손의 가능성이 높고, 또한 제작의 어려움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아진다. 즉, 프레스가공 또는 사출성형으로 제작하기가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30) 모서부의 상측면의 'ㄷ' 자 모양의 가이드레일삽입부 (31) 의 절곡면 안쪽에는 가이드레일 (74)이 인서트사출로서 형성되고, 프레임 (30) 모서리의 하면에는 금속성형사출에 의해 별개로 제조된 틸트프레임 (88) 이 레이저용접 등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프레임 (88) 은 제어브라켓 (90) 에 삽입되고 체결되어 메인샤프트 (100)를 중심축으로 하는 상하 틸트작동과 스프링볼 (110)을 이용한 틸트동작의 구분 멈춤을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의 틸트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틸트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프레임 (88) 에는 메인샤프트 (100)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회전공 (34); 스탑퍼샤프트 (102)가 관통 삽입되기 위한 상하로 길쭉한 타원모양의 제어공(32); 및 의도된 위치에서 상향향 틸트 동작을 멈춤 완료시키기 위한 스프링볼(110)이 삽입 장착되는 스프링볼 걸림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샤프트 (100)는 틸트프레임 (88) 이 보호판 (104) 이 밑부분에 설치된 제어브라켓 (90) 과 맞물린 상태에서 틸트프레임 (88) 의 회전공 (34) 과 제어브라켓 (90) 의 메인샤프트 체결공 (97) 에 동시에 함께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틸트프레임 (88) 은 메인사프트 (100) 를 중심축으로 틸트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보호판 (104) 은 제어브라켓 (104) 의 개방된 밑부분에 위치하여 FPCB 등의 휴대폰 구성부품 등이 틸트프레임 (88) 과 맞닫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볼 (110) 은 직경과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코일스프링 (112, 114) 과 함께 틸트프레임 (88) 의 스프링볼 걸림공 (33) 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는 틸트프레임 (88) 이 제어브라켓 (90) 과 결합되어 틸트될때 스프링볼 (110) 이 제 1 걸림공(95), 제 2 걸림공(94) 에 가해지는 텐션을 높이기 위함이다. 다만, 코일스프링은 1 개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 동작은 틸트프레임 (88) 의 스프링볼 걸림공 (33) 에 위치하는 스프링볼 (110) 이 제어브라켓 (90) 의 제 1 걸림공 (95) 에 코일스프링 (112, 114) 에 의해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걸려져 위치된 구성에서, 틸트프레임 (88) 이 메인샤프트 (100) 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 2 걸림공 (94) 에 스프링볼 (110) 이 걸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틸트프레임 (88) 은 메인샤프트 (100) 에 의해 제어브라켓 (90) 과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샤프트 (100) 를 중심으로 상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제어공 (32) 의 상하 직경은 틸트프레임 (88) 이 제 1 걸림공 (95) 과 제 2 걸림공 (94)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브라켓 (90) 에는 메인샤프트 (100) 를 통하여 상기 틸트프레임 (88) 을 제어브라켓 (90)에 체결시키기 위한 메인샤프트 체결공(97); 스탑퍼샤프트 (102) 를 제어브라켓 (90) 에 체결시키기 위한 스탑퍼샤프트 체결공(96); 스프링볼 (110) 의 단계별 걸림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볼 제 1 걸림공(95), 제 2 걸림공 (94); 및 제어브라켓 (90) 을 휴대폰 중간부재 (90) 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앞 뒤 체결판 (93, 92)이 형성되어 있다.
틸트프레임 (88) 이 제어브라켓 (90) 내부로 삽입된 후, 메인샤프트 (100)가 틸트프레임 (88) 의 회전공(34) 및 제어브라켓(90)의 메인샤프트 체결공 (97) 을 관통하며 삽입됨으로써, 틸트프레임 (88) 과 제어브라켓 (9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제어브라켓(90) 에 체결된 틸트프레임 (88) 은 메인샤프트 (100)를 중심축으로 하여, 휴대폰 중간부재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제어브라켓 (90) 의 내부에서 틸트동작이 이루진다.
도 10 (a) 는 휴대폰이 슬라이딩 동작 발생되기 전 단계이고, 도 10 (b) 는 휴대폰의 슬라이딩 동작이 중간정도 진행한 단계이고, 도 11 (c) 는 휴대폰의 슬라이더가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완료한 단계이고, 도 11 (d) 는 휴대폰 화면부의 프레임이 슬라이더와 함께 상향 틸트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고, 도 12(a) (b) 는 도 11 (c) (d) 에서의 틸트프레임 (88) 과 제어브라켓 (90) 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 동작 구동부를 통한 상향 틸트 동작의 발생 및 제어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에 의한 틸트 동작이 발생하기 전 단계 즉, 도 10 의 평면 슬라이딩 구간을 살펴보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프레임 (88)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볼 (110) 은 제어브라켓 (90) 에 형성된 제 1 걸림공 (95) 에 걸려진 상태에서 프레임 (30) 이 안정적으로 휴대폰 몸체와 평행을 이룬 상태를 유지하며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준다.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완료된 후, 휴대폰 화면부의 상향 틸트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슬라이더 (10)에 상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통하여 안정적인 상향 틸트 동작의 발생과 제어가 이루어진다.
휴대폰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가해지면, 프레임 (30)은 프레임 (30) 의 양변의 밑면에 결합된 틸트프레임 (88) 이 메인샤프트 (100) 를 중심축으로 상 방향으로 틸트되게 된다.
틸트프레임 (88)이 제어브라켓 (90) 에서 틸트됨과 동시에, 틸트프레임 (88) 의 스프링볼 걸림공 (33) 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볼 (110) 은 제 1 걸림공 (95)에 걸린상태에서 빠져나와 제 1 걸림공(95)의 상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공(94)으로 이동하여 걸림으로써 제 2 걸림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볼 (100)을 이용한 제 2 걸림동작을 통하여 휴대폰 사용자는 단계별 틸트 동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도된 위치에서 프레임 (30) 이 멈춤 완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휴대폰 화면부의 상향 경사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탑퍼샤프트 (102) 의 구성으로 인해 틸트프레임 (88) 의 최종 틸트동작 완료 상태에서 프레임(30)에 과도한 외력이 도 11 (d) 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더 가해질 경우, 스프링볼 (110) 이 제 2 걸림공 (94) 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 참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프레임 (88) 에는 두 개의 스프링볼 걸림공 (95, 94) 만을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걸림공을 더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30)에 단계별로 걸림동작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30)의 단계별 틸트 동작이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세 개 이상의 스프링볼 걸림공을 형성할 경우에는, 휴대폰 화면부의 단계별 틸트 동작이 가능하여, 틸트 경사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30) 의 양변 밑면에 결합된 틸트프레임 (88) 과 제어브라켓 (9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탑퍼샤프트 (102) 가 상하 길쭉한 타원형의 틸트프레임 (88)의 제어공(32) 및 제어브라켓 (90)의 스탑퍼샤프트 체결공 (96)을 관통하며 삽입되어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탑퍼샤프트 (102) 와 타원형의 제어공(32)은 틸트프레임 (88)의 최대 틸트각을 제한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틸트프레임 (88) 의 최종 틸트동작 완료 상태에서 프레임(30)에 과도한 외력이 더 가해질 경우, 스프링볼 (110)이 제 2 걸림공 (94) 을 이탈하여 틸트의 한도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휴대폰 사용자에 의한 과도한 외력에 의하여, 틸트프레임 (88) 이 스프링볼 (110) 이 제 2 걸림공 (94) 으로부터 이탈될 정도로 꺾이게 되면 휴대폰 화면부는 상향 경사진 틸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볼 (110) 이 이탈될 정도로 틸트프레임 (88) 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폰 화면부의 안정적인 틸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프레임 (88) 에는 타원형 모양으로 구성된 제어공 (3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즉, 틸트프레임 (88) 에 형성된 타원형 모양의 제어공 (32) 에 관통 삽입되어 있고, 제어브라켓 (90) 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스탑퍼샤프트 (102) 는 상기 스프링볼 (110) 이 제 1 걸림공 (95) 에 위치한 상태 (즉, 틸트 동작 전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공 (32) 의 상측면에 접하며 위치하게 된다.
이후, 휴대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틸트프레임 (88) 이 당겨져서 스프링볼 (110)이 상기 제 1 걸림공 (95) 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여 제 2 걸림공 (94) 에 걸리게 되면, 스탑퍼샤프트 (102) 는 상기 제어공 (32) 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면으로 위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어공(32)의 하측면과 걸림이 발생되어 틸트프레임 (88) 즉, 프레임(30)은 더이상 틸트되지 못하게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와 같은 스탑퍼샤프트 (102)와 제어공(32) 을 통한 틸트되는 범위의 제어를 통하여 휴대폰 화면부가 필요 이상으로 틸트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의도된 위치에서의 틸트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메인샤프트 (100) 와 스탑퍼 샤프트 (102) 는 고정자 (54, 55) 에 의해 제어브라켓 (90) 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고정자 (54, 55) 이외에도 납땜 등의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메인샤프트 (100) 를 제어브라켓 (90) 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설치된 설치되는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쿠션이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73) 을 프레임 (30) 에 설치하는 경우에 프레임 (30) 에 돌출된 쿠션고정돌기 (73) 를 설치하여, 쿠션고정돌기 (73) 에 쿠션 (72) 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72) 의 재질은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슬라이드 동작시 프레임 (30) 에 가해지는 또는 프레임 (30) 이 가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도 14 를 참조하면, 쿠션 (72) 이 쿠션고정돌기 (73) 와 프레임의 맨 뒤변의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의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쿠션 (72) 은 탄력이 있는 고무재질이기 때문에 조립자가 손으로 쿠션 (72) 을 쿠션고정돌기 (73) 에 끼워넣을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모듈은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세우는 단말기 지지대에 응용될 수 있다. 최근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는 DMB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다.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DMB 등을 시청하고자 할때 단말기를 일정 각도만큼 세울 수 있는 단말기 지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게 현실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0) 과 브라켓 (220) 으로 구성되고,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구부러진 밑부분에 형성된 스토퍼 (201), 지지판의 스토퍼 (201) 는 브라켓 (220) 의 스토퍼 (222) 에 걸리는 구성이고,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306) 가 끼워지는 홀과 내스프링 (300), 외스프링 (304) 및 스프링볼 (302) 이 끼워지는 걸림홀 (206) 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브라켓 (220) 이 지지판 (200) 의 앞부분 밑면의 놓여진 상태에서 샤프트 (201)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브라켓 (220) 에 형성된 2 개의 걸림공 (224) 에 내스프링 (300) 과 외스프링 (304) 에 의해 텐션을 받는 스프링볼 (302) 이 단계적으로 걸리게 된다. 걸림공 (224) 의 직경은 스프링볼 (302)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지지판 (200) 은 브라켓 (200) 에 샤프트 (306) 로 결합되고, 샤 프트 (306) 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지판 (200) 이 올려지고 내려지면서 스프링볼 (302) 이 2 개의 걸림공 (224) 에 걸리게 구성된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세워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7 을 참조하면,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지지판 (200) 이 상방향으로 올려진 모습이다. 지지판 (200) 의 걸림홀 (206) 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볼 (302) 은 브라켓 (220) 에서 위에 위치한 걸림공 (224) 에 걸려있게 된다.
지지판 (200) 이 상방향으로 최대한 올려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 구성된 스토퍼 (201) 가 브라켓 (220) 의 스토퍼 (222) 에 의해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지지판 (200) 이 더 이상 상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브라켓 (200) 에 지지된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내려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8 을 참조하면,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지지판 (200) 이 하방향으로 내려진 모습이다. 지지판 (200) 의 걸림홀 (206) 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볼 (302) 은 브라켓 (220) 에서 아래에 위치한 걸림공 (224) 에 걸려있게 된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측면 도이다.
도 19 및 도 2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는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0) 과 브라켓 (230) 으로 구성되고,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구부러진 밑부분에 형성된 스토퍼 (201), 지지판의 스토퍼 (201) 는 브라켓 (230) 의 스토퍼 (232) 에 걸리는 구성이고,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306) 가 끼워지는 홀과 지지판 (200) 이 회전하는 범위를 제한하는 제어공 (204), 직경이 큰 내스프링 (300), 직경이 작아서 내스프링 (300) 속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는 외스프링 (304) 및 스프링볼 (302) 이 끼워지는 걸림홀 (206) 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브라켓 (230) 이 지지판 (200) 의 앞부분 밑면의 놓여진 상태에서 샤프트 (201)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브라켓 (230) 과 지지판 (200) 이 서로 결합된다. 지지판 (200) 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브라켓 (230) 에 형성된 3 개의 걸림공 (234) 에 내스프링 (300) 과 외스프링 (304) 에 의해 텐션을 받는 스프링볼 (302) 이 단계적으로 걸리게 된다. 걸림공 (224) 의 직경은 스프링볼 (302)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지지판 (200) 은 브라켓 (230) 에 샤프트 (306) 로 결합되고,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지지판 (200) 이 샤프트 (306) 을 중심으로 올려지고 내려지면서 스프링볼 (302) 이 3 개의 걸림공 (224) 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구성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샤프트 (306) 가 브라켓 (230) 과 제어공 (204) 에 걸쳐 저 구성되게 된다. 이는 지지판 (200) 이 완전히 상방향으로 제겨진 상태에서 지지판 (200) 의 스토퍼 (201) 와 브라켓 (230) 의 스토퍼 (232) 가 서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지지판 (200) 이 브라켓 (232) 이 서로 지지하는 것외에도, 제어공 (204) 에 끼워진 브라켓 (232) 에 끼워져 고정된 샤프트 (306) 가 제어공 (204) 이 허용하는 이동거리만큼만 지지판 (200) 이 회전 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판 (200) 에 상방향으로 더 많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지지판 (200) 이 회전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이탈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최대한 세워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1 을 참조하면,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지지판 (200) 이 상방향으로 최대한 올려진 모습이다. 지지판 (200) 의 걸림홀 (206) 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볼 (302) 은 브라켓 (230) 에서 맨위에 위치한 걸림공 (234) 에 걸려있게 된다.
지지판 (200) 이 브라켓 (230) 을 기준으로 상방향으로 최대한 올려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 구성된 스토퍼 (201) 가 브라켓 (230) 의 스토퍼 (232) 에 의해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지지판 (200) 이 더 이상 상방향으로 움직임이 없이 브라켓 (200) 에 지지된다.
또한, 브라켓 (230) 에 끼워져 고정되고, 제어공 (204) 에 삽입된 샤프트 (306) 에 의해서도 지지판 (200) 이 브라켓 (230) 의 스토퍼 (232) 부분을 넘어서 더 들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 태에서 지지판이 중간단계까지 내려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2 를 참조하면,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지지판 (200) 이 상방향으로 중간부분까지 올려진 모습이다. 지지판 (200) 의 걸림홀 (206) 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볼 (302) 은 브라켓 (230) 에서 중간에 위치한 걸림공 (234) 에 걸려있게 된다.
도 23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맨 아래단계까지 내려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3 을 참조하면,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지지판 (200) 이 최대한 하방향으로 내려진 모습이다. 지지판 (200) 의 걸림홀 (206) 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볼 (302) 은 브라켓 (230) 에서 맨아래에 위치한 걸림공 (224) 에 걸려있게 된다.
도 24 내지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지지대가 단말기에 부착된 모습의 예시도이다.
도 24 를 참조하면, 지지판 (200) 과 브라켓 (220, 230) 으로 구성된 단말기 지지대가 휴대폰 등의 단말기의 일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4 (a) 는 단말기 지지대가 부착된 단말기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지지판 (200) 이 단말기 (500) 표면에 접혀져 있고, 도 24 (b) 는 지지판 (200) 이 벌려져 있는 상태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도 25 (a) 는 단말기 (500) 가 지지판 (200) 에 의해 세워진 모습의 약간 비틀어진 측면도이고, 도 25 (b) 는 단말기 (500) 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5 (c) 는 단말기 (500) 가 세워진 모습의 측면도이고, 도 25 (d) 는 배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 에서는 단말기 지지대가 단말기 (500) 의 좌측 윗부분에 설치된 모습과 우측 아래부분에 설치된 모습의 사시도 (a), 정면도 (b), 측면도 (d) 및 배면도 (c) 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를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DMB 방송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 계속해서 단말기를 손 등으로 붙잡지 아니하고도 편하게 DMB 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휴대폰이 슬라이딩 동작 발생되기 전 단계의 동작상태도.
도 3 은 슬라이더가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완료한 동작상태도.
도 4 는 휴대폰 화면부의 프레임이 슬라이더와 함께 상향 틸트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5(a) 는 도 2 및 도 3 단계에서의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5(b) 는 도 4 단계에서의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이 휴대폰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틸트동작 구동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0 (a) 는 휴대폰이 슬라이딩 동작 발생되기 전 단계이고, 도 10 (b) 는 휴대폰의 슬라이딩 동작이 중간정도 진행한 단계를 도시한다.
도 11 (c) 는 휴대폰의 슬라이더가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완료한 단계이고, 도 11 (d) 는 휴대폰 화면부의 프레임이 슬라이더와 함께 상향 틸트 동작되는 모습 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12(a) (b) 는 도 11 (c) (d) 에서의 틸트프레임 (88) 과 제어브라켓 (90) 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설치된 설치되는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쿠션이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세워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내려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단말기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최대한 세워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변형예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중간단계까지 내려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변형예인 또 다른 실시예의 단말기 지지대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판이 맨 아래단계까지 내려진 상태의 양측면도와 배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지지대가 단말기에 부착된 모습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슬라이더 20 : 가이드레일
30 : 프레임 32 : 스탑퍼샤프트 제어공
34 : 메인샤프트 회전공 36 : 가이드레일 삽입단
38 : 틸트회전부 40, 90 : 제어브라켓
42 : 메인샤프트 체결공 44 : 스탑퍼샤프트 체결공
46a, 46b, 94, 95 : 스프링볼 걸림공 48 : 체결판
50, 100 : 메인샤프트 60, 102 : 스탑퍼샤프트
70, 110 : 스프링볼 80 : 탄성장치

Claims (15)

  1.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로서,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어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레임(30);
    상기 프레임(30)에 의한 안내를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0);
    상기 프레임(30)과 슬라이더(10)에 각각 연결되어 반자동 방식의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발생시켜 주는 탄성장치(80);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0)의 회전동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틸트회전부(38);
    상기 틸트회전부(38)와 연결되어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안정적인 틸트동작을 안내해 주기 위한 제어브라켓(40);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틸트회전부(38)의 회전동작시 단계별 멈춤동작 및 안정적인 틸트상태 유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볼(70);
    상기 스프링볼(70)의 탄성력에 의한 삽입 걸림동작과 외력에 의한 이탈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볼 걸림공(46a, 46b);
    상기 틸트회전부(38)의 최대 틸트회전각을 제한시켜주기 위한 스탑퍼샤프 트(60);
    상기 틸트회전부(38)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탑퍼샤프트(60)에 의한 상·하측면 걸림동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스탑퍼샤프트 제어공(32);
    상기 스탑퍼샤프트(6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탑퍼샤프트 체결공(44);
    상기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40)을 연결시켜주며, 상기 틸트회전부(38)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50); 및
    상기 메인샤프트(50)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메인샤프트 체결공(4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50)는 상기 틸트회전부(38)에 관통 형성된 회전공(34)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틸트회전부(38)와 제어브라켓(40)을 연결시켜주고,
    상기 메인샤프트(50)의 끝단 영역(52)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0)는,
    내부에 'ㄷ'자 형태의 길다란 홈을 갖도록 구성되어 슬라이더(10)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0); 및
    상기 가이드레일(20)을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수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30) 양단을 각각 'ㄱ'자 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가이드레일 삽입단 (36)을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브라켓(40)의 폭방향 양단에는 날개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판(4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판(48)에는 고정볼트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50)가 상기 메인샤프트 체결공(42)으로부터 빠져나와 돌출된 영역에는 상기 메인샤프트(50)의 둘레를 따라 움푹 파인 형태로 구성된 끼움홈(54)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54)에는 상기 끼움홈(54)의 폭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 고정자(56)가 끼워져 상기 메인샤프트(50)가 상기 제어브라켓(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볼(70)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로드부(74) 및 구형상으로 형성된 걸림쇠(7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7.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로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휴대폰 내부에 장착 고정되어 휴대폰의 평면 슬라이딩 동작 및 틸트 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레임 (30); 상기 프레임(30)에 의한 안내를 통하여 평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0); 및 상기 프레임(30)과 슬라이더(10)에 각각 연결되어 반자동 방식의 평면 슬라이딩 운동을 발생시켜 주는 탄성장치(80) 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30)의 틸트동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틸트프레임(88);
    상기 틸트프레임 (88)와 연결되어 상기 틸트프레임 (88)의 안정적인 틸트동작을 안내해 주기 위한 제어브라켓(90);
    상기 틸트프레임 (88)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틸트프레임 (88)의 회전동작시 단계별 멈춤동작 및 안정적인 틸트상태 유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볼 (100);
    상기 스프링볼 (100)의 탄성력에 의한 삽입 걸림동작과 외력에 의한 이탈동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 (90)의 측면에 복수개 형성되는 스프링볼 걸림공(94, 95);
    상기 틸트프레임 (88)의 최대 틸트회전각을 제한시켜주기 위한 스탑퍼샤프트 (102);
    상기 틸트프레임 (88)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탑퍼샤프트 (102)에 의한 상·하측면 걸림동작을 발생시켜 주기 위한 상하 길쭉한 타원형의 스탑퍼샤프트 제어공(32);
    상기 스탑퍼샤프트(6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4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스탑퍼샤프트 체결공(96);
    상기 틸트프레임 (88)과 제어브라켓 (90)을 연결시켜주며, 상기 틸트프레임 (88)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메인샤프트(100); 및
    상기 메인샤프트 (100)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브라켓(9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메인샤프트 체결공 (97)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30) 의 양변에는 가이드레일 (74) 이 각각 인서트사출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30) 에는 쿠션 (72) 이 끼워지는 돌출된 쿠션고정돌기 (73) 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고정돌기 (73) 에 고무재질의 쿠션 (72) 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볼 (110) 은 1 개이상의 스프링 (112, 114) 에 의해 텐션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30) 은 프레스가공에 의해서 제조되고, 상기 틸트프레임 (88) 은 금속성형사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12. 판형으로 길게 연장된 지지판 (200) 과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과 결합하는 브라켓 (220)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구부러진 밑부분에 스토퍼 (201) 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스토퍼 (201) 는 브라켓 (220) 의 스토퍼 (222) 에 걸리는 구성이고,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에는 샤프트 (306) 가 끼워지는 홀과 내스프링 (300), 외스프링 (304) 및 스프링볼 (302) 이 끼워지는 걸림홀 (206) 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220) 이 상기 지지판 (200) 의 앞부분 밑면의 놓여진 상태에서 샤프트 (201) 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220) 에 형성된 2 개의 걸림공 (224) 에 내스프링 (300) 과 외스프링 (304) 에 의해 텐션을 받는 스프링볼 (302) 이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고,
    상기 걸림공 (224) 의 직경은 스프링볼 (302) 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0) 은 브라켓 (200) 에 샤프트 (306) 로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 (306) 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 (200) 이 올려지고 내려지면서 스프링볼 (302) 이 걸림공 (224) 에 걸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2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3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지지대는 휴대폰의 뒷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035266A 2008-08-14 2009-04-22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20100021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738A KR20100092361A (ko) 2009-02-12 2009-09-29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PCT/KR2009/005611 WO2010067952A2 (ko) 2008-12-12 2009-09-30 슬라이딩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구동장치
US13/146,285 US8238986B2 (en) 2009-02-12 2009-12-26 Tilt-type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and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PCT/KR2009/007816 WO2010093117A2 (ko) 2009-02-12 2009-12-26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CN200980156719.1A CN102318201B (zh) 2009-02-12 2009-12-26 倾斜型移动电话滑动模块及利用该滑动模块的终端机支撑台
KR1020100006347A KR101621562B1 (ko) 2009-02-12 2010-01-25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0085 2008-08-14
KR1020080080085 2008-08-14
KR1020080085338 2008-08-29
KR1020080085338 2008-08-29
KR1020090011639A KR20100021338A (ko) 2008-08-14 2009-02-12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20090011639 2009-02-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90A Division KR101002818B1 (ko) 2008-08-14 2009-10-24 틸트형 슬라이딩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101489A Division KR101002904B1 (ko) 2008-08-14 2009-10-24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20090107252A Division KR20100021393A (ko) 2008-08-14 2009-11-07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20090107256A Division KR20100021394A (ko) 2008-08-14 2009-11-07 틸트형 단말기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45A true KR20100021345A (ko) 2010-02-24

Family

ID=42091137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639A KR20100021338A (ko) 2008-08-14 2009-02-12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20090035266A KR20100021345A (ko) 2008-08-14 2009-04-22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101490A KR101002818B1 (ko) 2008-08-14 2009-10-24 틸트형 슬라이딩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101489A KR101002904B1 (ko) 2008-08-14 2009-10-24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20090107256A KR20100021394A (ko) 2008-08-14 2009-11-07 틸트형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107252A KR20100021393A (ko) 2008-08-14 2009-11-07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639A KR20100021338A (ko) 2008-08-14 2009-02-12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490A KR101002818B1 (ko) 2008-08-14 2009-10-24 틸트형 슬라이딩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101489A KR101002904B1 (ko) 2008-08-14 2009-10-24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20090107256A KR20100021394A (ko) 2008-08-14 2009-11-07 틸트형 단말기 지지대
KR1020090107252A KR20100021393A (ko) 2008-08-14 2009-11-07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1000213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58B1 (ko) * 2010-03-12 2011-07-1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틸트힌지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KR101106145B1 (ko) * 2010-08-16 2012-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오토 틸트 힌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85B1 (ko) * 2010-02-26 2012-02-24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및 그 작동방법
KR101142364B1 (ko) * 2010-06-24 2012-05-1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틸트 업 모듈
KR101797241B1 (ko) 2011-03-02 201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림형 거치대
KR102281699B1 (ko) * 2021-06-16 2021-07-26 한화시스템(주) 콘솔 장착형 전시장치용 이동식 시험장비의 시험대상품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136B1 (ko) 2005-04-22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68499B1 (ko) 2006-08-11 2007-10-18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스윙 힌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58B1 (ko) * 2010-03-12 2011-07-1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틸트힌지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KR101106145B1 (ko) * 2010-08-16 2012-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오토 틸트 힌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91A (ko) 2010-02-24
KR20100021338A (ko) 2010-02-24
KR101002904B1 (ko) 2010-12-22
KR20100021393A (ko) 2010-02-24
KR20100021392A (ko) 2010-02-24
KR20100021394A (ko) 2010-02-24
KR101002818B1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2361A (ko)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1002818B1 (ko) 틸트형 슬라이딩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CN113206933B (zh) 摄像头组件、移动终端及其摄像头组件的控制方法
CA2613501C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0444713C (zh) 滑盖型移动通信终端的滑动装置
KR20120087959A (ko) 슬라이드 틸트기구
CN112991957A (zh) 一种折叠屏及显示设备
KR101030404B1 (ko) 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모듈
KR10084443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85103B1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KR100855942B1 (ko) 자동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2061521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03433A (ko) 휴대폰용 틸트형 스탠드 조립장치
KR100989924B1 (ko) 싸이클로이드 힌지 모듈
KR10114383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3875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325285B2 (ja) 電子機器
KR101218129B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에 장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탄성구동체
KR200231013Y1 (ko) 평판영상표시기기의받침장치
KR20110099549A (ko) 틸트형 이동 통신 기기 슬라이딩 모듈
KR20050121526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1107125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110099837A (ko) 틸트형 이동 통신 기기 슬라이딩 모듈
KR20120028679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