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877A -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877A
KR20100019877A KR1020080078623A KR20080078623A KR20100019877A KR 20100019877 A KR20100019877 A KR 20100019877A KR 1020080078623 A KR1020080078623 A KR 1020080078623A KR 20080078623 A KR20080078623 A KR 20080078623A KR 20100019877 A KR20100019877 A KR 2010001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air
wind
prefabricated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400B1 (ko
Inventor
마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40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에 경량의 부품 조립식으로 터널풍도를 시공하여 구조적으로도 견고하면서 시공비용을 크게 줄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다수의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를 일정 간격으로 장착한 풍도 바닥 슬라브;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중앙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의 천장으로 연장되어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를 구획하는 조립식 격벽; 및 상기 급기 풍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배기 풍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터널 구조물에 구비한 공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 조립식으로 이루어져서 구성 부품들이 견고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고, 환기 구조 구축에 따른 시공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터널 구조물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터널 풍도 구조, 터널 환기구조, 급기 풍도, 배기 풍도, 터널환기공법

Description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Prefabricated Tunnel Ventilation Structure, Prefabricated Tunnel Ventilation Making Method and Prefabricated Tunnel Ventilation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의 부품 조립식으로 (반)횡류 환기방식을 구성하여 구조적으로도 견고하면서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줄여서 경제적인 터널 환기공법을 구축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켜 장기간에 걸쳐서도 구조물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도록 된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토의 70%이상이 산지로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철도 및 도로건설의 증대 및 지하철 등의 지하 공간 개발로 지하 굴착공사가 크게 급증함으로 인해 대 단면 터널공사가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터널 구조물은 그 규모의 장대화로 인하여 터널 내 매연, 유해가스, 먼지, 화재 등의 위급상황으로부터 터널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교통량과 터널 길이에 따라 효율성을 고려한 터널 환기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터널 구조물은 그 내부를 주행하는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이 터널 통행자 및 운전자의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환기계산에 의해 필요한 환기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이 터널 내 주행차량의 배출가스는 매연(Smoke), 일산화탄소(CO), 질소 산화물(NOx) 등으로 이들 배출가스의 허용농도를 적정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설비가 환기설비이며, 그 용도는 다음과 같다.
즉, 터널 환기 설비는 자동차의 배출가스를 희석시키거나, 오염공기를 배출시켜 터널내 환경을 신선하고 쾌적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매연, 먼지 등 가시도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희석하여 안전운행을 가능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터널 내 화재 등 사고 시에 신속한 배연 처리는 물론, 터널 내 환경의 회복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터널 구조물의 환기 계획 수립시에는 교통량, 터널형상, 이용자의 편의와 안전, 외부환경, 경제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최적의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터널 내 환기방식은 터널길이에 따라 500m 이하인 경우는 자연 환기방식, 500m 이상인 터널에서는 종류식(Longitudinal), 반횡류식(Semi-Transverse System), 횡류식(Transverse System) 등의 기계 환기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산악지역이나 도심지를 벗어난 지역에 위치한 터널에서는 차량진행(종) 방향으로 발생되는 기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제트 팬(종류식)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터널연장이 길고 교통량이 많은 도심지 내에서는 소요환기량 및 환경적인 문제로 인하여 오염된 공기를 배기하고, 신선한 공기를 송기하는 횡류식 환기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횡류식 환기방식은 환기설비 및 시공 등의 소요 비용이 크며, 작업여건 또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터널환기방식의 여러 구조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종래의 수직갱 방식(1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15)의 중간부에 수직갱(12)을 설치하여 배기와 급기를 시키는 방식으로 장대터널에 유리한 방식이다.
이와 같은 수직갱 방식(10)은 신선한 외기를 공급함으로써 오염물질 농도 조절이 가능하고, 화재 시 대처가 용이하며, 이론적으로는 터널길이에 제한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다른 종류의 환기방식에 비해 공사비가 크고, 자연 훼손이 크다.
한편, 종래의 집중배기방식(20)의 경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15)의 출구 쪽으로 배기구(22)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집중배기 방식은 대도심지 환경보호용 환기방식으로서, 출구 부 오염물질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심지에 적합하며, 교통 환기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나, 오염물질을 전량 제거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교통량 및 자연 풍의 적정한 운용이 비교적 곤란하다.
그리고 종래의 반 횡류 환기방식(30)인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15) 입구에 설치된 환기소(미 도시)에서 터널 단면에 설치된 별도의 환기 덕트(32)에 깨끗한 공기를 송기하여 환기시키는 급기 반횡류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반 횡류 환기방식(30)은 터널 내 신선한 공기가 급기되어 오염물질이 희석되어 배기식에 비해 급기식이 터널 내 환경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오염물질은 출구 부측에서 전량 배출되고, 차량의 피스톤 작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면에서 종류식보다 떨어진다.
또한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15)의 입 출구에 설치된 환기소(미 도시)에서 터널 단면에 설치한 별도의 급기 덕트(42)와 배기 덕트(44)를 이용하여 깨끗한 공기는 급기시키고, 오염된 공기는 배기시키도록 된 환기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은 화재시 대체가 용이하고, 종합적으로 볼 때 가장 신뢰성 있는 환기가 가능한 방식이다. 이와 같은 횡류 환기방식(40)은 교통량이 많은 도심지에 적합하고, 덕트공간이 커서 내부 공간 단면적이 가장 크다. 그렇지만 설비동력이 반횡류 방식(30)에 비해 규모가 커서 고가이다. 뿐만 아니라 공사비가 가장 큰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터널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 방식은 터널 갱구부와 연약대 구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무근 콘크리트 라이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터널에 대해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을 적용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라이닝(50)의 중 상단에 풍도 바닥 슬라브(52)과 그 중간에서 터널 천장부(55)를 연결하는 격벽(58)을 철근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서 터널의 전 구간 콘크리트 라이닝에 철근 배근을 하고, 환기 시설물에 대해서도 철근 배근을 하게 되므로 시공비가 많이 들뿐만 아니라, 공사기간도 길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은 터널 천장부(55)에 휨 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며, 격벽 설치 시 터널 천장부(55)의 휨 모멘트가 격벽(58)을 거쳐서 자중에 의해 휨 모멘트가 가장 크게 걸리는 풍도 바닥 슬라브(52)의 중앙부에 직접 걸리게 되어 풍도 바닥 슬라브(52)에 추가 하중을 부가하고, 그에 따라서 풍도 바닥 슬라브(52)의 단면 증가가 더욱 요구되어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은 풍도 바닥 슬라브(52)를 터널 라이닝(50)에 일체로 체결하는 구조인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풍도 바닥 슬라브(52)가 축 방향으로 인장을 받게 되므로 풍도 바닥 슬라브(52)에 인장 균열을 유발하여 전체 터널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뿐만 아니라 미관도 훼손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은 그 환기 성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개선의 여지가 많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반)횡류 환기방식의 구조를 경량의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구조적으로도 견고하면서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비용을 크게 줄여서 경제적인 터널 환기공법을 구축할 수 있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터널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이 각 부품들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장기간에 걸쳐서도 구조물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도록 개선된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터널 환기 구조에 있어서,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상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다수의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를 일정 간격으로 장착한 풍도 바닥 슬라브;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중앙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의 천장으로 연장되어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를 구획하는 조립식 격벽; 및
상기 급기 풍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배기 풍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터널 구조물에 구비한 공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는 내부에 PS 강연선이 내장된 콘크리트 할로우 코아(hollow core)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할로우 코아는 그 내부 구멍과 PS 강선이 터널 구조물의 횡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는 키 블록과의 사이에 철제로 이루어진 가이드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은 풍도 바닥 슬라브와 터널 라이닝 천장에서 각각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들 사이에 조립식으로 끼워져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은 그 상단이 터널 라이닝 천장과의 사이에서 완충성능이 우수한 실리콘으로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는 상기 "ㄱ"형 격자들의 하단 롤러가 끼워져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홈을 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들이 횡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ㄱ"형 격자들은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슬라이딩 홈 상에서 그 사이 간격을 벌린 상태로 격벽을 그 사이에 끼워서 조립하고, 조립 후에는 격벽 측으로 밀착이동하여 풍도 바닥 슬라브에 볼트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들은 각각 원격으로 전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구조이고, 공기의 급기 및 배기시에는 열리며,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서 화재발생시에는 닫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터널 환기 시공에 있어서,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을 형성하여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풍도 바닥 슬라브를 횡으로 조립하여 급기 풍도 및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반횡류식 또는 횡류식) 풍도 형성방법에 더하여,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을 형성하여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각각 다수의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를 일정 간격으로 장착한 풍도 바닥 슬라브를 횡으로 조립하여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중앙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의 천장으로 연장되는 조립식 격벽을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와 터널 라이닝 천장에서 각각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들 사이에 조립하여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를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터널 구조물의 일측에 상기 급기 풍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배기 풍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갖는 공기 제어부를 설치하여 상기 급도 풍도를 통하여 터널 내부에 급기하고, 배기 풍도를 통하여 터널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도 바닥 슬라브를 PS 강선이 내장된 할로우 코아 판넬로 구성하고, 터널 라이닝 벽체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슬라이딩 조립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를 구획하는 격벽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터널 천장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각 구성 부품들이 견고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기 구조 구축에 따른 시공비용을 크게 줄여서 경제적인 터널 환기공법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구성 부품들이 터널 라이닝과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터널 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력이 각 부품들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널 구조물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장기간에 걸쳐서도 변형을 초래하지 않아서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며 보수유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구조물(102)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100)는 터널 구조물(102)의 벽체를 구성하는 터널 라이닝(105)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110a)(110b)을 갖는다.
상기 키 블록(110a)(110b)은 캔티레버형(Cantilever Type)으로서 이후에 설명되는 풍도 바닥 슬라브(120)를 받쳐주는 구조물이다.
터널 구조물(102)의 터널 라이닝(105)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인 경우는 철근 배근이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과 일체화 되어 풍도 바닥 슬라브(120)의 설치 시 그 하중을 지지해 주는 역활을 한다.
한편 터널 구조물(102)의 터널 라이닝(105)이 프리캐스트 PC 판넬로 이루어 진 경우에도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처럼 공장에서 배근 설치 시 키 블록(110a)(110b)을 터널 라이닝(105)에 미리 일체화 시켜 둘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100)는 상기 키 블록(110a)(110b)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되는 풍도 바닥 슬라브(120)를 구비된다.
이러한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터널 구조물(102)의 내부에서 급기 풍도(122)와 배기 풍도(125)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그 중간에는 다수의 급기 댐퍼(196)와 배기 댐퍼(198)가 일정 간격으로 장착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그 내부에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S 강연선(135)이 매설된 콘크리트 할로우코아 패널(Hollow Core Pannel, 130)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할로우코아 패널(130)은 그 내부 구멍(132)과 PS 강연선(135)이 터널 구조물(102)의 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키 블록(110a)(110b)의 사이에서 중앙이 다소 볼록한 상향 처짐을 갖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그 자중에 의한 처짐 방지에 효율적이다.
즉, 횡 방향으로 연장된 할로우코아 패널(130)의 양 단이 키블록에 지지되면서 터널진행방향(종방향)으로 측면이 서로 전단키 및 홈에 의하여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키 블록(110a)(110b)과의 접면 사이에 철제로 이루어진 가이드 플레이트(140)를 도 5와 같이 장착하여 서로 연결되지 않 으면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에 도 3과 같은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40)은 풍도 바닥 슬라브(52)가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50)에서 일체로 연속 이어져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조립식으로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에 얹어져 시공되는데 예컨대 이는 공장에서 제작된 할로우코아 패널(130)을 키 블록(110a)(110b) 상면 사이에 조립식 건축구조물에서 데크슬래브를 설치하듯이 횡방향으로 그 양 단부가 접하도록 걸쳐 놓고 터널진행방향(종방향)으로 밀어 넣듯이 시공을 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설치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할로우코아 패널(130)을 횡으로 시공 또는 설치한다” 라고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할로우코아 패널(130)을 이용한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도 2b 및 도 3과 같은 횡류식 뿐만 아니라 도 2a와 같은 반 횡류식에도 이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의 개략 중앙 상면으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105)의 천장으로 연장되어 급기 풍도(122)와 배기 풍도(125)를 구획하는 조립식 격벽(150)을 갖는다(횡류식의 경우).
상기 격벽(150)도 내부에 PS 강연선(135)이 내장된 콘크리트 할로우코아 패널(130)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다른 경량 판넬 등으로 대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격벽(150)을 기준으로 한쪽에서 급기 풍도(122)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서 배기 풍도(125)를 형성하는데,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와 터널 라이닝(105) 천장에서 각각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160)들 사이에 조립식으로 터널진행방향(종방향)으로 끼워져서 설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0)은 "ㄱ"형 격자(160)를 풍도 바닥 슬라브(120)와 터널 천장부(115)에 설치하여 상기 "ㄱ"형 격자(160) 사이로 밀어 넣어 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150)은 수직으로 풍도 바닥 슬라브(120) 상에 시공된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터널 라이닝(105) 천장과의 사이에서 완충성능이 우수한 실리콘(170)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ㄱ"형 격자(160)는 시공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8a,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도 바닥 슬라브(120)에 터널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홈(163)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홈(163)을 덮는 지지판(167)을 볼트(167a)로 풍도 바닥 슬라브(120)에 고정하여 "ㄱ"형 격자(160)에 연결된 롤러(165)가 슬라이딩 홈(163) 상에서 이동하도록 하고, 격벽(150) 설치 시에는 그 위치에 맞게 "ㄱ"형 격자(160)를 슬라이딩 홈(163) 내에서 이동시켜 격벽(150) 시공시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상기 "ㄱ"형 격자(160)들의 하단 롤러(165)가 끼워져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홈(163)을 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160)들이 횡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8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ㄱ"형 격자(160)들은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의 슬라이딩 홈(163) 상에서 이동시켜 그 사이 간격을 벌 린 상태로 격벽(150)을 그 사이에 끼워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격벽(150)의 조립 후에는 도 8b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0) 측으로 밀착이동시켜 풍도 바닥 슬라브(120)에 볼트(182)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ㄱ"형 격자(160)들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하여 격벽(150)을 보다 쉽게 풍도 바닥 슬라브(120) 상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100)는 도 4와 같이 상기 급기 풍도(122)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92)과 상기 배기 풍도(125)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194)을 터널 구조물(102)의 일측에 구비한 공기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급기팬(192)과 배기팬(194)들은 대형 송풍 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기 제어부(190)의 원격 제어를 통하여 급기팬(192)을 온(on) 시키면 급기 풍도(122)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팬(194)을 온(on) 시키면 상기 배기 풍도(125)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터널 구조물(102)의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기팬(192)과 배기팬(194)을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는 각각 풍도 바닥 슬라브(120)의 급기 풍도(122) 측에 마련된 다수의 급기 댐퍼(196)와 배기 풍도(125) 측에 마련된 배기 댐퍼(198)들을 통하여 터널 구조물(102)의 내부로 유통되는데, 이와 같은 급기 댐퍼(196)와 배기 댐퍼(198) 들은 각각 원격으로 전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식 구조이다.
또한 이와 같은 급기 댐퍼(196)와 배기 댐퍼(198)들은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풍도 바닥 슬라브(120)에 네모난 공간을 만들어 주어 형성된 환기형 닥트(202)에 설치되는 것이고, 원격 제어를 통하여 작동가능하며, 통상적인 공기의 급기 및 배기시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터널 구조물(102)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비상시에는 닫치도록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형성 방법 및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조립식 터널 풍도 형성 방법은 횡류식 또는 반횡류식 환기방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 방법은 특히 터널 구조물(102)의 내부에 횡류식 환기방식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형성방법은 터널 라이닝(105)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110a)(110b)을 형성하여 터널 구조물(102)의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터널 구조물(102)의 벽체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널 구조물(102)은 그 터널 라이닝(105) 벽체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 또는 PC 판넬 라이닝 구조인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터널 라이닝(105)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을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키 블록(110a)(110b)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풍도 바닥 슬라브(120)를 횡으로 조립하여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는 상기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40)를 설치하고, 그 위에 풍도 바닥 슬라브(120), 예를 들면 할로우 코아(130) 또는 콘크리트 바닥 판넬들을 이동 및 조립 가능한 크기로 공장에서 제작한 다음, 키 블록(110a)(110b) 상에 걸쳐서 터널 횡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과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반드시 체결시키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할로우코아패널(130)로 이루어진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그 구멍(132)의 축 방향을 터널 횡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중앙 부분에서 상향 처짐으로 시공하여 할로우코아 패널(130)의 자중에 의한 하향 처짐이나, 터널 천장부(115)의 휨 모멘트를 전달받아도 할로우 코아(130)의 내장된 PS 강연선(135)들과 상향 처짐이 이를 상쇄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풍도형성방법은 결국 반횡류식 또는 횡류식에 있어 풍도 바닥 슬라브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해당하며, 이를 기준으로 횡류식 풍도시공방법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은 터널 라이닝(105)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110a)(110b)을 형성하여 터널 구조물(102)의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터널 구조물(102)의 벽체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널 구조물(102)은 그 터널 라이닝(105) 벽체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라이닝, 또는 PC 판넬 라이닝 구조인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터널 라이닝(105)의 양 내측면 중앙 부분에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을 설치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키 블록(110a)(110b)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각각 다수의 급기 댐퍼(196)와 배기 댐퍼(198)를 일정 간격으로 장착한 풍도 바닥 슬라브(120)를 횡으로 조립하여 급기 풍도(122)와 배기 풍도(125)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는 상기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40)를 설치하고, 그 위에 풍도 바닥 슬라브(120), 예를 들면 할로우 코아(130) 또는 콘크리트 바닥 판넬들을 이동 및 조립 가능한 크기로 공장에서 제작한 다음, 키 블록(110a)(110b) 상에 걸쳐서 터널 횡 방향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캔티레버형 키 블록(110a)(110b)과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반드시 체결시키지 말아야 한다.
또한 할로우코아패널(130)로 이루어진 풍도 바닥 슬라브(120)는 그 구멍(132)의 축 방향을 터널 횡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중앙 부분에서 상향 처짐으로 시공하여 할로우코아 패널(130)의 자중에 의한 하향 처짐이나, 터널 천장부(115)의 휨 모멘트를 전달받아도 할로우 코아(130)의 내장된 PS 강연선(135)들과 상향 처짐이 이를 상쇄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의 중앙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105)의 천장으로 연장되는 조립식 격벽(150)을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와 터널 라이닝(105) 천장에서 설치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격벽(150)을 통하여 급기 풍도(122)와 배기 풍도(125)를 구획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벽(150)은 그 하단에서 "ㄱ"형 격자(160)를 배치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수직으로 풍도 바닥 슬라브(120) 상에 시공된 후에는 그 상단에 터널 라이닝(105) 천장과의 사이에서 완충성능이 우수한 실리콘(170)으로 부착 고정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널 구조물(102)은 그 천장 부분에서 휨 모멘트(M)가 가장 크게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휨 모멘트(M)에 의한 터널 천장부(115)의 처짐이 격벽(150)을 타고 풍도 바닥 슬라브(120)의 중앙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터널 천장부(115)와 격벽(150)의 이격 공간은 탄성과 시공성이 뛰어난 실리콘(170) 코킹제를 이용하여 마감처리 함으로써 풍도 바닥 슬라브(120)에 터널 천장부(115)의 처짐 하중이 전달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ㄱ"형 격자(160)는 공장 또는 터널 밖에서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120)에는 미리 부착하고, 터널 천장부(115)에는 현장에서 부착하여 상기 격벽(150)을 책장에 책을 꽂아 넣듯이 "ㄱ"형 격자(160) 사이로 밀어넣어 시공한다. 그리고 격벽(150) 하단은 슬라이딩 홈(163) 상에서 "ㄱ"형 격자(160)를 조절하고, 고정볼트(182)를 조여서 격벽(150) 시공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상기 터널 구조물(102)의 일측에 상기 급기 풍도(122)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192)과 상기 배기 풍도(125)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194)을 갖는 공기 제어부(190)를 설치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설치된 공기 제어부(190)에서 급기팬(192)을 작동시켜 급기 풍도(122)를 통하여 터널 내부에 급기하고, 배기팬(194)을 작동시켜 배기 풍도(125)를 통하여 터널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 외 조립식 풍도 바닥 슬라브(120) 간의 시공 이음부 또는 콘크리트 터널 라이닝(105)과 조립식 풍도 바닥 슬라브(120)와의 이음부를 통해서 급 배기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용이한 재료 예를 들면 실리콘(170) 등을 이용하여 마감 코킹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풍도 바닥 슬라브(120)를 PS 강선(135)이 내장된 할로우 코아(130) 판넬로 구성하고, 터널 라이닝(105)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급기 풍도(122)와 배기 풍도(125)를 구획하는 격벽(150)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터널 천장부(115)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시키는 조립식의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 구성 부품들이 견고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단기간의 시공이 가능하고, 환기 구조 구축에 따른 시공 비용을 크게 줄여서 경제적인 터널 환기공법을 구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각 구성 부품들이 터널 라이닝(105)과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터널 구조물(102)에 가해지는 외력이 각 부품들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널 구조물(102)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장기간에 걸쳐서도 변형을 초래하지 않아서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며 보수유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환기 구조를 갖는 터널 구조물(102)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풍도 바닥 슬라브(120)를 할로우 코아패널(130)로 하였지만 이에 대응하는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재료의 바닥 판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터널 환기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수직 갱방식, b도는 집중배기방식;
도 2는 다른 종래의 터널 환기 방식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반 횡류 환기방식, b도는 횡류 환기방식;
도 3은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에서 터널 구조물의 구조적인 특징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는 전체적으로 도시한 터널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의 구조적인 특징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에서 풍도 바닥 슬라브를 이루는 할로우 코아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사시도, b도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에서 격벽 상단과 터널 천장부의 사이에 실리콘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에서 격벽을 고정하기 위한 "ㄱ"형 격자의 이동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a도는 종단면도,b도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에 구비된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댐퍼가 열린 상태, b도는 댐퍼가 닫친 상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에서 터널 단면에 걸리는 휨 모멘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직갱 방식 12..... 수직갱
15..... 터널 20..... 집중배기방식
22..... 배기구 30..... 반 횡류 환기방식
32..... 환기 덕트 40..... 횡류 환기방식
100....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102.... 터널 구조물 105..... 터널 라이닝
110a,110b.... 키 블록 120.... 풍도 바닥 슬라브
122.... 급기 풍도 125.... 배기 풍도
130.... 할로우 코아(hollow core) 132..... 구멍
135.... PS 강선 140..... 가이드 플레이트
150.... 격벽 160..... "ㄱ"형 격자
163.... 슬라이딩 홈 165.... 롤러
167.... 지지판 167a... 볼트
170.... 실리콘 182.... 볼트
190.... 공기 제어부 192.... 급기팬
194.... 배기팬 196.... 급기 댐퍼
198.... 배기 댐퍼 202.... 환기형 닥트

Claims (10)

  1.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터널 환기 구조에 있어서,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상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다수의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를 일정 간격으로 장착한 풍도 바닥 슬라브;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중앙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의 천장으로 연장되어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를 구획하는 조립식 격벽; 및
    상기 급기 풍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배기 풍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터널 구조물에 구비한 공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는 내부에 PS 강선이 내장된 콘크리트 할로우 코아패널(hollow core)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우 코아패널은 횡방향으로 그 양 단부가 키 블록 상면에 접하도록 걸쳐 놓고 터널진행방향(종방향)으로 밀어 넣듯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는 키 블록과의 사이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장착하여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풍도 바닥 슬라브와 터널 라이닝 천장에서 각각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들 사이에 조립식으로 끼워져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그 상단이 터널 라이닝 천장과의 사이에서 완충성능을 가진 실리콘으로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는 상기 "ㄱ"형 격자들의 하단 롤러가 끼워져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홈을 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들이 횡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ㄱ"형 격자들은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슬라이딩 홈 상에서 그 사이 간격을 벌린 상태로 격벽을 그 사이에 끼워서 조립하고, 조립 후에는 격벽 측으로 밀착 이동하여 풍도 바닥 슬라브에 볼트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구조.
  9.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터널 환기 구조의 시공에 있어서,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상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을 형성하여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풍도 바닥 슬라브를 횡으로 조립하여 급기 풍도 및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형성방법.
  10. 터널 구조물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기시켜서 환기하는 터널 환기 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터널 라이닝의 양 내측면 상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한 한 쌍의 키 블록을 형성하여 터널 구조물의 벽체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키 블록 상에서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각각 다수의 급기 댐퍼와 배기 댐퍼를 일정 간격으로 장착한 풍도 바닥 슬라브를 횡으로 조립하여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의 중앙로부터 상부 측의 터널 라이닝의 천장으로 연 장되는 조립식 격벽을 상기 풍도 바닥 슬라브와 터널 라이닝 천장에서 각각 쌍을 이루는 "ㄱ"형 격자들 사이에 조립하여 급기 풍도와 배기 풍도를 구획하는 단계; 및
    상기 터널 구조물의 일측에 상기 급기 풍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과 상기 배기 풍도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갖는 공기 제어부를 설치하여 상기 급도 풍도를 통하여 터널 내부에 급기하고, 배기 풍도를 통하여 터널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KR1020080078623A 2008-08-11 2008-08-11 조립식 터널 풍도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KR100996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623A KR100996400B1 (ko) 2008-08-11 2008-08-11 조립식 터널 풍도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623A KR100996400B1 (ko) 2008-08-11 2008-08-11 조립식 터널 풍도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877A true KR20100019877A (ko) 2010-02-19
KR100996400B1 KR100996400B1 (ko) 2010-11-25

Family

ID=4209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623A KR100996400B1 (ko) 2008-08-11 2008-08-11 조립식 터널 풍도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4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05B1 (ko) * 2010-06-07 2011-02-07 김태균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풍도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15379B1 (ko) * 2010-04-21 2011-02-2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KR20140080472A (ko) * 2014-06-03 2014-06-30 (주)현이앤씨 편평율이 작은 대단면 터널의 선형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478561B1 (ko) * 2014-01-09 2015-01-02 (주) 대한이엔지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KR101519124B1 (ko) * 2014-09-01 2015-05-11 (주) 대한이엔지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65B1 (ko) 2012-12-10 2014-09-26 (주)나우기술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KR101646152B1 (ko) * 2015-08-10 2016-08-08 조우철 터널 환기용 풍도 구조의 시공 방법
KR101971235B1 (ko) 2018-10-17 2019-08-27 이동호 터널의 풍도슬래브 시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879Y2 (ko) 1976-04-30 1980-02-15
KR100421703B1 (ko) 2001-02-10 2004-03-10 강남건영주식회사 스판크리트를 이용한 터널 통풍시설 구조물 및 그 설치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79B1 (ko) * 2010-04-21 2011-02-2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KR101005605B1 (ko) * 2010-06-07 2011-02-07 김태균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풍도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78561B1 (ko) * 2014-01-09 2015-01-02 (주) 대한이엔지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KR20140080472A (ko) * 2014-06-03 2014-06-30 (주)현이앤씨 편평율이 작은 대단면 터널의 선형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
WO2015186969A1 (ko) * 2014-06-03 2015-12-10 (주)현이앤씨 편평율이 작은 대단면 터널의 선형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519124B1 (ko) * 2014-09-01 2015-05-11 (주) 대한이엔지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400B1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400B1 (ko) 조립식 터널 풍도 및 형성방법과 조립식 터널 풍도 시공방법
KR101015379B1 (ko)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KR101445365B1 (ko)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KR101793063B1 (ko)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KR101152419B1 (ko) 터널과 지하차도를 포함하는 지중 도로 구조물의 풍도 및 이 시공 방법
CN111749474B (zh) 洁净厂房的施工方法
KR20160094649A (ko) 터널 환기용 풍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12059A (ko) 실드 터널용 환기구조물 및 그 제어방법
KR101428759B1 (ko) 풍도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아치구조물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아치구조물
DK2483488T3 (en) BUILDING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RIB PANELS
US6752563B2 (en) Covered highway structure with means for easy and quick access to tunnel interior
CN104314601A (zh) 自然通风的隧道结构
KR102410766B1 (ko) 격벽분리형 피난대피통로의 시공이 가능한 가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격벽의 시공 방법
KR20150024119A (ko) 풍도용 격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4896645B2 (ja) コークス炉用仮設上家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ークス炉設備
CN202596024U (zh) 作地下室板的大跨度、大荷载预应力双t叠合板及通风道
CN110593614B (zh) 基于硬化路面仓库
KR101262969B1 (ko) 터널 유지관리용 환기구의 접이식 안전 사다리
KR101838658B1 (ko) 배관의 수선 및 교체가 용이한 건식 바닥난방시스템
KR20220092459A (ko) 회풍기이동식정화방법
KR20090120371A (ko) 이동식 교량 점검차
KR20170096606A (ko)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KR101646152B1 (ko) 터널 환기용 풍도 구조의 시공 방법
KR20200098454A (ko) 터널내 환기를 위한 다양하고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CN210916852U (zh) 基于蒸压轻质砂加气块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