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868A -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868A
KR20100020868A KR1020080079665A KR20080079665A KR20100020868A KR 20100020868 A KR20100020868 A KR 20100020868A KR 1020080079665 A KR1020080079665 A KR 1020080079665A KR 20080079665 A KR20080079665 A KR 20080079665A KR 20100020868 A KR20100020868 A KR 20100020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tension
pretension
vinyl hous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183B1 (ko
Inventor
신경재
김홍진
김화중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1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의 양쪽 기둥 상단부에 인장 로프를 연결하고, 중간에는 로프 고정수단으로 결합시켜 인장 로프에 프리 텐션(pre-tension)을 가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 기둥에 대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 양측에 각각 인장 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장 로프를 당겨서 프리 텐션을 인장 로프에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 로프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 로프에 프리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재기둥 설치 및 강재 가새 설치를 통한 보강방법에 비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가격이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인장 로프의 단부에는 로프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인장 로프에 필요한 프리 텐션을 충분히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비닐하우스를 보강할 수 있고, 폭설로부터 비닐 하우스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비닐 하우스, 인장 로프, 프리 텐션(pre-tension), 강재 가새, 로프 고정수단

Description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장치{Reinforcing Method and Apparatus of Greenhouse Frame For Heavy Snow Using Pretension Ti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구조적 내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비닐 하우스의 양쪽 기둥 상단부에 인장 로프를 연결하고,중간에는 로프 고정수단으로 결합시켜 인장 로프에 프리 텐션(pre-tension)을 가함으로써 비닐하우스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아치 거동이 증대되도록 하여 폭설시 비닐하우스를 파손시키지 않고 보강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상이변에 따라서 폭설로 인한 비닐 하우스의 붕괴가 빈번해져서 재배 농가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미흡하여 매년 농가의 피해는 되풀이 되고 있다.
도 1a에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농가보급형 비닐하우스(1)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닐 하우스(1)는 폭설 또는 바람과 같은 외부하중에 대하여 저항하는 구조체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를 절곡하여 지지대(10)를 구성하고, 지지대(10)의 양쪽 수직기둥(12) 위에 아치형 지붕(15)이 위치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닐 하우스(1)는 지지대(10)의 기둥(12)과 지붕 부위에 일반적으로 한 개의 철제파이프를 연속체가 되도록 하여 사용하고 그 위에 비닐(20)을 덮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비닐 하우스(1)에 폭설이 쌓이는 경우, 비닐하우스(1) 상부에 쌓인 눈이 비닐하우스 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는 도 2a와 같다. 이는 최상부에는 눈이 많이 쌓이는 반면에 좌 우측 단부에는 바람 및 경사의 영향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눈이 쌓이거나 거의 쌓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재의 모멘트는 도 2b와 같다.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닐 하우스(1)는 모멘트가 최상부위와 좌우측 단부, 즉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이 만나는 부위(K)에서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적설 하중은 비닐하우스 구조체에 변형을 유발하고, 그 구조체는 변형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는 수직으로 내려오고 동시에 좌우측 단부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만일 폭설과 같이 하중이 과다해질 경우, 구조체가 견딜 수 있는 변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결국에는 비닐하우스(1)의 붕괴를 가져오게 된다. 즉 최대모멘트가 발생하는 부위(K)에서 가장 큰 변위가 발생하며 변위가 과다해질 경우 붕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비닐 하우스(1)는 상부의 수직 처짐을 줄이거나, 좌우측 단부의 수평변위를 줄일 수 있을 경우 비닐하우스(1)의 붕 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하우스(1)의 내부에 추가 강재기둥(30)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최상부의 수직 처짐을 방지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수평가새(40)를 설치하여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이 만나는 부위(K)을 지지하였다.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형 강재 가새(50)를 설치하여 좌,우측 단부의 수평변위를 방지하는 방법이 많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강재기둥(12) 또는 강재 수평가새(40)(50)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1)를 보강하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강재파이프로 제작된 비닐하우스 구조체에 강재 기둥(12)/가새(40)(50)를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현실에 있어서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닐 하우스 위로 폭설이 쌓이게 되어도 폭설 하중에 의해서 비닐하우스를 파손시키지 않고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절기에 비닐하우스를 폭설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의 지붕에 가해 지는 폭설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비닐하우스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 기둥에 대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 양측에 각각 인장 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장 로프를 당겨서 프리 텐션을 인장 로프에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 로프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 로프에 프리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 텐션은 100N 내지 300N의 장력 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 텐션은 200N의 장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닐 하우스의 지붕에 가해지는 폭설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비닐하우스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 기둥에 대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프리 텐션이 걸리는 인장 로프; 및
상기 인장 로프를 고정하여 인장 로프에 걸린 프리 텐션을 그대로 유지시키 는 로프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인장 로프에 걸린 프리 텐션을 이용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을 보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로프는 중앙이 분리된 2개의 로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 부재들은 각각 그 일측 단부가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로프 부재들의 타단은 상기 로프 고정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프 고정수단은 상기 일측 로프 부재의 타단이 연결된 탄성 걸고리와, 상기 타측 로프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걸고리가 내부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 턱을 구비한 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 로프와 로프 고정수단을 통하여 비닐 하우스를 견고히 보강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강재기둥 설치 및 강재 가새 설치를 통한 보강방법에 비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가격이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장 로프의 단부에는 로프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인장 로프에 필요한 프리 텐션을 충분히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비닐하우스를 보 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100)은 폭설이 예상되는 경우, 비닐 하우스의 지붕(15)에 가해지는 폭설에 대하여 비닐하우스를 구조적으로 쉽게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 기둥(12)에 대하여 상기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이 만나는 부위(K) 양측에 각각 인장 로프(1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 로프(110)를 당겨서 프리 텐션을 인장 로프(110)에 가하고, 상기 인장 로프(110)를 서로 연결하여 프리 텐션이 유지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폭설이 예상되는 시기에, 인장 로프(110)와 로프 고정수단(120)을 사용하여 비닐하우스의 구조적 내력을 증가시키는데,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양쪽 기둥(12) 상단부, 즉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이 만나는 부위(K)에 인장 로프(110)를 연결하고, 충분히 팽팽하게 잡아당겨 프리 텐션(pre-tension)이 발생하도록 하여 비닐 하우스의 지붕(15)에 가해지는 수직하중에 대한 아치 거동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프리 텐션은 바람직하게는 100N 내지 300N의 장력을 가하게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 텐션은 200N의 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렇게 인장 로프(110)에 프리 텐션을 가할 경우의 비닐하우스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에 작용하는 모멘트는 도 5와 같다. 도 5에 사용된 프리 텐션 100N 내지 300N은 일반적인 사람이 충분히 가할 수 있는 힘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도 2b에 도시된 종래의 무(無) 보강 비닐하우스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비하여 최상부와 좌우측 단부의 모멘트가 1/2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200)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200)는 인장 로프(110)를 구비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로프(110)는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의 지지대(10)의 기둥(12)에 대하여 상기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이 만나는 부위(K)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프리 텐션이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인장 로프(110)에는 이를 고정하여 인장 로프(110)에 걸린 프리 텐션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로프 고정수단(1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200)는 이때 사용되는 인장 로프(110)가 가방끈 등에 사용되는 벨트를 사용하여 기둥(12)에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인장 로프(110)에 누구나 쉽게 프리텐션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쪽 인장 로프(110)의 연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으로 가방 등에 사용되는 평편한 나일론 띠를 결합시키는 로프 고정수단(120)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장 로프(110)는 중앙이 분리된 2개의 로프 부재(112a)(112b)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 부재(112a)(112b)들은 각각 그 일측 단부가 상기 기둥(12)과 아치형 지붕(15)이 만나는 부위(K)에 연결되며, 상기 로프 부재(112a)(112b)들의 타단은 상기 로프 고정수단(12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로프 고정수단(120)은 상기 일측 로프 부재(112a)(112b)의 타단이 연결된 "ㅌ"형 형태의 탄성 걸고리(122a)와, 상기 타측 로프 부재(112a)(112b)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걸고리(122a)가 내부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 턱(124)을 구비한 고정구(1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로프 고정수단(120)은 그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나일론 띠로 이루어진 로프 부재(112a)(112b)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쉽게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로프 고정수단(120)은 다른 구조의 강재를 사용한 걸고리 형태로 대신할 수 있으며, 인장 로프(110)도 또한 나일론 띠 이외의 다른 적합한 형태로 100N 내지 300N의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재료로 대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로프(110)와 로프 고정수단(120)을 사용하여 비닐하우스의 지지대(10)에 프리 텐션을 가하고, 비닐하우스의 구조적 내력을 증대시켜 폭설에 대한 붕괴방지 성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해석 모델로 선정한 종래의 비닐 하우스와 내 재해형 비닐 하우스의 규 격과 파이프 성능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제시한 도 8a에 도시된 표1과 같다.
상기 내 재해형 골조의 주된 개선 내용은 파이프 단면성능 증가, 재료의 강도 향상, 서까래 간격의 감소 등으로 인한 구조적 성능향상이다.
아래의 식 1은 평지붕 적설하중 비닐 하우스(1)에 지붕 경사도 계수(C8)를 곱하여 적설 하중(S8)을 산정하였다. 도 8b에 도시된 표 2는 지상 적설하중의 기본값(Sg)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서는 지상 적설하중의 기본 값으로 최소값 0.5kN/m2(500mm 적설심 기준)을 적용하였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표 3은 지붕 경사도 계수(C8)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해석한 하중은 적설 하중(S8)에 서까래 간격을 곱하여 환산하였다. 비닐 하우스 지지대(20)의 자중과 비닐 적재하중은 작으므로 무시하고, 설하중에 대한 하중계수 1.6만을 적용하여 소요 강도를 산정하였다. 적용하중은 도 8d에 표 4로 도시되어 있다.
식 1
S8 = Cb· Ce·Ct·I8·Sg·C8
여기서
Cb : 기본 지붕 적설 하중계수(0.7)
Ce : 노출계수(1.0)
Ct : 온도 계수(1.2)
I8 : 중요도 계수(0.8)
Sg : 지상 적설 하중의 기본 값(0.5)
C8 : 지붕 경사도 계수
도 4 및 도 5는 해석 모델을 위한 하중과 경계조건을 나타낸다. 지점은 고정으로 보지 않고 양단 힌지로 가정하였다. 양 지점은 흙에 지지대(10)의 기둥(12)이 박혀 있어서 모멘트 반력이 발생되지만 고정이 불완전하므로 상부 구조체에 불리한 조건인 힌지로 가정하였다. 도 4의 구조는 본 발명에 따라서 인장 로프(110)를 통하여 구조적으로 보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인장 로프(110)에 초기장력을 가하되, 인장 로프(110)와 골조와의 상대 강성에 따른 해제효과를 고려하여 인장 로프(110)에 장력을 가하였다. 해석 변수로 첫째 무보강, 둘째 프리 텐션 100N, 세째 프리 텐션 200N, 네째 프리 텐션 300N을 기존의 비닐하우스와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에 각각 적용하였다. 해석결과 응력이 최대로 발생하는 단부(E점)와 중앙부(C점) 부재의 모멘트와 응력을 비교하였다.
해석결과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 보강의 경우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로프(110)보강 후 200N의 프리 텐션을 가한 경우의 모멘트 변화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 로프(110)의 보강 후, 중앙부의 모멘트가 1/2 이하로 감소하고, 인장 로프(110)의 연결부 모멘트 방향이 바뀌고,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9a는 프리 텐션의 크기에 따른 주요부위의 응력 변화를 나타낸다.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곳에서 최대 응력이 발생하고 있으며, 휨 모멘트가 비닐하우스의 거동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모델의 경우 적설심 500mm(하중 0.5kN/m2)의 경우에 파이프 항복 응력을 2배 이상 초과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100N의 프리 텐션을 가하면 항복 응력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인장 로프(110)의 보강을 하면 적설심 500mm 까지 견딜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프리 텐션의 크기를 300N까지 증가시키려면 응력이 감소하지만 그 효과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조합 강도 비(R)는 압축강도와 휨 강도를 고려하여 아래의 식 2에 의해서 계산되었다.
식 2
Figure 112008058094211-PAT00001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의 단부(E점)의 경우, 응력이 항복강도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조합 강도 비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 미만으로 나타낸 것은 상기 식 2의 공칭소성모멘트가 소성 단면계수에 의해 결정됨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도 9b의 그래프는 상기 식 2를 이용한 조합 강도 비를 나타낸다. 조합 강도 비 1.0 이상은 붕괴를 의미한다. 기존의 비닐하우스는 무보강 상태에서 조합 강도 비가 2.0 이상이므로 적설심 500mm에서는 붕괴가 일어나지만, 본 발명에 따라서 100N의 프리 텐션이 작용할 경우 조합 강도 비는 50%이상 감소하여 1.0에 근접했다. 즉, 100N이상의 프리 텐션이면 붕괴에 이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는 적설 하중 0.5kN/m2 에서 조합 강도 비가 0.86으로 안전하다. 그러나 적설 하중(Sg) 0.5kN/m2 이상인 지역(인천, 속초, 강릉, 울릉도, 대관령)에서는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도 붕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프리 텐션 인장 로프(110)를 이용하여 보강하면 2배 이상의 하중에 견딜 것으로 예상된다. 100N의 프리 텐션이 작용할 경우 조합 강도 비는 50%이상 감소하였고, 프리 텐션이 200N이상 작용될 때 그 효과는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합한 프리 텐션은 100N 내지 300N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N이 최적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폭설시 프리 텐션 인장 로프(110)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보강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전산 해석을 통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존의 비닐하우스와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에 대해 100N 이상의 프리 텐션이 작용되는 경우 취약한 부분에서 응력이 평균적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였다.
둘째 본 발명에서 적용한 지상 적설하중(Sg) 0.5kN/m2 이 작용할 경우, 기존의 비닐하우스는 붕괴에 이르며, 인장 로프(110)를 추가하여 100N 이상의 프리 텐션을 주어 보강할 경우, 붕괴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째 적설심이 500mm 까지의 지역에서는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는 안전하다지만 다설 지역인 인천, 속초, 강릉, 울릉도, 대관령 지역의 경우 내 재해형 비닐하우스도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장 로프(110)와 로프 고정수단(120)을 통하여 프리 텐션을 부여하고 비닐 하우스를 견고히 보강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강재기둥(12)설치 및 강재 가새(40)(50) 설치를 통한 보강방법에 비해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가격이 매우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인장 로프(110)의 단부에는 로프 고정수단(120)을 사용하여 일반인이 인장 로프(110)에 필요한 프리 텐션을 충분히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비닐하우스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닐 하우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정면도, b도는 지지대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닐 하우스 지붕에 적설층이 형성되어 하중이 부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하중 분포도, b도는 모멘트 선도, c도는 변형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닐 하우스의 구조 보강도면으로서,
a도는 강재 기둥을 수직으로 세운 구조, b도는 강재 수평가새를 설치한 구조, c도는 "X"형 강재 가새를 부여한 구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에 의해서 구현된 비닐 하우스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에 의해서 구현된 비닐 하우스 지붕에 적설층이 형성되어 하중이 부가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멘트 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의 시험 예에서 사용된 도표들로서, a)도는 해석 모델의 규격표, b)도는 지상 적설 하중의 값을 도시한 도표, c)도는 지붕 경사 계수를 도시한 도표, d)도는 적용하중 산정 값을 기재한 도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의 시험 예에서 얻은 결과 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a)도는 프리텐션 값 대비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도, b)도는 프리텐션 값 대비 조합강도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종래의 비닐 하우스 10.... 지지대
12.... 기둥 15.... 아치형 지붕
20.... 비닐 30.... 추가 강재기둥
40.... 강재 수평 가새 50.... "X"형 강재 가새
100...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110... 인장 로프 112a,112b.... 로프 부재
120.... 로프 고정수단 122a.... 탄성 걸고리
122b.... 고정구 124.... 걸림 턱
200...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

Claims (6)

  1. 비닐 하우스의 지붕에 가해지는 폭설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비닐하우스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 기둥에 대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 양측에 각각 인장 로프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인장 로프를 당겨서 프리 텐션을 인장 로프에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 로프를 서로 연결하여 인장 로프에 프리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텐션은 100N 내지 300N의 장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텐션은 200N의 장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방법.
  4. 비닐 하우스의 지붕에 가해지는 폭설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비닐하우스를 구 조적으로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닐 하우스에 마련된 각각 기둥에 대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 양측을 서로 연결하고, 프리 텐션이 걸리는 인장 로프; 및
    상기 인장 로프를 고정하여 인장 로프에 걸린 프리 텐션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로프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인장 로프에 걸린 프리 텐션을 이용하여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을 보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로프는 중앙이 분리된 2개의 로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프 부재들은 각각 그 일측 단부가 상기 기둥과 아치형 지붕이 만나는 부위에 연결되며, 상기 로프 부재들의 타단은 상기 로프 고정수단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고정수단은 상기 일측 로프 부재의 타단이 연결된 탄성 걸고리와, 상기 타측 로프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걸고리가 내부에 끼워져서 걸리는 걸림 턱을 구비한 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20080079665A 2008-08-13 2008-08-13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100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65A KR101004183B1 (ko) 2008-08-13 2008-08-13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665A KR101004183B1 (ko) 2008-08-13 2008-08-13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868A true KR20100020868A (ko) 2010-02-23
KR101004183B1 KR101004183B1 (ko) 2010-12-24

Family

ID=4209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665A KR101004183B1 (ko) 2008-08-13 2008-08-13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1649A (zh) * 2016-07-05 2016-12-07 伯恩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大棚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983B1 (ko) * 2005-03-22 2006-06-19 김준호 비닐하우스용 골조 시스템
JP2006296409A (ja) 2005-03-25 2006-11-02 Masakazu Yoshida シートハウ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1649A (zh) * 2016-07-05 2016-12-07 伯恩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大棚
CN106171649B (zh) * 2016-07-05 2019-07-19 伯恩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大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183B1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9647B2 (en) Shear wall construction
US9388589B2 (en)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JP2002515096A (ja) ケーブル止め及び突張り装置
US20110131896A1 (en) Reinforcing brace frame
US10352033B2 (en) Clearspan fabric structure
JP6865467B2 (ja) 引張構造の建物
US8991126B2 (en) Fall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WO2022258080A1 (zh) 一种钢板带悬桥及其施工方法
US20050081465A1 (en) Masonry wall tensio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US20140346314A1 (en) Height safety anchor
KR101599672B1 (ko) 흙막이 벽체의 버팀보 연결장치
KR101004183B1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2465048B1 (ko) 막재시공 및 재인장이 편리한 인장장치
US20120090249A1 (en) System for protecting a building
US6434891B1 (en) Reinforced panel arch for soft-covered buildings and the like
KR101750792B1 (ko) 띠 철근 풀림 방지장치
JP2011084891A (ja) 落石防護工におけるワイヤロープの張力保持装置
JP5260844B2 (ja) 多目的ステージ
CN209011132U (zh) 一种组拼式双点固定基坑马道结构
CN206189893U (zh) 一种梁板用临时卸荷结构
JPH1082186A (ja) 建築工事現場に張設される安全ネット
JP2620681B2 (ja) 仮設屋根
CA2082465C (en) Covered frame shelter and method of erection
CN2646266Y (zh) 一种带拉索的薄钢板拱型保温复合屋盖结构
JP3943411B2 (ja) 土中用アン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