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6827A -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6827A
KR20100016827A KR1020080076455A KR20080076455A KR20100016827A KR 20100016827 A KR20100016827 A KR 20100016827A KR 1020080076455 A KR1020080076455 A KR 1020080076455A KR 20080076455 A KR20080076455 A KR 20080076455A KR 20100016827 A KR20100016827 A KR 2010001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door
door opener
nut
side out
ou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977B1 (ko
Inventor
유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9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과 고정구조를 통합하여 조립구조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도모하고, 연료도어 오프너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외관 매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는 연료도어 오프너와,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의 내측에 삽입된 서브너트와, 후단부는 상기 서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고 선단부는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선단에 결착되어 사이드 아웃패널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FUEL DOOR OPENER ADJUS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도어 오프너를 사이드 아웃패널에 고정시킬 경우 연료도어 오프너의 삽입 및 체결방향에 대한 공간적 제약사항을 해소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연료도어 오프너를 사이드 아웃패널에 결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사이드 아웃패널(10)에 장착할 시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40)과 쿼터 인너 로워 패널(13)의 사이로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삽입시킨 다음,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40)에 걸림을 이용하여 연료도어 오프너(30)를 가 장착한다.
이후, 별도의 공구(20)를 이용하여 볼트(21)를 종방향(T 방향)으로 체결하여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40)에 고정하게 된다.
도 2a 와 도 2b 는 상기 도 1a 와 도 1b 의 작업시 작업공구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의 (b)는 도 2a 의 (a)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b 의 (b)는 도 2b 의 (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쿼터 인너 로워 패널(13)과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40)의 사이로 삽입할 시 공간이 부족하여 간섭이 생기게 된다(원형 점선으로 도시된 a 부). 이로 인해 작업자의 손이 상해를 입을 수 있고, 공간 제약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구(20)를 이용하여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40)에 볼트(21)를 체결하고자 할 때, 공구(20)와 사이드 아웃패널(10)간에 간섭이 생기고,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40)의 변형에 의한 연료도어 오프너(30)의 위치 정도 불량으로 연료도어의 열림과 닫힘이 불량하게 된다.
나아가, 사이드 아웃패널(10)과 연료도어간의 단차 발생시 조정방법이 없으며, 이로 인해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웃패널 결합부에서의 외관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도어 오프너를 사이드 아웃패널에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에서 인접 부위간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연료도어 오프너의 삽입 및 체결방향에 대한 공간적 제약사항이 해소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성 향상과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외관 매칭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는 연료도어 오프너와,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의 내측에 삽입된 서브너트와, 후단부는 상기 서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고 선단부는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선단에 결착되어 사이드 아웃패널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볼트는 선단부 전면에 렌치홈이 형성되어, 렌치 공구에 의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아웃패널의 외측으로 연료도어 하우징과,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상에 결착되는 플러그와,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의 외측에 사이드 아웃패널과 연료도어가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에 의하면,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 래킷과 볼트 고정구조를 통합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차량의 구조적 단순화와 부품수 절감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료도어 오프너의 수평방향(L 방향)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외관 품질이 향상되며, 작업시 인접 부위간 간섭이 배제됨으로써 연료도어 오프너의 삽입 및 체결방향에 대한 공간적 제약이 해소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의 사이드 아웃패널와의 결착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C - 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c 는 상기 도 3a 의 D - 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는 연료도어 오프너(30)가 사이드 아웃패널(10)에 일정간격을 두고 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절볼트(80)의 단부에 너트(50)가 최종 결착됨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30)는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도 1a 의 40)과 통합 고정된 형태로서, 종래 구조에 비해 구조가 단순화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30) 내측 중간부에는 서브너트(6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너트(60)의 내측으로 조절볼트(80)의 후단 일정길이가 삽입되고, 상기 조절볼트(80)의 선단부측은 연료도어 오프너(30)를 형성하는 연료도어 오프너 커버(33)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와 있다.
또한, 상기 조절볼트(80)는 볼트 선단의 전면부상에 렌치 홈(85)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에서 후방으로의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플랜지(8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조절볼트(80)의 선단측 렌치 홈(85)에 렌치를 결착시켜 회전하면 조절볼트(8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조절볼트(80)의 회전시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30) 내부의 상기 서브너트(60)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연료도어 오프너(30)가 수평방향(L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사이드 아웃패널(10)에 결착할 시 상기 렌치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조절볼트(80)를 회전시켜 주면 조절볼트(80)의 후단과 나사 결합을 하는 서브너트(60)가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서브너트(60)는 연료도어 오프너(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연료도어 오프너(30)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가 사이드 아웃패널에 결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는 상기 도 4c 의 E - E 선, 도 5b 는 상기 도 4d 의 F - F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사이드 아웃패널(10)에 결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볼트(80) 이용하여 사이드 아웃패널(10)과 일정한 거리(d)를 유지 시킨 상태의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사이드 아웃패널(10)에 거치시킨다.(가 장착 상태)
이때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30)는 연료도어 오프너 하우징(31)과 연료도어 오프너 커버(33)와 서브너트(60) 및 조절볼트(80)가 결착된 상태이며, 조절볼트(80)의 돌출된 선단부를 사이드 아웃패널(10)의 결착공(11)에 맞추어 안으로 밀어 넣어 거치시킨다.
이후, 사이드 아웃패널(10)의 바깥측에서 너트(50)를 이용하여 연료도어 오프너(30)를 고정시킨다.(도 4a 와 도 4b 참조)
다음, 연료도어(100)와 사이드 아웃패널(10)의 외관을 확인한 후 단차 발생시 고정된 너트(50)를 풀어 조절볼트(80)를 렌치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거리(d)를 변화시키면, 연료도어 오프너(30)와 사이드 아웃패널(10)간의 이격 거리(d)가 변화되어 수평방향(L 방향)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도 4c 와 도 5a 참조)
상기 조절볼트(80)를 이용하여 수평방향(L 방향) 이격거리(d) 조정이 완료된 다음, 연료도어 오프너 하우징(90)과 연료도어(100)를 밀착시켜 너트(50)로 고정시킨다. 이때 연료도어(100)의 브래킷 고정홈(101)은 연료도어 오프너(30)의 돌출된 핀(35)에 결착되고, 연료도어 오프너 하우징(90)의 결착공(93)은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30)에 결합된 조절볼트(80) 선단부에 삽입된다. (도 4d 와 도 5b 참조)
한편, 상기 최종 고정부재인 너트(50)는 그 일측에 와셔(51)가 함께 형성된 구조로서, 연료도어 오프너(30) 내에 연결되어 있는 조절볼트(60)의 선단부에 체결 되어 연료도어 오프너(30)를 사이드 아웃패널(10)에 고정시킨다.
즉, 조절볼트(60)의 거리 조정이 완료된 이후, 사이드 아웃패널(10)의 외측으로 연료도어 하우징(90)과,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90)상의 결착홈에 결착되는 플러그(91)와,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90)의 외측에 사이드 아웃패널(10)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연료도어(100)가 너트(50)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사이드 아웃패널(10)과 연료도어(100)의 외관 매칭성이 양호하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는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과 고정구조를 통합하여 조립구조를 단순화시켰고, 부품수를 줄임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연료도어 오프너의 아웃패널에 고정시키는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연료도어 오프너의 삽입 및 체결방향에 대한 공간적 제약사항이 해소되어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연료도어 오프너의 수평방향 길이 조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에 의해 연료도어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외관 매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연료도어 오프너를 사이드 아웃패널에 결착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a 와 도 2b 는 상기 도 1a 와 도 1b 의 작업시 작업공구와 사이드 아웃패널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한 도면으로, 도 3b 는 상기 도 3a 의 C - C 선 단면도이고, 도 3c 는 상기 도 3a 의 D - D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오프너가 사이드 아웃패널에 결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a 는 상기 도 4c 의 E - E 선, 도 5b 는 상기 도 4d 의 F - F 선에 따른 단면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이드 아웃패널 13 : 쿼터 이너 로어패널
20 : 공구 30 : 연료도어 오프너
31 : 연료도어 오프너 하우징 33 : 연료도어 오프너 커버
40 : 연료도어 오프너 마운팅 브래킷
50 : 너트 60 : 서브너트
80 : 조절볼트 90 : 연료도어 하우징
91 : 플러그 100 : 연료도어

Claims (3)

  1. 연료도어 오프너를 사이드 아웃패널에 고정시키는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로서,
    연료도어 오프너와,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의 내측에 삽입된 서브너트와,
    후단부는 상기 서버너트의 내측에 삽입되고 선단부는 상기 연료도어 오프너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의 선단에 결착되어 사이드 아웃패널을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연료도어 오프너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는 선단부 전면에 렌치에 의해 회전이 될 수 있도록 렌치홈이 형성된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웃패널의 외측으로 연료도어 하우징과,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상에 결착되는 플러그와, 상기 연료도어 하우징의 외측에 사이드 아웃패널과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연료도어가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KR1020080076455A 2008-08-05 2008-08-05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KR10095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455A KR100951977B1 (ko) 2008-08-05 2008-08-05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455A KR100951977B1 (ko) 2008-08-05 2008-08-05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827A true KR20100016827A (ko) 2010-02-16
KR100951977B1 KR100951977B1 (ko) 2010-04-08

Family

ID=4208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455A KR100951977B1 (ko) 2008-08-05 2008-08-05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384A (ko) 2018-12-18 2020-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오프너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300Y1 (ko) * 1997-08-04 2000-03-02 이관기 자동차 연료주입구오프너록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384A (ko) 2018-12-18 2020-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도어 오프너 어셈블리
US11479113B2 (en) 2018-12-18 2022-10-25 Hyundai Motor Company Fuel door open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977B1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545B2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US7596908B2 (en) Engaging piece for window regulator
EP1630327B1 (en) Vehicle door with door handle
JP2808037B2 (ja) 車のドア用の一体化された制御装置
JP5674123B2 (ja) コネクタ固定構造
US20090288345A1 (en) Mechanism for Adjusting Mounting Position of Window Regulator
KR100951977B1 (ko) 연료도어 오프너 장착구조
US20200087959A1 (en) Hinge for a hinged opening of a vehicle
KR101163470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로워 채널 조립체
JP6651585B1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US20050178575A1 (en)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10359788A (zh) 用于车辆的门把手组件
KR20190041326A (ko) 차량의 부품통합형 테일게이트 핸들스위치
US7302819B2 (en) Device for actuating a lock on a vehicle door
JP2014104813A (ja) スライドドアの取付け位置調整治具
JP4071081B2 (ja) 二部材の連結構造
KR100448615B1 (ko) 자동차용 도어패널 모듈 조립체
KR100571670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JP2004076395A (ja) ドアハンドル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111660978B (zh) 一种保险杠上表皮的锁定支架及车辆
JP4515172B2 (ja) キーシリンダキャップの取付構造
KR100452228B1 (ko) 자동차 도어래치 구조
KR100946463B1 (ko) 도어 트림의 마운팅 구조
JP3784441B2 (ja) 引戸錠における位置合せ装置
US6532640B1 (en) Blind assembly process for at least one component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is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