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619A -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619A
KR20240058619A KR1020220139530A KR20220139530A KR20240058619A KR 20240058619 A KR20240058619 A KR 20240058619A KR 1020220139530 A KR1020220139530 A KR 1020220139530A KR 20220139530 A KR20220139530 A KR 20220139530A KR 20240058619 A KR20240058619 A KR 2024005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cv
capacity
char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민
이현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619A/ko
Publication of KR2024005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는,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을 추정하는 OCV 추정부;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를 획득하는 OCV 측정부; 상기 제1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을 추정하는 용량 추정부; 및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BATTERY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ING CHARGE/DISCHARGE CAPACITY RATIO}
본 발명은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에 대한 동력원으로 이용되는 배터리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 각각은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전기차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충방전을 관리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배터리는, 충방전을 적절히 관리하여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이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에 과충전 등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이상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중 하나는,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 이상 징후를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을 추정하는 OCV 추정부;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를 획득하는 OCV 측정부; 상기 제1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을 추정하는 용량 추정부; 및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 이상 징후를 미리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배터리 등가모델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용량 추정부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제1 OCV를 추정하는 단계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제1 용량(SOH1) 및 제2 용량(SOH2)을 추정하는 단계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있어서, 하나의 예로써 설명되는 구조, 형상 및 수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로 조합되어 여러 가지 새로운 실시 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에 비추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20)는 OCV 추정부(100), OCV 측정부(200), 용량 추정부(300), 이상 판단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OCV 추정부(100), OCV 측정부(200), 용량 추정부(300), 이상 판단부(400) 각각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IC)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현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OCV 추정부(100)는 배터리(10)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110)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OCV1)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을 갖는 배터리 팩일 수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모듈들 각각은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배터리 셀들 각각은 케이스와 양극, 음극을 포함하며, 케이스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는 전해액 및 분리막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가 충전되는 동안이란 의미는, 배터리(10)가 차량이 탑재된 상태에서, 배터리(10)에 충전건이 꽂힌 상태로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일 수 있다.
OCV 측정부(200)는 상기 배터리(10)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10)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OCV2)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10)가 차량에 탑재된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가 휴지기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OCV(OCV2)를 측정하기에 적절한 시간은, 차량이 주행 이후에 시동이 꺼진 상태가 유지되어, 배터리(10)의 전압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 안정된 전압까지 도달하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등가모델(110)의 관점에서, 전류 흐름이 종료된 시점에서, 저항부(112)에 걸V리는 전압은 즉각 0이 되며, 래더부(111)의 제1 저항(R1) 및 제1 커패시터(w)에 걸리는 전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0(제로)에 수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저항부(112) 및 래더부(111) 전압이 영(제로)이 됨에 따라, 전류 미사용 구간을 휴지기(Rest Time)로 정의될 수 있다.
용량 추정부(300)는 상기 제1 OCV(OCV1)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SOH1)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OCV2)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SOH2)을 추정할 수 있다.
이상 판단부(400)는 상기 제1 용량(SOH1)과 상기 제2 용량(SOH2)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량(SOH1)과 제2 용량(SOH2)의 비율값(SOH2/SOH1) 또는 제1 용량(SOH1)과 제2 용량(SOH2)의 편차값(SOH2-SOH1)에 기초해서, 배터리가 비정상적으로 방전이 되는 등과 같은 배터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에 대해, 동일한 부호 및 동일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불필요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각 도면에 대해 가능한 차이점에 대한 사항이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배터리 등가모델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등가모델(110)은, 충전 수행중인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CCV(폐회로전압)를 측정하고, 상기 CCV를 이용해 상기 제1 OCV(OCV1)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충전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전압이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OCV(개방회로전압) 직접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CCV를 먼저 측정하고, 이 측정된 CCV에 기초해 제1 OCV(OCV1)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CCV를 이용해 제1 OCV(OCV1)을 추정하기 위해 배터리 등가모델(110)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등가모델(110)은 배터리(10)의 일단에 직렬로 접속된 래더부(111) 및 저항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래더부(111)는 서로 병렬 접속된 제1 저항(R1) 및 제1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고, 저항부(112)는 저항(R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래더부(111)가 하나의 래더(Ladder)를 포함하는 1차 래더(ladder) 등가모델을 보이고 있다. 이와 달리, 래더부(111)는 복수의 래더(Ladd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래더(Ladder)가 2개이면 2차 래더(Ladder) 등가모델이 될 수 있고, 래더(Ladder)가 3개이면 3차 래더(Ladder) 등가모델이 될 수 있다.
도 2에서, 배터리(10)의 양단 전압은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가 측정하는 배터리(10) 전압에 해당되는 전압일 수 있고, 장시간 휴지기를 가진 배터리(10)의 경우, 저항부(112)와 래더부(111)에 걸리는 전압이 없는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10)의 양단 전압은 OCV와 동일한 값을 갖는 전압 일 수 있다.
이에 반해, 배터리(1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저항부(112)와 래더부(111)에 전류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저항부(112)와 래더부(111)가 전압을 갖게 되므로, 배터리(10)의 양단 전압은 CCV(Close Circuit Voltage)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등가모델(110)의 래더부(111) 및 저항부(112)의 전류 및 상기 CCV를 이용하여 OCV를 역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OCV 추정부(100)는 배터리 등가모델(110)을 이용하여 측정한 CCV에 기초해 OCV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V에 기초해 OCV를 추정하는 방식은, 계산식에 의한 계산 추정 방식, 메모리 테이블에 의한 매칭 추정 방식 등과 같이, 현재 충정 방식에 이용되는 방식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정 방식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은 용량 추정부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용량 추정부(300)는, 제1 용량 추정부(310) 및 제2 용량 추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량 추정부(310)는, 상기 제1 OCV(OCV1)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SOH1)을 추정할 수 있다. 제2 용량 추정부(320)는, 상기 제2 OCV(OCV2)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SOH2)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OCV(OCV1)는, 상기 OCV 추정부(100)에 의해 추정되는 2개의 OCV, 즉, 상기 배터리(10)의 충전개시 시점에서의 OCV와, 충전완료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OCV(OCV1)에 포함된 상기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서, 상기 배터리(10)의 제1 충전상태(SOC1) 및 제2 충전상태(SOC2)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제1 충전상태(SOC1) 및 상기 제2 충전상태(SOC2)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용량(SOH1)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수학식1]
상기 수학식 1에서, I1(t)는 충전 동안의 전류이고, CB1은 1시간(1Hr)동안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의 용량값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10)가 잔여 용량이 30%에서 충전을 개시하여 100%까지 충전하는 동안이라고 하면,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배터리(10)의 충전이 개시되는 잔여 용량이 30%에서 CCV11을 측정하여 이에 기초하여 OCV1-1를 추정하고, 이에 매칭되는 SOC1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배터리(10)의 충전이 완료되어 잔여 용량이 100%에서 CCV12를 측정하여 이에 기초하여 OCV1-2을 추정하고, 이에 매칭되는 SOC2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OCV(OCV1)는 배터리 잔여 용량이 30%에서 OCV와 배터리 잔여 용량이 100%에서 OCV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OCV(OCV2)는 상기 OCV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2개의 OCV, 즉 상기 배터리(10)의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에서의 OCV와, 상기 배터리(10)의 그 다음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OCV(OCV2)에 포함된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10)의 제3 충전상태(SOC3) 및 제4 충전상태(SOC4)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충전상태(SOC3) 및 상기 제4 충전상태(SOC4)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용량(SOH2)를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에서, I2(t)는 방전 동안의 전류이고, CB2은 1시간(Hr)동안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의 용량값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10)의 잔여 용량이 80%에서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에서 방전을 개시하고, 배터리(10)의 잔존 용량이 30%까지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까지 방전하는 기간이라고 하면,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배터리(10)의 방전이 개시되는 잔여 용량이 80%에서 OCV2-1를 추정하고, 이에 매칭되는 SOC3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배터리(10)의 방전이 종료되어 잔여 용량이 30%에서 OCV2-2을 추정하고, 이에 매칭되는 SOC4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OCV(OCV2)는 배터리 잔여 용량이 80%에서 OCV2-1과 배터리 잔여 용량이 30%에서 OCV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상 판단부(400)는 상기 제1 용량(SOH1)과 상기 제2 용량(SOH2)의 비율을 기준 비율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와 조건1 또는 조건2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배터리 이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조건1> [SOH1-SOH2]>기준 편차
<조건2> [SOH2/SOH1]<기준 비율값
예를 들어, 배터리 이상의 형태 중, 배터리 내부 단락에 의한 자가방전 심화가 발생한 경우, 배터리 미사용 중에도 배터리가 지속 방전되기 때문에, 충전량에 비해 방전량이 작아지는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건1(편차 조건) 및 조건2(비율값 조건)에 기초해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비율값을 1로 하고, 제1 용량(SOH1)이 100%이고, 제2 용량(SOH2)이 80%이면, 상기 조건2를 만족하므로. 이 경우에는 배터리 이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출원 서류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에 대한 설명과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보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설명이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가능한 중복되는 세부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은, 배터리(10)의 제1 OCV(개방회로전압)(OCV1)를 추정하는 단계(S100), 배터리(10)의 제2 OCV(OCV2)를 획득하는 단계(S200),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SOH2)을 추정하는 단계(S300) 및 배터리(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방전 상태 및 잔여량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은 배터리 팩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00)에서는,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배터리(10)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110)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OCV1)를 추정할 수 있다.
단계(S2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배터리(10)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10)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OCV2)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3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제1 OCV(OCV1)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SOH1)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OCV2)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SOH2)을 추정할 수 있다.
단계(S4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제1 용량(SOH1)과 상기 제2 용량(SOH2)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제1 OCV를 추정하는 단계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등가모델(110)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OCV1)를 추정하는 단계(S1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CCV(폐회로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CCV(폐회로전압)를 이용하여 상기 제1 OCV(OCV1)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OCV(OCV1)는 2개의 OCV, 즉, 상기 배터리의 충전개시 시점의 OCV와 충전완료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OCV(OCV2)는 2개의 OCV, 즉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의 OCV와 상기 배터리의 그 다음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용량(SOH1) 및 제2 용량(SOH2)을 추정하는 단계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용량(SOH1)을 추정하는 단계(S3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제1 OCV(OCV1)에 포함된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10)의 제1 충전상태(SOC1) 및 제2 충전상태(SOC2)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충전상태(SOC1) 및 상기 제2 충전상태(SOC2)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용량(SOH1)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용량(SOH2)을 추정하는 단계(S3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제2 OCV(OCV2)에 포함된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10)의 제3 충전상태(SOC3) 및 제4 충전상태(SOC4)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충전상태(SOC3) 및 상기 제4 충전상태(SOC4)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용량(SOH2)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배터리 이상 감지 장치(20)는, 상기 제1 용량(SOH1)과 상기 제2 용량(SOH2)의 비율을 기준 비율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배터리
20: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100: OCV 추정부
110: 배터리 등가모델
111: 래더부
112: 저항부
200: OCV 측정부
300: 용량 추정부
310: 제1 용량 추정부
320: 제2 용량 추정부
400: 이상 판단부
OCV1: 제1 OCV
OCV2: 제2 OCV
SOH1: 제1 용량
SOH2: 제2 용량
C1: 제1 커패시터
R1: 제1 저항
Rs: 저항
CCV: 폐회로전압
OCV: 개방회로전압

Claims (15)

  1.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을 추정하는 OCV 추정부;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를 획득하는 OCV 측정부;
    상기 제1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을 추정하는 용량 추정부; 및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이상 판단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등가모델은,
    충전 수행중인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CCV(폐회로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CCV를 이용해 상기 제1 OCV를 추정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추정부는,
    상기 제1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을 추정하는 제1 용량 추정부; 및
    상기 제2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을 추정하는 제2 용량 추정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CV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개시 시점의 OCV와 충전완료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 추정부는,
    상기 제1 OCV에 포함된 2개의 상기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10)의 제1 충전상태 및 제2 충전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충전상태 및 상기 제2 충전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용량을 추정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CV는,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의 OCV와 상기 배터리의 그 다음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 추정부는,
    상기 제2 OCV에 포함된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의 제3 충전상태 및 제4 충전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충전상태 및 상기 제4 충전상태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용량을 추정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판단부는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의 비율을 기준 비율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9.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에 배터리 등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제1 OCV(개방회로전압)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 이후에 상기 베터리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제2 OCV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제1 용량을 추정하고, 상기 제2 OCV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의 방전방향에 대한 제2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등가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에 대한 제1 OCV를 추정하는 단계(S100)는,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CCV(폐회로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CCV를 이용하여 상기 제1 OCV를 추정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CV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개시 시점의 OCV와 충전완료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OCV에 포함된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의 제1 충전상태 및 제2 충전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충전상태 및 상기 제2 충전상태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의 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1 용량을 추정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CV는,
    상기 배터리의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의 OCV와 상기 배터리의 그 다음 휴지기후 방전개시 시점에서의 OCV를 포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OCV에 포함된 2개의 OCV 각각에 기초해, 상기 배터리의 제3 충전상태 및 제4 충전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충전상태 및 상기 제4 충전상태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10)의 방전방향에 대한 상기 제2 용량을 추정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용량과 상기 제2 용량의 비율을 기준 비율값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이상 감지방법.
KR1020220139530A 2022-10-26 2022-10-26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KR20240058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530A KR20240058619A (ko) 2022-10-26 2022-10-26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530A KR20240058619A (ko) 2022-10-26 2022-10-26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619A true KR20240058619A (ko) 2024-05-03

Family

ID=9107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530A KR20240058619A (ko) 2022-10-26 2022-10-26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6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68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SOH of battery power pack, and electric vehicle
Ng et al. Enhanced coulomb counting method for estimating state-of-charge and state-of-health of lithium-ion batteries
EP3002597B1 (en) Battery control device
CN109507611B (zh) 一种电动汽车的soh修正方法及系统
EP27009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attery state
EP2574948B1 (en) Electric storage device monitor
US83321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battery based on battery voltage variation pattern
US9634498B2 (en) Electrical storage system and equalizing method
US10838013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power storage system
EP1801947A2 (en) Method for compens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CN109856548B (zh) 动力电池容量估算方法
US20110187378A1 (en) State of charge determination for an electrical accumulator
US110293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battery life
CN110058177B (zh) 一种动力电池电量soc修正方法
EP3961233A1 (en) Battery cell diagnosis device and method
US11598819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a charge state of a battery system, battery system
CN110888074B (zh) 用于soc初始值计算的电压确定方法及装置
CN110320477B (zh) 动力电池组的soc计算方法、装置和电动汽车
JP2002008732A (ja) 電気自動車用組電池の電圧補正装置
US20220196754A1 (e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battery cell
JP2003243042A (ja) 組電池を構成するリチウム電池の劣化度検知装置および方法
EP415202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full-charge capacity of battery pack, method for determining state of health of battery pack, system, and apparatus
US11415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battery state of health
KR20240058619A (ko) 충방전 용량 비율을 이용한 배터리 이상 감지장치 및 방법
EP4175006A1 (en) Secondary battery deterioration degree determin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