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644A -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 Google Patents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644A
KR20100019644A KR1020080078323A KR20080078323A KR20100019644A KR 20100019644 A KR20100019644 A KR 20100019644A KR 1020080078323 A KR1020080078323 A KR 1020080078323A KR 20080078323 A KR20080078323 A KR 20080078323A KR 20100019644 A KR20100019644 A KR 20100019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fountain
disposed
parking lot
drinking
vertica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08007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9644A/ko
Publication of KR20100019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out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e.g. with helically-arranged fixed ramps, with movable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야외주차장 구조는,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지며 폭방향인 제1방향으로 인접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의 길이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인접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목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와 폭의 식재공간을 가지는 제1식수대를 배치하되, 상기 제1식수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식수대와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을 구분하고, 주차되는 차량의 카스토퍼(car stopper)로 기능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대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 면적의 추가 요구없이 식재량을 많게 하여 주차장에 그늘을 조성함으로써 도시열섬효과 및 차량의 실내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시환경 개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카스토퍼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수목을 통해 주차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유도의 효과도 있다.
Figure P1020080078323
주차, 수목, 식재, 식수대, 차량, 그늘

Description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Outdoor Parking Lot structure having protecting device for woody plant}
본 발명은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植樹帶)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장의 주차라인 상에 일정형태 또는 일정간격으로 수목을 식재하여 효과적으로 그늘을 확보하고, 기존의 주차장 구조보다 주차장 전체의 면적을 더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주차대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일찍이 자연을 파괴하고 인공의 건물과 시설을 건설하여 도시라는 거대규모의 인공환경을 구축하여 왔다. 이러한 거대도시는 개발이전의 자연환경이 가져온 자연적 형태의 경관과 잘 조화되지 않는 이질적인 직선중심의 인공경관형태로 출현되었다.
특히 자동차의 등장으로 인하여 도시는 도로와 주차장의 건설을 중심으로 직선의 평탄하고 거대한 포장중심의 도시경관을 갖추게 되었다. 현대의 생활에서 자동차가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면서, 자동차의 이용을 위해 도시는 엄청난 재정을 도로와 주차장의 건설에 투자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와 주차장의 조성은 도시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후퇴를 가져와 도시를 황폐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도로나 주차장의 면적 증가는 도로나 주차장 내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이 햇빛에 노출되어 도시 내 기온이 높아지는 현상인 도시 열섬 현상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열섬현상을 최소화하고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수목 식재가 추천되고 있다.
도로의 경우에는 가로수가 있어 이러한 방법에 어느 정도 충족하고 있으나, 주차장의 경우에는 수목이 많이 식재되어 있지 않고 있어서 이 방법을 적용하여 식재공간을 많이 확보할 경우 도시열섬현상 완화 및 도시환경 개선에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여름철의 경우에는 주차된 차량의 실내온도가 96℃ 정도까지 상승하여 차내의 가스 라이터 등의 폭발로 인하여 차량이 전소되거나 어린이가 질식사 하는 등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주차장에 수목식재를 통하여 그늘을 조성함에 의해 환경오염의 제거, 도시환경개선, 주차된 차량의 사고 최소화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외주차장에 그늘을 조성하여 도시 열섬현상의 최소화를 이룰 수 있는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외주차장에 수목을 많이 식재함에 의해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도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야외주차장의 주차대수를 줄이지 않으면서, 또는 주차대수를 더 늘리면서도 야외주차장에 그늘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의 수목을 통해 주차위치 파악 및 주차유도를 수행할 수 있는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수대의 경계석 또는 경계대를 카 스토퍼로 사용할 수 있는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야외주차장 구조는, 일정길이와 일정폭을 가지며 폭방향인 제1방향으로 인접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의 길이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인접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목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와 폭의 식재공간을 가지는 제1식수대를 배치하되, 상기 제1식수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식수대와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을 구 분하고, 주차되는 차량의 카스토퍼(car stopper)로 기능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대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 각각은 제1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라인(S) 및 제2방향의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V)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수대의 식재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목이 배치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목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의 연장선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로라인 상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에는 수목 식재를 위한 별도의 제2식수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식수대는 주차된 차량의 문짝의 개폐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차된 차량의 문짝이 위치되는 부분에 인접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의 인접지점이며, 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의 인접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주차된 차량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 및 주차된 차량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 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식수대는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 중 제2방향으로 인접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야외주차장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수대의 폭방향은 제2방향이며, 상기 제1식수대가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식수대는 상기 제1식수대를 사이에 두고 주차되는 두 개의 차량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야외주차장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상기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 사이에 수목식재를 위한 식수공간이 배치되고, 상기 식수공간의 가장자리에 경계 및 카스토퍼(car stopper)로써 기능하는 경계대가 배치된 식수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세로라인과 복수의 가로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단위주차공간들의 특정지점들에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수대를 배치함에 의해, 주차장의 그늘을 조성하여 도시열섬효과 및 차량의 실내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시환경 개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목을 통해 주차위치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유도의 효과가 있으며, 별도로 카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수대는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별한 구조나 형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수대는 수목이 식재된 경우를 가정하는 경우 식재된 수목을 지칭할 수도 있고, 식재된 수목을 포함한 식수대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주차장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외주차장 구조는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및 제1식수대(2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은 일정길이와 일정폭을 가지며, 폭방향인 제1방향으로 단위주차공간들(10, 30)이 인접 배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의 길이는 일반적인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에 일정 여유길이를 합한 길이일 수 있다. 이는 주차장법시행규칙 제3조에 규정(5m 또는 5.1m 등)하고 있으나, 법 규정이 완화되거나 바뀌는 경 우에는 그에 맞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의 폭은 일반적인 차량(40, 50)이 주차할 수 있는 정도의 폭에 일정 여유 폭을 합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은 제1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라인(S) 및 제2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V)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의 길이는 상기 단위주차공간(10, 30)을 구획하는 세로라인(V)의 길이에 대응되고, 상기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의 폭은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을 구획하는 가로라인(S)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각각의 길이를 일반적으로 알려진 길이보다 더 짧게 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식수대(20)에 주차된 차량의 엔진룸부분이나 트렁크 부분이 위치될 수 있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상술한 주차장법시행규칙 제3조에 규정(5m 또는 5.1m 등)하고 있는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도록 법 규정이 완화되거나 바뀌는 경우에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식수대(20)는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의 길이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과 인접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목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와 폭의 식재공간을 가진다. 상기 식재공간의 길이와 폭은 다양하게 구성가능하다. 상기 제1식수대(20) 내에 폭방향(제2방향)으로 하나의 수목이 식재되는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수목이 식재되는 경우보다 폭이 좁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수대(20)는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에 인접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은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에 인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식수대(20)는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 중 제2방향으로 인접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야외주차장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식수대(20)가 야외주차장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과 제2방향으로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식수대(2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식수대(20)와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대(22)가 배치된다.
상기 경계대(22)는 석재를 재질로 하는 경우에는 경계석으로 불리어진다. 상기 경계대는 석재 이외에도 FRP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대(22)는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과 상기 제1식수대(20)를 경계(구분)하는 역할 이외에도 주차되는 차량(40, 50)의 카스토퍼(car stopper)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경계대(22)는 통상적인 카 스토퍼의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를 가진다. 일반적인 카스토퍼의 높이는 대략 10cm 정도이다. 따라서, 상기 경계대(22)의 높이 또한 대략 10cm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대(22)를 카 스토퍼로 이용하게 되면, 별도의 카스토퍼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경계대를 카 스토퍼로 이용하게 되면, 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40, 50)의 앞부분(엔진룸부분)이, 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40, 50)의 뒷부분(트렁크부분)이 상기 제1식수대(20)의 일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그 만큼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법규정에 의해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줄일 수 없어 일반적인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예를 들면, 5m 또는5.1m)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주차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경계대(22)를 카스토퍼로 사용함에 따라 그만큼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특정면적을 유지하면서 제1식수대(20)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제1식수대(20)에 식재되는 수목의 양을 늘릴 수 있으며, 식수대의 폭이 넓어져 수목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식수대(20)가 대향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식수대(20)는 상기 제1식수대(20)를 사이에 두고 주차되는 두 개의 차량(40, 50)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식수대(2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을 구분하기 위하여 도면부호를 달리하였다. 또한 차량의 경우 단위주차공간(10)에 주차되는 차량(40)과 단위주차공간(30)에 주차되는 차량(50)을 구분하였다.
또한, 상기 제1식수대(20)에 식재되는 수목의 위치는 상기 제1식수대(20)의 경계대를 카 스토퍼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식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식수대(20)의 식재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수목(24)이 식 재되어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목(24)은 상기 단위주차공간들(10, 30)을 구성하는 세로라인들(V)의 연장선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주차라인인 세로라인들(V)의 연장선이 위치하는 상기 제1식수대(20)의 식재공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수목(24)이 식재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모든 세로라인들(V)의 연장선 위치에 수목(24)이 식재될 수도 있지만, 주차에 방해가 될 염려가 있거나, 식재되는 수목(24)의 수관폭이 큰 경우에는 전체 세로라인들(V) 중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 또는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의 연장선 위치에만 수목(24)이 식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홀수번째 또는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의 연장선 위치에 수목(24)이 식재되는 구조이고, 도 2 및 도 3의 경우에는 모든 세로라인들(V)의 연장선 위치에 수목이 식재(24)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야외주차장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구조에 제2식수대(34,44)가 추가로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 당 두 개의 제2식수대(34)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 당 4개의 제2식수대(34,44)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제1식수대(20)에는 수목이 식재되지 않고 제2식수대(34,44)에만 수목이 식재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상에서 상기 제2식수대(34,44)는 차지하는 면적이 작은 관계로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수목이 식재된 상태의 제2식수대(34,44)를 수목으로만 표시하고 수 목의 위치를 통해 제2식수대(34,4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식수대 및 제2식수대에 식재된 수목은 별도의 구분없이 동일한 도면부호로 일컬어질 것이다. 특별한 언급이나 특정이 없는 한 도면부호 '34','44'는 여기서 제2식수대(34,44)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식수대(34)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V)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로라인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식수대(34)는 주차된 차량(40, 50)의 문짝이 위치되는 부분에 인접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주차 이후에 하차하거나 출차를 위해 주차된 차량(40, 50)에 승차하기 위하여 차량(40, 50)의 문을 열고 닫는 데 있어, 상기 제2식수대(34,44)에 식재된 수목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식수대(34)가 배치되는, 상기 세로라인(V)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40, 50)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의 인접지점이며, 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40, 50)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과 상기 세로라인들(V)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들의 인접지점들일 수 있다.
이때 제1식수대(20)를 사이에 두고 제2식수대(34)가 인접되어 배치되는 경우에, 제1식수대(20)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제2식수대(34)에 식재된 수목으로 인하여 제1식수대(20)에는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곤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는 제1식 수대(20)에는 수목을 식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식수대(34,44)가 배치되는 상기 세로라인(V)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주차된 차량(40, 50)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 또는 80)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 및 주차된 차량(40, 50)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 또는 80)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식수대(34,44)가 배치되는 지점들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상기 제2식수대(34,44)는 전면주차 및 후면주차를 포함하여, 주차되는 차량(40, 50)의 앞바퀴가 위치되는 부분의 인접영역인 차량의 앞바퀴 앞쪽(차량 진행방향 기준)에 위치하거나 차량의 뒷바퀴가 위치하는 부분의 인접영역인 차량의 뒷바퀴 뒤쪽(차량 진행방향 기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야외주차장의 단위주차공간들(10, 30)의 폭과 길이는 법이나 규칙 등에서 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야외주차장은 단위주차공간의 길이를 법에서 허용하는 길이보다 작게 될 수 있으므로, 상기단위주차공간들(10, 30)의 길이는 법에서 정하는 최소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야외주차장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제1식수대(20)가 배치되어 수목이 식재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8 및 도 9는 제2식수대를 추가로 구비하여 수목이 배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의 경우는 법 규정에 의해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줄일 수 없는 경우 즉 법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임의로 줄일 수 없는 경우의 주차장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식수대(20)에 식재되는 수목의 배치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식수대(20)의 구조 및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다.
상기 제1식수대(20)의 식수공간에 식재되는 수목(24)의 위치는 상기 제1식수대(20)의 경계대를 카 스토퍼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식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식수대(20)의 식재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수목(24)이 식재되어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목(24)은 상기 단위주차공간들(10, 30)을 구성하는 세로라인들(V1,V2,V3,V4,V5) 중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V1,V3,V5)의 연장선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주차라인인 세로라인들(V1,V2,V3,V4,V5) 중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V1,V3,V5)의 연장선이 위치하는 상기 제1식수대(20)의 식재공간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수목(24)이 식재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는 식재되는 수목의 폭이 크거나 가지가 많은 경우에 적절하다. 도 6은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V1,V3,V5)의 연장선이 위치하는 제1식수대(20)의 식재공간에 수목이 식재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의 연장선 위치에 수목(24)이 식재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제2식수대(34,44)가 추가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 당 하나의 제2식수대(34)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하나의 단위주차공간(10, 30) 당 2개의 제2식수대(34,44)가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상에서 상기 제2식수대(34,44)는 차지하는 면적이 작은 관계로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수목이 식재된 상태로 하여 수목의 위치를 통해 제2식수대(34,4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식수대 및 제2식수대에 식재된 수목은 별도의 구분없이 동일한 도면부호로 일컬어질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식수대(34,44)는 복수의 세로라인들(V1,V2,V3,V4,V5) 중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 상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식수대(34,44)는 주차된 차량(40, 50)의 문짝이 위치되는 부분에 인접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주차 이후에 하차하거나 출차를 위해 주차된 차량(40, 50)에 승차하기 위하여 차량(40, 50)의 문을 열고 닫는 데 있어, 상기 제2식수대(34,44)에 식재된 수목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식수대(20)에 식재된 수목(24)이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V1,V3,V5)의 연장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의 연장선상의 제1식수대(20)의 식재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식수대(34,44)의 배치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 이때는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V1,V3,V5) 상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에 제2식수대(34,44)가 배치되게 된다. 이는 야외주차장의 그늘 형 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식수대(34)가 배치되는, 상기 세로라인(V)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 상에 위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에서와 동일하다. 즉 전면주차의 경우에는 경계대(22)가 카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여 차량(40, 50)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의 인접지점이며, 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40, 50)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과 상기 세로라인들(V)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들의 인접지점들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식수대(34,44)가 배치되는 상기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 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주차된 차량(40, 50)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70 또는 80)과 상기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가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 및 주차된 차량(40, 50)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80 또는 70)과 상기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V2,V4)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식수대(20)를 구비하여 주차장의 그늘을 조성함과 아울러, 제1식수대(20)의 경계대(22)를 카 스토퍼로 이용함에 의해 주차장의 주차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제2식수대(34,44)의 배치구조를 통해, 수목에 의한 그늘제공으로 차량(40, 50) 내부의 온도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수목을 통해 주차장의 환경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홀수번째의 세로라인들(V1,V3,V5,V7) 또는/및 짝수번째의 세로라인들 각각의 특정지점들을 차량(40, 50)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 위치와 연계하여 제2식수대(34,44)의 위치를 정함에 따라, 주차유도기능을 통해 차량(40, 50)의 주차시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주차의 편의가 도모된다. 즉 수목의 위치를 토대로 하여 차량(40, 50)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가 위치되도록 하거나 차량(40, 50)의 끝부분이 위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주차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식수대(34,44)에 식재되는 수목의 성장에 도움을 주기위하여, 야외주차장의 바닥을 잔디블럭 등의 투수성 포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식수대(20)에는 차량의 엔진룸에서 나오는 열로 인하여 지피식물이 고사하므로 지피식물을 심지 않고 분쇄목 또는 쇄석으로 피복하여, 잔디깍기와 제초 등의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위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세로라인들의 특정지점들 또는 가로라인들과 세로라인들의 교차점에 식수대를 구비하여 수목을 식재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주차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로라인들 또는 세로라인들의 특정지점에 식수대를 배치하여 수목을 식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식수대(20)의 경계대(22)를 카스토퍼로 사용하게 됨에 따라, 종래의 경우보다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단위주차공간의(10, 30)의 폭을 10~20% 넓게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종래의 단위주차공간(10, 30)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단위주차공간(10, 30)이 종래의 경우보다 10 내지 20%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식수대(34,44)의 위치를 차량의 앞바퀴 라인이나 뒷바퀴라인에 맞출 필요없이 적정한 여유길이 내에서 제2식수대(34,44)를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더라도 상기 제2식수대(34,44)의 존재가 주차 또는 주차된 차량의 도어 개폐에 있어 방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즉 자동차(40, 50)의 도어 개폐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식수대(34,44)를 적절하게 배치할 수 있는 한도가 넓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세로라인과 복수의 가로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단위주차공간들의 특정지점들에 수목을 식재하기 위한 식수대를 배치함에 의해, 주차장의 그늘을 조성하여 도시열섬효과 및 차량의 실내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도시환경 개선의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목을 통해 주차위치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유도의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에, 식재되는 수목의 증가로 인해 식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나, 별도의 카스토퍼(car stopper)설치 제외, 포장비나 경계대 설비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어 전체 주차장 시설비가 오히려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야외주차장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단위주차공간 20 : 식수대
24 : 제1식수대 34, 44 : 제2식수대
40, 50 : 자동차 S : 가로라인들
V,V1~V5 :세로라인들 70, 80 : 가상의 선

Claims (10)

  1. 일정길이와 일정폭을 가지며 폭방향인 제1방향으로 인접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의 길이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인접되며, 적어도 하나의 수목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일정길이와 폭의 식재공간을 가지는 식수대를 배치하되,
    상기 제1식수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식수대와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을 구분하고, 주차되는 차량의 카스토퍼(car stopper)로 기능하기 위하여 일정높이의 적어도 하나의 경계대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 각각은 제1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라인 및 제2방향의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에 의해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식수대의 식재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목이 배치되되, 상기 적어 도 하나의 수목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의 연장선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세로라인 상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에는 수목 식재를 위한 별도의 제2식수대가 추가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식수대는 주차된 차량의 문짝의 개폐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차된 차량의 문짝이 위치되는 부분에 인접되지 않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의 인접지점이며, 후면주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뒷바퀴들이 위치 하는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 또는 이의 인접지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지점은, 주차된 차량의 앞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 및 주차된 차량의 뒷바퀴들이 위치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로라인들이 만나는 지점들 또는 이의 인접지점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식수대는 상기 복수의 단위주차공간들 중 제2방향으로 인접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야외주차장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식수대의 폭방향은 제2방향이며, 상기 제1식수대가 두 개의 단위주 차공간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식수대는 상기 제1식수대를 사이에 두고 주차되는 두 개의 차량이 서로 맞닿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10. 야외주차장 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과;
    상기 두 개의 단위주차공간들 사이에 수목식재를 위한 식수공간이 배치되고, 상기 식수공간의 가장자리에 경계 및 카스토퍼(car stopper)로써 기능하는 경계대가 배치된 식수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주차장 구조.
KR1020080078323A 2008-08-11 2008-08-11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KR20100019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323A KR20100019644A (ko) 2008-08-11 2008-08-11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323A KR20100019644A (ko) 2008-08-11 2008-08-11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644A true KR20100019644A (ko) 2010-02-19

Family

ID=4208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323A KR20100019644A (ko) 2008-08-11 2008-08-11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96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5981A (zh) * 2012-04-13 2012-07-25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可变的停车位装置
KR20160064622A (ko) 2014-11-28 2016-06-08 김정현 식재구역이 구비된 주차장
CN106593034A (zh) * 2016-11-03 2017-04-26 谷成 一种速成地面绿荫停车场及其施工方法
KR20200089869A (ko)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빈 주차 면을 표시하는 주차장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5981A (zh) * 2012-04-13 2012-07-25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可变的停车位装置
KR20160064622A (ko) 2014-11-28 2016-06-08 김정현 식재구역이 구비된 주차장
CN106593034A (zh) * 2016-11-03 2017-04-26 谷成 一种速成地面绿荫停车场及其施工方法
CN106593034B (zh) * 2016-11-03 2019-04-05 谷成 一种速成地面绿荫停车场及其施工方法
KR20200089869A (ko)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빈 주차 면을 표시하는 주차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896B1 (ko) 신도시 도로의 온도저감장치
KR20100019644A (ko) 수목이 식재되기 위한 식수대를 구비한 야외주차장 구조
CN204435248U (zh) 一种市政道路吸音隔离带
KR20160064622A (ko) 식재구역이 구비된 주차장
CN102363950A (zh) 可绿化隔离护栏及其制造方法
CN202489024U (zh) 一种水泥柱式绿化棚架
US20150299965A1 (en) Covered Highway System
KR200401423Y1 (ko) 주차라인이 형성되는 잔디블럭
CN202705957U (zh) 带有绿化槽护栏板
Bowers Environmental traffic restraint: German approaches to traffic management by design
CN203034406U (zh) 一种可移动道路绿化隔离栏
Planning Design Guidelines
CN203755202U (zh) 石木花箱-铁艺道路吸尘降噪隔离带
CN102733331A (zh) 一种绿化护栏及其制造方法
KR200416851Y1 (ko) 주차 안내 블록
CN201526178U (zh) 低架轨道停车桥
KR20150117134A (ko) 주차장의 t자형 식생 구조
CN219330144U (zh) 一种环保型道路绿化多功能种植装置
KR102608556B1 (ko) 녹지용 경계지지대
Pandit et al. Lighting, Drainage, Landscaping and Street Furniture
Nitavska et al. Enhancing Ecological, Functional, Social and Aesthetic Quality of Street Green Space by Planning Green Pockets
CN106760749A (zh) 草坪用停车装置
KR20120029554A (ko) 주차경계선용 블록
KR200274002Y1 (ko)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보차도 불법주차 방지블록
KR20100004397A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0167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7

Effective date: 201303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217

Effective date: 201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