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113A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113A
KR20100020113A KR1020080078768A KR20080078768A KR20100020113A KR 20100020113 A KR20100020113 A KR 20100020113A KR 1020080078768 A KR1020080078768 A KR 1020080078768A KR 20080078768 A KR20080078768 A KR 20080078768A KR 20100020113 A KR20100020113 A KR 2010002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voltage
balancing
cells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655B1 (ko
Inventor
김우성
박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6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터리 팩 내 셀간 전압 편차를 최소화하는 셀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에 있어서,
키 온 상태인지 판단하여 셀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전류가 1분 이상 일정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셀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배터리 팩 내에서 최저 전압값을 갖는 최저 전압 셀을 기준으로 셀간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이면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배터리, 배터리 팩, 셀, 밸런싱, 전압 편차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METHOD OF BALANCING CELL IN BATTERY PACK OF HEV}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배터리 팩 내 셀간 전압 편차를 최소화하는 셀 밸런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필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을 탑재한다. 이러한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은 안전성과 수명 향상, 그리고 고출력을 얻기 위해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균일하게 해주어야 하므로, 배터리 셀들을 충전 또는 방전하면서 각 배터리가 적절한 전압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를 이용한다.
그러나, 다수개의 배터리 셀(이하, 셀이라 함)들은 내부저항 등의 재질적 특성 및 배터리 팩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따른 인위적 편차 등으로 인해 전압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셀간 전압 편차는 배터리 팩의 용량 및 출력 특성이 낮은 전압의 셀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되므로 실제 가용 용량/출력에 비해 성능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배터리 팩의 성능 측정 시 최저 전압 셀을 기준으로 임계값을 설정함).
도 1은 열화 정도에 따른 배터리 팩의 출력 전압값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예를 들어, 리튬 배터리는 잔존용량(State Of Charge, 이하 SOC라 함) 5%의 편차 발생 시 약 60mV의 전압 편차를 보이며, 이에 따라 최저 전압 셀(열화 셀)에 의해 팩의 용량이 5% 낮게 측정될 수 있으며, 출력 전압값도 그만큼 낮게 측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압 편차가 발생한 셀을 방치하여 배터리를 그래로 사용할 경우 편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배터리 팩 내 모든 셀의 열화 및 과충전 등의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의 셀들은 여러 요인에 의해 전압 평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충전 상태를 평형화시키기 위한 밸런싱 기능을 가진다.
즉, 배터리 팩 내의 셀들의 자기 방전률 차이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 셀들간의 SOC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셀들간의 용량 불균형을 극복하기 위해 배터리 셀들마다 충전(boost) 및 방전(buck)을 해주기 위해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존의 셀 밸런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 온(Ignition on) 시 측정된 최초 셀 전압을 SOC로 환산하여 최저 SOC 셀과 나머지 셀간에 편차를 비교하고, 그 값이 5%를 넘는 셀에 대하여 밸런싱 저항과 셀 전압과의 관계로 밸런싱 시간을 계산하여 셀간 편차를 줄여나가는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셀간 편차가 6%인 경우 1%의 용량을 밸런싱 저항을 통해 밸런싱 시간 동안 제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매 단계마다 오차를 포함하게 되어 실제 밸런싱은 초기 계산보다 적게 수행될 수 있다. 최초 측정된 셀 전압을 SOC로 환산하는데 오차가 발생하며, 밸런싱 시간 계산시 초기 측정 전압으로 계산하므로 밸런싱 중 전압이 변하게 되면 오차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밸런싱 회로의 저항 성분에 의한 에러가 포함될 수 있어 각 셀 마다 밸런싱 회로 저항 특성이 다를 경우 밸런싱 수행 양이 불규칙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오차들을 감안하여 밸런싱 수행 시간을 보정하더라도 역시 각 셀의 밸런싱 회로 저항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 밸런싱 양을 초과하여 방전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고전압 배터리 팩 내에 셀간 전압 편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의 최적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성 및 수명을 확보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에 있어서,
키 온 상태인지 판단하여 셀 전압을 측정하는 제1단계; 전류가 1분 이상 일정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셀 전압을 측정하는 제2단계; 배터리 팩 내에서 최저 전압값을 갖는 최저 전압 셀을 기준으로 셀간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제3단계; 상기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이면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에서 소정 크기(Vmargin)를 감산한 값(△V-Vmargin) 이하인지 판단하여 셀 밸런싱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진단(FAULT)이 발생하거나 잔존용량(SOC)이 20% 이하가 되면 셀 밸런싱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셀 전압 측정은 셀 밸런싱과 다른 시간대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 밸런싱 방법은 측정된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에서 소정 크기(Vmargin)를 감산한 값(△V-Vmargin) 이하가 되는 때까지 셀 밸런싱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셀 밸런싱 시간을 산출하는데 오차가 없으며, 실시간 셀간 전압 편차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의 최적 성능 및 내구성과 수명 등의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 밸런싱 방법은 최저 전압 셀(배터리 팩 내에서 최저 전압값을 갖는 셀)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셀들과의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 차이가 날 경우 밸런싱 수행 조건으로 판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셀 밸런싱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수행 (필요)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으로, 키 온(key on) 시 측정한 최초 셀 전압값에 대하여 일정 크기(△V) 이상 전압 편차(이하, 최저 전압 셀과 다른 셀간에 전압 편차를 의미함)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전류가 인가되고 있는 중에는 셀의 전압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여 셀간 접압 편차를 실제 편차로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키 온 상태와 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셀간 전압 편차의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주행 중에는 전류가 '0'인 구간이 거의 없는 대신 전류가 '0' 근방의 값을 갖고 흐를 경우 전압 변화가 매우 적게 나타나므로, 전류가 '0' 근방의 값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경우 즉, 일정 전류 이하로 약 1분간 유지하는 경우에만 셀 밸런싱 판단이 가능한 조건으로 설정하여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싱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셀 밸런싱을 해제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스테리시스를 적용하여, 셀간 전압 편차(최저 전압 셀과 다른 셀간에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에서 소정 크기(Vmargin)를 감산한 값(△V-Vmargin) 이하로 감소할 경우를 셀 밸런싱 해제 조건으로 설정한다(Vmargin은 시험을 통해 튜닝된다.).
그리고, 셀 밸런싱을 강제 해제하기 위한 비상 종료 조건으로 진단 발생(fault 발생) 및 SOC가 20% 이하인 경우를 설정한다.
즉, 셀간 전압 편차가 △V-Vmargin 이하로 감소하지 않더라도 진단 플래그가 발생하거나 SOC가 20% 이하인 경우, 셀 밸런싱 중이거나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 발생하더라도 무조건 셀 밸런싱을 중단(해제)하거나 또는 셀 밸런싱을 시행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셀에 적용되는 밸런싱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셀 전압 측정과 셀 밸런싱이 다른 시간대에 실시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셀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밸런싱 회로의 스위치를 연결하여 해당 셀을 밸런싱 해제 조건(△V-Vmargin)까지 방전시킨다. 이때 전압 센싱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압 측정시에는 셀 밸런싱을 실시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셀 밸런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온 시 셀 전압을 측정하여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인지 판단하고, 주행 중에는 전류가 1분간 일정값 이하이면 셀 전압을 측정하여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인지 판단한다(S100~S120).
최저 전압 셀을 기준으로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이면 셀 밸런싱을 수행하여 해당 셀을 방전시킨다(S140).
만약, 진단이 발생하거나 SOC가 20% 이하가 되면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이더라도 무조건 셀 밸런싱을 해제하여 종료한다.
즉, 진단이 발생하지 않고 SOC가 20% 이상인지 판단하여(S130), 만족하면 셀 밸런싱을 수행하여 해당 셀을 방전시키고(S140), 만족하지 않는다면 셀 밸런싱을 종료한다.
셀 밸런싱 수행 중에 셀간 전압 편차가 최저 전압 셀을 기준으로 밸런싱 해제 조건을 만족시켜 △V-Vmargin 이하가 되면 밸런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셀 밸런싱을 해제하여 종료한다(S150).
도 1은 열화 정도에 따른 배터리 팩의 출력 전압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종래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런싱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셀에 적용되는 밸런싱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셀 전압 측정과 셀 밸런싱이 다른 시간대에 실시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4)

  1.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에 있어서,
    키 온 상태인지 판단하여 셀 전압을 측정하는 제1단계;
    전류가 1분 이상 일정값 이하인지 판단하여 셀 전압을 측정하는 제2단계;
    배터리 팩 내에서 최저 전압값을 갖는 최저 전압 셀을 기준으로 셀간 전압 편차를 산출하는 제3단계;
    상기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 이상이면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간 전압 편차가 일정 크기(△V)에서 소정 크기(Vmargin)를 감산한 값(△V-Vmargin) 이하인지 판단하여 셀 밸런싱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진단(FAULT)이 발생하거나 잔존용량(SOC)이 20% 이하가 되면 셀 밸런싱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 전압 측정은 셀 밸런싱과 다른 시간대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KR1020080078768A 2008-08-12 2008-08-12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KR100993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68A KR100993655B1 (ko) 2008-08-12 2008-08-12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768A KR100993655B1 (ko) 2008-08-12 2008-08-12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113A true KR20100020113A (ko) 2010-02-22
KR100993655B1 KR100993655B1 (ko) 2010-11-10

Family

ID=4209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768A KR100993655B1 (ko) 2008-08-12 2008-08-12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6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5603A1 (de) * 2011-03-16 2012-09-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e Batterie und Verfahren zur Messung der Zellspannungen in einer elektrischen Batterie
WO2012145319A1 (en) * 2011-04-20 2012-10-26 A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charge between battery cells
US8963499B2 (en) 2010-10-12 2015-02-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battery pack
KR101497602B1 (ko) * 2012-05-02 2015-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밸런싱 방법
KR20200106751A (ko) * 2019-03-05 2020-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2180273A (zh) * 2019-06-14 2021-01-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电池诊断装置及其电池诊断方法,和包含车辆电池诊断装置的车辆
EP3822645A1 (en) * 2019-11-18 2021-05-19 Volvo C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s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1737B2 (en) 2003-06-19 2006-07-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ttery cell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KR100852060B1 (ko) 2007-07-11 200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의 셀 밸런싱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3499B2 (en) 2010-10-12 2015-02-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battery pack
DE102011005603A1 (de) * 2011-03-16 2012-09-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Elektrische Batterie und Verfahren zur Messung der Zellspannungen in einer elektrischen Batterie
WO2012145319A1 (en) * 2011-04-20 2012-10-26 A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charge between battery cells
US9641004B2 (en) 2011-04-20 2017-05-02 A123 Systems, LLC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charge between battery cells
KR101497602B1 (ko) * 2012-05-02 2015-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밸런싱 방법
KR20200106751A (ko) * 2019-03-05 2020-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2180273A (zh) * 2019-06-14 2021-01-0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电池诊断装置及其电池诊断方法,和包含车辆电池诊断装置的车辆
EP3822645A1 (en) * 2019-11-18 2021-05-19 Volvo C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s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US11422193B2 (en) 2019-11-18 2022-08-23 Volvo C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s i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655B1 (ko) 201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9126B2 (ja) 電源装置用状態検知装置
KR100993655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팩의 셀 밸런싱 방법
JP5656415B2 (ja) 二次電池の状態判定装置及び制御装置
US9634498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and equalizing method
US10209317B2 (en) Battery control device for calculating battery deterioration based on internal resistance increase rate
CN106662620B (zh) 电池状态探测装置、二次电池系统、存储介质、电池状态探测方法
JP6324248B2 (ja) 電池状態検知装置、二次電池システム、電池状態検知プログラム、電池状態検知方法
JP5159498B2 (ja) ハイブリッドカーの電源装置における電池の充放電制御方法
JP5846054B2 (ja) 診断装置および診断方法
JP7067549B2 (ja) 蓄電素子管理装置及び蓄電素子管理方法
JPWO2016140152A1 (ja) 電池制御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US20190123571A1 (en) Battery Controlling Device
US10971766B2 (en) Management system, battery, and management method for energy storage device
CN107923949A (zh) 管理装置以及蓄电系统
JP2017523395A (ja) 劣化状態パラメータ値の信頼性を判定する方法
JP2017143026A (ja) 燃料電池と二次電池を併用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二次電池の健全度推定方法、および、燃料電池と二次電池を併用するシステム
JP2014176196A (ja) 電池制御装置及び電池制御方法
KR20190042340A (ko) 차량 탑재용 충전기의 제어를 통한 배터리 팩의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57504A (ja) 二次電池の過放電検出方法
US11581589B2 (en) Management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cause analysis method, engine-driven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WO2020085097A1 (ja) 電池制御装置
US92118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weak subdivision in a battery system
KR20240058619A (ko)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JP2022166577A (ja) 電池監視装置
CN117396769A (zh) 电池异常检测装置以及电池异常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