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134B1 -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134B1
KR101814134B1 KR1020170085524A KR20170085524A KR101814134B1 KR 101814134 B1 KR101814134 B1 KR 101814134B1 KR 1020170085524 A KR1020170085524 A KR 1020170085524A KR 20170085524 A KR20170085524 A KR 20170085524A KR 101814134 B1 KR101814134 B1 KR 10181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ompany server
card
mobile terminal
prepaid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득
류지훈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비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비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비카드
Priority to KR102017008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a)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앱 카드에 한도 설정된 금액을 충전시키고, 모바일 앱 카드에 연계되는 후불형 결제카드를 후불 카드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b)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사용 건별로 실시간으로 사용 금액에 대한 결제 요청을 접수하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결재를 승인하는 단계와, c)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금액을 확인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에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을 청구하고, 매입청구가 승인되면 모바일 단말의 설정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단계 및 d)모바일 단말로부터 해지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모바일 앱 카드를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 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REAL-TIME PAYMENT METHOD FOR FUTURE PAYMENT TYPE OF PREPAID CARD BASED MOBILE APP}
본 발명은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는 은행이나 대형 점포 등에서 발급하는 플라스틱제의 식별 카드로, 물품이나 서비스 대금의 후불 또는 현금 자동 지급기(CD) 등에서의 현금 인출을 허용하는 카드. 카드의 자기 띠에 카드 소지자의 식별 정보, 패스워드 등이 저장되어 있다. 신용 카드 가맹점에서는 신용 조회 단말기(CAT)로 신용 카드 발급 회사의 주 컴퓨터에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신용 카드의 이용 한도액, 계좌/예금 잔액,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대금의 후불 처리를 허용한다. 은행의 CD는 신용 카드 정보를 판독하여 신용 카드 소지자의 계좌 내용을 확인하고 현금을 지불한다.
모바일 앱 카드는 충전된 금액을 이용하여 물품이나 서비스 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모바일 앱 카드는 카드를 충전한 후, 충전금액만큼 모바일 앱 카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말한다.
모바일 앱 카드는 선불의 대가로 고객에게 할인혜택이 부여되는 것이 보통인데 주로 소액의 현금매출 빈도가 높은 업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선불성, 사용가치의 가변성, 무기명성, 휴대의 간편성, 사용의 단시성 및 확실한 경제성 등의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공중전화카드, 지하철 정기 승차권 등이 대표적 모바일 앱 카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결제수단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결제관련 서비스가 요구된다. 부가하여 신용카드사, 선불 카드사, 고객에게 다양한 혜택이 발생하는 결제 관련 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의 유심에 카드정보를 저장하거나, 카드사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에 설치하여 모바일을 통한 모바일 앱 카드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모바일 카드에서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앱 카드 결제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모바일 카드가 단말기로부터 거래 금액에 대해 모바일 앱 카드 결제를 요청받으면, 거려 요청금액을 모바일 앱 카드 결제 기능으로 결제하였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은 설정된 시간 단위로 모바일 앱 카드 결제 기능으로 결제한 총 거래 금액을 선불 카드사 서버로부터 충전을 받고,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신용 카드사 서버에 해당 금액의 결제 내용에 대한 매입을 요청하였다.
여기서,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에 소정의 금액을 충전 요청하였고, 선불 카드사 서버는 모바일 단말의 충전요청시마다 충전금액을 요청하고, 설정된 시간 또는 주기별로 사용자의 결제금액을 확인하여 신용카드사 서버에 매입을 요청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모바일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일일이 확인하여 선불 카드사 서버에 요청해야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선불 카드사 서버와 후불 카드사 서버(예를 들면, 신용카드사 서버)는 실시간으로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고 건수 또는 시간별로 모아서 결제를 진행함에 따라 데이터의 증대로 인하여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유심카드 기반의 모바일 앱 카드로서 모바일 카드가 사용됨에 따라 카드의 잔액 및 사용내역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저장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의 분실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손실이 발생될 경우에 데이터를 복원해야만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유심카드 기반의 모바일용 모바일 앱 카드는 보안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10-0131414호(2010.12.15)
그러므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이 아닌 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금액을 정산하여 잔액이 부족할 경우에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한도복원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a)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앱 카드에 한도 설정된 금액을 충전시키고, 모바일 앱 카드에 연계되는 후불형 결제카드를 후불 카드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와, b)모바일 단말에서 사용 내역의 저장 및 충전 요청 없이 선불 카드사 서버에 실시간으로 결제정보를 송신하고, 선불 카드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 내역을 저장하고,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결재를 승인하는 단계와, c)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금액을 자동으로 정산 및 확인하여 설정된 기준에 해당되면 후불 카드사 서버에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을 청구하고, 매입청구가 승인되면 모바일 단말의 설정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단계 및 d)모바일 단말로부터 해지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모바일 앱 카드를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단계는 b-1)모바일 단말에서 결제단말과의 태깅후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요청시에 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발급된 일회용 결제키를 사용하여 결제단말의 결제요청을 가 승인하는 단계와, b-2)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의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의 설정 한도금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하여 모바일 단말의 잔액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b-3)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일회용 결제키를 생성하여 잔액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1)단계는 모바일 단말에서 가 승인 처리를 위한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패키지 및 암호화된 결제키를 생성하여 일회용 블랙박스에 저장하고, 외부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하여 결제 단말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암호화된 결제키를 복호화하여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복호화시켜 가 승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웹 카드의 사용금액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결제할 수 있고, 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앱 카드의 충전금액, 사용내역, 잔액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에 따라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단말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서버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S1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S31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S3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S3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S4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S5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단”,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전자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는 SSID 및 세션 키(결제키, 지불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말하는 것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 시스템은 결제용 어플리케이션(모바일 앱 카드)을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400)와, 결제를 진행하는 결제단말(600)과, 선불형 모바일 앱 카드가 설치되는 모바일 단말(100)과, 모바일 단말(모바일 앱 카드)에 설정된 한도금액을 충전 및 정산하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와,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금액(충전금액)을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매입하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거래 및 모바일 앱 카드의 발급 및 거래를 인증하는 인증서버(500)를 포함한다.
이중 통신사 서버(400)는 모바일 단말(100)에 모바일 앱 카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통신사 서버(400)는 통신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 또는 통신사 서버(400)에서 운영하는 통신망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100)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모든 서버에 해당된다.
모바일 단말(100)은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앱 카드로서 결제단말(600)과 결제를 진행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 정보는 실시간으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된다.
즉, 모바일 단말(100)은 종래의 유심(USIM)기반에서 결제를 진행하고, 설정된 한도금액에서 사용금액을 정산 및 저장한 뒤에 설정된 주기별로 사용내역을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딩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설치된 모바일 앱 카드(MOBILE APP CARD)에 의해 선불 카드사 서버(200)와 실시간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앱 기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모바일 단말(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도 2는 모바일 단말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단말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단말 통신부(110), 저장부(120)와 단말 제어부(130) 및 근거리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부(140)는 결제 단말(6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제단말(600)은 POS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600)은 버스/지하철/택시에 설치된 결제 단말(이하 교통 결제단말(610)로 총칭함)과 마트, 백화점, 극장, 식당등 신용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결제단말(이하 유통사 결제단말(620)로 총칭함)로 분류될 수 있다.
즉, 단말 통신부(110)는 교통 결제단말(610)과 유통사 결제단말(620)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저장부(120)는 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수신된 일회용 결제키 및 잔액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일회용 결제키는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결제 승인 정보가 포함된 지불키와, 교통 결제단말(610)과의 결제 승인 정보가 포함된 결제키로 구분될 수 있다. 지불키 및 결제키는 1회용 세션 키(SESSION KEY)로서 각각의 결제 승인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지불키는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결제 진행시에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모바일 앱 카드로 송신되어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결제를 승인하면서 소진되고, 결제키는 이전에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것이며, 교통 결제단말(610)과의 결제진행시에 소진된다.
즉,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일회용 결제키는 교통 결제단말(610)과의 결제에 필요한 결제키에 해당되며, 지불키는 실시간으로 선불카드사 서버로부터 요청 및 수신하여 유통사 결제단말(620)로 송신된다.
삭제
삭제
또한, 저장부(120)는 HCE(Host Card Emulation) 모듈을 통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 단말에 대한 NFC 태깅과 모바일 단말(100)의 전원 공급만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20)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제어부(130)가 실행함으로써, 해킹의 우려가 있는 HCE(Host Card Emulation) 모듈을 실행하지 않고도 사용자는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 제어부(130)는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단말(600)에 대한 NFC 태깅에 의하여 사용자의 결제가 진행되어야 할 때,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20)는 단말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일회용 블랙박스에 포함되어 있는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잔액정보 및 암호화된 결제키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된 결제키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가 승인처리를 위하여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패키지를 복호화 시킬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130)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하여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의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암호화된 결제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한다는 것은 외부 네트워크 환경이 오작동, 오류 등을 원인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100)의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제어부(130)는 복호화된 결제키를 이용하여 결제 금액에 대하여 가 승인 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130)는 가 승인 처리된 결제 금액을 단말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 환경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단말 통신부(110)로부터 가 승인 처리된 결제 금액을 수신하여, 결제 처리할 수 있고, 결제 처리 내용 및 사용자의 잔액정보를 갱신하여 모바일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단말 통신부(110)가 수신한 갱신된 사용자의 잔액정보 중 어느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30)는 수신 여부 판단 모듈(131), 수신 오류 원인 판단 모듈(132), 결제키 복호화 모듈(133), 가 승인 처리 모듈(134), 결제 관리 모듈(135),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 및 블랙박스 해제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여부 판단 모듈(131)은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여부 판단 모듈(131)은 모바일 단말(100)이 결제단말(600)에 대하여 NFC 태깅을 하여 결제가 진행될 때,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결제 승인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수신 오류 원인 판단 모듈(132)은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결제 금액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 그 이유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여부 판단 모듈(131)은 모바일 단말(100)이 결제단말(600)에 대하여 NFC 태깅을 하였음에도, 결제가 진행되지 않아서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의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수신하지 못한 이유를 수신 오류 원인 판단 모듈(132)이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키 복호화 모듈(133)은 암호화된 결제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여부 판단 모듈(131)의 판단 결과,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의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이유가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한 것으로서 외부 네트워크 환경이 오작동, 오류 등을 원인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은 경우라면, 결제키 복호화 모듈(133)은 암호화된 결제키를 복호화할 수 있다.
가 승인 처리 모듈(134)은 복호화된 결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가 승인 처리 모듈(134)은 복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이용하여 사용 금액에 대하여 가 승인 처리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135)은 가 승인 처리된 결제 금액을 단말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결제 관리 모듈(135)은 저장부(120)가 가 승인 처리에 이용된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잔액정보 및 암호화된 결제키를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은 가 승인 처리된 사용 금액을 단말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면, 새로운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및 새로운 암호화된 결제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은 생성된 새로운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및 새로운 암호화된 결제키를 저장부(120)가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은 새로운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일회용 블랙박스에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즉,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은 일회용 블랙박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회용 블랙박스는 새로운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은 유통사 결제단말(620)과 교통 결제단말(610)을 구분하여 유통사 결제단말(620)로부터 사용 금액의 결제 요청이 수신될 경우에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지불키를 요청할 수 있다. 즉,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은 교통 결제단말(610)의 경우에는 저장된 결제키를 사용하나, 유통사 결제단말(620)의 경우에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지불키를 요청한다.
블랙박스 해제 모듈(137)은 가 승인 처리 모듈(134)이 복호화된 결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일회용 블랙박스를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가 일회용 블랙박스, 잔액정보 및 암호화된 결제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블랙박스 해제 모듈(137)이 일회용 블랙박스를 해제함으로써, 가 승인 처리 모듈(134)이 복호화된 결제키를 이용하여 일회용 블랙박스가 포함하고 있던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박스 해제 모듈(137)은 일회용 블랙박스를 해제하기 위해서, 블랙박스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일회용 블랙박스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 해제 모듈(137)은 일회용 블랙박스를 해제한 경우, 결제 패키지 관리모듈(136)이 새롭게 생성한 일회용 블랙박스를 해제할 수 있는 새로운 블랙박스 복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박스 해제 모듈(137)은 새로운 블랙박스 복호화키를 생성한 경우, 종전에 사용하였던 블랙박스 복호화키를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암호화된 일회용 블랙박스가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포함하고, 암호화된 일회용 블랙박스를 복호화하는 블랙박스 복호화키와 암호화된 결제키가 별개로 존재함으로써, 기존기술에 비해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카드정보, 결제정보 등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앱 카드의 발급 및 등록정보가 저장된 HCE 서버(도시되지 않음)와, 전체 정보(사용내역과, 잔액, 후불형 결제카드 정보, 매입정보)를 저장하여 사용금액에 대한 충전과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을 요청하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분류될 수 있다.
또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두 통합하여 진행됨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통합하여 진행되는 실시예로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에 연계되는 후불형 결제카드를 등록하고, 모바일 앱 카드의 한도금액을 설정한 뒤에 실시간으로 수신된 모바일 앱 카드의 결제를 승인하여 결제단말에 지불하고, 사용 내역별로 충전된 금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한다.
또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잔액을 확인하여 설정된 기준에 해당되면 자동으로 설정된 한도금액에서 사용금액을 복원시킨다.
또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잔액 여부에 상관없이 설정된 주기별로 설정된 한도금액에서 사용금액을 복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한도금액은 후불카드사 서버에서 설정된 한도금액의 이내에서 자동 설정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신용카드(후불카드)의 설정 한도금액이 100만원이면, 모바일 앱 카드의 설정 한도금액은 신용카드의 한도금액인 100만원 이내(예를 들면, 2만원, 5만원, 10만원,..등등)에서 설정된다.
여기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결제시에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설정된 한도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의 결제요청이 접수되면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이전에 설정된 한도금액의 승인을 취소 요청한 뒤에 설정 한도금액의 재설정을 요청하여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사용금액 결제를 진행한다.
이때,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재설정 요청된 한도금액이 후불 카드사 서버에서 설정된 한도금액을 초과할 경우에 한도초과에 따른 오류코드를 송신한다.
즉,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 및 한도 금액의 복원은 종래와 달리 모바일 단말(100)에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자체적으로 진행되고, 모바일 단말(100)은 결제단말(600)과의 결제 진행과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수신된 정산 금액(결제승인여부 및/또는 잔액)을 출력한다.
또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내역을 통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을 요청한다.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상세 구성은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선불 카드사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 및 후불 카드사 서버(300)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220)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등록과 설정 한도금액의 복원을 위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 요청을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210)와, 모바일 단말(100)의 한도금액과 결제카드 및 정산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220)는 모바일 단말(100)과 후불 카드사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서버 통신부(220)는 모바일 단말(100)의 등록정보 및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서버 제어부(210)에 출력하고, 서버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등록 승인 및 결제후 잔액, 또는 설정 한도 금액과 한도금액의 복원 여부와 오류코드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220)는 서버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카드 정보가 포함된 결제카드의 등록요청신호와,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금액(예를 들면, 충전된 한도금액)의 매입요청신호를 송신하고,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결제카드의 등록 정보와 매입 여부 및 결제카드의 유효성 여부를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230)는 모바일 단말(100) 별 모바일 앱 카드와 연계되는 후불형 결제카드의 정보와, 설정 한도금액과,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내역과, 사용내역에 따른 잔액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후불형 결제카드의 정보는 카드번호나 CVC, 유효기간등의 정보가 저장되거나, 각 정보를 의미 또는 표현하는 코드나 토큰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후불형 결제카드의 정보는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드나 토큰 형식으로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서버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카드 정보와 카드등록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서버 통신부(220)를 제어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카드정보와 함께 카드 등록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서버 통신부(220)를 통하여 결제카드의 등록 및 유효성 여부에 따른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결과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0)에 그 결과를 송신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용 가능한 설정 한도금액을 자동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하고, 결제단말과의 결제에 사용된 사용금액을 한도금액에서 정산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을 요청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금액을 잔액에서 정산하고, 그 결과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종래와 달리 모바일 앱 카드(모바일 단말(100))와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사용금액을 정산한다. 따라서, 모바일 카드(모바일 단말(100))의 손실이나 분실시에도 사용자의 잔액과 사용내역이 모두 보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버 제어부(210)의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제어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서버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 사용자 등록과 결제카드의 등록 과정을 진행하는 등록모듈(211)과, 설정된 기준 및/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요청에 따른 한도금액의 설정 및 사용금액을 충전하는 충전모듈(212)과,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 내역을 수집하는 사용내역 수집모듈(213)과, 한도금액 및 사용금액을 정산하는 잔액 차감모듈(214)과, 일회용 결제키를 생성하는 결제패키지 생성모듈(215)과, 모바일 단말(100)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는 유효성 체크모듈(216)과, 후불 카드사에 매입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매입 생성모듈(217)과, 모바일 단말(100)을 해지시키는 해지모듈(218)을 포함한다.
등록모듈(211)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등록신청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모바일 단말(100) 및/또는 사용자의 이전 발급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서버(500)에 모바일 앱 카드(모바일 카드)의 발급 인증을 요청하여 발급을 승인하고,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카드의 등록을 요청한다.
그리고, 등록모듈(211)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카드의 등록이 완료되면, 충전모듈(212)에 해당 모바일 단말(100)에 설정된 기준 및/또는 선택된 금액을 충전하도록 요청한다.
충전모듈(212)은 모바일 단말(100)의 한도 금액을 설정하여 해당 금액을 충전시킨다. 여기서, 충전모듈(212)은 한도금액을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모바일 단말(100)에서 요청에 따라 설정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충전모듈(212)은 인증서버(500)의 거래 인증을 거친 후 한도 금액을 충전하고 등록모듈(211)에 그 결과를 출력한다. 즉, 등록모듈(211)은 충전모듈(212)의 설정 한도금액의 충전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100)에 등록메세지를 송신하여 모바일 앱 카드(후불형 모바일 앱 카드)의 발급을 완료한다.
사용내역 수집모듈(213)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결제정보가 수신되면,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단말(100)을, 예를 들면, 교통 결제단말(610)에 태깅한다면, 모바일 단말은 교통 결제단말(610)로부터 수신된 결제요청을 실시간으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사용내역 수집모듈(213)은 해당 결제정보에서 사용내역을 수집한다.
잔액 차감모듈(214)은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시마다 잔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시켜 잔액을 정산한다.
결제패키지 생성모듈(215)은 일회용 결제키(및/또는 지불키)를 생성한다. 이때, 결제키는 결제 후 남은 잔액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100)로 송신되어 이후에 사용되는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시에 소진되고, 지불키는 유통사 결제단말과의 결제를 위한 사용금액의 승인을 모바일 단말(100)에서 요청하면,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승인 여부에 따라 생성되어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된다.
유효성 체크모듈(216)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와 통신을 통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카드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한다. 유효성 체크모듈(216)은 유효성이 정상이면 인증서버(500)에 거래인증을 요청하고, 유효성이 에러이면 유효성 오류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즉, 유효성 체크모듈(216)은 한도금액이 모두 소진된 후 재충전시에 모바일 단말(100)에서 등록된 결제카드와 모바일 앱 카드의 유효성을 체크한다.
매입 생성모듈(217)은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내역에 따라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을 요청하기 위한 매입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매입정보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 송신되어 등록된 결제카드로서 해당 금액을 결제한다.
해지모듈(218)은 모바일 단말(100)의 해지요청에 따라 등록된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 등록을 해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 등록 및 한도금액을 설정하는 S100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금액을 실시간 지불하는 S200 단계와, 설정 한도금액을 소진했을 경우에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을 요청하여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S300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해지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모바일 단말(100)을 해지하는 S400 단계를 포함한다.
이중, S100 단계는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S1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00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통신사 서버(400)에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는 S111 단계와, 어플리케이션 (APPICATION)을 실행시켜 모바일 앱 카드(MOBILE APP CARD)를 설치하는 S112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모바일 앱 카드의 등록을 요청하는 S113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발급 유무를 확인 및 승인하는 S114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에 발급된 모바일 앱 카드를 등록하는 S115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 결제카드를 신청하는 S116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카드를 등록하는 S117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등록응답하는 S118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등록을 완료하는 S119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설정 한도금액의 충전을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요청하는 S120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충전을 승인하는 S121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발급완료 메세지를 송신하는 S122 단계를 포함한다.
S111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통신사 서버(400)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는 단계이다.
S112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켜 모바일 앱 카드(MOBILE APP CARD)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모바일 앱 카드(MOBILE APP CARD)는 결제시마다 실시간으로 선불 카드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금액이 포함된 결제정보를 송신한다.
즉, 모바일 단말은 결제단말(600)과의 통신을 통하여 결제를 진행하되, 한도금액, 잔금, 사용내역등을 자체 저장하지 않고, 선불 카드사 서버(200)와의 통신에 의해 수신된 내용을 출력한다.
S113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모바일 앱 카드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100)에서 모바일 앱을 실행시킨 뒤에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모바일 앱 카드 발급 신청 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00)은 발급신청모듈(138)이 구동되어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모바일 앱 카드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0)의 앱을 통하여 모바일 앱 카드에 충전되는 금액의 결제를 위하여 자신의 결제카드 정보(예를 들면, 유효기간, CVC, 카드번호, 비밀번호중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해당 정보를 의미하는 코드 또는 토큰)를 입력한다. 이와 같은 결제카드 정보는 모바일 앱 카드 요청시 또는 모바일 앱 카드 요청후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요청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S114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발급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이전의 발급 사실을 확인하고, 이전 발급사실이 없으면 발급을 승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등록모듈(211)을 구동시켜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발급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전 발급사실을 확인한다. 그리고 등록모듈(211)은 이전 발급사실이 없다면, 발급을 승인한다.
S115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가 인증서버(500)의 인증절차를 거친 뒤에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S116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서 연계 요청된 결제카드를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등록요청하는 단계이다. 등록모듈(211)은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결제카드정보를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송신하여 결제카드 등록을 요청한다.
S117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등록요청을 수신하여 선불 카드의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카드로서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등록된 결제카드는 신용등급 및 기타 조건에 따라 한도금액이 설정되었다.
S118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해당 결제카드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S119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가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등록 응답을 수신하여 등록을 완료하는 단계이다. 등록모듈(211)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등록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와 결제카드를 연동시켜 등록한다. 이때 등록된 모바일 앱 카드 및 결제카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S120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최초 한도금액의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등록모듈(211)은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가 등록완료되면, 설정된 최초 한도금액을 자동으로 충전하도록 등록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충전모듈(212)은 설정된 최초 한도금액에 대한 충전을 위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를 요청한다.
여기서, 설정 한도금액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결제카드에 설정된 한도금액의 이내에서 설정된다.
S121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결제요청의 승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충전모듈(212)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승인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에 설정된 최초 한도금액을 충전시킨다. 그러므로 모바일 단말(100)은 설정 한도금액이내에서 결제단말(600)과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S122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모바일 앱 카드의 발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일회용 결제키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한다. 일회용 결제키는 결제단말(600)과 모바일 단말(100)간의 결제 진행시에 사용되며, 일회용임에 따라 결제시마다 소진되고, 이후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잔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한 뒤에 신규 결제키가 생성되어 전송된다.
즉, 본 발명은 모바일용 모바일 앱 카드의 발급 요청시에 모바일 단말(100)과 선불 카드사 서버간의 복 수회의 신호교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최초 발급요청 시에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종래와 달리 모바일 단말(100)의 유심카드에 모바일 앱 카드 정보(한도금액, 잔액, 사용내역)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앱기반으로서 결제정보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실시간으로 정산 및 수집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S200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정산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S200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과 교통 결제단말(610) 및/또는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실시간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교통 결제단말(61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은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이 교통 결제단말(610)을 태깅하는 S211 단계와, 교통 결제단말(61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결제를 요청하는 S212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에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S213 단계와, 생성된 결제정보를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전송하는 S214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결제정보에 따른 사용 내역을 수집하는 S215 단계와, 한도금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하여 잔액을 정산하는 S216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잔액정보를 전송하는 S217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에서 잔액정보를 저장하는 S218 단계와, 잔액정보를 출력하는 S219 단계를 포함한다.
S211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모바일 앱 카드)이 결제단말(600)에 태깅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의 근거리 통신부(140)와 교통 결제단말(610)은, 예를 들면, NFC 통신을 수행한다.
S212 단계는 교통 결제단말(61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즉, 교통 결제단말(610)과 모바일 단말(100)은 NFC통신에 의해 모바일 앱 카드에 충전된 금액 내에서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다.
S213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결제정보는 사용금액을 포함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관리모듈(135)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생성 및 발급된 일회용 결제키를 사용한다. 여기서 일회용 결제키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최초 한도금액을 충전한 발급완료시에 전송되는 것으로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승인 정보가 포함된다.
S214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용금액이 포함된 결제정보(사용내역)을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교통 결제단말(610)의 결제요청을 가 승인 한뒤에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결제정보를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100)과 교통 결제단말(610)간의 결제진행건별로 실시간으로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결제정보(사용내역)를 전송한다.
S215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즉,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사용 내역 수집모듈(213)은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이를 잔액 차감모듈(214)로 출력한다.
S216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충전금액의 잔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하여 정산하는 단계이다.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잔액 차감모듈(214)은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현재 잔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잔액정보를 갱신한다.
아울러, 결제패키지 생성모듈(215)은 일회용 결제키를 신규 생성한다.
S217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일회용 결제키를 포함하여 잔액정보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회용 결제키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신규 교통 결제단말(610)과의 결제 진행시에 소진된다.
S218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수신된 일회용 결제키를 복호화하여 결제패키지를 생성하고, 잔액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모바일 단말(100)의 결제관리모듈(135)은 일회용 결제키와 잔액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S500 단계에서 후술한다.
S219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잔액정보를 모바일 앱을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제단말(600)과의 태깅후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잔액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기에 확인할 수 있다.
S300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앱 카드에 설정된 설정 한도금액을 잔액 여부에 따라 복원하는 S310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설정된 주기별로 한도를 복원하는 S320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매입청구된 사용금액의 승인을 결정하는 S330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S310 단계와, S320 단계는 교통 결제단말(610)과의 결제시에 사용된 사용금액에 대한 한도복원이며, S330 단계는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결제로 인한 사용금액의 한도복원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교통 결제단말(610)과 유통사 결제단말(620)의 구분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중, S310 단계는 도 9, S320 단계는 도 10, S330 단계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S31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310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모바일 앱 카드)의 잔액을 확인하는 S311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의 잔액이 설정된 기준보다 부족한지를 판단하는 S312 단계와, 인증서버(500)로부터 거래를 인증받는 S313 단계와, 해당 모바일 단말(100)에 설정된 설정 한도금액을 복원하는 S314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거래내역을 수집한 뒤에 매입정보를 생성하는 S315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을 요청하는 S316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S317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S318 단계와, 승인 결과에 따른 메세지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하는 S319 단계를 포함한다.
S311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충전모듈(212)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바일 앱 카드의 잔액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앱 카드의 한도금액과 현재의 잔액, 사용내역을 각각 저장한다. 따라서, 별도로 모바일 앱 카드로부터 충전요청이 없더라도 한도금액을 복원시킬 수 있다.
S312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앱 카드의 잔액정보를 조회하여 설정된 금액과 비교하여 잔액이 부족한지를 판단한다. 충전모듈(212)은 조회된 잔액정보를 확인하여 설정된 조건(예를 들면, 버스 기본 구간 비용보다 부족한 금액)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한다.
S313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해당 모바일 앱 카드에 설정된 한도 금액만큼을 충전시켜 한도복원을 진행하기 위하여 거래 내역을 인증서버에 인증받는 단계이다. 충전모듈(212)은 한도복원을 위하여 인증서버에 거래인증을 요청하여 인증을 받는다.
S314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해당 모바일 앱 카드의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단계이다. 충전모듈(212)은 설정된 한도금액을 복원하도록 금액을 충전시킨다. 이와 같은 한도금액의 복원은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의 요청이 아닌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자체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충전할 필요가 없다.
S315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충전을 위하여 사용된 금액이 포함된 사용내역을 수집하여 매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매입생성모듈(217)은 모바일 앱 카드의 정보와 사용금액, 연계된 결제카드 정보를 포함한 매입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매입이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앱 카드의 한도금액을 복원하기 위하여 사용한 금액을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청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앱 카드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한도금액을 충전시키고, 이후 사용된 금액을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 청구한다. 이를 위하여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거래 내역을 수집하여 매입정보를 생성한다.
S316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 매입정보를 송신하여 매입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매입정보는 모바일 앱 카드의 정보와 사용금액 및 연계된 후불 결제카드 정보가 포함된다.
S317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매입요청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응답하는 단계이다.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해당 모바일 앱 카드가 불승인 대상 카드인지 또는 매입청구된 금액이 결제카드의 한도금액을 초과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승인 또는 거절한다. 여기서 불승인 대상 카드에 대한 기준은 각 사업자별로 설정되는 기준(예를 들면, 연체, 사용금액 초과, 신용불량등)임에 따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S318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응답을 확인하여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319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해당 모바일 앱 카드의 한도복원의 승인 또는 비승인을 알리는 메세지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등록모듈(211)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으로부터 불승인을 알리는 오류코드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100)에 오류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후, 등록모듈(211)은 모바일 단말(100)에 새로운 후불 결제카드의 등록을 안내하는 메세지를 송신하거나 해지를 안내하는 메세지를 송신함도 가능하다.
또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매입승인 결정신호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100)에 사용금액의 복원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다.
S310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매입청구를 요청할 때, 모바일 앱 카드의 잔액을 기준으로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S316 단계부터 S319 단계는 후술되는 S330 단계의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한도 금액에 따른 불승인과,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한도금액승인 취소 후 한도금액 재설정과정과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10은 S3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S320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내역을 수집하는 S321 단계와, 설정조건에 해당되면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청구하는 S322 단계와, 매입청구에 대한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S323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매입 청구에 대한 승인이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100)에 설정된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S324 단계와, 사용금액의 복원이 완료되면 모바일 단말(100)에 한도복원 메세지를 송신하는 S325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불승인 응답이 수신되면 오류코드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하는 S326 단계를 포함한다.
S321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이다.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100)과 교통 결제단말(610) 또는 모바일 단말(100)과 유통사 결제단말(620)과의 결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S322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매입청구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시간 또는 일별 주기)에 해당 되면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을 청구하기 위하여 매입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 금액에 대한 매입을 청구한다.
S323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승인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매입 청구된 금액이 설정 한도금액 이내인지, 해당 모바일 단말(100)에서 사용 및 매입청구된 누적 금액이 결제카드의 한도금액의 이내에 해당 되는지를 확인하여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S330 단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S324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매입청구된 금액이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부터 승인되었다면, 모바일 단말(100)의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단계이다.
S325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한도금액의 복원 후 모바일 단말(100)에 한도금액의 복원에 대한 메세지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S326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불승인 결정을 확인하여 오류코드를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오류코드는 누적된 매입청구 금액이 결제카드의 한도금액을 초과했을 경우, 또는 신용불량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S3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S330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의 매입청구 승인과정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S330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 청구를 수신하는 S331 단계와,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매입청구의 승인여부를 판단하는 S332 단계와, 승인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면 오류 코드를 송신하는 S333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설정 한도금액의 승인 취소 요청을 접수하는 S334 단계와, 설정 한도 금액의 승인을 취소하는 S335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매입청구의 재접수 여부를 판단하는 S336 단계와, 재접수된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청구를 승인하는 S337 단계를 포함한다.
S331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매입청구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332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청구 요청에 대하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매입요청된 사용금액과 이전 승인된 사용금액의 합이 결제카드의 한도금액으로 설정된 금액 이내에 해당되는 지 를 판단한다. 또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해당 모바일 단말(100)(모바일 앱 카드)이 기타 조건(예를 들면, 신용불량자, 사용정지)에 해당되는 지를 판단하여 매입청구된 사용금액의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S333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매입 청구에 대하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오류 코드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매입청구된 사용금액이 모바일 단말(100)에 연계설정된 결제카드의 한도금액을 초과하였을 경우에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청구를 불승인하고, 관련 내용을 의미하는 오류코드를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한다.
S334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설정 한도금액 승인 취소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오류코드 확인 결과, 매입 청구된 사용금액이 설정된 설정 한도금액을 초과했을 경우에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설정된 설정 한도금액의 승인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
S335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설정된 결제카드의 한도금액의 설정 승인을 취소 하는 단계이다.
S336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매입청구가 재접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설정 한도금액의 승인 취소가 완료되면,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청구를 재접수시킨다. 즉,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S332 단계에서 설정 한도금액을 초과했기에 설정 한도금액의 승인을 취소하고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청구를 재접수한다.
S337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재접수된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매입청구를 승인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S332 단계에서 적용되었던 설정 한도금액의 승인을 취소함에 따라 해당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청구의 승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는 사용금액에 대하여 한도복원이 가능하다.
S400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를 해지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S4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400 단계는 모바일 단말(100)에서 해지신청을 전송하는 S411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로 결제카드의 후불 해지를 요청하는 S412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서비스를 해지하는 S413 단계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해지요청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S414 단계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잔액을 차감시키는 S416 단계와, 모바일 단말(100)에 해지완료 메세지를 송신하는 S417 단계를 포함한다.
S411 단계는 모바알 단말에서 모바일 앱 카드의 해지를 신청하는 단계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해지명령이 입력되면, 해지신청모듈(139)이 구동되어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 해지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S412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카드의 후불해지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해지모듈(218)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 결제카드 정보와 함께 후불 서비스 해지를 요청한다.
S413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모바일 앱 카드에 대한 후불 서비스를 해지하는 단계이다. 후불 카드사 서버(300)는 S412 단계에서 수신된 해지 요청에 포함된 결제카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결제카드의 모바일 앱 카드의 결제를 중지시킨다.
S414 단계는 후불 카드사 서버(300)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후불 서비스의 해지가 완료됨을 알리는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S415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 등록을 해지하는 단계이다. 즉, 해지모듈(218)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모바일 카드의 등록정보를 삭제 또는 해지로서 갱신하여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충전모듈(212) 내지 매입 생성모듈(217)은 해당 모바일 카드에 대한 결제, 한도복원, 충전등이 모두 금지된다.
S416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의 잔액 차감모듈(214)이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모바일 앱 카드 충전 금액의 잔액을 모두 차감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잔액 차감모듈(214)은 해당 모바일 단말(100)의 한도금액중 남은 잔액을 설정된 약관에 따라 차감시킨다. 차감된 금액은 후불 카드사 서버(300)와의 매입을 통하여 정산처리하거나 별도 협정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로 환불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감된 잔액은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S417 단계는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해지완료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수신된 해지완료 메세지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앱 카드의 신청과 해지과정에서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진행하되, 최초 신청 및 해지를 요청한 뒤에 진행되는 프로세스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결제과정역시 선불 카드사 서버(200)에서 실시간으로 결제 및 정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00)의 분실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유심카드의 손상으로 인한 잔액정보등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의 편리함과 함께 보안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시 외부적인 환경 요소로서, 외부 네트워크 환경 등에 의하여 결제를 실패하는 경우에, 외부적인 환경 요소와는 무관하게 재결제를 진행하는 S500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S5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S500 단계는 단말 제어부(130)가 단말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130)는 모바일 단말(100)이 결제단말(600)에 대하여 NFC 태깅을 하여 결제가 진행될 때,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결제 승인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는 S538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S53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531 단계는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 제어부(130)는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이유가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단말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이유가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한 것이라면, S532 단계를 수행하고,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 이유가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종료할 수 있다.
S532 단계는 단말 제어부(130)가 외부 네트워크 환경에 의하여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하지 못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말 제어부(130)가 암호화된 결제키를 복호화하는 단계이다.
S533 단계는 단말 제어부(130)가 복호화된 결제키를 이용해 사용금액에 대하여 가 승인 처리하는 단계이다.
S534 단계는 단말 제어부(130)에서 가 승인 처리된 사용금액을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130)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의 정상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단말 제어부(130)가 외부 네트워크 환경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단말 제어부(130)는 가 승인 처리된 사용금액을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35 단계는 저장부(120)에서 가 승인 처리에 이용된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잔액정보 및 암호화된 결제키를 삭제하는 단계이다.
S536 단계는 가 승인 처리된 사용금액을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송신하면, 단말 제어부(130)가 새로운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및 새로운 암호화된 결제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S537 단계는 저장부(120)에서 단말 제어부(130)가 생성한 새로운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 및 새로운 암호화된 결제키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S538 단계는 단말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통신부(110)가 결제단말(600)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수신한 경우에 단말 제어부(130)는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 사용금액이 포함된 결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S539 단계는 통신부(110)가 선불 카드사 서버(200)로부터 사용금액을 반영하여 갱신된 잔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540 단계는 저장부(120)가 갱신된 잔액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판 상기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단말 110 : 단말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단말 제어부
140 : 근거리 통신부 200 : 선불 카드사 서버
210 : 서버 제어부 211 : 등록모듈
212 : 충전모듈 213 : 사용내역 수집모듈
214 : 잔액 차감모듈 215 : 결제패키지 생성모듈
216 : 유효성 체크모듈 217 : 매입 생성모듈
218 : 해지모듈 220 : 서버 통신부
230 : 데이터베이스 300 : 후불 카드사 서버
400 : 통신사 서버 500 : 인증서버
600 : 결제단말 610 : 교통 결제단말
620 : 유통사 결제단말

Claims (4)

  1. a)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앱 카드에 한도 설정된 금액을 충전시키고, 모바일 앱 카드에 연계되는 후불형 결제카드를 후불 카드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모바일 단말에서 사용 내역의 저장 및 충전 요청 없이 선불 카드사 서버에 실시간으로 결제정보를 송신하고, 선불 카드사 서버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 내역을 저장하고,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결재를 승인하는 단계;
    c)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앱 카드의 사용금액을 자동으로 정산 및 확인하여 설정된 기준에 해당되면 후불 카드사 서버에 사용금액에 대한 매입을 청구하고, 매입청구가 승인되면 모바일 단말의 설정 한도금액을 복원시키는 단계; 및
    d)모바일 단말로부터 해지요청이 접수되면 등록된 모바일 앱 카드를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단계는
    b-1)모바일 단말에서 결제단말과의 태깅후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요청시에 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발급된 일회용 결제키를 사용하여 결제단말의 결제요청을 가 승인하는 단계;
    b-2)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모바일 단말의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의 설정 한도금액에서 사용금액을 차감하여 모바일 단말의 잔액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b-3)선불 카드사 서버에서 일회용 결제키를 생성하여 잔액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b-1)단계는
    모바일 단말에서 가 승인 처리를 위한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패키지 및 암호화된 결제키를 생성하여 일회용 블랙박스에 저장하고,
    외부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하여 결제 단말로부터 사용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이 수신되지 않으면 암호화된 결제키를 복호화하여 암호화된 일회용 결제 패키지를 복호화시켜 가 승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교통수단에 설치된 교통 결제단말의 실시간 결제시에 저장된 결제키를 사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b)단계에서, 선불 카드사 서버는
    신용카드의 결제가 가능한 유통사 결제 단말의 실시간 결제 요청시에 지불키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4. 삭제
KR1020170085524A 2017-07-05 2017-07-05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KR101814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24A KR101814134B1 (ko) 2017-07-05 2017-07-05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524A KR101814134B1 (ko) 2017-07-05 2017-07-05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134B1 true KR101814134B1 (ko) 2018-01-02

Family

ID=6100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524A KR101814134B1 (ko) 2017-07-05 2017-07-05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1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621B1 (ko) * 2019-09-25 2019-12-03 주식회사 이비카드 후불형 결제 카드의 유효성 검증을 이용한 모바일 카드의 무승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1620B1 (ko) * 2019-09-25 2019-12-03 주식회사 이비카드 후불형 결제 카드의 유효성 검증을 이용한 모바일 카드의 후불형 서비스 방법
US20210191443A1 (en) * 2019-12-20 2021-06-24 The Harvest Collective Llc (Dba Shinepay) Inline adapter module for providing vended power source
US20220164786A1 (en) * 2020-11-22 2022-05-26 Ondot Systems Inc. Managing secure app-less distribution of customized transaction cards to online digital wallets with instant apps
US11748744B2 (en) 2019-04-03 2023-09-05 First Data Corporation Source independent consistent tokenization
US11887080B2 (en) 2018-06-18 2024-01-30 First Data Corporation Instant digital issuan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7080B2 (en) 2018-06-18 2024-01-30 First Data Corporation Instant digital issuance
US11748744B2 (en) 2019-04-03 2023-09-05 First Data Corporation Source independent consistent tokenization
KR102051621B1 (ko) * 2019-09-25 2019-12-03 주식회사 이비카드 후불형 결제 카드의 유효성 검증을 이용한 모바일 카드의 무승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1620B1 (ko) * 2019-09-25 2019-12-03 주식회사 이비카드 후불형 결제 카드의 유효성 검증을 이용한 모바일 카드의 후불형 서비스 방법
US20210191443A1 (en) * 2019-12-20 2021-06-24 The Harvest Collective Llc (Dba Shinepay) Inline adapter module for providing vended power source
US20220164786A1 (en) * 2020-11-22 2022-05-26 Ondot Systems Inc. Managing secure app-less distribution of customized transaction cards to online digital wallets with instant ap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34B1 (ko)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실시간 지불방법
US11238431B2 (en) Credit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ard emulation of mobile terminal
RU2708945C2 (ru) Запрос на преобразование в маркер посредством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упа
US83878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ss transit merchant payment
KR101573848B1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7849005B2 (en) Electronic funds transfer method
US20150287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rily enabling proprietary transit payments on a hotel room key
EP2226759A1 (en) Electronic settlement method and electronic settlement device
KR101404719B1 (ko) 국가별 금융사 식별 번호를 이용하는 국제 선불 카드의 결제 시스템 및 국제 선불 카드의 결제 방법
JP6860027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814133B1 (ko)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58831B1 (ko) 신용카드 선승인 충전을 이용한 선불 모바일 전자화폐 사용금액의 신용결제 방법
KR101918753B1 (ko) 모바일 앱 기반의 후불형 선불카드의 한도복원방법
JP2006040249A (ja) プリペイドカードサービス運用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032657A1 (en) Payment card security system and payment method using anonymous payment cards
KR101656317B1 (ko) 폰빌 카드를 이용한 소액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97850B1 (ko)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소액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의 동작 방법
JP733217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682888B1 (ko) 모바일 선불카드를 이용한 후불 청구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선불카드사 서버, 후불카드사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64097B1 (ko)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CN112136302B (zh) 移动网络运营商认证协议
JP6761533B2 (ja) 運賃決済システムおよび運賃決済方法
KR20090091893A (ko) 가맹점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밴사 서버, 결제처리 서버및 기록매체
KR20050033410A (ko)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