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362A -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362A
KR20100020362A KR1020080079112A KR20080079112A KR20100020362A KR 20100020362 A KR20100020362 A KR 20100020362A KR 1020080079112 A KR1020080079112 A KR 1020080079112A KR 20080079112 A KR20080079112 A KR 20080079112A KR 20100020362 A KR20100020362 A KR 20100020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mart card
service
payment
automatic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336B1 (ko
Inventor
이대규
정태영
Original Assignee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정태영
이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정태영, 이대규 filed Critical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물품 및 서비스 구매 시 신용거래에 의해 자동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자동충전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통신을 토대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통신정보 및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충전 정보 및 금융거래 정보를 검증하는 보안인증 모듈(PSAM); 상기 보안인증 모듈로부터 접수된 금융거래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충전 및 거래 결과를 등록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스마트 카드의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신청,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를 접수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승인 및 금융처리를 실행하는 금융서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인프라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의 충전 서비스 기능을 구현함에 따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79112
물품, 서비스, 구매, 통행료, 카드, 충전, 스마트, 단말기, 신용지불

Description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SYSTEM FOR PAYMENT BUSINESS USING PREPAY TYPE SMART CARD}
본 발명은 선불식 스마트 카드의 지불 거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유료도로의 통행료 지불 기능, 물품 또는 서비스 구매에 따른 직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선불식 지불수단에서는 충전을 위한 충전 단말기와 충전용 보안인증모듈(LSAM)의 인증을 거쳐 카드에 일정 금액을 충전하고, 이를 지불 단말기와 지불용 보안인증모듈(PSAM)을 거쳐 카드의 잔액 한도 범위내에서 지불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선불식 지불 수단은 버스나 지하철등을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과 유료도로 통행료 지불 및 기타 유통 가맹점에서 지불 수단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 고속도로 등과 같은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방법은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접촉식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을 발급받은 후에 진출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거나, 어떤 구간에서는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이는 요금징수를 위하여 톨게이트에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한 차량정체가 가중되며, 요금징수원의 배치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접촉식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 발급에 따른 비용지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통행료 징수에 따른 불편과 교통지체현상의 최소화를 지향하고, 요금징수 전산화를 위한 목적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도입하여, 현재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서 톨게이트에 통행료 자동징수를 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설치하고 이 무선 송수신 시스템과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통행료를 자동으로 정산하기 위한 OBU를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의 고속주행중에도 자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하이패스(HI-PASS)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상기 하이패스 시스템에서 차량에 탑재되는 OBU에는 카드정보를 읽을 수 있고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시킬 수 있는 지능형 IC칩이 내장된 선불형 전자카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OBU는 선불형 전자카드를 판독하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OBU에 장착되는 선불형 전자카드의 충전 방법은 사용자가 그 선불형 전자카드의 충전 잔액을 확인하고 OBU에서 전자카드를 분리하여, 도로공사 영업소를 방문하여 현금결제 또는 신용카드 결제 등에 의하여 충전하거나, 톨게이트를 통과할 때 현금 결제에 의하여 충전하거나, 선불형 전자카드용 카드리더기가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신용카드결제 또는 계좌이체 등에 의하여 충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 방법은 사용자가 항상 선불형 전자카드의 잔액을 확인하고 미리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선불형 전자카드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제한된 장소에서만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즉,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통행료 지불을 이용하게 되므로 충전을 위한 차량정차 또는 하차는 매우 큰 불편함으로 작용 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유료도로 통행료 지불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카드의 경우, 차량용 단말기(OBU)를 장착하고 그 단말기에 스마트카드를 삽입하여 톨게이트 무정차 통과하는 하이패스 지불 시스템의 경우에는 카드의 잔액이 부족할 시에 충전을 위하여 휴게소나 영업소를 방문하여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기존의 단말기에서 자동충전을 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으나, 이는 충전을 위하여 별도의 명령이 추가로 필요하여 시스템의 수정은 물론 처리 속도를 절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하이패스 시스템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여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충전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기존 설치된 단말기 및 시스템의 수정 없이 자동충전 할 수 있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카드의 금융거래를 확장할 수 있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은,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자동충전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통신을 토대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통신정보 및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충전 정보 및 금융거래 정보를 검증하는 보안인증 모듈(PSAM); 상기 보안인증 모듈로부터 접수된 금융거래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충전 및 거래 결과를 등록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스마트 카드의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신청,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를 접수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자동충전 서비스 에 대한 승인 및 금융처리를 실행하는 금융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은,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기반으로 통행료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서비스를 신청받고, 해당 서비스의 인증 및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금융서버; 상기 금융서버의 서비스 통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 스마트 카드로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운행 시 충전요청을 감지한 후, 상기 금융서버로 자동충전 요청에 대응하는 금융 처리를 요청하는 시스템 운영서버; 단말기(OBU)와 접속된 후, 전자카드의 통신 절차에 따른 통신정보 및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설정정보를 토대로 자동충전을 위한 자동 충전, 정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신정보 및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자동충전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는 보안인증 모듈(PSAM); 및 상기 보안인증 모듈로부터 접수된 통행료 정보를 수집하여 신용지불 서비스에 대한 충전결과를 등록 관리하고, 이를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은 스마트 카드로, 서비스 설정에 따른 신용지불 기준액 및 신용지불 금액 정보를 저장토록 한 후, 통행료 지불 또는 물품, 서비스 구매 과정에서 스마 트 카드로 적재된 금액이 신용지불 기준액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금융거래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유료 통행료의 자동 지불과 더불어 물품 및 서비스 구매에 따른 자동충전/지불이 가능하여,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시스템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인프라를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의 서비스 기능을 확대함으로써, 서비스 구축을 위한 비용이 극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유료도로에 대한 통행료 지불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통행료 지불은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를 설명하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물품 또는 서비스 구매가 가능할 것이다. 즉, 이하 설명되는 보안인증 모듈(PSAM)을 구비한 영업점에서 판매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상기 스마트 카드에 의한 구매 결재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료도로에 대한 통행료 지불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원리를 이용한 물품(서비스)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예시 도면과 같이, 사용자의 신용카드(113), 계좌이체, 지로(GIRO)를 기반으로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서비스를 신청 받고, 해당 서비스의 인증 및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금융서버(111)와, 상기 금융서버(111)의 서비스 통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 스마트 카드로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운행 또는 물품(서비스) 구매 시 충전요청을 감지한 후, 상기 금융서버(111)로 자동충전 요청에 대응하는 금융 처리를 요청하는 시스템 운영서버(109)와, 단말기(103)와 접속된 후, 전자카드의 통신 절차에 따른 통신정보 및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설정정보를 토대로 자동충전을 위한 자동 충전, 정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103)로 전송하는 스마트 카드(101)와, 상기 단말기(103)로부터 전송된 통신정보 및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101)에 대한 자동충전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는 보안인증 모듈(PSAM:105)과,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로부터 접수된 통행료 정보를 수집하여 지불 서비스에 대한 충전결과를 등록 관리하고, 이를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109)로 전송 제어하는 관리서버(10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3)가 유료화된 도로의 통행료 지불 시스템으로 적용될 경우, 상기 단말기(103)는 OBU 단말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는 스마트 카드(101)로 설정되는 정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불식 스마트카드의 지불 서비스 등록 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신용지불을 위한 최저값 정보(MINAL), 신용지불 금액(AMTAL) 등의 정보를 갖는 신용지불 정보와, 신용지불의 종류를 정의하기 위한 신용지불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저값 정보는 스마트 카드(101)로 적재된 금액의 하한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잔여 금액이 최저값 이하일 경우 신용지불 서비스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신용지불 금액은 신용지불 서비스 1회 실행 시 적재되는 금액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단말기(103)와의 통신 거래시 거래 유형(TRT)에 대한 정보를 갖는데, 이러한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지불 플래그를 설정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거래유형(TRT)에 따른 플래그 설정은 상기 스마트 카드(101)가 신용지불이 가능한 카드임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거래유형(TRT)에서 사용되지 않는 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것이며, 사용되지 않는 b5 비트 또는 b2 비트를 이용하여 신용지불을 위한 플래그로 설정한다. 즉,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 카드(101)는 1 바이트(Byte)로 구성된 신용지불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는 지불 거래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스마트 카드(101)가 유료화된 도로의 통행료 지불 시스템으로 적용될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스 신용지불인지, 하이패스 신용지불인지를 판단토록 하는 설정 데이터이다. 상기 신용지불 정보는 1 바이트 구조의 데이터에서 임의의 2 비트 예컨대, b3 내지 b8 비트를 이용하여 신용지불 기능을 선별토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b5, b6 비트를 이용하여 3가지 상황 즉, 터치패스와 하이패스 신용지불 기능인지, 터치패스 신용지불 기능인지, 하이패스 신용지불인지를 판단토록 하고 있다.
참고적으로, 통행료 지불을 위한 스마트 카드는 터치패스 기능과 하이패스 기능을 각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터치패스는 톨게이트에서 스마트 카드를 PSAM에 접촉함으로써 통행료가 자동 지불토록 하는 것이고, 상기 하이패스 기능은 차량의 운행 도중에 통행료가 자동 지불되도록 하는 스마트 카드의 기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용지불은 하이패스, 터치패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기능 모두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 설정은 전술된 신용지불 정보 구조의 특정 비트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전술된 스마트 카드(101)의 카드정보를 포함하여, 신용지불 정보 및 신용지불 데이터 등의 서비스 설정정보는 단말기(OBU:103)를 거쳐 보안인증 모듈(PSAM:105)로 전송되며, 관리서버(107)는 보안인증 모듈(105)로부터 수집된 플래그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101)의 신용지불 서비스 정산 결과를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109)로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109)는 금융서버(111)와의 연동을 통해 설정된 스마트 카드(101)의 신용지불 조건 즉, 신용지불을 위한 최저값 정보(MINAL), 신용지불 금액(AMTAL) 등의 정보를 토대로 신용지불에 의한 자동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통신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IC 카드, 하이패스 플러스카드)는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109)로 신용지불이 설정되어 있으며, 신용지불 설정을 통해 사용자는 신용카드(113)를 기반으로 한 통행료 자동 충전 기능을 부여받는다. 자동충전은 스마트 카드(101)의 잔여 금액이 일정치 이하로 감산될 때, 자동충전을 개시하는 최저값 정보 및 1회 충전 시의 충전금액 정보 즉, 신용지불 금액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신용지불을 위한 최저값 정보, 신용지불 금액 정보를 해당 서비스 등록 시에 설정하며, 이로부터 스마트 카드(101)는 전술한 신용지불 데이터, 신용지불 정보 등의 서비스 설정정보를 보유한다.
상기 신용지불 정보는 신용지불을 위한 설정 값 예컨대, 신용지불 금액(AMTAT), 신용지불 기준액(MINAL) 및 신용지불을 위한 설정 플래그(FLAGAL)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한 신용지불 서비스 등록 완료 시, 해당 스마트 카드(101)는 해당 서비스 구현을 위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보유하게 되며, 더불어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109) 또한 해당 스마트 카드(101)에 대한 서비스 등록 정보를 보유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스마트 카드(101)를 단말기(103)로 장착한 후,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통행료 자동지불 기능과 자동충전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S401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101) 및 단말기(103)를 보유한 차량이 고속도로(유료 도로) 주행도 중, 하이패스 차로(또는 텃치패스)를 통해 임의의 톨게이트를 경유하는데 이때, 해당 차로에 근접 설치되는 보안인증 모듈(105) 즉, PSAM은 단말기(103)로 통신을 요청한다. 상기한 보안인증 모듈(105)은 860Mz~960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고 상기 단말기(103)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S403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3)가 보안인증 모듈(105)과의 통신 개시가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기(103)는 스마트 카드(101)로 카드 초기화를 지시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101)의 초기화 값은 통신 절차에 따라 설정된 통신 규격에 기반하며, 스마트 카드(101)는 카드정보 및 상기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추출한다. 서비스 설정정보의 추출은 스마트 카드의 초기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데;
=====================================
If(신용지불기능)
RIEP = MINAL || AMTAL || RND
Else
RIEP = '00' || RND
=====================================
와 같은 프로그램이 스마트 카드의 알고리즘으로 가미된다. 기술된 RND는 난수 생성을 의미하며, 추후 설명될 암호화 과정을 위해 적용된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101)는 이러한 알고리즘을 토대로 신용지불 서비스가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스마트 카드(101)의 초기화가 이루어지면, S405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101)는 카드정보 및 상기한 신용지불 서비스 등록 여부에 따른 서비스 설정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카드정보는 거래의 유형(TRT) 정보, 신용지불 데이터, 카드의 종류(관리 주체 : 예-도로공사) 정보와, 현재 스마트 카드로 적재되어 있는 잔액 정보, 차종 정보, 출발지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카드(101)는 S407 단계에서, 상기 카드정보 및 서비스 설정정보를 단말기(103)를 통해 보안인증 모듈(105)로 전송함에 있어,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암호화를 수행한다. 암호화 방법은 공개 키 암호 시스템(Public key encryption system) 구조를 갖는 RSA 암호화, 개인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DES 암호화, 해시 함수를 이용한 해쉬 알고리즘(Hash Algorithm)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 내부적으로 정의된 암호화 알고리즘 및 전자 서명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의 암호화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날 우려가 있어 생략한다.
결국, 암호화된 카드정보는 소정의 전자서명을 거쳐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로 전송된다. 여기서, 보안인증 모듈(105)은 S409 단계에서 모듈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카드정보 및 서비스 설정정보에 대한 수신 및 서명검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서비스 설정정보의 신용지불 데이터를 토대로, 현재 접수되는 스마트 카드에 대한 신용지불 종류를 인지한다. 즉, 스마트 카드가 텃치패스 신용지불인지, 하이패스 신용지불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안인증 모듈(105)은 서비스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거래유형(TRT)의 설정 비트 예컨대, b2 비트의 플래그를 설정하여 현재 통신하고 있는 스마트 카드가 신용지불 기능을 갖고 있음을 기록한다. 한편,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S411 단계와 같이, 상기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출발지(영업소), 차종 정보, 시각정보 등을 분석한 후, 현 영업소에 대한 정보 예컨대, 영업소 코드, PSAM 정보, 현재 시각정보, 서명정보 등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3)로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103)는 스마트 카드(101)로 이를 전달한다.
S413 단계에서, 상기 스마트 카드(101)는 보안인증 모듈(105)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대한 서명검증을 수행한 후, 신용지불 정보를 토대로 한 신용지불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 카드(101)는 S415 단계와 같이 신용지불 연산을 수행함에 있어, 현재 검출된 스마트 카드(101)의 적재 금액을 수신하고, 현재 수신된 적재 금액이 기 설정된 최저 기준액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가 최초 신용지불 서비스를 등록할 때 설정된 값이다. 판단결과, 스마트 카드(101)의 최저 기준액이 설정된 값 이하일 경우, S417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충전 금액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충전 금액 정보를 토대로 자동충전을 시행한다.
스마트 카드(101)에서 처리되는 연산은;
===============================================
If(신용지불기능){
If(신용지불조건 확인){
If(BALIEP + AMTAL < MPDA) 오류처리
If(BALIEP - MPDA <= MINAL){
BALIEP = MALIEP + AMTAL
TRT = TRT | 신용지불
NTIEP = NTIEP | 신용지불
}
}Else{
NTIEP 신용지불 초기화
}
}
============================================
와 같은 프로그램이 추가된다. 이는 스마트 카드(101)의 연산 알고리즘을 추가하는 것으로,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 및 단말기(103) 간 통신 프로토콜의 변형이 없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산이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101)는 S419 단계에서, 잔여 금액이 합산된 충전된 금액 정보, 정산정보를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로 전송하되, 별도의 서명정보를 토대로 암호화된 금액정보로 제공된다. 물론, 프로그램에 기술된 바와 같이, 현재의 잔여 금액이 신용지불 기준액보다 클 경우 프로그램의 해당 루프를 벗어난 후, 현재의 잔여 금액 정보 및 서명정보를 토대로 암호화된 정보 생성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를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로 전송하며, 암호화 처리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지, 단말기(103)와의 프로토콜 규정에 근거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스마트 카드(101)로부터 전송된 현재의 금액정보를 검증하는데, 이는 S421 단계와 같이 신용지불에 대한 조건 검사를 수행한다. 신용지불 조건 검사는;
===============================================
If(NT && 신용지불기능){
If(신용지불조건){
If(BALIEP + AMTAL < MPDA) 오류처리
If(BALIEP - MPDA <= MINAL){
BALIEP = MALIEP + AMTAL
MTOTPSAM = 신용지불 액
}
}Else{
MTOTPSAM = 00(4 Byte)
}
}
============================================
와 같이, 스마트 카드(101)에서의 신용지불조건 확인절차와 유사하다. 이는 연산된 결과가 설정된 신용지불 기준액 및 신용지불 금액에 합당한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스마트 카드(101)에서 전송된 연산결과 정보의 서명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신용지불 서비스를 승인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3)는 보안인증 모듈(105)로부터 전송된 금액에 근거하여 충전된 금액과 정산된 금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충전 서비스 실행완료를 통지한다. 서비스 실행완료 통지는 정산된 금액에 대한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서비스 실행 상태 또는 그 결과를 그래픽화된 정보로 표시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S42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보안인증 모듈(105)은 요금지불 명령에 따라 접수된 수납정보를 소정의 서명 검증 알고리즘에 따라 인지한 후, 그 결과로부터 요금정산에 대한 출금완료를 판단한다. 그리고, S425 단계 및 S427 단계에서 출금 완료에 따른 보안인증 모듈(105)의 전송 신호는 암호화 절차를 거쳐 상기 단말기(103)로 제공되며, 단말기(103)는 출금저장, 징수내역 저장 등의 로그 기록을 생성한다. 상기 로그 기록은 S429 단계를 거쳐 상기 스마트 카드(101)로 저장되며, 또한, 상기 관리서버(107)는 신용지불 서비스 실행 및 통행료 지불에 따른 정산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107)는 전술된 정산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 운영서버(109)로 제공되며, 시스템 운영서버(109)는 금융서버(111)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지불 서비스는 스마트 카드로 신용지불 정보를 등록토록 함에 따라, 부가적인 통신 절차의 변형 없이 통행료에 대한 자동충전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하이패스 거래에 대한 신용지불 방법을 서술하였으나, 동일한 원리를 토대로 비접촉식 터치패스 거래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단지, 비접촉식 터치패스 거래에 대한 기존 플로우에 대응하여 상기한 신용지불 방법이 다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비접촉식 터치패스 거래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터치패스 카드는 초기 동작 시 현재의 비접촉식 터치패스가 신용지불 거래 기능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스 카드의 초기 동작 시 신용지불 거래 기능에 대한 조건을 판단한다. 본 도면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절차가 신용지불 기능의 판단을 나타낸다. 5b에서는 터치패스 카드와 보안인증 모듈(PSAM)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 후, 상기 터치패스 카드 내에서 신용지불 기능을 실행한다.
신용지불 기능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기준치 이하의 금액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충전 금액을 가산하는 기능이다. 이후, 상기 보안인증 모듈(PSAM)은 보안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터치패스 카드의 연산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통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터치패스 거래 또한 별도의 프로토콜 변형 없이 통행료의 자동 충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은 비접촉식 터치패스의 재거래를 나타낸 플로우이며, 지불 거래 수행 중 사용자의 카드 즉, 비접촉식 터치패스 카드에서는 차감되었으나 표준 SAM으로 가치가 이동되지 못한 경우로서, 직전 거래에서 총액 증가가 안된 경우에 신용지불 절차를 다수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비접촉식 터치패스의 거래 취소 절차를 설명하고 있으며, 거래 취소는 정상 지불거래 후에 사용자가 거래 취소를 할 경우이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식 터치패스 카드와 보안인증 모듈(PSAM)의 마지막 구매거래에 대하여만 수행된다. 본 절차는 IEP가 다른 구매거래를 수행했거나, PSAM이 다른 거래를 수행했을 경우에는 수행될 수 없다. 만일 마지막 구매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면 취소거래를 하게 되고, IEP에는 정상적으로 가치출금이 이루어졌지만 PSAM에는 가치입금이 도지 않았다면 에러복구를 수행한다. 또한 IEP에서의 가치출금과 PSAM에는 가치입금이 되었지만, 완전히 명령이 왼료되지 않아 거래가 정상 종료되지 못한 경우에 는 취소거래에 해당하는 에러복구 절차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카드로 신용지불 기능을 위한 서비스 설정정보로서, 서비스 설정에 따른 신용지불 기준액 및 신용지불 금액 정보를 저장토록 한 후, 통행료 지불 과정에서 스마트 카드로 적재된 금액이 신용지불 기준액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신용거래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유료 도로에 대한 통행료 지불 시스템이 유비쿼터스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어 산업적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거래유형(TRT)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신용지불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비접촉식 터치패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거래 절차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스마트 카드 103 : 단말기(OBU)
105 : 보안인증 모듈(PSAM) 107 : 관리서버
109 : 시스템 운영서버 111 : 카드사 금융서버
113 : 신용카드

Claims (6)

  1.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자동충전 서비스 실행을 위한 서비스 설정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통신을 토대로 사용자 인증을 위한 통신정보 및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자동충전 정보 및 금융거래 정보를 검증하는 보안인증 모듈(PSAM);
    상기 보안인증 모듈로부터 접수된 금융거래 정보를 수집하여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충전 및 거래 결과를 등록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스마트 카드의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신청, 등록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금융거래 정보를 접수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한 승인 및 금융처리를 실행하는 금융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2.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기반으로 통행료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서비스를 신청받고, 해당 서비스의 인증 및 서비스 정보를 통지하는 금융서버;
    상기 금융서버의 서비스 통지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해당 스마트 카드로 자동충전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운행 시 충전요청을 감지한 후, 상기 금융서버로 자동충전 요청에 대응하는 금융 처리를 요청하는 시스템 운영서버;
    단말기(OBU)와 접속된 후, 전자카드의 통신 절차에 따른 통신정보 및 스마트 카드 자동충전 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설정정보를 토대로 자동충전을 위한 자동 충전, 정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마트 카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신정보 및 서비스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에 대한 자동충전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는 보안인증 모듈(PSAM); 및
    상기 보안인증 모듈로부터 접수된 통행료 정보를 수집하여 신용지불 서비스에 대한 충전결과를 등록 관리하고, 이를 상기 시스템 운영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설정정보는 상기 스마트 카드로 설정되는 정보로서, 자동충전 서비스 등록 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신용지불을 위한 최저값 정보(MINAL), 신용지불 금액(AMTAL) 정보를 갖는 신용지불 정보와, 신용지불의 종류를 정의하기 위한 신용지불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의 잔액이 상기 최저값 정보 보다 적을 경우, 상기 신용지불 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자동 충전하기 위한 서비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선불 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인증 모듈은 상기 단말기와의 통신 거래시 거래 유형(TRT)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거래유형 정보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신용지불이 가능한 카드임을 나타내는 플래그 설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설정은 거래유형(TRT) 정보에서 사용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비트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카드는 비접촉식 터치패스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KR1020080079112A 2008-08-12 2008-08-12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KR10104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112A KR101045336B1 (ko) 2008-08-12 2008-08-12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112A KR101045336B1 (ko) 2008-08-12 2008-08-12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362A true KR20100020362A (ko) 2010-02-22
KR101045336B1 KR101045336B1 (ko) 2011-06-30

Family

ID=4209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112A KR101045336B1 (ko) 2008-08-12 2008-08-12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58B1 (ko) 2017-02-15 2020-03-13 한국도로공사 자동 지불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KR20230146169A (ko) 2022-04-11 2023-10-19 주식회사 헥토파이낸셜 데이터 기반의 최적화된 휴대폰 머니 충전을 수행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14A (ko) * 2002-06-27 2004-01-07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전자화폐 단말기
KR20040004324A (ko) * 2003-12-22 2004-01-13 이창환 선불스마트카드용 고속 Off-Line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336B1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TWI354235B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payment processing
US20050182674A1 (en) Charge approval and payment system
JPH087139A (ja) 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並びに同システム用無線通信機能付き記憶媒体,同システム用周波数変換装置,同システム用書込装置,同システム用決済装置,同システム用入金装置および同システム用照会装置
US20140108256A1 (en) Electronic System for Quickly and Securely Processing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s
EP2226759A1 (en) Electronic settlement method and electronic settlement device
KR101814134B1 (ko)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JPH10307885A (ja) 電子マネーシステム、電子マネーカード、電子マネー取引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829353B1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전자화폐의 지불결제 방법과 그 시스템
JP4218381B2 (ja) 改札システム
JP604370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45336B1 (ko) 선불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지불 거래 시스템
KR101852455B1 (ko) 즉시충전 선불교통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KR20220138697A (ko) 선불식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지불 시스템
KR20100131864A (ko) 은행업무 자동화 단말장치를 이용한 전자화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WO2004075081A1 (ja) モバイル・ネットコマース決済システム
KR102204807B1 (ko) 2 모드로 작동하는 교통 카드 및 교통 카드의 트랜잭션 처리 방법
GB2581075A (en) Information relay device, toll collection machine, medium, onboard device, and roadside device
KR20060019289A (ko) 암호화 코드 무선 모뎀 입력 방식의 선납식 전자식전력량계 시스템
JP6761533B2 (ja) 運賃決済システムおよび運賃決済方法
KR20100003264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단말장치
KR100447556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관련 납부금 결제시스템 및 방법
KR101918753B1 (ko)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한도복원방법
KR100564097B1 (ko)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KR200268536Y1 (ko) 교통 카드를 이용한 상거래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