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8860A -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 Google Patents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8860A
KR20100018860A KR1020080077563A KR20080077563A KR20100018860A KR 20100018860 A KR20100018860 A KR 20100018860A KR 1020080077563 A KR1020080077563 A KR 1020080077563A KR 20080077563 A KR20080077563 A KR 20080077563A KR 20100018860 A KR20100018860 A KR 20100018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upport plate
biofluid
support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석
Original Assignee
곽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종석 filed Critical 곽종석
Priority to KR102008007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8860A/ko
Publication of KR20100018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 B65D81/265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the absorbent being placed beneath a fals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내측 바닥면에 육류나 생선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생유체 흡수포를 설치하여 지지판을 통해 생유체 흡수포와 점적식품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구조를 통해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를 흡수함으로써 육류의 변색이나 냄새 및 부패 등을 방지하여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을 수용하는 일정크기의 식품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은 평활한 형태로 형성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함체;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되어 식품 수용공간부에 설치되어지되 상부로 지지되는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생유체 유출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지지판; 지지판을 식품 수용공간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판 고정수단; 및 지지판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내측의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식품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되어 지지판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의 틈과 생유체 유출공을 통해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생유체(점적)를 흡수하는 생유체 흡수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생유체, 점적, 점적식품, 포장지, 포장 트레이

Description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Packing tray for bio liquid soaker}
본 발명은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나 생선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흡수하여 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점적에 의한 식품의 변색이나 냄새 및 부패 등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식품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 등의 점적식품은 합성수지재 또는 펄프재로 성형된 함체와 같은 포장용 트레이에 담겨진 상태로 랩이나 비닐 등과 같은 불투과성 포장지를 통해 그 상단을 덮거나 진공 포장하게 된다. 이처럼 포장용 트레이를 통해 포장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 등의 점적식품은 통상 냉장 또는 냉동 저장을 통해 저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 트레이를 통해 포장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 등의 점적식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생유체(점적)가 삼출되어 포장용 트레이의 바닥에 고이게 된다. 특히, 냉장 또는 냉동 저장된 점적식품을 해동시킬 경우 점적이라 불리우는 액체인 생유체가 점적식품이 해동되는 과정에서 점적식품으로부 터 삼출(渗出)되어 포장용 트레이의 바닥에 고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적이라 불리우는 액체인 생유체가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 등의 식품으로부터 삼출(渗出)되어 포장용 트레이의 바닥에 고이게 되어 식품이 삼출된 점적과 접촉할 경우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로 인한 상품의 가치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점적이라 불리우는 액체인 생유체가 식품으로부터 삼출(渗出)되어 포장용 트레이의 바닥에 고이게 되어 식품이 삼출된 점적과 접촉할 경우 식품의 표면 색이 쉽게 변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미관상에도 보기 좋지않은 인상을 주는 등 여러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 등과 같은 식품으로부터 점적이라 불리는 생유체가 흘러내린 상태로 식품을 장시간 보관하는 경우 생유체(점적)로부터 세균이 번식되어 포장된 식품을 상하게 하는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 트레이에 포장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 등과 같은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여 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포장된 생선류 및 채소류 등과 같은 식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함체의 내측 바닥면에 육류나 생선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생유체 흡수포를 설치하여 지지판을 통해 생유체 흡수포와 점적식품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구조를 통해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를 흡수함으로써 육류의 변색이나 냄새 및 부패 등을 방지하여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으로는 함체의 내측 바닥면에 육류나 생선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생유체 흡수포를 설치하여 지지판을 통해 생유체 흡수포와 점적식품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구조를 통해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를 흡수함으로써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만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는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을 포장하여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포장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을 수용하는 일정크기의 식품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은 평활한 형태로 형성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함체;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되어 식품 수용공간부에 설치되어지되 상부로 지지되는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다수의 생유체 유출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지지판; 지지판을 식품 수용공간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판 고정수단; 및 지지판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내측의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식품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되어 지지판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의 틈과 생유체 유출공을 통해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생유체(점적)를 흡수하는 생유체 흡수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지지판 고정수단은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구성되어지되 상부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돌기; 및 지지돌기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지지판 하측면에 다수 돌출 구성되어지되 걸림홈 상에 삽입 걸림되어 지지판이 지지돌기에 의해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판 고정수단은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구성되어지되 상부면에는 지지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된 지지돌기; 지지돌기의 지지홈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지지판 하측면 상에 다수 돌출 구성되어지되 지지돌기의 지지홈 상에 삽입 결합되어 지지판이 지지돌기에 의해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결합돌기; 및 지지돌기의 지지홈 각각에 도포되어 지지홈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판 고정수단의 또 다른 구성으로 지지판 고정수단은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구성되어지되 상측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면접촉돌기; 및 면접촉돌기의 상측면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면을 접착시켜 면접촉돌기의 상부에 지지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함체와 지지판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 또는 펄프재로 이루어지되 펄프재로 이루어진 함체의 경우에는 펄프재의 함체 표면에 인체에 무해한 코팅제가 코팅 처리되어 식품 수용공간부로 포장되는 점적식품과 펄프재의 함체 표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이 양호하다. 이때, 합성수지재로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테르(PET : Polyester),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에틸렌비닐알콜(EVOH : Ethylene-vinyl alcohol), 에틸렌초산비닐(EVA : 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염화비닐리딘(PVDC : Polyvinylidenechlorid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라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 : Nylon), 폴리카보네이트(PC : Polycarbonates), 아세틸 셀룰로오스(Acetyl Cellulose), 아세틸부틸 셀룰로오스(Acetyl Butyl Cellulose), 플라스틱 복합필름 및 개질된 생분해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생유체 흡수포는 펄프, 티슈(TISSUE) 및 합성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지되 시트 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유체 흡수포의 내부에는 생유체를 흡수하는 Luquasorb FP 800의 초흡수제(Superabsorbents) 또는 중합체성 수분 흡수제를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형성한 충진흡수재가 충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의하면 상측이 개구된 함체의 내부 바닥에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생유체 흡수포를 설치하여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를 원활하게 흡수함으로써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의 변색이나 냄새 및 부패를 방지하여 식품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상측이 개구된 함체의 내부 바닥에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생유체 흡수포를 설치하여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를 원활하게 흡수함으로써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의 변색이나 냄새 및 부패를 방지하여 더욱 깨끗하고 위생적인 육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흡수공이 형성된 지지판에 의해 점적식품과 생유체 흡수포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만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적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 의하면 생유체 흡수포 내부에 충진흡수재를 충진함으로써 많은 양의 점적식품으로부터 생유체(점적)가 삼출되더라도 이를 충분 히 흡수하여 생유체(점적)로 인한 점적식품의 변색이나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의 포장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육류나 생선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을 넣어 포장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점적식품을 수용하는 식품 수용공간부(112)가 형성된 구조의 함체(110),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되어 식품 수용공간부(112)에 일정높이로 설치되어지되 그 상부로 수용되는 점적식품(10)을 지지하는 지지판(120), 지지판(120)을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판 고정수단 및 지지판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내측의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지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를 흡수하는 생유체 흡수포(1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의 구성에서 지지판(120)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그 상부로 지지되는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가 하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생유체 유출공(12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지지판(120)의 크기는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되어 식품 수용공간부(112) 상에 설치시 지지판(120)의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120)의 측벽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를 통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의 포장과정을 살펴보면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에 일정높이로 구성된 지지판(120)의 상부에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함체(110)의 테두리면을 비닐랩이나 봉인지(150) 등을 통해 봉인하면 점적식품(10)의 포장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상에 점적식품(10)을 포장하게 되면 지지판(120) 상에 지지된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는 지지판(120)에 다수 형성된 생유체 유출공(122)을 통해 지지판(120)의 하부로 유출되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지판(120) 사이에 설치된 생유체 흡수포(140)를 통해 흡수되는 한편,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는 지지판(120)의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120)의 측벽 사이의 틈을 통해서도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려 결국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 지판(120) 사이에 설치된 생유체 흡수포(140)를 통해 흡수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함체(100)는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을 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함체(11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을 수용하는 일정크기의 식품 수용공간부(1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은 평활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편,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측벽은 상향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함체(110)의 재질로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 또는 펄프재로 이루어지되 펄프재로 이루어진 함체(110)의 경우에는 함체(110) 표면에 인체에 무해한 코팅제가 코팅 처리되어 식품 수용공간부(112)로 수용되어 포장되는 점적식품(10)과 함체(110) 표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이 양호하다.
반면, 펄프재의 함체(110) 표면에 코팅처리를 하지 않게 되면 펄프재의 함체(110) 표면에 점적식품(1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점적식품(10)의 생유체(점적)가 펄프재의 함체(110)에 과도하게 흡수되어 오히려 점적식품(10)의 수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점적식품(10)으로부터 생유체(점적)가 과도하게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오히려 점적식품(10)의 신선도를 저하시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펄프재의 함체(110) 표면에 코팅처리를 하지 않게 되면 펄프재의 함체(110)가 그 내부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상에 수용 포장된 점적식품(10)의 생유체(점적)을 흡수하게 되어 함체(110)의 견고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가 파손에 취약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언급하면, 펄프재 함체(110)의 경우 코팅처리를 통해 함체(110)의 내부에 수용 포장되는 점적식품(10)과 펄프재 함체(11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포장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10)의 수분이 펄프재의 함체(110)에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코팅처리를 통해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10)과 펄프재의 함체(11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적식품(10)의 수분 부족으로 인한 신선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장 트레이(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펄프재를 통해 함체(110)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함체(110) 표면에 방수를 위한 코팅제를 통해 코팅처리함이 양호하다 할 수 있다. 이때, 코팅제는 함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점적식품(1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코팅제를 사용함이 양호하다.
그리고, 함체(110)를 제조하는데 있어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합성수지재로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테르(PET : Polyester),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에틸렌비닐알콜(EVOH : Ethylene-vinyl alcohol), 에틸렌초산비닐(EVA : 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염화비닐리딘(PVDC : Polyvinylidenechlorid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라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 : Nylon), 폴리카보네이트(PC : Polycarbonates), 아세틸 셀룰로오스(Acetyl Cellulose), 아세틸부틸 셀룰로오스(Acetyl Butyl Cellulose), 플라스틱 복합필름 및 개질된 생분해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를 구성하는 지지판(120)은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상에 수용되는 점적식품(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120)은 도 1,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판 고정수단에 의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설치 고정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판(120)은 그 상부로 지지되는 점적식품(10)과 후술하는 생유체 흡수포(140)를 분리하여 점적식품(10)과 생유체 흡수포(14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장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10)의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이처럼 지지판(120)을 통해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10)과 생유체 흡수포(14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적식품(10)의 수분을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점적식품(10)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판(120)에는 다수의 생유체 유출공(122) 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그 상부로 지지되는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의 유출이 지지판(120)의 하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지지판(120)의 재질 역시도 함체(110)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 또는 펄프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펄프재로 지지판(120)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지지판(120) 표면에 인체에 무해한 코팅제가 코팅 처리되어 그 상부로 지지되는 점적식품(10)과 지지판(120)의 표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이 양호하다. 이는 펄프재의 지지판(120)과 점적식품(10)의 접촉시 과도한 생유체(점적)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판(120)을 구성하는데 있어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경우 함체(110)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무해한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테르(PET : Polyester),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에틸렌비닐알콜(EVOH : Ethylene-vinyl alcohol), 에틸렌초산비닐(EVA : 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염화비닐리딘(PVDC : Polyvinylidenechlorid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라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 : Nylon), 폴리카보네이트(PC : Polycarbonates), 아세틸 셀룰로오스(Acetyl Cellulose), 아세틸부틸 셀룰로오스(Acetyl Butyl Cellulose), 플라스틱 복합필름 및 개질된 생분해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판 고정수단은 수용공간부(112)에 설치되는 지지판(120)을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한편 고정 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지지판 고정수단의 구성은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부면에는 걸림홈(130-1)이 형성된 지지돌기(130) 및 지지돌기(130)의 걸림홈(130-1)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지지판(120) 하측면에 다수 돌출 형성되어지되 걸림홈(130-1) 상에 삽입 걸림되어 지지판(120)이 지지돌기(130)에 의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32)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판 고정수단의 지지돌기(130)와 걸림돌기(132) 각각은 도 1,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과 지지판(120) 하측면 각각에 일체로 성형되어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접착을 통해 부착 고정되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지지판 고정수단은 지지돌기(130)와 걸림돌기(132)의 구성이 상호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지판(120) 하측에 일체로 구성된 걸림돌기(132)를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 상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돌기(130)의 걸림홈(130-1) 상에 삽입 결합하게 되면 걸림돌기(132)가 걸림홈(130-1) 상에 걸림 유지되어 고정되어진다.
한편, 지지판 고정수단의 구성에서 지지돌기(130)는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돌기(130)의 걸림홈(130-1) 상에 걸림돌기(132)가 체결을 통해 걸림 유지되면 지지판(120)은 지지돌기(130)에 의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지판(120) 사이에는 일정높이의 공간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생유체 흡수포(140)는 지지판(120) 상측에 지지되어 식품 수용공간부(112)에 수용된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되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생유체 흡수포(140)는 도 1,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지판(120) 사이에 형성된 일정높이의 공간상에 설치되어 지지판(120)의 생유체 유출공(122)을 을 통해 지지판(120)의 하부로 유입된 생유체(점적)를 흡수하는 한편, 지지판(120)의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게 된다.
다시 언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생유체 흡수포(140)는 지지판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내측의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지판(120) 사이의 공간상에 설치되어지되 식품 수용공간부(112)에 수용된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되어 지지판(120)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틈과 생유체 유출공(122)을 통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생유체 흡수포(140)는 펄프, 티슈(TISSUE) 및 합성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되 시트 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때, 생유체 흡수포(140)의 두께는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과 지지판(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높이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를 구성하는 생유체 흡수포(140)의 생유체(점적) 흡수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생유체 흡수포(140)의 내부에는 생유체를 흡수하는 Luquasorb FP 800의 초흡수제(Superabsorbents) 또는 중합체성 수분 흡수제를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형성한 충진흡수재(142)가 충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충진흡수재(142)로써 초흡수제(Superabsorbents) 또는 중합체성 수분 흡수제를 생유체 흡수포(140)에 충진시킴으로써 점적식품(10)으로부터 많은 양의 생유체(점적)가 삼출되더라도 충분히 흡수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충진흡수재(142)로써 초흡수제인 Luquasorb FP 800은 BASF라는 회사에서 생산하는 브랜드 이름으로, 이러한 초흡수제는 많은 양(자기 무게의 500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하고 결합할 수 있는 가교화된 폴리아크릴(Crosslinked Polyacrylates)로 이루어지면서 함체(110) 내에 남아 있는 생유체(점적)나 수분을 흡수하여 얼어붙게 한다. 따라서, 수분에 매우 민감한 몇몇 점적식품(10)을 신선한 상태로 더욱 오래 보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는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에 일정높이로 구성된 지지판(120)의 상부에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1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함체(110)의 테두리면을 비닐랩이나 봉인지(150) 등을 통해 봉인하여 점적식품(10)을 포장하게 된다. 이처럼 점적식품(10)을 포장한 상태로 놓아두면 점적식품(10)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는 하부로 흘러내려 생유체 흡수포(140)를 통해 흡수되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의 구성에서 지지판 고정 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의 다른 예로써 도 6 은 지지판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지지판 고정수단은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부면에는 지지홈(130a-1)이 일정깊이로 형성된 지지돌기(130a), 지지돌기(130a)의 지지홈(130a-1)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지지판(120) 하측면 상에 다수 돌출 형성되어지되 지지돌기(130a)의 지지홈(130a-1) 상에 삽입 결합되어 지지판(120)이 지지돌기(130a)에 의해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결합돌기(132a) 및 지지돌기(130a)의 지지홈(130a-1) 각각에 도포되어 지지홈(130a-1)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32a)가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134a)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판 고정수단의 지지돌기(130a)와 결합돌기(132a) 각각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과 지지판(120) 하측면 각각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접착을 통해 부착 고정되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다른 예의 지지판 고정수단은 지지돌기(130a)와 결합돌기(132a)의 구성이 상호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지판(120) 하측에 일체로 구성된 결합돌기(132a)를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 상에 일체로 구성된 지지돌기(130a)의 지지홈(130a-1) 상에 접착제(134a)의 도포를 통해 삽입 결합하게 되면 결합돌기(132a)가 지지홈(130a-1) 상에 삽입된 상태로 접착되어 고정 유지되어진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의 구성에서 지지판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100)의 또 다른 예로써 도 7 은 지지판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지지판 고정수단은 식품 수용공간부(112)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측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면접촉돌기(130b) 및 면접촉돌기(130b)의 상측면과 지지판(120)의 하측면을 접착시켜 면접촉돌기(130b)의 상부에 지지판(120)이 고정되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134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판 고정수단의 면접촉돌기(130b) 각각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의 식품 수용공간부(112) 바닥면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록 제작되어 접착을 통해 부착 고정되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또 다른 예의 지지판 고정수단은 면접촉돌기(130b)의 상측면 상에 도포된 접착제(134b)를 통해 면접촉돌기(130b)의 상측면으로 지지판(120)의 하측면을 접착 고정시켜 지지판(12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작업을 통해 지지판(120)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의 포장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에 육류나 생선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을 넣어 포장한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의 구성에서 지지판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의 구성에서 지지판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포장 트레이 110. 함체
112. 식품 수용공간부 120. 지지판
122. 생유체 유출공 130. 지지돌기
130-1. 걸림홈 132. 걸림돌기
140. 생유체 흡수포 142. 충진흡수재
150. 봉인지

Claims (8)

  1.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drippy)식품을 포장하여 상기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되는 생유체(점적)를 흡수하기 위한 포장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육류나 생선류 및 채소류와 같은 점적식품을 수용하는 일정크기의 식품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은 평활한 형태로 형성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함체;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비해 작은 크기의 판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에 설치되어지되 상부로 지지되는 상기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된 생유체(점적)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생유체 유출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을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판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판 고정수단을 연결하는 내측의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점적식품으로부터 삼출되어 상기 지지판 측단부와 식품 수용공간부의 측벽 사이의 틈과 상기 생유체 유출공을 통해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생유체(점적)를 흡수하는 생유체 흡수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고정수단은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구성되어지되 상부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판 하측면에 다수 돌출 구성되어지되 상기 걸림홈 상에 삽입 걸림되어 상기 지지판이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고정수단은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구성되어지되 상부면에는 지지홈이 일정깊이로 형성된 지지돌기;
    상기 지지돌기의 지지홈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판 하측면 상에 다수 돌출 구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돌기의 지지홈 상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이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되도록 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지지돌기의 지지홈 각각에 도포되어 상기 지지홈 각각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접착 고정되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고정수단은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일정높이로 다수 구성되어지되 상측면은 평면상으로 형성된 면접촉돌기; 및
    상기 면접촉돌기의 상측면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면을 접착시켜 상기 면접촉돌기의 상부에 상기 지지판이 고정되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지지판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 또는 펄프재로 이루어지되 펄프재로 이루어진 함체의 경우에는 상기 펄프재의 함체 표면에 인체에 무해한 코팅제가 코팅 처리되어 상기 식품 수용공간부로 포장되는 점적식품과 상기 펄프재의 함체 표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로는 폴리염화비닐(PVC : Polyvinyl Chloride), 폴리에스테르(PET : Polyester),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에틸렌비닐알콜(EVOH : Ethylene-vinyl alcohol), 에틸렌초산비닐(EVA : Ethylene-vinyl acetate), 폴리염화비닐리딘(PVDC : Polyvinylidenechloride), 폴리스티렌(PS : Polystyr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라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 : Nylon), 폴리카보네이트(PC : Polycarbonates), 아세틸 셀룰로오스(Acetyl Cellulose), 아 세틸부틸 셀룰로오스(Acetyl Butyl Cellulose), 플라스틱 복합필름 및 개질된 생분해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유체 흡수포는 펄프, 티슈(TISSUE) 및 합성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되 시트 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유체 흡수포의 내부에는 생유체를 흡수하는 Luquasorb FP 800의 초흡수제(Superabsorbents) 또는 중합체성 수분 흡수제를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형성한 충진흡수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KR1020080077563A 2008-08-07 2008-08-07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KR20100018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63A KR20100018860A (ko) 2008-08-07 2008-08-07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563A KR20100018860A (ko) 2008-08-07 2008-08-07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860A true KR20100018860A (ko) 2010-02-18

Family

ID=4208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563A KR20100018860A (ko) 2008-08-07 2008-08-07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88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408A (ko) * 2020-03-03 2022-11-29 덴 브로크 루카스 카렐 요하네스 반 3차원 필름 밀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408A (ko) * 2020-03-03 2022-11-29 덴 브로크 루카스 카렐 요하네스 반 3차원 필름 밀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2492B2 (en) Container with absorbent material
US6478147B1 (en) Container with absorbent material
US6491993B1 (en) Absorbent pouches
US4929480A (en)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ing food product liquids
US7025198B2 (en) Absorbent pad with controlled rate of wicking
KR100800093B1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202100615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servation, storage and/or shipment of liquid-exuding products
US20130095215A1 (en) Food package for cut produce
EP0353334A1 (en)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ing food product liquids
KR20100018860A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US20010049006A1 (en) Liquid absorbing sheet for an exuding food product
KR20080005998U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US20150017380A1 (en) Absorbent food pad having discrete airflow passages
KR20100018861A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 트레이
JP2003000139A (ja) 生鮮食品保存具
KR20120005606U (ko) 미트패드가 부착된 트레이형 포장용기
KR20110114838A (ko) 김치 등 발효식품군의 가스 배출용 포장용기용 상표라벨
KR20160033933A (ko) 포장재용 공기 배출장치
KR20080105909A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지
KR101267907B1 (ko) 포장봉지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KR20100129354A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90084548A (ko) 생유체 흡수용 포장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A2506706C (en) Food packing tray with integral juice absorbing bottom
KR20110025681A (ko) 습기 흡수용 포장 트레이
CA3102632A1 (en) Insulated and ventilated shellfish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