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830B1 -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830B1
KR101143830B1 KR1020060078983A KR20060078983A KR101143830B1 KR 101143830 B1 KR101143830 B1 KR 101143830B1 KR 1020060078983 A KR1020060078983 A KR 1020060078983A KR 20060078983 A KR20060078983 A KR 20060078983A KR 101143830 B1 KR101143830 B1 KR 10114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lider
present
sliding structure
sli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171A (ko
Inventor
허제열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8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동작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박형의 슬라이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탄성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부재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Sliding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도 1a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투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탄성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부재와 탄성부재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부분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 및 탄성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 및 탄성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슬라이딩 구조체 110: 제1슬라이더부재
111: 바닥부 111a: 연결핀
112: 측면테두리부 120: 제2슬라이더부재
121: 기저부 121a: 장착핀
122: 수용부 130, 230, 330: 가이드부재
131, 231, 331: 지지부 132, 232, 332: 연결부
132a, 232a, 332a: 연결구멍 140, 240, 341, 342: 탄성부재
140a, 240a, 343a: 장착구멍 343: 결합부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의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간편한 조작성과 높은 디자인 선호성 등의 이유로, 휴대전화,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슬라이딩 구조가 많이 도입되고 있다.
도 1a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휴대전화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의 휴대전화(10)는 표시부(2)가 형성되어 있는 수화부(20)와, 번호키 등의 조작부(3)가 형성되어 있는 송화부(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종래의 휴대전화(10)는 통화나 메시지등의 송수신을 위해 수화부(20)를 밀어 올려 사용하는데, 사용시 슬라이딩 작용을 위해 슬라이딩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었다.
도 1b는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투시 평면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10-2005-0095517호에 개시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는, 제1슬라이더부재(41)와, 제1슬라이더부재(41)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2슬라이더부재(42)와, 제1슬라이더부재(41)의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1a)와, 양단이 제2슬라이더부재(4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장착되고 중앙부분이 고정돌기(41a)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부재(43)를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의 탄성부재(43)는 슬라이딩 작동시 지지해주는 부재가 없으므로, 탄성부재(43)의 압축 작용시 좌굴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한 좌굴현상이 일어나면 슬라이딩 작동 시 오동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느끼는 조작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슬라이딩 구조체(40)의 고정돌기(41a)에 고정된 탄성부재(43)의 중앙부분은 장기간 반복해서 사용하게 되면 피로현상이 발생하여 파괴가 일어나기 쉬워 슬라이딩 구조체(4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오동작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박형의 슬라이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슬라이더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탄성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부재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의 양측부에는 소정 높이로 구부러져 형성된 측면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의 양측부에는 상기 측면테두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회전가능한 구조는,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장착구멍과,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멍에 끼워지는 장착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사행형의 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로 배치되고,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 구조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탄성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제1슬라이더부재(110), 제2슬라이더부재(120), 가이드부재(130)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더부재(110)는 철, 알루미늄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닥부(111)와 측면테두리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바닥부(111)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연결핀(111a)이 형성된다.
측면테두리부(112)는 제1슬라이더부재(110)의 양측부에 바닥부(111)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바닥부(111)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측면테두리부(112)는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조립 공정시 제2슬라이더부 재(120)의 수용부(122)에 끼워져,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의 역할을 수행한다.
측면테두리부(112)가 형성되는 상기 소정 높이는,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됨으로써, 이후, 조립 공정시 제1슬라이더부재(110)와 제2슬라이더부재(120) 사이의 공간에 가이드부재(130) 및 탄성부재(140)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높이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소정 높이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탄성부재(140)와 제1슬라이더부재(110) 및 제2슬라이더부재(120) 사이의 공간이 증가하게 되어, 슬라이딩 작동시 탄성부재(140)의 좌굴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140)의 좌굴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소정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측면테두리부(112)는 바닥부(111)와 함께 다이캐스팅, 주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제1슬라이더부재(110)가 절곡이 가능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절곡하여 형성한다. 또한, 제1슬라이더부재(11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측면테두리부(1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111)와 측면테두리부(112)는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부와 측면테두리부를 각각 따로 형성한 뒤, 용접이나 접착제, 납땜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제2슬라이더부재(120)는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 어질 수 있으며, 기저부(121)와 수용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기저부(121)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하면의 일측에는 장착핀(121a)이 형성된다.
수용부(122)는 제2슬라이더부재(120)의 양측부에 기저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제1슬라이더부재(110)의 측면테두리부(112)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측면테두리부(1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22)의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 후에 측면테두리부(112)를 수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수용부(122)의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는, 측면테두리부(112)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에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수용부(122)는 기저부(121)와 함께 다이캐스팅, 주조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거나, 제2슬라이더부재(120)가 절곡이 가능한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절곡하여 형성한다. 또한, 제2슬라이더부재(120)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출성형의 방법으로 수용부(1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부(121)와 수용부(122)는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저부와 수용부를 각각 따로 형성한 뒤, 용접이나 접착제, 납땜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슬라이더부재(110)에 측면테두리부(112)가 형성되 고, 제2슬라이더부재(120)에 수용부(122)가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슬라이더부재에 측면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제1슬라이더부재에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구조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는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측면테두리부(112)와 수용부(122)를 형성한 뒤, 측면테두리부(112)를 수용부(122)에 위치시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슬라이더부재와 제2슬라이더부재가 서로 상호간에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만 한다면, 그 슬라이딩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제1슬라이더부재와 제2슬라이더부재의 양측부에 서로 상호 결합가능한 레일이 각각 형성된 후, 결합되어 슬라이딩 작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111a)과 장착핀(121a)의 형상은 원통의 형상을 가지게 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연결핀과 장착핀의 형상은 반드시 원통의 형상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핀과 장착핀은 각각 연결구멍(132a)과 장착구멍(140a)에 끼워져, 회전운동이 가능한 힌지구조가 된다면, 반드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고, 단순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핀(111a)은 바닥부(111)에 형성되고, 그와 대응되는 연결구멍(132a)은 연결부(132)에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연결구멍은 바닥부(111)에 형성되고, 연결핀은 연결부(132)에 형성된 후 조립시 결합됨으로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 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장착구멍은 기저부(121)에 형성되고, 장착핀은 탄성부재(140)에 형성된 후 조립시 결합됨으로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슬라이더부재(110) 및 제2슬라이더부재(120) 중 하나는 휴대전화, 카메라, PMP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칩셋, 배터리 등의 전자부품이 집중되어 있는 메인 바디(main body)에 장착되고, 나머지 하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서브 바디(sub body)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재(130)는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1)들과, 지지부(13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131)들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막대기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연결부(132)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는 지지부(131)들을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기만 하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연결부(132)에는 연결구멍(13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연결구멍(132a)은 연결핀(111a)에 끼워짐으로써, 제1슬라이더부재(110)에 연결부(132)가 장착되게 된다. 이때, 연결구멍(132a)과 연결핀(111a)의 연결 구조는 힌지 구조를 가지게 되어, 가이드부재(130)는 제1슬라이더부재(1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가이드부재(130)의 지지부(131)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탄성부재(140)가 지 지부(131)들 사이에 수용되는 동시에, 탄성부재(140)의 압축 및 복원 작용 시 그 양측 방향으로 좌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탄성부재(140)는 탄성력이 우수한 철,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압축과 인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상의 막대기가 평면상으로 구불구불 접혀 있는 사행형의 형상을 가진다. 즉, 탄성부재(140)의 상면의 모든 부분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탄성부재(140)의 하면의 모든 부분도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일견하여 볼 때 전체적으로 얇은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된다.
탄성부재(140)에는 장착구멍(140a)이 형성되어 있는데, 장착구멍(140a)은 장착핀(121a)에 끼워짐으로써, 탄성부재(140)가 제2슬라이더부재(120)에 장착되게 된다. 이때, 장착구멍(140a)과 장착핀(121a)의 연결 구조는 힌지 구조를 가지게 되어, 탄성부재(140)는 제2슬라이더부재(12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140)의 일단(A 부분)은 가이드부재(130)에 접촉하여 압축 반발력을 주로 받는 부분인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탄성부재(140)의 A 부분과 가이드부재(130)는 상호간에 영구히 고정되도록 구성되지 않고, 탄성부재(140)의 압축 시에만 단순히 탄성부재(140)의 A 부분과 가이드부재(130)가 접촉하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의 A 부분과 가이드부재는 조립시에 접착제나 납땜, 핀 연결 등의 수단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아니면 처음부터 탄성부재와 가이드부재를 일체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140)가 가이드부재(130)에 연결되어 고정되지 않는 경우의 슬라이딩 구조체는 탄성부재(140)의 압축력만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40)는 사행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는 압축과 신장을 반복할 수 있는 구조이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는 코너부가 각이 진 지그재그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4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단면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의 단면은 원형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140)와 가이드부재(130)의 두께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재가 탄성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탄성부재의 좌굴을 방지한다면, 그 두께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두께를 매우 얇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더부재(110)와 제2슬라이더부재(120), 가이드부재(130) 및 탄성부재(140)를 모두 동일한 두께(t)로 구성하고, 측면테두리부(112)가 형성되는 상기 소정 높이를 가이드부재(130) 및 탄성부재(14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t)로 구성하면, 전체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두께 는 3t에 불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박형의 구성으로 구성하게 되면, 제1슬라이더부재(110)와 제2슬라이더부재(120)에 의해 탄성부재(140)의 상하 방향의 좌굴이 용이하게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관한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가 장착된 상태의 상호 작용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a는 탄성부재(140)가 최대로 압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탄성부재(140)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어 압축력 및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a처럼 탄성부재(140)가 압축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탄성부재(140)가 가이드부재(130)를 밀게 되지만, 도 6b처럼 탄성부재(14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게 되면, 가이드부재(130)는 탄성부재(140)로부터 어떠한 힘도 받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의 상호 작용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가 작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부분 투시도이다.
먼저, 도 7a의 상태는 제2슬라이더부재(120)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탄성부재(140)는 완전히 복원되어 가이드부재(130)에 힘을 주지 않 고 있다.
사용자가, 도 7a의 상태에서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는 각각 연결핀(111a)과 장착핀(121a)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탄성부재(140)는 점차적으로 압축되게 되어, 탄성부재(140)의 포텐셜 에너지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만약,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밀어올리게 되더라도, 탄성부재(140)의 압축 반발력에 의해 제2슬라이더부재(120)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되는데, 그렇게 되면,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작용하는 충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위로 계속 밀어올리게 되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7b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도 7b는 탄성부재(140)가 최대로 압축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구학적으로 탄성부재(140)의 압축방향이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이 되는 경우에 해당되게 된다. 이 경우는 탄성부재(140)의 포텐셜 에너지가 최대값을 갖게 된다.
사용자가 도 7b의 상태에서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면,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가 각각 연결핀(111a)과 장착핀(121a)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압축되었던 탄성부재(14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포텐셜 에너지가 운동 에너지로 전환되어, 사용자는 적은 힘을 주거나 힘을 주지 않고도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밀어 올리는데 있어 특별히 힘을 줄 필요가 없으므 로, 사용자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구조체(100)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위로 계속 밀어올리게 되면,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도 7c의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도 7c의 슬라이딩 구조체(100)의 상태는, 제2슬라이더부재(120)가 최종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탄성부재(140)는 완전히 복원됨으로써, 탄성부재(140)가 가이드부재(130)에 힘을 주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14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 상태에서, 압축되었다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140)의 A 부분과 가이드부재(130)를 상호 고정하여 연결하고, 제2슬라이더부재(120)가 도 7a의 상태보다 더 아래쪽에서 움직이기 시작하거나, 도 7c의 상태보다 더 위쪽에서 움직임을 멈추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40)가 원래의 형태보다 인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필요한 경우, 그러한 인장력을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을 적절히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위로 밀어 올리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c의 최종 위치에 위치한 제2슬라이더부재(120)를 아래로 밀어 내리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슬라이딩 작동의 내용 중 방향만 바뀌어 그대로 적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140)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더욱 조밀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탄성부재(140)의 A 부분과 가이드부재(130)를 상호 고정하여 연결한 다음, 도 7b의 상태에 위치한 탄성부재의 형상이 압축력이 발생하지 않는 완전히 복원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면, 제2슬라이더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에 탄성부재는 인장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그 경우, 그러한 인장력을 이용하여, 필요한 슬라이딩 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조의 가이드부재(130)와 탄성부재(140)를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며,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뛰어난 박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100)는,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130)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작용 시 탄성부재(140)의 좌굴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 및 탄성부재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 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 및 탄성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230)는 탄성부재(2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30)는 지지부(231)들과, 연결구멍(232a)이 형성된 연결부(232)를 구비하고 있으며, 탄성부재(240)에는 장착구멍(24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구멍(232a)은 제1슬라이더부재에 형성된 연결핀 등에 끼워짐으로써, 제1슬라이더부재에 대해 가이드부재(230) 및 탄성부재(24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착구멍(240a)은 제2슬라이더부재에 형성된 장착핀 등에 끼워짐으로써, 제2슬라이더부재에 대해 가이드부재(230) 및 탄성부재(240)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가이드부재(230)와 탄성부재(240)는 서로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처음 제작 시부터 일체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와 탄성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따로 형성된 뒤, 접착제나 납땜, 용접 등으로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가이드부재(230)와 탄성부재(24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작용 및 효과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 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 및 탄성부재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 및 탄성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가이드부재(330)는 두 개의 탄성부재(341)(3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330)는 3개의 지지부(331)들과, 연결구멍(332a)이 형성된 연결부(332)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탄성부재(341)(342)의 일단은 장착구멍(343a)이 형성된 결합부(343)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구멍(332a)은 제1슬라이더부재에 형성된 연결핀 등에 끼워짐으로써, 제1슬라이더부재에 대해 가이드부재(330) 및 탄성부재(341)(342)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장착구멍(343a)은 제2슬라이더부재에 형성된 장착핀 등에 끼워짐으로써, 제2슬라이더부재에 대해 가이드부재(330) 및 탄성부재(341)(342)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30)와 탄성부재(341)(342)는 서로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며, 처음 제작 시부터 일체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부재와 탄성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따로 형성된 뒤, 접착제나 납땜, 용접 등으로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는, 병렬로 배치된 2개의 탄성부재(341)(342)를 구비함으로써, 탄성력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는, 병렬로 배치된 2개의 탄성부재(341)(342)들을 구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한 탄성력의 정도에 따라, 탄성부재의 개수 및 배치 형태를 설계자가 적절히 결정하여,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작용 및 효과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체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작동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제1슬라이더부재;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슬라이더부재;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탄성부재; 및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지 않은 부재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는 지지부들과, 상기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의 양측부에는 소정 높이로 구부러져 형성된 측면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의 양측부에는 상기 측면테두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소정 높이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회전가능한 구조는,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장착구멍과,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더부재 중 상기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멍에 끼워지는 장착핀을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 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사행형의 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의 형상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8. 삭제
KR1020060078983A 2006-08-21 2006-08-21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4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83A KR101143830B1 (ko) 2006-08-21 2006-08-21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83A KR101143830B1 (ko) 2006-08-21 2006-08-21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71A KR20080017171A (ko) 2008-02-26
KR101143830B1 true KR101143830B1 (ko) 2012-05-04

Family

ID=3938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983A KR101143830B1 (ko) 2006-08-21 2006-08-21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8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784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50108670A (ko) * 2004-05-12 2005-11-17 (주)지엔씨 스프링 압축으로 제어되는 슬라이드 부가 있는 휴대폰
KR20060089794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784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50108670A (ko) * 2004-05-12 2005-11-17 (주)지엔씨 스프링 압축으로 제어되는 슬라이드 부가 있는 휴대폰
KR20060089794A (ko) * 2005-02-04 2006-08-0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71A (ko) 200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539U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US7929319B2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38986B2 (en) Tilt-type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and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WO2006098590A1 (en) Slid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it
US7345253B2 (en) Key structures
KR101002818B1 (ko) 틸트형 슬라이딩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 지지대
KR100741014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114383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US8837143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90045819A1 (en) Testing device
US7402765B2 (en) Flat key and the frame supporting thereof
JP5978990B2 (ja) 電子装置
JP3925097B2 (ja) プリント基板取り付け構造
KR100785103B1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CN1964375A (zh) 滑动型便携式终端的滑动装置
KR10107091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097968B1 (ko)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CN211655771U (zh) 一种充电坞外壳及其侧盖与壳体的连接结构
JP5007324B2 (ja) 携帯端末用カーブスライド機構
KR200411611Y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CN215991196U (zh) 扬声器和显示设备
KR100799620B1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CN112038143B (zh) 按键帽支撑结构、按键和电子设备
CN215187207U (zh) 一种手机用扬声器安装结构
CN220585109U (zh) 一种可回弹式按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