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380A -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380A
KR20100015380A KR1020097020785A KR20097020785A KR20100015380A KR 20100015380 A KR20100015380 A KR 20100015380A KR 1020097020785 A KR1020097020785 A KR 1020097020785A KR 20097020785 A KR20097020785 A KR 20097020785A KR 20100015380 A KR20100015380 A KR 20100015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decoding
permiss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852B1 (ko
Inventor
유세이 니시모토
사토시 후지쯔
šœ지 수나사키
Original Assignee
닛폰호소쿄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호소쿄카이 filed Critical 닛폰호소쿄카이
Publication of KR2010001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2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decryp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좁은 대역 방송에 있어서도 개별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를 관리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저가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스크램블 키와, 콘텐츠 수신장치(4)를 식별하는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된, 복수의 콘텐츠 수신장치(3,3,....)의 계약 상태를 나타내는 계약정보를 포함하는 개별 계약정보가 암호화된 ECM을 디코딩하는 ECM 디코딩수단(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75)와,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를 개별계약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계약정보 취득수단(허가정보 취득수단)(76b)과,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계약 상태를 판정하여, 계약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로 출력하는 계약상태 판정수단(허가상태 판성수단)(76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프로그램{SCRAMBLE KEY MANAGEMENT UNIT, SCRAMBLE KEY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ETHOD FOR SCRAMBLE KEY OUTPUT MANAGEMENT, SCRAMBLE KEY MANAGEMENT PROGRAM, LICEN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LICENSE MANAGEMENT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METHOD FOR LICENSE INFORMATION OUTPUT MANAGEMENT, AND LICENSE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의 개별 계약 정보를 전달(配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방송에서는, 방송 사업자와 계약을 마친 수신기에서만 디지털 콘텐츠(이하 콘텐츠라고 함)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유료방송 시스템이 실시되고 있다. 이 유료방송 시스템에서는, 사전에 계약을 완료한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 계약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계약한 수신기인지를 판단하여, 유효한 개별 계약 정보를 가진 수신기만이 암호화된 콘텐츠를 디코딩(decoding) 할 수 있다.
이 유료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기에 개별 계약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으 로서, 수신기 마다 고유의 마스터 키를 배포하여 놓고, 이 수신기에 대응하는 마스터 키에서 개별 계약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방법이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 개별 계약 정보는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으로서 송신되고, 개별 계약 정보에는 1개월 정도의 유효기한이 설정된다. 그리고, 이 개별 계약 정보는, 수신한 수신기에서 마스터 키(master key)로 디코딩되어, 콘텐츠의 디코딩을 유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계약자가 계속 계약하면, 수신기에 새로운 개별 계약 정보가 송신되어, 수신기에서 계약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수신기의 공통의 워크 키(work key)를 미리 소지시키고, 송신처의 수신기를 나타내는 수신장치 ID를 부여한 개별 계약 정보를 워크 키로 암호화하여 공통정보인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으로서 송신하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수신기는, 암호화된 개별 계약 정보를 워크 키로 디코딩하여, 개별 계약 정보에 부여된 수신기 ID가 당해 수신기 ID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개별 계약 정보를 취득하고, 다른 수신기의 개별 계약 정보인 경우에는 취득하지 않는다. 이 개별 계약 정보는, 예를 들면, 계약시나 해약시 등, 계약 상태에 따라서 송신된다. 또, 위조된 개별 계약 정보를 정규의 수신기에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별 계약 정보에는 디지털 서명이 실시된다. 그리고, 수신기에서 이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는 것으로, 위조된 개별 계약 정보를 배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특허 제3561154호 공보(단락 0010 ~ 0037)
비특허문헌 1 : 전파산업회, 「디시털 방송에 있어서 억세스 제어방식」표준규격, ARIB STD-B25, 제1부
그러나, 비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큰 데이터량의 EMM을 송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BS 디지털 방송이나 12 세그먼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는 유효하지만, 대역이 좁은 1 세그먼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나 지상파 음성 디지털 방송에서는 전체 수신기에 EMM을 송신하는데 수 십시간의 오더 송신 시간을 요한다. 그리고,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을 수신기로하는 1 세그먼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는, 수신기의 전원이 항상 온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수신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나서 단시간 사이에, 개별 계약 정보가 송신될 필요가 있어, 현실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공통의 워크 키에 의해 개별 계약 정보를 암호화 하기 때문에 개찬(改竄 : 공문서, 증서 등의 글자 글귀를 고의로 고침)되기 쉽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ECM 내에 부여한 디지털 서명의 서명값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ECM을 송신할 때에 서명값의 에리어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어, 방송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 또, 수신기에 있어서, 디지털 서명의 검증 처리는 큰 부하로 되기 때문에, 수신기의 코스트 업의 원인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 세그먼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과 같은 좁은 대역 방송에 있어서도 개별 계약 정보(개별 허가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저가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좁은 대역방송에 있어서 개별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 등의 라이센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수신기의 대수를 늘릴 수 있는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 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이며,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과, 허가정보 취득수단과, 허가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디코딩수단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하여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와 스크램블 키가 암호화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출력 대상인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서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개별허가정보는,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 허가상태를 나타낸 정보가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된 것이므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에 의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이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는, 스크램블 키를 출력 대상인 콘텐츠 디코딩장치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송신 대상이 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미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상기 개별허가정보에, 1개의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상기 허가정보가 배열됨과 동시에, 당해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ID가 부여되고, 상기 허가정보 취득수단이, 상기 그룹 ID와, 상기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는, 그룹 ID와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대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 키와, 상기 암호와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를 송신하는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이며,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과,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허가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하고,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개별허가정보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하여 스크램블 관리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각각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하여 개별허가정보로 하여, 스크램블 키와 함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이, 각각 1비트의 상기 허가정보를 배열한 비트열을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각각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를 배열하여 개별허가정보로 하여, 스크램블 키와 함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이, 상기 비트열을 가역 압축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각각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를 배열한 비트열을 압축하여 개별허가정보로 하여, 스크램블 키와 함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은,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스크램블 키 출력방법이며,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과, 허가정보 취득스텝과, 허가상태 판정스텝과, 키 출력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에 있어서,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딩해 개별허가정보와 스크램블 키가 암호화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계속해서, 허가정보취득 스텝에서, 출력 대상인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에서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허가상태 판정스텝에서, 허가정보 취득스텝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이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키 출력 스텝에서, 허가상태 판정스텝에서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스크램블 키를 출력 대상인 콘텐츠 디코딩장치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허가상태를 판정하고,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스크램블 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은,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 허가정보 취득수단, 허가상태 판정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은,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와 스크램블 키가 암호화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출력 대상인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디코딩장치 ID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또,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은, 허가상태 판정수단에 의해, 허가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이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스크램블 키를 출력대상인 콘텐츠 디코딩장치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은,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이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과, 허가정보 취득수단과, 허가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출력 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의 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개별허가정보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하거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된 것이므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에 의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스크램블 키 등의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은, 스크램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를 상기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시청 가능한 콘텐츠 정보로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이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스크램블 키인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콘텐츠의 시청 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이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과, 허가정보 취득수단과, 록 제어정보 취득수단과, 록 제어수단과, 허가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마다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출력 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의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개별허가정보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배열된 것이므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제1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록 제어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제1수신장치 ID보다 다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 ID에 대응지어진, 라이센스 정보의 콘텐츠 취득수단으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 제어정보를 취득하고, 록 제어수단에 의해,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 상기 록 상태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라이센스정보를 출력할 건가,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관계없이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금지할 건가를, 록 상태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송신 대상이 되는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이 미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개별허가정보에, 1개의 상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의 상기 허가정보가 배열됨과 함께, 당해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 ID가 부가되고, 상기 허가정보 취득수단이, 상기 그룹 ID와, 상기 제1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그룹 ID와 제1수신장치 ID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관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수신장치 ID를 기억하는 제1수신장치 ID 기억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록제어정보가, 상기 록 상태를,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 제어정보는, 적어도 제1수신장치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신장치 ID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1수신장치 ID를, 당해 록 제어정보에 포함된 제1수신장치 ID로 갱신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록 되어 콘텐츠의 제시를 할 수 없게 된 콘텐츠 취득수단에 새로운 제1수신장치 ID를 부여하여,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의해 콘텐츠의 제시를 다시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수신장치 ID와 상기 그룹 ID를 기억하는 제1수신장치 ID 기억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록제어정보가, 상기 록상태를,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 제어정보는, 적어도 제1수신장치 ID와 그룹 ID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신장치 ID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1수신장치 ID와 그룹 ID를, 각각 당해 록 제어정보에 포함된 제1수신장치 ID와 그룹 ID로 갱신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록 되어 콘텐츠의 제시를 할 수 없게 된 콘텐츠 취득수단에 새로운 그룹 ID를 포함하는 제1수신장치 ID를 부여하여,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의해 콘텐츠의 제시를 다시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또한, 록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록 판정수단에 의해, 소정의 날짜정보와 현재의 날짜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할 건지를 판정하여, 록 제어수단에 의해, 록 제어정보 및 록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현재의 날짜가 소정의 조건으로 되면, 록 상태를,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제어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떤 항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ID는,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채널마다, 상기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ID에 대응지어진 서로 다른 ID가 할당되고, 상기 록 제어수단은, 상기 채널 마다 록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채널마다 개별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관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ID는,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채널마다, 상기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ID에 대응지어진 서로 다른 ID가 할당되고, 상기 록 판정수단은,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의 날짜정보와 현재의 날짜에 기초하여, 상기 록 상태를, 상기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할 것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록 제어수단은, 상기 록 제어정보와 상기 록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마다 록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불사용으로 된 채널마다 록 판정하여 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6의 어떤 항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은, 스크램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를 상기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시청 가능한 콘텐츠 정보로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이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스크램블 키인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콘텐츠의 시청 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대하여,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송신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이며,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과, 라이센스 관리정보 생성수단과, 록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허가정보를,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하고, 라이센스 관리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개별허가정보를 암호화하여 라이렌스 관리정보를 생성하고, 록 제어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ID에 대응하여,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의 록 상태를 변경하는 록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의 각각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하여 개별허가정보로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로 송신함과 동시에, 개개의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록 제어정보를, 개별로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출력 관리방법은,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보출력방법이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과, 허가정보 취득스텝과, 허가상태 판정스텝과, 록 제어정보 취득스텝과, 록 제어처리스텝과, 라이센스 정보 출력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라아센스 관리정보 디코딩 스텝에서,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이어서, 허가정보 취득스텝에서, 출력 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의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에서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이어서, 허가상태 판정스텝에서, 허가정보 취득스텝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록 제어정보 취득스텝에서,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ID에 대응지어진, 라이센스 정보의 콘텐츠 취득수단으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 제어정보를 취득하고, 록 제어처리스텝에서, 록 제어정보 취득스텝에서 취득된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라이센스 정보출력스텝에서, 허가상태 판정스텝에서 허가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이고, 또 록 상태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허가정보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할 건가, 판정결과에 관계없이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금지할 건가를, 록 상태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를,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 허가정보 취득수단, 록 제어정보 취득수단, 록제어수단, 허가상태 판정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이센스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고,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출력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의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한다. 또, 록 제어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ID에 대응지어진, 라이센스 정보의 콘텐츠 취득수단으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 제어정보를 취득하고, 록 제어수단에 의해,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라이센스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허가상태 판정수단에 의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 상기 록 상태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에,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대상인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관리 프로그램은, 개별허가정보에 포함된,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라이센스 정보를 출력할 건가,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관계없이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금지할 건가를, 록 상태에 의해 관리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방법 및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들 수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별허가정보에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되어 있으므로, 개별허가정보에 디코딩장치ID를 부가히지 않고도,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하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별허가정보에,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고, 이 개별허가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허가정보에는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으므로, 좁은 대역 방송에 있어서도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나서 단시간의 사이에,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가 송신된다. 그 때문에, 곧바로 허가상태가 갱신되어, 허가상태에 따른 스크램블 키의 출력 관리가 가능하다. 또, 콘텐츠를 부정하게 이용하는 부정이용자에 의해 잘못된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어도, 곧바로 올바른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갱신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여,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개별허가정보는 스크램블 키와 함께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정이용자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자체가 삭제된 경우에는, 스크램블 키도 삭제되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서 스크램블 키가 출력되지 않고, 이에 의해 콘텐츠의 부정한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그룹ID에 기초하여, 수신한 개별허가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개별허가정보에 배열할 수 있는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수보다 많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대하여 송신된 복수의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대응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별허가정보에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하므로, 디코딩장치ID를 부가하지 않아도, 각각의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별허가정보에는,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어, 좁은 대역방송에 있어서도 단기간의 사이에 많은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효율 좋게 송신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각각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정보를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 단시간 사이에 보다 많은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비트열을 압축한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 단시간 사이에 보다 많은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별허가정보를 수신하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있어서 처리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별허가정보에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되어 있으므로, 개별허가정보에 수신장치ID를 부가하지 않아도,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별허가정보에,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고, 이 개별허가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하여 스크램블 키 등의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개별허가정보에는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으므로, 좁은 대역방송에 있어서도 콘텐츠 취득수단이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나서 단시간 사이에,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가 송신된다. 그 때문에, 곧바로 허가상태가 갱신되어, 허가상태에 따른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 관리가 가능하다. 또, 콘텐츠를 부정하게 이용하는 부정이용자에 의해 잘못된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어도, 곧바로 올바른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갱신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여,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암호화된 콘텐츠의 시청 가부를 콘텐츠 디코딩장치로의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부정한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별허가정보에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되어 있으므로, 개벌허가정보에 제1수신장치ID를 부가하지 않아도,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별허가정보에,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고, 이 개별허가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하여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할 수 있는 제2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 또는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로 된 제1수신장치ID를 다른 콘텐츠 취득수단에 재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그룹ID에 기초하여, 수신한 개별허가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었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개별허가정보에 배열될 수 있는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의 수보다 많은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대하여 송신된 복수의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에 대응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록 되어 사용할 수 없었던 제1수신장치ID를 갱신하여, 콘텐츠 취득수단에 의한 콘텐츠의 제시를 다시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제1수신장치ID를 맘대로 재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현재의 날짜가 소정의 조건으로 되면, 라이센스 정보관리수단은, 방송파에 의한 록 제어정보를 수신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록 하기 때문에, 제1수신장치ID를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에 의해 중복 이용되는 일 없게 재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채널마다 콘텐츠 취득수단에 의한 콘텐츠의 제시의 관리를 할 수 있음과 함께, 채널 마다 제1수신장치ID의 재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는, 스크램블 키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츠의 시청 가부의 제어를 스크램블 키의 출력 가부로서 행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부정한 이용을 방지하여,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별허가정보에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하므로, 제1수신장치ID를 부가하지 않아도, 각각의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개벌허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개별허가정보에는, 적은 데이터량으로 많은 콘텐츠 취득수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배열할 수 있어, 좁은 대역 방송에 있어서도 단시간 사이에 많은 콘텐츠 취드구단의 허가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효율 좋게 송신할 수 있다.
또,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할 수 있는 제2수신장치ID에 대응하여, 개별 콘텐츠 취득수단을 록 및 록 해제하여, 제1수신장치ID를 재이용할 수 있어, 콘텐츠 취득수단의 수가 증대하여도, 소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는 제2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개별허가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및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를 구비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ECM생성수단 에 의해 생성된 ECM을 포함하는 TS 패킷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ECM생성수단에 의해 ECM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a)는, ECM생성수단에 입력되는 개별계약정보와 그룹 및 서브그룹의 분류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b)는, ECM생성수단의 개별계약정보의 생성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EMM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되는 EMM을 포함하는 TS 패킷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를 구비한 콘텐츠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EMM과 ECM을 입력하여 계약상태를 판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EMM2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EMM2를 포함하는 TS 패킷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를 구비한 콘텐츠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EMM2와 EMM1과 ECM을 입력하여 계약상태를 판정하고, 록 제어처리를 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EMM2를 입력하여 취득한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천이시키는 록 제어처리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천이시키는 록 판정처리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고유정보인 수신장치ID1, 수신장치ID2 및 비밀키 등을 미리 부여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수신장치ID1을 재이용하여 부여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수신장치ID1 및 수신장치ID2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의 판매시에 초기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신장치ID1 및 수신장치ID2가 신규 발행 및 재이용하여 부여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계약의 해제에 따르는 록 판정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부호의 설명]
1, 1B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
12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
12a 그룹화수단
12b 비트열화수단
12c 압축수단
13 ECM 생성수단(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생성수단, 라이센스 관리정보 생성수단)
16 EMM2 생성수단(록 제어정보 생성수단)
5, 5B 콘텐츠 디코딩장치(콘텐츠 취득수단)
7, 7B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정보 관리장치)
75 ECM 디코딩수단(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 라이센스 관리정보디코딩수단)
76, 76B 개별계약판정수단
76a 신장수단
76b 계약정보 취득수단(허가정보 취득수단)
76c 계약상태 판정수단(허가상태 판정수단)
77B ID1 기억수단(제1수신장치 ID 기억수단)
83 록 해제 판정수단(록 제어정보 취득수단)
85 록 판정수단
86 록 제어수단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구성]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 및 개별계약정 보송신장치(1)를 구비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인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및 개별계약정보 송진장치를 구비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은,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 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 키와, 콘텐츠 수신장치(3,3,...)마다 계약상태(허가상태)를 나타내는 개별계약정보(개별허가정보)와,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에 공통의 계약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공통계약정보를 다중화한 다중화 콘텐츠를 방송파(W)에 의해 전달하고, 콘텐츠 수신장치(3,3,...)에 의해, 이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계약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시스템이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1)는, 암호화 콘텐츠와, 스크램블 키 및 개별계약정보를 워크 키로 암호화한 ECM(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라이센스 관리정보)과, 워크 키 및 공통계약정보를 디바이스 키로 암호화한 EMM을 다중화하여 다중화 콘텐츠로 하고, 방송파(W)를 매개로 콘텐츠 수신장치(3)로 송신하는 것이다.
콘텐츠 수신장치(3)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로부터 송신된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고, 계약상태를 판정하여 계약되어 있는 경우에만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것이다. 이하, 콘텐츠 전달 시스템(S)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와, 콘텐츠 수신장치(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구성)
먼저, 도 2를 참조(적당히 도 1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스크램블(11)와,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과, ECM 생성수단(13)과, EMM 생성수단(14)과, 다중화수 단(15)을 구비한다.
스크램블(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로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는, 다중화수단(15)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콘텐츠는, 영상음성이나 데이터 방송의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Transport Stream)로 부호화된 것이다. 그리고, 스크램블(11)는, 예를 들면, 이 콘텐츠의 TS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부를 암호화한다. 또, 스크램블 키는, 초정도의 단위로 변경되는 비밀키이다.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12)은, 개별계약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은, 그룹화수단(12a)과, 비트열화수단(12b)과, 압출수단(12c)를 구비한다.
그룹화수단(12a)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수신장치(3)마다 계약상태를 나타내는 계약정보(허가정보)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는 미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그룹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 서브그룹 내에 있어서, 콘텐츠 수신장치(3) 마다 고유의 번호인 수신장치ID(디코딩장치ID)가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그룹화수단(12a)은, 입력된 계약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수신장치(3)의 그룹 및 서브그룹에 기초하여, 계약정보를 그룹 및 서브그룹으로 뷴류한다. 여기서, 그룹은, 예를 들면, 콘텐츠 수신장치(3)의 메이커 종류, 서브그룹은, 예를 들면, 어느 메이커의 콘텐츠 수신장치(3)의 기종으로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 다. 여기서 그룹화된 계약정보는, 그룹 및 서브그룹을 식별하는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수신장치ID가 부가되어 비트열화수단(12b)으로 출력된다.
또한, 여기서는, 계약정보는 1비트의 정보이고, 예를 들면, 대응하는 콘텐츠 수신장치(3)에 대하여 수신 계약되어 있는 때에는「1」, 계약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0」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그룹ID에 상당한다.
비트열화수단(12b)은, 그룹화수단(12a)에 의해 분류된 계약정보를 서브그룹마다 배열하여 비트열화하고, 이 비트열에 그룹ID 및 서브그룹ID를 부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정보는 압축수단(12c)으로 출력된다.
이 비트열화수단(12b)은, 각각의 계약정보에 부가된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계약정보를 배열하여 비트열화한다. 여기서는, 어느 서브그룹으로 분류된 콘텐츠 수신장치(3)는, 서브그룹 내에서 제조된 순번이나 계약한 순번이나 계약한 순번 등을 나타내는 수신장치ID(예를 들면, 시리얼 번호)가 부여되고, 비트열화수단(12b)은, 수신장치ID에 의해 나타내어진 번호의 순서로 계약정보를 배열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개별계약정보는, 각각의 계약정보에 수신장치ID를 부가하지 않고, 계약정보의 순번에 기초하여 어떤 계약정보가 어떤 콘텐츠 수신장치(3)의 것인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비트열화수단(12b)은, 계약변경의 유무에 관계없이, 서브그룹마다 비트열을 순차 발생하여, 모든 서브그룹에 대하여 비트열을 생성한 경우에는, 다시 한 번 모든 서브그룹에 대하여 서브그룹 마다 비트열을 순차 생성한다.
압축수단(12c)은, 비트열화수단(12b)에 의해 생성된 비트열을, 가역압축하는 것이다. 이 압축수단(12c)은, 비트열을 압축하고, 또한 입력된 비트열에 부가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를 부가하여 개별계약정보로서, ECM생성수단(13)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콘텐츠 수신장치(3,3,...)의 계약정보는 비트열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수단(12c)은, 이 비트열을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의 대수에 대하여 수신계약되어 있는 콘텐츠 수신장치(3,3,...) 대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신계약율에 따라 부호화하는 것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하, 압축수단(12c)의 비트열의 압축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축수단(12c)은, 수신계약율에 따라 2비트의 계약율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압축수단(12c)은, 수신계약율이 25%(0 ~ 37.5%) 때에는 「00」, 50%(37.5 ~ 62.5%) 때에는 「01」, 75%(62.5 ~ 100%) 때에는 「10」을 계약율 정보로 한다. 이 계약율 정보는, 비트열에 있어서 「1」의 출현확율을 나타낸고, 압축수단(12c)은, 이 출현확율에 기초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출현확율에 기초한 부호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호프만 부호나 런-렝쓰(run-length) 호프만 부호 등을 들 수 있다. 출현확율에 따라 부호화를 행하는 것으로, 압축수단(12c)은, 효율적으로 비트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정보를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압축수단(12c)은, 압축한 비트열에 계약율정보를 부가하여, 그룹ID 및 서브그룹ID를 부가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생성한다.
ECM 생성수단(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생성수단, 라이센스 관리정보 생성수단)(13)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워크 키에서,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에 의해 생 성된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하여 ECM을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ECM은, 다중화수단(15)으로 출력된다. 또, 워크 키는, 채널단위나 서비스 단위의 비밀키이다.
여기서, 도 3을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2 참조)하여, ECM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ECM를 포함하는 RS(Transport Stream) 패킷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TS 패킷(P)은, TS 헤더(P1)와, ECM 섹션(P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ECM 섹션(P2)는, 섹션 헤더(Q1)와, 고정부(Q2)와, 개별계약정보(Q3)와, 개찬검출(Q4)과, 섹션 CRC(Q5)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고정부(Q2)에는, ECM 본체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별 등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번호, 콘텐츠의 전달을 행하는 사업자를 식별하는 사업체 식별,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워크 키를 식별하는 워크 키 식별, 및, 워크 키에서 암화화된 스크램블 키(스크램블 키Odd와 스크램블 키Even)가 포함된다.
개별계약정보(Q3)는, 그룹ID(R1)과, 서브그룹ID(R2)와, 계약정보(R3)로 구성된다. 도 3의 예에서는, 개별계약정보(Q3)에, 149 바이트를 할당할 수 있고, 계약정보(R3)에, 그룹ID(R1)의 1 바이트와, 서브그룹ID(R2)의 2 바이트 분을 뺀 1168 비트의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의 TS 패킷(P)에, 1168건분의 계약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수신장치ID를 부여한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서는, 1대의 콘텐츠 수신장치(3)에 대하여 6 바이트 정도의 수신장치ID를 포함하는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나, 여기서는, 비트열화수 단(12b)이, 각각의 계약정보의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계약정보를 배열하여 비트열화하기 때문에, 개별계약정보(Q3)에 수신장치ID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개별계약정보(Q3)에, 콘텐츠 수신장치(3) 마다 계약정보를 배열하는 것으로, 그룹ID(R1)와 서브그룹ID(R2)와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개별계약정보(Q3)를 수신한 각각의 계약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수신장치(3)에 대하여, 당해 계약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당해 ECM에는 디지털 서명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명값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ECM에 보다 많은 개별계약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적당히 도 1 참조)하여, ECM 생성수단(13)에 의해 ECM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ECM 생성수단에 의해 ECM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a)는, ECM 생성수단에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와 그룹 및 서브그룹의 분류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b)는, ECM 생성수단의 개별계약정보의 생성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그룹(그룹ID = 1~n)이 각각 복수의 서브그룹을 가지고, 각각의 서브그룹에 복수의 콘텐츠 수신장치(3,3,...)가 미리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룹ID가 「1」의 그룹이고, 서브그룹ID가 「1」의 서브그룹에는, 미리 mA개의 콘텐츠 수신장치(3,3,...)(수신장치ID = 1~mA)가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ECM 생성수단(13)에는,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으로부터 서브그룹 마다 개별계약정보가 순차 입력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M 생성수단(13)에는,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로부터 개별계약정 보(A,B,..Z)가 순차 입력되고, 또한, 새로운 내용으로 갱신된 개별계약정보(A,B,..)가 순차 입력된다.
그와 같이 하면, ECM생성수단(13)은,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를 암호화하여 ECM을 생성한다. 여기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M생성수단(13)은, 먼저, 개별계약정보(A)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ECM의 TS 패킷(PA1)을 생성하고, 다음으로, 개별계약정보(B)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ECM의 TS 패킷(PB1)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순차 입력되는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ECM을 생성하여, 개별계약정보(Z)까지 ECM을 생성하면서, 새로운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A,B,...)를 차례로 스크램블 키와 함께 암호화한 ECM의 TS 패킷(PA2, PB2)를 생성하여 다중화수단(15)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ECM 생성수단(13)은, 1 비트의 계약정보를 배열하고, 또한, 이 비트열을 압축하여 생성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ECM을 생성하기 때문에,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적은 데이터량으로 다수의 콘텐츠 수신장치(3,3,...)의 계약정보를 콘텐츠 수신장치(3,3,...)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수신장치(3,3,...)에 있어서 처리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수신장치(3,3,...)에 있어서 ECM의 처리가 IC 카드와 같은 내 탬퍼 모듈(tamper module)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는, 콘텐츠 수신장치(3)에 있어서 IC 카드로 ECM을 전송할 때의 전송 레이트가 낮기 때문에, ECM의 데이터량이 클수록 전송시간이 걸리지만, ECM의 데이터량을 적게 하는 것으로, 콘텐츠 수신장치(3,3,...)는 보다 빠르게 ECM에 포함된 개별계약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 ECM생성수단(13)은, 모든 서브그룹의 개별계약정보의 ECM을 생성한 후에 반복하여 최신의 개별계약정보를 포함하는 ECM을 생성하기 때문에,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신규 계약시나 해약시 등 이벤트 형식으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에 대하여 계속해서 최신의 개별계약정보를 송신 할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 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EMM생성수단(14)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바이스 키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공통 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암호화하여 EMM을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EMM은, 다중화수단(15)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디바이스 키는, 콘텐츠 수신장치(3,3,...)에 미리 부여되어 있는 비밀키이고, 이 콘텐츠 전달 시스템(S)에 있어서 1개 밖에 없는 비밀키이어도 괜찮고, 디바이스 키가 드러난 경우에 있어서의 영향을 감안하여 사업자 단위나 메이커 단위로 부여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도 5를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2 참조)하여, EMM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EMM을 포함하는 TS 패킷 구조의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TS 패킷(P')은, TS 헤더(S1)와, EMM 섹션(S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EMM 섹션(S2)은, 섹션 헤더(T1)와, 복수의 EMM 본체1(T2), EMM 본체2(T3),...EMM 본체n(T4)와, 섹션 CRC(T5)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EMM 본체(도 5에서는 EMM 본체1(T2)에 대하여 도시한다)는, 고정부(U1)와, 워크 키(U2)와, 공통계약정보(U3)와, 개찬검출(U4)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고정부(U1)에는, 카드 ID, 관련정보 바이트 길이, EMM 본체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별 등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번호, 콘텐츠의 전달을 행하는 사업자를 식별하는 사업체 식별, 및, 갱신번호가 포함된다.
또, 워크 키(U2)는, 디바이스 키에서 암호화된 워크 키이다. 또, 공통계약정보(U3)는,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에 공통의 정보로, 예를 들면, 워크 키의 이용조건이나 유효기간 등의 정보이다.
도 2로 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다중화수단(15)은, 스크램블(11)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 생성수단(13)에 의해 생성된 ECM과, EMM 생성수단(14)에 의해 생성된 EMM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다중화 콘텐츠는, 방송파(W)를 매개로 콘텐츠 수신장치(3,3,...)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를 구성하는 것으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암호화 콘텐츠와, 개별계약정보 및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ECM과, EMM를 생성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3,...)로 송신한다.
(콘텐츠 수신장치의 구성)
다음, 도 6을 참조(적절히 도 1 참조)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콘텐츠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콘텐츠 수신장치(3)는, 콘텐츠 디코딩장치(5)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를 구비한다.
콘텐츠 디코딩장치(콘텐츠 취득수단)(5)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로부터 송신된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꺼내, 이 암호화 콘텐츠를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로 디코딩하여, 시청 가능하게 콘텐 츠를 출력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콘텐츠 디코딩장치(5)는, 분리수단(51)과, 분리수단(52)과,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53)를 구비한다.
분리수단(51)은,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로부터 방송파(W)를 매개로 송신된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다중화된 EMM를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된 EMM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EMM 디코딩수단(71)으로 출력된다. 또,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MM이 분리된 나머지인 암호화 콘텐츠와 ECM은, 분리수단(52)으로 출력된다.
분리수단(52)는, 분리수단(51)로부터 입력된, 다중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로부터 ECM을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된 ECM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ECM 디코딩수단(75)으로 출력된다. 또, 암호화 콘텐츠는,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된다.
디스크램블러(53)는, 분리수단(52)로부터 입력된 암호화 콘텐츠를,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개별계약 판정수단(76)으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것이다. 여기서 디코딩된 콘텐츠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장치 등으로 출력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7)는, 콘텐츠 디코딩장치(5)로부터 입력된 ECM와 EMM으로부터 공통계약정보와 개별계약정보를 꺼내어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상태를 판정하고, 계약상태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것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EMM 디코딩수단(71)과,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과, 공통계약 판정수단(73)과,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과, ECM 디코딩수단(75)과, 개별계약 판정수단(76)과, ID기억수단(77)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을 구비한다.
EMM 디코딩수단(71)은, 콘텐츠 디코딩장치(5)의 분리수단(51)로부터 입력된 EMM을,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에 기억된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워크와 공통계약정보를 꺼내는 것이다. 여기서 디코딩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공통계약 판정수단(73)으로 출력된다.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은, 디바이스 키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이 디바이스 키는, 당해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의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에 공동해서 미리 부여된 비밀키이다. 여기서 기억된 디바이스 키는, EMM 디코딩수단(71)에 의해 EMM을 디코딩 할 때에 독출되어 이용된다.
공통계약 판정수단(73)은, EMM 디코딩수단(71)에 의해 디코딩된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워크 키의 유효기간에 기초하여 당해 워크 키가 유효인를 판정하여, 유효인 경우에는,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하는 것이다.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은, 공통계약 판정수단(73)으로부터 입력된 공통계약 정보와 워크 키를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ECM을 디코딩할 때에 독출되어 이용된다.
ECM 디코딩수단(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 딩수단)(75)는,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의 분리수단(52)으로부터 입력된 ECM을 디코딩하여,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를 꺼내는 것이다. 이 ECM 디코딩수단(75)은, ECM이 입력되면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으로부터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읽어 내어,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워크 키의 유효기간에 기초하여 워크 키가 유효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ECM 디코딩수단(75)은, 워크 키가 유효인 경우에는 ECM을 디코딩한다. 여기서 디코딩된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으로 출력된다.
개별계약 판정수단(76)은,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상태를 판정하고, 계약이 유효한 경우에 콘텐츠 디코딩장치(5)의 디스크램블러(53)에 스크램블 키를 출력하는 것이다. 개별계약 판정수단(76)은, 신장수단(76a)과, 계약정보 취득수단(76b)과,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을 구비한다.
신장수단(76a)은, 후기하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신장수단(76a)는, 비트열에 부가된 계약율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의 압축수단(12c)에 의해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한다. 여기서 신장된 비트열과,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으로 출력된다.
계약정보 취득수단(허가정보 취득수단)(76b)는,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신장수단(76a)에 의해 신장된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취득된 계약정보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다.
또한, 여기서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는, 다양한 콘텐츠 수신장치(3,3,...)의 계약정보를 포함하는 개별계약정보가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순차 입력되고,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콘텐츠 디코딩장치(5))의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당해 개별계약정보에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일치하는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당해 개별계약정보에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신장수단(76a)으로 출력한다. 또한,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신장수단(76a)에 의해 비트열이 신장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는, 그의 비트열에 있어서, 수신장치ID에 의해 나타나는 번호의 순서로 계약정보를 나타내는 1 비트의 정보가 배열되어 생성되기 때문에,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장치ID에 의해 나타나는 번호를 따라서,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의 좌로부터 이 번호의 순번에 있는 비트열을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로서 취득한다. 예를 들면, 수 신장치ID가 「5」인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의 좌로부터 5번째에 있는 비트열을 취득한다.
또한, 개별계약정보는 계약상태에 관계없이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로부터 항시 송신되지만,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계약정보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정보의 내용이 다른 경우만, 입력된 계약정보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상서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계약상태 판정수단(허가상태 판정수단)(76c)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가 계약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계약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의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가 계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미계약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의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한다. 또, 여기서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은, ECM 디코딩수단(75)에 ECM이 입력되는 때에 계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수 초마다 발생하는 ECM의 입력에 의해 당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처리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콘텐츠 수신장치(3)에 의해 다중화 콘텐츠의 수신 개시시나, 디스크램블러(53)에 의해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 시에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고, 수십초 정도의 인터벌을 갖고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ID 기억수단(77)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콘텐츠 디코딩장치(5))에 미리 부여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입력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를 취득할 때에 독출되어 이용된다.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은,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취득된 계약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계약정보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계약상태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어 이용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수신장치(3)를 구성하는 것으로, 콘텐츠 수신장치(3)는,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고,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상태에 기초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한다.
또한, 콘텐츠를 부정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부정이용자는,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CM을 삭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ECM을 삭제하여 버리면,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필요한 스크램블 키를 취득하는 것도 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부정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암호화 콘텐츠와 함께 항시 개별계약정보를 콘텐츠 수신장치(3)에 송신하기 때문에,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는 항시 최신의 계약정보가 기억된다. 그 때문에, 계약하지 않은 부정이용자가 어떤 수단에 의해 워크 키를 입수하여, 개별계약정보를 개찬하고, 콘텐츠 수신장치(3)에 입력한 경우에는, 부정으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 므로, 곧 정당한 개별계약정보가 콘텐츠 수신장치(3)에 입력되어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의 계약정보가 고쳐진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부정이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별계약정보에 디지털 서명이 부가되지 않아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안전성의 면에서, IC 카드와 같은 내 탬퍼모듈에 의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콘텐츠 수신장치(3)가, 도시하지 않은 표시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도 좋고,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가, 콘텐츠 디코딩장치(5)와는 별개로 1대의 장치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컴퓨터에서 각 수단을 각 기능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기능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콘텐츠 전달 시스템의 동작]
다음,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동작)
먼저, 도 7을 참조(적절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가 다중화 콘텐츠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스크램블(11)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콘 텐츠를,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11).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의 비트열화수단(12b)에 의해, 그룹화수단(12a)에 의해 그룹화된 계약정보를, 어느 서브 그룹에 대하여 비트열화하고, 이 비트열에 그룹ID 및 서브 그룹ID를 부가한다(스텝 S12). 또한,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에는 순차 새로운 계약정보가 입력되어, 그 때마다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의 그룹화수단(12a)에 의해 그룹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압축수단(12a)에 의해, 스텝 S12에서 생성된 비트열을 가역압축하고, 또한, 그룹ID 및 서브 그룹ID를 부가하여 개별계약정보로 한다(스텝 S13).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ECM 생성수단(13)에 의해, 스텝 S13에서 생성된 개별계약정보와, 스텝 S11에서 콘텐츠의 암호화에 이용된 스크램블 키를, 외부로부터 입력된 워크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ECM을 생성한다(스텝 S14).
또,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스텝 S14에서 이용된 워크 키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공통계약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바이스 키로 암호화하여, EMM을 생성한다(스텝 S15).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다중화수단(15)에 의해, 스텝 S11에서 생성된 암호화 콘텐츠와, 스텝 S14에서 생성된 ECM과, 스텝 S15에서 생성된 EMM을 다중화하여,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16).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다중화수단(15)에 의해, 스텝 S16에서 생성된 다중화 콘텐츠를, 방송파(W)를 매개로 콘텐츠 수신장치(3,3,...)로 송신한다(스텝 S17).
또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스크램블(11)에, 다음 콘텐츠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18),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18에서 Yes), 스텝 S11로 되돌아가, 스크램블(11)에 의해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동작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8에서 NO), 그대로 동작을 종료한다.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동작)
다음, 도 8을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6 참조)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가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콘텐츠 디코딩장치(5)는, 분리수단(51)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MM을 분리한다(스텝 S51). 여기서 분리된 EMM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로 출력된다.
또한, 콘텐츠 디코딩장치(5)는, 분리수단(52)에 의해. 스텝 S51에서 EMM이 분리된 다중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으로부터 ECM을 분리한다(스텝 S52). 여기서 분리된 ECM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로 출력된다.
그리고, 콘텐츠 디코딩장치(5)는, 디스크램블러(53)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로부터 스크램블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53),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53 에서 Yes), 디스크램블러(53)에 의해, 스텝 S52에서 ECM이 분리되어 얻어진 암호화 콘텐츠를 이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한다(스텝 S54).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3에서 No), 그대로 스텝 S55로 진행한다.
그리고, 콘텐츠 디코딩장치(5)는, 분리수단(51)에 다음의 다중화 콘텐츠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55),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55에서 Yes), 스텝 S51로 되돌아가,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CM을 분리하는 동작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55에서 No), 그대로 동작을 종료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의 동작)
다음, 도 9를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6 참조)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가 EMM과 ECM을 입력하여 계약상태를 판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EMM과 ECM을 입력하여 계약상태를 판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EMM 디코딩수단(71)에 의해,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에 기억된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로부터 입력된 EMM을 디코딩한다(스텝 S71). 이에 의해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가 얻어진다.
그리고,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공통계약 판정수단(73)에 의해, 스텝 S71에서 얻어진 공통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워크 키가 유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72). 그리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2에서 No), 그대로 스텝 S81로 진입한다. 또, 우효인 경우에는(스텝 S72에서 Ye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스텝 S71에서 얻은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기억한다(스텝 S73).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스텝 S73에서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된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독출하여, 공 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워크 키의 유효기간 내에 있는 경우에, 워크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로부터 입력된 ECM을 디코딩한다(스텝 S74;스크램블 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 이에 의해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가 얻어진다.
(허가정보 취득스텝)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스텝 S74에서 얻은 개별계약정보에 부가한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75). 그리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5에서 No), 그대로 스텝 S78로 진입한다. 또, 일치하는 경우에는(스텝 S75에서 Ye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의 신장수단(76a)에 의해, 스텝 S74에서 얻은 개별계약정보의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한다(스텝 S76). 또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에 의해,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개별계약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의 계약정보를 취득하여,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한다(스텝 S77).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가 계약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78;허가상태 판정스텝). 그리고, 계약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78에서 Ye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스텝 S74에서 얻은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로 출력한다(스텝 S79;키 출력 스텝). 또, 계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8에서 No),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미계약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로 출력한다(스텝 S80).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EMM 디코딩수단(71) 및 ECM 디코딩수단(75)에, 다음의 EMM 및 ECM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S81). 그리고,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81에서 Yes), 스텝 S71로 되돌아가, 디바이스 키로 EMM을 디코딩하는 동작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1에서 No), 그대로 동작을 종료한다.
또한, 여기서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가,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개별계약정보에 부가한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스텝 S75) 후에, 신장수단(76a)에 의해 비트열을 신장하는(스텝 S76)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개별계약 판정수단(76)의 신장수단(76a)에 의해,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의 계약정보가 포함되는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만을 신장하면 좋아, 신장 처리의 부하을 경감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의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의 압축수단(12c)에 의해, 그룹ID, 서브그룹ID 및 비트열 모두를 압축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생성하고,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개별계약 판정수단(76)의 신장수단(76a)에 의해, 이 개별계약정보를 신장하는 것으로 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가, 신장수단(76a)에 의해, 입력된 개별계약정보를 신장한(스텝 S76) 후에, 계약정보 취득수단(76)에 의해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ID 기억수단(77)에 기억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스텝 S75)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을 구성하는 것으로, 종래의 수신기 마다 고유의 마스터 키로 암호화한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이나, 공통의 워크 키에 의해 암호화하여 디지털 서명을 부가한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비하여, 동일한 상황의 높은 안정성을 담보하면서, 개별계약정보의 전송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만대의 콘텐츠 수신장치(3,3,...)에 대하여 전송속도 10kbps로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마스터키로 암호화한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서는, 전체의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데 약 70시간, 디지털 서명을 부가한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서는 약 25시간을 요한다. 한편,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시스템(S)에서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는, 21분 46초 사이에 전체 콘텐츠 수신장치(3,3,...)의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는,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를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디코딩하여 스크램블 키를 취득하도록 하였으나, 스크램블 키는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에 포함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개별계약정보와는 별개로 ECM에 의해 수신하거나, EMM에 의해 수신하거나, 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매체를 매개로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는, 개별계약정보 기억 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계약 판정수단(76)으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콘텐츠 취득수단)(5)의 디스크램블러(53)으로의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도록 하였으나, 콘텐츠를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의 스크램블(11)(도 2 참조)에 의해 암호화 하지 않고, 넌스크램블(nonscramble) 상태로 송신하고,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는,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콘텐츠의 시청(제시) 가부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도 6에 나타낸 콘텐츠 취득수단(5)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스크램블러(53) 대신에 콘텐츠의 출력 가부를 제어하는 출력제어수단을 설치하고,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으로부터 출력하는 라이센스 정보로서, 스크램블 키 대신에 계약의 유무를 나타내는 계약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의 관리를 하고, 상기한 출력제어수단에 의해 콘텐츠의 출력 가부를 제어하도록 하면 좋다.
<제2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 및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구성에 대하여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의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 및 콘텐츠 수신장치(3,3,..)의 대신에, 각각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도 10 참조) 및 콘텐츠 수신장치(3B)(도 12 참조)를 이용하여,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을 구성하고 있다. 또, 콘텐츠 디코딩장치(5) 및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의 대신에, 각각 콘텐츠 디코딩장치(5B) 및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를 이용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도 12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먼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은, 제1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S)과 동일하게,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 키와, 콘텐츠 수신장치(3B,3B,...)마다의 계약상태(허가상태)를 나타내는 개별계약정보(개별허가정보)와,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B,3B,...)에 공통의 계약에 관하여 정보를 나타내는 공통계약정보를 다중화 한 다중화 콘텐츠를 방송파(W)에 의해 전달하고, 콘텐츠 수신장치(3B,3B,..)에 의해, 이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계약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 암호화 콘텐츠를 시청 가능한 정보로 디코딩(출력)하는 시스템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콘텐츠 수신장치(3,3,...)를 그룹화하여, 그룹 내의 콘텐츠 수신장치(3,3,...)에 대하여 개별계약정보를 비트열로서 배열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에 대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할 수 있지만, 실용적으로 시스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 수신장치(3,3,...)의 대수는, 수천만대 정도이다. 즉, 개별계약정보의 송신 대상이 될 수 있는 수신장치ID의 총수는 수천대 정도이고, 수신장치ID를 1대에 1개 부여하면, 콘텐츠 수신장치(3)의 생산 대수도 수신장치ID의 수와 동수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3,...)가 콘텐츠를 수신하는 계약을 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고, 또, 계약은 되어 있으나 장기에 걸쳐 수신 실적이 없는 등,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할 필요가 없는 콘텐츠 수신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제2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할 필요 없는 콘텐 츠 수신장치(3B)를 판별하여, 그 콘텐츠 수신장치(3B)를, 당해 수신장치에 부여한 ID에 대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상태로 록(무효화)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된 수신장치ID1(제1수신장치ID)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B)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콘텐츠 취득수단)(5B)로의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킨다. 그리고, 당해 수신장치ID1을 새롭게 제조된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하여 재이용하는 것으로, 콘텐츠 수신장치(3B)의 생산 대수의 상한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 콘텐츠 수신장치(3B)을 록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의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킴과 함께, 일단 록한 콘텐츠 수신장치(3B0의 록을 해제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의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기 때문에,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불변 또 고유의 수신장치ID2(제2수신장치ID)를 부여하고, 수신장치ID2에 기초하여, 록 또는 록 해제를 위한 록제어정보를 송신하여, 록 및 록 해제를 자재로(마음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그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1B)는, 암호화 콘텐츠와, 스크램블 키 및 개별계약정보를 워크 키로 암호화한 ECM(라이센스 관리정보)와, 워크 키 및 공통계약정보를 디바이스 키로 암호화한 EMM1(제1EMM)과, 록 제어정보를 마스터 키로 암호화하여 수신장치ID2를 부가한 EMM2(제2EMM, 록제어정보)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콘텐츠로 하고, 방송파(W)를 매개로 콘텐츠 수신장치(3B)로 송 신하는 것이다.
콘텐츠 수신장치(3B)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로부터 송신된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고, 계약상태를 판정하여 계약되어 있는 경우에만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것이다. 이하, 콘텐츠 전달 시스템(S)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와,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구성)
먼저, 도 10을 참조(적당히 도 1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스크램블(11)과,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과, ECM 생성수단(13)과, EMM1 생성수단(14B)과, EMM2 생성수단(16)과, 다중화수단(15B)를 구비한다.
여기서, 스크램블(11),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12), ECM 생성수단(라이센스 관리정보 생성수단)(13)은, 도 2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EMM1 생성수단(14B)는, 도 2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EMM 생성수단(14)에 상당하고, 생성하는 EMM1은, 도 5에 나타낸 EMM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중화수단(15)은, 암호화 콘텐츠, ECM 및 EMM1에 더하여, EMM2를 입력으로 하여, 이들의 정보를 다중화 하는 것이다.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장치ID1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수신장치ID에 상당하고, 개별계약정보의 송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예를 들면, 24비트 길이의 ID로서 각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된다. 수신장치ID1은, 후에 재이용될 가능성이 있어, 예를 들면, 방송사업자의 관리하에서, 부여시에 미사용 또는 불사용의 수신장치ID1이 부여된다.
이에 대하여, 수신장치ID2(제2수신장치ID)는, 실질적으로 무한 대수를 식별 가능한, 예를 들면, 48비트 길이의 ID이고, 변경되는 것이 아닌(예를 들면, 제조자 코드, 기종 코드 및 시리얼 넘버 등으로 구성된다) 고유의 ID로서, 각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된다.
EMM2 생성수단(록제어정보 생성수단)(16)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마스터 키로, 외부로부터 입력된 록제어정보를 암호화하여 수신장치ID2를 부가한 EMM2(제2의 EMM)을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EMM2는, 다중화수단(15B)으로 출력된다.
또한, 마스터 키는,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된 수신장치ID2에 대응하여, 미리 부여되어 있는 각 콘텐츠 수신장치(3B)에 고유의 비밀키이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적당히 도 1 및 10 참조)하여, EMM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는, EMM2을 포함하는 TS 패킷 구조의 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TS 패킷(P")은, TS 헤드(S11)와, EMM 섹션(S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EMM 섹션(S12)은, 섹션 헤더(T11)와, 복수의 EMM 본체1(T12), EMM 본체2(T13)...EMM 본체n(T14)과, 섹션 CRC(T15)로 구성된다. 또한, 각각의 EMM 본체(도 11에서는 EMM 본체1(T12)에 대해서 도시한다)는, 고정부(U11)와, 록제어정보(U12)와, 개찬검출(U13)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고정부(U11)에는, 수신장치ID2, 관련정보 바이트 길이, EMM 본체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별 등을 나타내는 프로토콜 번호, 콘텐츠의 전달을 수행하는 사업자를 식별하는 사업체식별, 및, 갱신번호가 포함된다.
도 10으로 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다중화수단(15B)는, 스크램블(11)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 생성수단(13)에 의해 생성된 ECM과, EMM1 생성수단(14B)에 의해 생성된 EMM1과, EMM2 생성수단(16)에 의해 생성된 EMM2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생성된 다중화 콘텐츠는, 방송파(W)를 매개로 콘텐츠 수신장치(3B,3B,...)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를 구성하는 것으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암호화 콘텐츠와, 개별계약정보 및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ECM과, EMM1과, EMM2를 생성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3B,...)로 송신한다.
(콘텐츠 수신장치의 구성)
다음, 도 12를 참조(적당히 도 1 참조)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를 구비한 콘텐츠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콘텐츠 수신장치(3B)는, 콘텐츠 디코딩장치(5B)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를 구비한다.
콘텐츠 디코딩장치(콘텐츠 취득수단)(5B)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로부터 송신된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꺼내, 이 암호화 콘텐츠를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B)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로 디코딩하여, 시청 가능하게 콘텐츠를 출력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분리수단(54)과, 분리수단(51)과, 분리수단(52)과, 디스크 램블러(53)을 구비한다.
분리수단(54)은,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로부터 방송파(W)를 매개로 송신된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다중화된 EMM2를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된 EMM2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EMM2 디코딩수단(81)으로 출력된다. 또,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MM2가 분리된 나머지인 암호화 콘텐츠와 ECM과 EMM1은, 분리수단(51)으로 출력된다.
분리수단(51)은, 분리수단(54)으로부터 입력된, 다중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과 EMM1으로부터 EMM1을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된 EMM1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EMM1 디코딩수단(71B)으로 출력된다. 또, 암호화 콘텐츠와 ECM은, 분리수단(52)으로 출력된다.
분리수단(52)는, 분리수단(51)으로부터 입력된, 다중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으로부터 ECM을 분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된 ECM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ECM 디코딩수단(75)으로 출력된다. 또, 암호화 콘텐츠는,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된다.
디스크램블러(53)는, 분리수단(52)으로부터 입력된 암호화 콘텐츠를,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개별계약 판정수단(76)으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것이다. 여기서 디코딩된 콘텐츠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장치 등으로 출력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B)는,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부터 입력된 ECM(라이센스 관리정보)와 EMM1과 EMM2로부터 공통계약정보와 개별계약정보와 록제어정보를 독출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상태 및 록 상태를 판정하고, 계약상태 및 록 상태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것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MM1 디코딩수단(71B)과,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과, 공통계약 판정수단(73)과,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과, ECM 디코딩수단(75)과, 개별계약 판정수단(76B)과, ID1 기억수단(77B)(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과, EMM2 디코딩수단(81)과, 마스터 키 기억수단(82)과, 록제어 판정수단(83)과, ID2 기억수단(84)과, 록 판정수단(85)과, 록제어수단(86)을 구비한다.
EMM1 디코딩수단(71B)은,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분리수단(51)으로부터 입력된 EMM1을,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에 기억된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독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디코딩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공통계약 판정수단(73)으로 출력된다.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은, 디바이스 키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이 디바이스 키는, 당해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의 모든 콘텐츠 수신장치(3B,3B,...)에 공통하여 미리 부여된 비밀키이다. 여기서 기억된 디바이스 키는, EMM1 디코딩수단(71B)에 의해 EMM1을 디코딩할 때 독출되어 이용된다.
공통계약 판정수단(73)은, EMM1 디코딩수단(71B)에 의해 디코딩된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워크 키의 유효기간에 기초하여 당해 워크 키가 유효인지를 판정하여, 유효인 경우에는,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공통계약정보 기억수 단(74)에 기억하는 것이다.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은, 공통계약 판정수단(73)으로부터 입력된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ECM을 디코딩할 때 독출되어 이용된다.
ECM 디코딩수단(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75)는,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분리수단(52)으로부터 입력된 ECM을 디코딩하여,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를 독출하는 것이다. 이 ECM 디코딩수단(75)은, ECM이 입력되면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으로부터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독출하여,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워크 키의 유효기간에 기초하여 워크 키가 유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ECM 디코딩수단(75)은, 워크 키가 유효인 경우에는 ECM을 디코딩한다. 여기서 디코딩된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으로 출력된다.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와, 후기하는 록제어수단(86)으로부터 입력된 록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상태 및 록 상태를 판정하여, 계약이 유효이고, 또 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에 스크램블 키를 출력하는 것이다.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신장수단(76a)과 계약정보 취득수단(76b)과,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을 구비한다.
신장수단(76a)은, 후기하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 약정보에 포함된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신장수단(76a)은, 비트열에 부가된 계약율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의 압축수단(12c)에 의해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한다. 여기서 신장된 비트열과,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으로 출력된다.
계약정보 취득수단(허가정보 취득수단)(76b)은,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에 기초하여, 신장수단(76a)에 의해 신장된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취득된 계약정보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다.
또한, 여기서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는, 다양한 콘텐츠 수신장치(3B,3B,...)의 계약정보를 포함하는 개별계약정보가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순차 입력되고,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당해 개별계약정보에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일치하는 경우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당해 개별계약정보에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신장수단(76a)으로 출력한다. 또한,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신장수단(76a)에 의해 비트열이 신장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수신장치ID1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 신장치(3B)의 계약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는, 그의 비트열에 있어서, 수신장치ID1에 의해 나타내어진 번호의 순서로 계약정보를 나타내는 1 비트의 정보가 배열되어 생성되기 때문에,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장치ID1에 의해 나타내어진 번호에 따라,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의 좌로부터의 번호 순번에 있는 비트를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로서 취득한다. 예를 들면, 수신장치ID1이 「5」인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의 좌로부터 5번째에 있는 비트를 취득한다.
또한, 개별계약정보는 계약상태에 관계없이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로부터 상시 송신되지만,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계약정보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정보의 내용이 다른 경우에만, 입력된 계약정보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상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계약상태 판정수단(허가상태 판정수단)(76c)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계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계약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계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미계약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한다. 또, 여기서는, 계약상태 판정수 단(76c)은, ECM 디코딩수단(75)에 ECM이 입력될 때 계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수초마다 발생하는 ECM의 입력에 의해 당해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의해 다중화 콘텐츠의 수신 개시시나, 디스크램블러(53)에 의해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 할 때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괜찮고, 수십초 정도의 인터벌을 갖고 판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은, 록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가 록 해제된 상태(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의 출력을 수행하고, 록 상태가 록된 상태(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인 경우는, 계약정보의 내용에 관계없이, 스크램블 키의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이다.
또, 계약상태 판정수단(76c)는,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 전회 방송을 수신한 일, 수신계약을 해제한 일 등의 날짜 정보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함과 함께, 기억한 날짜 정보를 독출하여, 후기하는 록 판정수단(85)으로 출력한다.
ID1기억수단(77B)(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미리 부여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입력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 치(3B)의 계약정보를 취득할 때 독출되어 이용된다.
또, ID1기억수단(77B)에 기억된 수신장치ID1은, 록 제어수단(86)에 의해, 록 상태를 록된 상태로부터 록 해제할 때에, 새롭게 할당된 수신장치ID1로 갱신된다.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은,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취득된 계약정보를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계약정보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계약상태를 판정할 때 참조되어 이용된다.
또,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 전회 방송 수신일, 수신계약의 해제일 등의 날짜 정보가 기억된다. 기억된 날짜 정보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c)에 의해 독출되어 록 판정수단(85)으로 출력되어, 록 판정 처리를 행할 때 참조되어 이용된다.
EEM2 디코딩수단(81)은,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분리수단(54)으로부터 입력된 EMM2를, 마스터키 기억수단(82)에 기억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록제어정보를 꺼내는 것이다. 여기서 디코딩된 록 제어정보는, 록 제어수단(86)으로 출력된다.
마스터키 기억수단(82)은, 마스터키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이 마스터키는, 각각의 콘텐츠 수신장치(3B,3B,...)에 각각 고유의 비밀키이다. 여기서 기억된 마스터키는, EMM2 디코딩수단(81)에 의해 EMM2를 디코딩할 때 독출되어 이용된다.
록해제 판정수단(록제어정보 취득수단)(83)은, EMM2 디코딩수단(81)에 의해 디코딩된 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 에 대한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판정한 때는, 당해 록제어정보를 록제어수단(86)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록해제 판정수단(83)은, 입력된 록제어정보에 부가된 수신장치ID2와, ID2 기억수단(84)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된 수신장치ID2가 일치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록해제 판정수단(83)은, 당해 록제어정보는,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록제어정보인 것으로 판정하여, 록제어정보를 록제어수단(86)으로 출력한다.
또한,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도 10 참조)에 의해 EMM(EMM2)을 이용하여 록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EMM 대신에 ECM을 이용하여, 수신장치ID2를 부가한 록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콘텐츠 디코딩장치(5B)가 수신한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분리한 ECM으로부터, 수신장치ID2에 대응하는 록제어정보를 추출하여 취득하도록 하면 좋다.
ID2 기억수단(84)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미리 부여된 수신장치ID2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수신장치ID2는, 록해제 판정수단(83)에 의해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해당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정보인지를 판정할 때 독출되어 이용된다.
록판정수단(85)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개별계약 판정수단(76B)를 매개로 입력된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 전회 방송 수신일, 수신계약의 해제일 등의 날짜 정보와,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설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내부시계에 의해 취득한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방송을 수신하지 않는 불사용 기간을 검출하여, 록 상태를,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의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할 것인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인 록 판정정보를 록제어수단(86)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 날짜 정보의 취득은, 방송파(W)로부터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개별계약정보 송신수단(1B)에 의해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할 때에, 콘텐츠, ECM, EMM1 및 EMM2에, TOT(Time Offset Table)를 포함하는 SI(Service Information)를 가한 정보를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콘텐츠 수신장치(3B)의 콘텐츠 디코딩장치(5B)에 SI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을 설치하여, TOT를 포함하는 SI를 검출하여 날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록제어수단(86)은, 록해제 판정수단(83)에 의해 입력된 록 제어정보와, 록 판정수단(85)에 의해 입력된 록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천이시키는 록 해제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록제어수단(86)은,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록 해제 하기(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정보인가, 록 하기(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정보인가를 판정하고,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제어처리를 수행하여, 록제어처리후의 록 상태정보를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으로 출력한다.
또,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록 해제하기 위한 것인 경우는, 록제어수단(86)은, ID1기억수단(77B)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장치ID1을, 록제어정보에 부가하고, 새로 부여된 수신장치ID1에 고쳐 써 기억한다.
또한, 록 상태가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하면, 개별계약정보 송신수단(1B)에 의해, EMM2를 매개로 록 해제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까지는,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또, 록 제어수단(86)은, 록 판정수단(85)으로부터 록 판정정보가 입력되면,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켜,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록 상태정보를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록 상태정보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억수단에 기억하여 놓고,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이, 당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록 상태정보를 참조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기억수단은 록 제어수단(86)에 설치하여도 괜찮고,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성하는 것으로, 콘텐츠 수신장치(3B)는,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상태에 기초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한다. 또, 록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디스크램블러(53)로의 출력을 제어하여,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하는 것으로, 수신장치ID1에 의해 계약정보의 수신을 실질적으로 무효로 하여, 수신장치ID1을 불사용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신장치ID1을, 다른 콘텐츠 수신장치(3B)에 할당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한편,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안전성 면에서, IC 카드와 같은 내 탬퍼모듈에 의해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콘텐츠 수신장치(3B)가, 도시하지 않은 표시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여도 괜찮고,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가, 콘텐츠 디코딩장치(5B)와는 별개로 1대의 장치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컴퓨터에서 각 수단을 각 기능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기능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콘텐츠 전달시 스템의 동작]
다음,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전달 시스템(S)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의 동작)
먼저, 도 13을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10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가 다중화 콘텐츠를 송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스크램블(11)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콘텐츠를,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11).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12)의 비트열화수단(12b)에 의해, 그룹화수단(12a)에 의해 그룹화된 계약정보를, 어느 서브그룹에 대해서 비트열화 하고, 이 비트열에 그룹ID 및 서브그룹ID를 부가한다(스텝 S112). 한편, 여기서는,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에는 차례 차례 새로운 계약정 보가 입력되어, 그 때마다 개별계약정보 생성수단(12)의 그룹화수단(12a)에 의해 그룹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압축수단(12c)에 의해, 스텝 S112에서 생성된 비트열을 가역압축하고, 또한, 그룹ID 및 서브그룹ID를 부가하여 개별계약정보로 한다(스텝 S113).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ECM 생성수단(13)에 의해, 스텝 S113에서 생성된 개별계약정보와, 스텝 S111에서 콘텐츠의 암호화에 이용되었던 스크램블 키를, 외부로부터 입력된 워크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ECM을 생성한다(스텝 S114).
또,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EMM1 생성수단(14B)에 의해, 스텝 S114에서 이용되었던 워크 키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공통계약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바이스 키로 암호화하여, EMM1을 생성한다(스텝 S115).
또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EMM2 생성수단(16)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록제어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된 마스터키로 암호화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수신장치ID2을 부가한 EMM2를 생성한다(스텝 S116).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다중화수단(15B)에 의해, 스텝 S111에서 생성된 암호화 콘텐츠와, 스텝 S114에서 생성된 ECM과, 스텝 S115에서 생성된 EMM1과, 스텝 S116에서 생성된 EMM2를 다중화하여, 다중화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117). 그리고,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다중화수단(15B)에 의해, 스텝 S117에서 생성된 다중화 콘텐츠를, 방송파(W)를 매개로 콘텐츠 수신장치(3B,3B...)로 송신한다(스텝 S118).
또한,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는, 스크램블(11)에, 다음의 콘텐츠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119),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119에서 Yes), 스텝 S111로 돌아가, 스크램블(11)에 의해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동작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19에서 No), 그대로 동작을 종료한다.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동작)
다음, 도 14을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12 참조)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B)가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분리수단(54)에 의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MM2를 분리한다(스텝 S131). 여기서 분리된 EMM2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 출력된다.
다음,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분리수단(51)에 의해, 스텝 S131에서 EMM2가 분리된 다중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EMM1과 ECM으로부터, EMM1을 분리한다(스텝 S132). 여기서 분리된 EMM1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 출력된다.
또한,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분리수단(52)에 의해, 스텝 S132에서 EMM1이 분리된 다중화된 암호화 콘텐츠와 ECM으로부터 ECM을 분리한다(스텝 S133). 여기서 분리된 ECM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 출력된다.
그리고,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디스크램블러(53)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부터 스크램블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134), 입력된 경우에 는(스텝 S134에서 Yes), 디스크램블러(53)에 의해, 스텝 S133에서 ECM이 분리되어 얻어진 암호화 콘텐츠를 이 스크램블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한다(스텝 S135).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34에서 No), 그대로 스텝 S136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분리수단(54)에 다음 다중화 콘텐츠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136),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136에서 Yes), 스텝 S131로 되돌아가, 다중화 콘텐츠로부터 EMM2를 분리하는 동작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36에서 No), 그대로 동작을 종료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의 동작)
다음, 도 15을 참조(적당히 도 1 및 도 12 참조)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가 EMM2와 EMM1과 ECM을 입력하여 계약상태를 판정하여, 록제어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EMM2와 EMM1과 ECM을 입력하여 계약상태를 판정하여, 록제어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MM2 디코딩수단(81)에 의해, 마스터키 기억수단(82)에 기억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부터 입력된 EMM2를 디코딩한다(스텝 S151). 이에 의해 수신장치ID2가 부가된 록제어정보가 얻어진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해제 판정수단(83)에 의해, 록제어정보에 부가된 수신장치ID2와, ID2 기억수단(84)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장치ID2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52). 일치하는 경우는(스텝 S152에서 Yes), 록해제 판정수단(83)은, 취득한 록제어정보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판단하여, 취득한 록제어정보를 록제어수단(86)으로 출력하고, 록제어수단(86)은, 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제어처리를 수행한다(스텝 S153;록제어처리 스텝). 한편,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스텝 S152에서 No), 록해제 판정수단(83)은, 취득한 록제어정보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정보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록제어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스텝 S154로 진입한다.
또한, EMM2에 포함된 수신장치ID2가 마스터키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1과 스텝 S152의 순서를 바꾸어도 괜찮다. 즉, 마스터키로 EMM2에 포함된 록제어정보를 디코딩(스텝 S151) 하기 전에, EMM2디코딩수단(81)에 의해 EMM2의 EMM 본체1(T12)의 고정부(U11)(도 11 참조)에 포함된 록제어정보(U12)(도 11 참조)에 부가된 수신장치ID2를 참조하여, 이 수신장치ID2와, ID2 기억수단(84)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장치ID2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52). 그리고, 일치한 경우, 마스터키로 EMM2(록제어정보)를 디코딩하여(스텝 S151), 록제어처리를 수행하고(스텝 S153), 불일치의 경우는, 스텝 S151 및 스텝 S153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스텝 S154로 진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MM1 디코딩수단(71)에 의해,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에 기억된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부터 입력된 EMM1을 디코딩한다(스텝 S154). 이에 의해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가 얻어진다.
그리고,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공통계약 판정수단(73)에 의해, 스텝 S154에서 얻은 공통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워크 키가 유효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55). 그리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는(스텝 S155에서 No), 그대로 스텝 S166으로 진입한다. 또, 유효인 경우에는(스텝 S155에서 Ye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스텝 S154에서 얻은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기억한다(스텝 S156).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스텝 S156에서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된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독출하여,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워크 키의 유효기간 내에 있는 경우에, 워크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부터 입력된 ECM를 디코딩한다(스텝 S157;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 스텝). 이에 의해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가 얻어진다.
(허가정보 취득 스텝)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스텝 S157에서 얻은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58). 그리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58에서 No), 그대로 스텝 S161로 진입한다. 또, 일치하는 경우에는(스텝 S158에서 Ye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의 신장수단(76a)에 의해, 스텝 S157에서 얻은 개별계약정보의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한다(스텝 S159). 또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수신장치ID1에 기초하여 개별계약정 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를 취득하여,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한다(스텝 S160).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계약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61;허가상태 판정스텝). 그리고, 계약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61에서 Yes),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록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162). 록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162에서 Yes), 록되어 있는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 출력한다(스텝 S163). 한편, 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2에서 No),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스텝 S157에서 얻은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 출력한다(스텝 S164;라이센스 정보출력스텝). 또, 계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1에서 No),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미계약인 취지를 통지하는 정보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 출력한다(스텝 S165).
이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MM2 디코딩수단(81), EMM1 디코딩수단(71B) 및 ECM 디코딩수단(75)에, 다음 EMM2, EMM1 및 ECM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66). 그리고, 입력된 경우에는(스텝 S166에서 Yes), 스텝 S151로 되돌아가, 마스터키로 EMM2를 디코딩하는 동작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66에서 No), 그대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여기서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취득한 개별계약정보에 기초하여, 계약되어 있는지를 판단(스텝 S161)한 후에, 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도록 (스텝 162) 하였으나, 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약상태에 관계없이,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므로, EMM2로부터 록제어정보를 취득하여, 록해제판정수단(83)에 의해 수신장치ID2가 불일치인 것을 확인(스텝 S152에서 No)한 후나, 록제어수단(86)에 의한 제어처리(스텝 S153) 후, 즉, 스텝 S154의 전에 록상태의 확인을 수행하여, 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54에서 스텝 S165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스텝 S166으로 진입하도록 하여, 계약상태의 판단에 연관되는 처리를 생략하도록 하여도 좋다.
(록제어처리스텝)
다음, 록제어처리(도 15의 스텝 S153)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적당히 도 11 및 도 12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EMM2를 입력하여 취득한 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상태를 천이시키는 록제어처리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MM2 디코딩수단(81)에 의해 입력되고, 록해제 판정수단(83)에 의해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록제어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제어수단(86)에 의해 록제어처리를 수행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제어수단(86)에 의해, 먼저, 록제어정보가 록을 해제하는 정보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171).
여기서, 록제어정보는, 도 11에 나타낸 EMM2의 구성에 있어서, EMM 본체1(T12) 중 록제어정보(U12)에 포함되어 있다. 록제어정보(U12)에는,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의 천이(록하는)인가, 출력을 허가는 상태로의 천이(록해제 하는)인가를 나타내는 정보와, 록해제하는 경우는, 새롭게 할당된 수신장치ID1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신장치ID1에 더하여, 그룹ID 및 서브그룹ID도 새롭게 할당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시, 도 16으로 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제어수단(86)에 의해,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록 해제하는 것이라고 판단한 경우는(스텝 S171에서 Yes),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제어수단(86)에 의해, ID1기억수단(77B)에 기억되고, 지금까지 록되어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수신장치ID1 대신에, 새롭게 할당된 수신장치ID1을 기억하여(스텝 S172), 록 해제하여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천이시킨다(스텝 S173). 이에 의해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한편,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록 해제하는 것이 아닌 경우, 즉, 록하는 것인 경우(스텝 S171에서 No),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제어수단(86)에 의해, 록하여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킨다(스텝 S174). 이에 의해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계약상태에 관계없이,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 출력할 수 없게 된다.
(록판정처리스텝)
다음,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가,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록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록판정처리스텝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적당히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가 날짜정 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천이시키는 록판정처리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콘텐츠 수신장치(3B)가, 장기간방송을 수신하지 않는 것을 스스로 판단하여, 소정의 조건에 해당한 경우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5B)로의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킨다.
콘텐츠 수신장치(3B)의 록제어처리는, 상기한 EMM2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지만, 방송파(W)에 의해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수신장치(3B)가 그의 방송파(W)를 선국하여 수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콘텐츠 수신장치(3B)가 해당하는 방송을 장기간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는, 방송 사업자는, 그 콘텐츠 수신장치(3B)가 록상태로 천이한 것인지 어떤지 검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불사용을 예상했던 수신장치ID1을 다른 콘텐츠 수신장치(3B)에 할당한 후에, 앞의 콘텐츠 수신장치(3B)가 다시 방송을 수신한 경우는, 후의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시청이 가능하게 되어버리는 염려가 있다.
그래서, 제2실시예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에서는, 록판정처리스텝을 실행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 전회 방송수신일, 수신계약의 해제일 등의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장기간 불사용인 것을 콘텐츠 수신장치(3B)가 스스로 판단하여, 록하는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에서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후기하는 3개의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하여, 어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록하여, 스크 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되어 있다.
(조건 1)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입 후, 한 번도 방송을 수신하지 않고 소정의 기일(예를 들면 구입일로부터 1년간)을 경과한 경우.
(조건 2)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입 후, 적어도 한 번은 방송을 수신하였으나, 전회의 수신으로부터 방송을 수신하지 않고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2년간)을 경과한 경우.
(조건 3)
방송의 시청계약을 한 번은 체결하였으나, 그 후 계약을 해제하여, 미계약상태가 소정의 기간(예를 들면, 반년간)을 경과한 경우.
이하, 록판정처리스텝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록판정처리는, 1일에 1회의 처리를 행하면 충분하므로, 예를 들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전원이 투입된 때, 및 소정의 시각으로 된 때의 적어도 일방 때에, 바람직하게는 양방의 때에 실행한다. 전원 투입시에 록판정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장기간 전원을 넣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콘텐츠 수신장치(3B), 및 설정한 소정의 시각에 항상 전원이 끊어져 있는 바와 같은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해서도, 확실히 록판정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소정의 시각에 록판정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항시 전원을 투입한 상태로 두어진 콘텐츠 수신장 치(3B)에 대하여, 1일 1회는, 반드시 록판정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방의 타이밍에서 록판정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 기간, 불사용 상태로 경과한 콘텐츠 수신장치(3B)를 확실하게 록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먼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제어수단(86)에 의해, 록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스텝 S181). 록되어 있는 경우(스텝 S181에서 Yes)는, 기존에 록되어,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되어 있어, 이하의 록판정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181에서 No)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판정수단(85)에 의해,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을 매개로,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있는 날짜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82). 날짜정보에는,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입한 날짜,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의해 전회 방송을 수신할 날짜, 및 수신계약을 해제한 날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전회 수신한 날짜 대신에, 예를 들면,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되어 있는, 워크 키의 유효기간을 참조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판정수단(85)에 의해, 현재의 날짜를,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내부 시계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83). 그리고, 상기한 조건 1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록판정수단(85)에 의해,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입한 후에 한 번도 방송을 수신했던 적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스텝 S182에서 취득한 날짜정보 중의 구입일과, 스텝 S183에서 취득한 현재의 날짜를 비 교하여, 현재의 날짜가 소정의 기간(구입일로부터 1년후의 날짜)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84). 또한,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입한 후에, 한 번도 방송을 수신했던 적이 없는가 어떤가는, 예를 들면, 전회의 방송 수신일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보다도 전의 날짜가 설정되어 있는가, 9999년 99월 99일과 같이, 현실에는 있지 않은 소정의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기일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84에서 Yes), 스텝 S187로 진입한다.
한편, 소정의 기일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84에서 No), 조건 2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85).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판정수단(85)에 의해, 상기한 조건 2에 해당하는가 어떤가를 판정하기 위하여, 스텝 S182에서 취득한 날짜정보 중 전회 방송 수신일과, 스텝 S183에서 취득한 현재 날짜를 비교하여, 소정 기간(2년간)을 경과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한다(스텝 S185).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스텝 S185에서 Yes), 스텝 S187로 진입한다.
한편,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85에서 No), 조건 3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186).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록판정수단(85)에 의해, 상기한 조건 3에 해당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스텝 S182에서 취득한 날짜정보 중 수신계약의 해제일과, 스텝 S183에서 취득한 현재 날짜를 비교하여, 소정 기간(반년간)을 경과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186).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는 경우(스텝 186에서 Yes), 스텝 S187로 진입한다.
한편,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186에서 No), 록하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종료한다.
스텝 S184, 스텝 S185 및 스텝 S186의 어느 것인가에서 판단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어느것인가 스텝 Yes), 록판정수단(85)은, 록하는 취지의 록판정정보를, 록제어수단(86)에 통지하고, 록제어수단(86)에 의해, 콘텐츠 수신장치(3B)를 록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로부터 콘텐츠 수신장치(3B)로의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고(스텝 S187),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록판정처리에 의해, 소정의 기간 이상 사이, 방송을 수신하는 일없이 경과한 콘텐츠 수신장치(3B)를 확실하게 록할 수 있어,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의한 수신장치ID1의 이용을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사업자는, 당해 수신장치ID1을 다른 콘텐츠 수신장치(3B)에서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록판정하는 조건은, 상기한 3 조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을 줄이거나, 또 다른 조건을 추가하여도 좋다. 또, 소정 기간도, 예를 들면, 계약한 콘텐츠의 종류나 채널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록판정처리에 의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자동적으로 록판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수신장치ID2에 기초한 록제어정보는, 록해제 하기 위한 록제어정보만을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 도 18을 참조(적당히 도 12 참조)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의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에 대하여, 수신장치ID1 및 수신장치ID2를 부여하는 모습을 설 명한다. 도 18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의 고유의 정보인 수신장치ID1, 수신장치ID2 및 비밀키 등을 미리 부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콘텐츠 수신장치(3B))에 고유의 정보이고, 방송사업자 또는 장치 제조자 등으로부터 할당된 수신장치ID1(그룹ID 및 서브그룹ID를 포함함), 디바이스 키, 수신장치ID2 및 마스터키는, 시크릿모듈 작성장치(2)에 의해, 판매시에, 각각 ID1 기억수단(77B),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 ID2 기억수단(84) 및 마스터키 기억수단(82)에 써넣어져 기억된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콘텐츠 디코딩장치(5B) 및 도시하지 않은 표시장치, 음성재생장치 등의 콘텐츠 재생장치와 일체화하여 구성하여도 괜찮고, ID 카드와 같은 내 탬퍼모듈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가, IC 카드와 같은 내 탬버모듈의 경우는, 시크릿 모듈 작성장치(2)는, 예를 들면, 컴퓨터와 ID 카드 기입장치로 구성할 수 있어, 수신장치ID1 등의 수신장치에 고유의 정보를 설정하여 ID 카드의 형태로 발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계적으로 규모가 큰 다른 장치와는 독립하여 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고유 정보의 발행관리를 행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다음, 도 19를 참조(적당히 도 12 참조)하여, 수신장치ID1을 재이용하여 부여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19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수신장치ID1을 재이용하여 부여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수신장치 ID1 및 수신장치ID2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의 판매시에 초기설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수신장치ID1 및 수신장치ID2가 신규발행 및 재이용하여 부여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9a에 있어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에는, 수신장치ID1으로서 「1」이, 수신장치ID2로서 「1」이 부여되어 있다. 또,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에는, 수신장치ID1으로서 「2」가, 수신장치ID2로서 「2」가 부여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2)는, 불사용을 위해, 록된 상태로 천이한 것으로 한다.
다음,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롭게 제조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3)는, 판매시에 수신장치ID1 및 수신장치ID2가 부여되어 신규발행된다. 이 때, 수신장치ID2는, 각 장치에 고유의 ID이기 때문에, 미사용의 「3」이 할당되어 있다. 한편, 수신장치ID1은, 개별계약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ID이므로, (a)에 나타낸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2)에 의해 록되어, 불사용 상태의 수신장치ID1인 「2」가 할당되어, 재이용된다.
또, (b)에 나타낸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2')는, (a)에서 록된 수신장치ID2가 「2」의 장치의 록을 해제하여, 다시 방송 수신 가능하게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수신장치ID1으로서, 「1」은 수신장치ID2가 「1」의 장치에 부여되어, 사용 중이고, 「2」는 수신장치ID2가 「3」의 장치에 부여되어, 재이용되고 있으므로, 미사용의 「3」가 새롭게 부여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2')에 있어서, 록 되기 전에 사용하고 있던 수신장치ID1인 「2」가, 록 해제시에 다른 장치에 있어서도 미사용에 있으면, 수신장치ID1으로서, 동일한 ID인 「2」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에 부여된 수신장치ID1은,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콘텐츠 수신장치(3B))의 사용상황에 따라서 맘대로 록 및 록 해제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계약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수신장치ID1은, 재이용 가능하게 되고,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콘텐츠 수신장치(3B))의 생산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개별계약정보와 스크램블 키를 암호화한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를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디코딩하여 스크램블 키를 취득하도록 하였으나, 스크램블 키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에 맞추지 않고, 예를 들면, 개별계약정보와는 별개의 ECM에 의해 수신하거나, EMM에 의해 수신하거나, 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를 개재하여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B)는, 록 상태에 기초하여, 개별계약 판정수단(76B)로부터 콘텐츠 디코딩장치(콘텐츠 취득수단)(5B)의 디스크램블러(53)로의 스크램블 키(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허가 또는 금지하도록 하였으나, 콘텐츠를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 스크램블(11)(도 10 참조)에 의해 암호화 하지 않고, 논 스크램블 상태로 송신하고,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는 개별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콘텐츠의 시청(제시) 가부를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도 12에 나타낸 콘텐츠 취득수단(5)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스크램블러(53)의 대신에 콘텐츠의 출력 가부를 제어하는 출력제어수단을 설치하고,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으로부터 출력하는 라이센스 정보로서, 스크램블 키의 대신에 계약의 유무를 나타내는 계약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의 관리를 하여, 상기한 출력제어수단에 의한 콘텐츠의 출력 가부를 제어하도록 하면 좋다.
그리고,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7B)의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록 해제된 상태 때에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취득한 계약정보를 상기한 출력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록된 상태 때에는, 계약정보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콘텐츠의 시청 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계약정보로서 항시 계약없음에 대응하는 계약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3실시예>
또, 제2실시예에 있어서, 방송사업자 마다 또는 채널마다 수신장치ID1을 할당하여 부여하고, 방송사업자 마다 또는 채널 마다 록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제3실시예로서, 채널 마다 록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실시예에 대하여 개요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채널 A, 채널 B, ...가, 각각 방송사업자 A, 방송사업자 B, ...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시청자가 각각의 방송사업자와 대응하는 채널의 수신계약을 하면, 그 시청자가 사용하는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하여, 각각의 채널에 대응하는 허가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수신장치 ID1이, 각각의 대응하는 방송사업자에 의해 할당되어 부여된다. 그리고, 신규로 수신계약을 한 때 또는 록 해제한 때에는, 예를 들면, 각각의 방송사업자는, 대응하는 채널을 식별하는 채널ID와, 수신장치ID1(그룹ID와 서브그룹ID를 포함)과, 록 해제하는 취지의 정보를 포함하는 록제어정보를 마스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수신장치ID2를 부여한 EMM2(도 11 참조)를 생성하여, 방송파(W)를 매개로 송신한다. 콘텐츠 수신장치(3B)는, EMM2를 수신하고, 수신한 EMM2에 포함된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채널ID와 대응된 수신장치ID1을 기억함과 함께, 그 채널ID에 대한 록 상태를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천이시켜, 그 채널을 시청 가느한 상태로 한다. 다른 채널에 대해서도 동일한 수순으로, 각각 독립으로 시청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수신계약은 1개의 채널에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 영어회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 마다 이루어진다. 즉, 1개의 채널에 의해, 뉴스 프로그램, 영어회화 프로그램, 드라마 프로그램 등의 복수의 종류의 프로그램 서비스가 편성되어 방송되는 경우, 시청자는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서비스 마다 계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ECM에 의해 송신되는 계약정보에는, 그룹ID, 서브그룹ID에 더하여, 서비스(프로그램)를 식별하는 서비스ID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방송사업자가 복수의 채널을 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채널마다 수신장치ID1를 부여하여, 각각의 채널 마다 동일의 수순에 의해 시청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록제어를 방송사업자 마다 행하는 경우에는, 1개의 방송사업자가 운용하는 복수의 채널에 공통의 수신장치ID1을 할당하면 좋다.
수신계약 후는, 각각의 방송사업자는, ECM을 이용하여, 부여한 수신장치ID1에 대응하는 계약정보를 송신하고, 각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그의 계약상태에 따라 시청 가부를 제어한다. 또 시청자가, 어느 채널의 수신계약을 해제한 경우, 또는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의해 그 채널에 의해 콘텐츠의 시청(수신) 실적이 없고, 소정 일수를 경과하는 등의 소정 조건에 해당한 경우에는, 그의 콘텐츠 수신장치(3B)는, 대응하는 수신장치ID1에 관한 록 상태만이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하여, 그 채널만이 시청 불능으로 된다. 다른 채널에 대해서는, 각각 독립하여 록 제어처리가 되어,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될 때까지는 시청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록제어는 채널 마다 행해지지만, 그 채널에 관하여 복수의 서비스의 수신계약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약되어 있는 전체 서비스의 수신계약이 해제 또는 소정의 기간 불사용으로 된 경우에, 그의 채널에 대하여 록 상태를 출력을 금지하느 상태로 천이시킨다.
(구성)
이어서,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와 공통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개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2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ECM 생성수단(13)은, 또한, 채널ID와 서비스ID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이들의 ID가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된 ECM을 생성하여 다주화수단(15B)으로 출력한다.
EMM1 생성수단(14B)는, 또한, 채널ID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디바이스 키에 의해 암호화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에, 채널ID가 부가된 EMM1을 생성하여 다중화수단(15B)로 출력한다.
EMM2 생성수단(16)은, 또한, 채널ID가 외부로부터 입력된, 마스터키에 의해 암호화된 록제어정보에, 수신장치ID2와 채널ID가 부가된 EMM2을 생성하여 댜중화수단(15B)으로 출력한다.
또, 스크램블(11)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츠는 콘텐츠에 대응한 서비스ID가 부가되어 다중화수단(15B)으로 출력된다.
다음, 도 12를 참조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콘텐츠 디코딩장치(5B)는, 상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채널ID에 대응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 관리를 하기 때문에, 다음의 점에서 제2실시예와 다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의 EMM1 디코딩수단(71B)은,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분리수단(51)으로부터 입력된 EMM1을,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고, 채널ID와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꺼낸다. 여기서 디코딩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채널ID와 함께 공통계약 판정수단(73)으로 출력된다.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은, 비다이스 키를 미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디바이스 키는, EMM1 디코딩수단(71B)에 의해 EMM1을 디코딩할 때에 독출되어 이용된다.
다비이스 키는, 여기서는, 전체 채널 공통에 이용되도록 하였으나, 채널ID에 대응한 디바이스 키 기억수단(72)에 기억하고, EMM1에 부가된 채널ID를 참조하여 채널마다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때에는, 채널ID는 비암호화 정보로서 EMM1에 부가되도록 하면 좋다.
공통계약 판정수단(73)은, EMM1 디코딩수단(71B)에 의해 디코딩된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워크 키의 유효기간에 기초하여 당해 워크 키가 유효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유효인 경우에는,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동시에 입력된 채널ID에 대응하여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한다.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은, 공통계약 판정수단(73)으로부터 입력된 공통계약정보와 워크 키를 채널ID에 대응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ECM디코딩수단(75)에 의해 ECM을 디코딩할 때에 독출되어 이용된다.
ECM 디코딩수단(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75)는,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분리수단(52)으로부터 입력된 ECM을 디코딩하여,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를 꺼내는 것이다. 이 ECM 디코딩수단(75)은, ECM이 입력되면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으로부터, ECM에 부가된 채널ID에 대응하는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독출하여, 공통계약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워크 키의 유효기간에 기초하여 워크 기가 유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ECM 디코딩수단(75)은, 워크 키가 유효인 경우에는 ECM을 디코딩한다. 여기서 디코딩된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는 채널ID와 함께,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으로 출력된다.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채널ID와, 서비스ID와, 개별계약정보와, 후기하는 록제어수단(86)으로부터 입력된 록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ID 및 서비스ID에 대응하는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상태 및 당해 채널ID에 대응하는 록 상태를 판정하여, 계약이 유효이고, 또 록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에 스크램블 키를 출력하는 것이다.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신장수단(76a)와,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와,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을 구비한다.
신장수단(76a)은, 후기하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하는 것이다. 여기서, 신장수단(76a)은, 비트열에 부가된 계약율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의 압축수단(12c)에 의해 압축된 비트열을 신장한다. 여기서 신장된 비트열과,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포함된 서비스ID와, 그룹ID와, 서브그룹ID와,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되어 있는 채널ID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으로 출력된다.
계약정보 취득수단(허가정보 취득수단)(76b)는, ID1 기억수단(77B)에 채널ID에 대응하여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에 기초하여, 신장수단(76a)에 의해 신장된 개별계약정보의 비트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취득된 계약정보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채널ID 및 서비스ID에 대응하여 기억된다.
계약정보 취득수단(76b)는, 입력된 개별계약정보에 부가된 그룹ID 및 서브그룹ID가, 당해 채널ID에 대응하여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그룹ID 및 서브그룹ID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는, 당해 개별계약정보에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일치하는 경우에는,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은, 당해 개별계약정보에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하여, 개별계약정보를 신장수단(76a)으로 출력한다. 또한, 계약정보 취득수단(76b)는, 신장수단(76a)에 의해 비트열이 신장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된 수신장치ID1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B)의 계약정보를 취득하여,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채널ID 및 서비스ID에 대응하여 기억한다.
계약상태 판정수단(허가상태 판정수단)(76c)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계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계약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ECM 디코딩수단(75)으로부터 입력된 스크램블 키를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63)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계약상태 판정수단(76c)는, 채널ID에 대응하는 록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가 록 해제된 상태(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된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의 출력을 행하고, 록 상태가 록 된 상태(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인 경우는, 계약정보의 내용에 관계없이, 스크램블 키의 콘텐츠 디코딩장치(5B)의 디스크램블러(53)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것이다.
또,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은,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 전회방송을 수신한 일, 수신계약을 해제한 일 등의 날짜 정보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함과 함께, 기억한 날짜정보를 독출하여, 후기하는 록판정수단(85)으로 출력한다.
또,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계약되어 있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있는, 후기하는 날짜정보 중의 당해 채널ID에 있어서의 서비스ID에 대한 수신계약의 해제일을 독출하고, 독출한 계약 해제일이 무요한 날짜의 경우는, 그 날을 계약해제일로서 기억내용을 갱신한다.
ID1 기억수단(77B)(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은, 채널ID 마다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부여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를 채널ID에 대응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은,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입력된 개별계약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계약정보를 취득할 때에 독출되어 이용된다.
또, ID1 기억수단(77B)에 채널ID에 대응하여 기억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은, 록제어수단(86)에 의해, 채널마다 록 상태를 록되었던 상태로부터 록 해제할 때에, 당해 채널ID에 대응하여 새롭게 할당된 그룹ID, 서브그룹ID 및 수신장치ID1로 갱신된다.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은, 계약정보, 날짜정보를 기억하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이다. 여기서, 도 20을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의 기억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은,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취득된 계약정보를 채널ID 및 서비스ID에 대응하여 기억하는 것으로, 여기서 기억된 계약정보는,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계약상태를 판정할 때에 참조되어 이용된다.
또한, 콘텐츠 수신장치(3B)의 구입일 또는 수신계약일, 전회의 방송수신일, 수신계약의 계약해제일 등의 날짜정보가 기억된다. 기억된 날짜정보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에 의해 독출되어 록 판정수단(85)으로 출력되어, 록 판정처리를 행할 때에 참조되어 이용된다.
도 20에 있어서는, 계약정보와, 수신계약일과 계약해제일과 전회수신일를 포함하는 날짜정보가, 채널ID A, B, C와, 각각의 채널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의 서비스ID A-1, A-2, A-3, B-1, C-1, C-2에 대응되어져 기억되어 있다.
도 12로 되돌아가서, EMM2 디코딩수단(81), 마스터키 기억수단(82) 및 ID2 기억수단(84)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록해제 판정수단(록제어정보 취득수단)(83)은, EMM2 디코딩수단(81)에 의해 디코딩된 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정보인지를 판정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에 대한 정보인 것으로 판정한 때에는, 당해 록제어정보를, 록제어정보에 부가된 채널ID와 함께, 록제어수단(86)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록판정수단(85)는,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고,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을 매개로 입력되는 날짜정보와, 콘텐츠 수신장치(3B)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내부시계에 의해 취득한 현재의 날짜에 기초하여, 채널ID 마다,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가 방송을 수신하지 않는 불사용 기간을 검출하고, 록 상태를,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할 건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인 록판정정보를 록제어수단(86)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록제어수단(86)은, 록해제 판정수단(83)에 의해 입력된 록제어정보와, 록판정수단(85)에 의해 입력된 록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채널ID 마다 록상태를 천이시키는 록제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록제어수단(86)은,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록 해제하기(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정보인가, 록하기(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정보인가를 판단하여, 록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제어정보에 부가된 채널ID에 대응하는 수신장치ID2의 록제어처리를 수행하고, 록제어처리 후의 록 상태정보를 채널ID와 함께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으로 출력한다.
또, 입력된 록제어정보가 록 해제하기 위한 것인 경우는, 록제어수단(86)은, ID1 기억수단(77B)에 기억되어 있는 채널ID에 대응하는 수신장치ID1을, 록제어정보에 부가되어, 새롭게 부여된 수신장치ID1로 고쳐서 기억한다.
또한, 록상태정보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 기억수단에 기억하여 놓고,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이, 당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록상태정보를 참조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기억수단은 록제어수단(86)에 설치하여도 좋으며,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콘텐츠 수신장치(3B)를 구성하는 것으로, 콘텐츠 수신장치(3B)는, 다중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당해 콘텐츠 수신장치(3B)의 채널ID 및 서비스ID 마다 의 계약상태에 기초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한다. 또, 채널ID 마다 제어되는 록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디스크램블러(53)으로의 출력을 제어하여,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하는 것으로, 채널ID 마다, 수신장치ID1에 의해 계약정보의 수신을 실질적으로 무효로 하여, 수신장치ID1을 불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채널ID 마다, 불사용되었던 수신장치ID1를, 다른 콘텐츠 수신장치(3B)에 할당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동작)
다음, 제3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전달 시스템(S)(도 1참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실시예와 공통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개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을 참조(적당히 도 10 참조)하여, 개별계약정보 송신장치(1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2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11에서, 스크램블(11)에 의해, 콘텐츠를 스크램블 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생성하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서비스ID를 부가하여, 다중화수단(15B)(.도 10 참조)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 스텝 S114에서, ECM 생성수단(13)에 의해, 스크램블 키와 개별계약정보와 서비스ID를 워크 키로 암호화하고, 채널ID를 부가하여 ECM을 생성한다.
스텝 S115에서, EMM1 생성수단(14B)에 의해,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를 디바이스 키로 암호화하고, 채널ID를 부가하여 EMM1을 생성한다.
스텝 S116에서, EMM2 생성수단에 의해, 채널ID를 포함하는 록제어정보를 마스터키로 암호화하고, 수신장치ID2를 부가하여 EMM2를 생성한다. 기타의 스텝은 상기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15를 참조(적당히 도 12 참조)하여, 콘텐츠 수신장치(3B)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2실시예와는,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도 15에 나타낸 스텝 S152에서, 록제어처리는, 스텝 S151에서 취득한 채널ID에 대응하는 수신장치ID1에 대하여 록상태의 제어를 행한다.
또, 스텝 S156에서, 스텝 S154에서 취득한 워크 키와 공통계약정보는, EMM1에 부가된 채널ID에 대응하여, 공통계약정보 기억수단(74)에 기억한다.
스텝 S157에서, ECM 디코딩수단(75)에 의해, ECM에 부가된 채널ID에 대응하는 워크 기를 이용하여 ECM을 디코딩한다.
스텝 S160에서,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취득한 계약정보를,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채널ID 및 서비스ID에 대응하여 기억한다.
스텝 S161에서, 계약상태 판정수단(76c)에 의해,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 중의 서비스ID에 대응하는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의 가부를 판정한다.
또, 스텝 S162에서, 채널ID에 대응하는 록상태에 기초하여,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은,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램블 키의 출력의 가부를 제어한다.
(록판정처리)
다음, 수신계약해제에 따른 록판정처리에 대하여, 도 21를 참조(적당히 도 12 및 도 20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1은, 수신계약해제시의 록판정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ECM을 수신하면, 상기한 수순으로,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의 계약정보 취득수단(76b)에 의해 채널ID 및 서비스ID1과 함께 계약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91). 취득한 계약정보가 계약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스텝 S192에서 Yes),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취득한 계약정보가 계약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는(스텝 S192에서 No), 계약상태 판정수단(76b)에 의해,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채널ID 및 서비스ID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날짜정보 중의 계약해제일(도 20참조)을 독출하여, 당해 서비스ID에 대응하는 수신장치는 해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93). 여기서,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해제일이, 예를 들면, 9999년 99월 99일과 같이, 있을 수 없는 날짜의 경우는, 계약은 해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유효한 날짜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계약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193에서, 당해 서비스ID에 대응하는 계약해제일이 유효한 날짜의 경우는(스텝 S193에서 Yes), 기존에 계약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또, 계약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는(스텝 S193에서 No), 수신계약 후, 계약정보가 처음 계약되지 않은 상태로 변경된 일자인 것으로 판단하여,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그의 ECM을 수신한 오늘의 날짜를 당해 서비스ID에 대응하는 계약해제일로서 기억한다(스텝 S194).
다음,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7B)는, 개별계약 판정수단(76B)에 의해 그의 서비스ID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채널ID에 대하여, 다른 서비스를 계약하고 있지 않은가 확인하여, 그 채널ID에 대해서의, 당해 서비스를 삭제하고, 전체의 다른 서비스가 계약해제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S195).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채널ID = A의 서비스ID = A-1에 관하여 계약해제일 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채널ID = A에 대하여 기억되어 있는 3개의 서비스 내, 다른 시비스ID = A-2, A-3에 대하여 계약해제된 건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다른 서비스ID 중에서, 계약해제 되지 않은 서비스가 있는 경우는(스텝 S195에서 No), 당해 채널ID에 대한 수신계약이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다른 서비스ID의 수신계약이 모두 해제되어 있는 경우는(스텝 S195에서 Yes), 당해 서비스ID의 서비스를 계약해제하는 것으로, 당해 채널ID에 관한 전체의 서비스가 계약해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당해 채널ID에 대한 수신계약을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별계약정보 판정수단(76B)으로부터 록판정수단(85)에 대하여, 당해 채널ID의 계약이 해제된 취지를 계약해제일(날짜정보)과 함께 통지한다. 록판정수단(85)은, 통지를 받으면, 도 17에 나타낸 록판정처리의 수순에 의해, 록판정처리를 행하여, 록제어수단(86)에 록판정정보를 출력하고, 록판정수단(86)은, 당해 채널ID에 대응하는 수신장치ID2를 록하여, 록상태를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킨다(스텝 S196).
여기서, 계약해제일에 대해서의 록상태를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천이시키는 조건(조건 3)으로서, 계약해제일로부터의 소정 불사용기간을, 예를 들면, 0일로 하는 것에 의해, 록판정수단(85)은, 개별계약정보 판정수단(76B)에 의해 계약해제일의 검지에 따라서, 당해 채널ID에 대응하는 수신장치ID2를 즉시 록 할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낸 계약해제에 따른 록판정처리에 있어서, 처리를 스텝 S194까지로 하고, 그의 처리가 종료한 이후에, 전원투입 또는 소정의 시각으로 된 때에, 록판정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1개의 채널ID에 있어서 복수의 서비스ID의 계약을 갖는 경우에는, 모든 서비스ID의 계약이 해제된 일을, 서비스ID에 대응되어진 계약해제일과는 달리 설치하여, 채널ID에 대응하여 개별계약정보 기억수단(78)에 기억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록판정수단(85)에 의해, 계약해제일로부터 소정의 일수가 경과했는지 어떤지를 판단할 때(도 17의 스텝 S186), 모든 서비스ID에 대응하는 계약해제일을 비교하여, 최신의 날짜를 그의 채널ID의 계약해제일로 판정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크램블 키의 출력 관리를 채널ID 및 서비스ID 마다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채널ID 마다 록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20)

  1.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와 상기 스크램블키가 암호화된 스크램블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과,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과,
    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이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스크램블키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로 출력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송신 대상이 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가 미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개별허가정보에, 1개의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상기 허가정보가 배열됨과 동시에, 당해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ID가 부가되고,
    상기 허가정보 취득수단이, 상기 그룹ID와, 상기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장치.
  3. 청구항 1항에 기재된 스크램블키 관리장치에 대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키와, 상기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복수의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스크램블키 관리정보를 송신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송신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상기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하는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과,
    이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개별허가정보와, 상기 스크램블키를 암호화하여 스크램블키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이, 각각 1비트의 상기 허가정보를 배열한 비트 열을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이, 상기 비트열을 가역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송신장치.
  6. 암호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스크램블키의 출력을 관리하는 스크램블키 출력 관리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와 상기 스크램블키가 암호화된 스크램블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디코딩스텝과,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디코딩 스텝에서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스텝과,
    이 허가정보 취득스텝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이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허가상태 판정스텝과,
    이 허가상태 판정스텝에서 허가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스크램블키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로 출력하는 키 출력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출력 관리방법.
  7. 암호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암호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스크램블키의 출력을 관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복수의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 마다 상기 암호화 콘텐츠의 디코딩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표시하는 혀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와 상기 스크램블키가 암호화된 스크램블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의 디코딩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램블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디코딩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
    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 콘텐츠 디코딩이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스크램블키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디코딩장치로 출력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램블키 관리 프로그램.
  8.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과,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의 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과,
    이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은, 스크램블키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를, 상기 스크램블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이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스크램블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0.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과,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의 상기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ID에 대응지어진,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 제어정보를 취득하는 록 제어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하는 록 제어수단과,
    상기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 상기 록 상태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송신 대상이 되는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이 미리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상기 개별허가정보에, 1개의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의 상기 허가정보가 배열됨과 동시에, 당해 그룹을 식별하는 그룹ID가 부가되고,
    상기 허가정보 취득수단이, 상기 그룹ID와, 상기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ID를 기억하는 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록 제어정보가, 상기 록 상태를,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 제어정보는, 적어도 제1수신장치ID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1수신장치ID를, 당해 록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제1수신장치ID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ID와 상기 그룹ID를 기억하는 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록 제어정보가, 상기 록 상태를,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 제어정보는, 적어도 제1수신장치ID 와 그룹ID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신장치ID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1수신장치ID와 그룹ID를, 각각 당해 록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제1수신장치ID와 그룹ID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4.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날짜 정보와 현재의 날짜에 기초하여, 상기 록 상태를, 상기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할지를 판정하는 록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록 제어수단은, 상기 록 제어정보 및 상기 록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록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5. 제10항, 제11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ID는,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채널마다, 상기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ID에 대응지어진 서로 다른 ID가 할당되고, 상기 록 제어수단은, 상기 채널마다 록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ID는,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채널마다, 상기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ID에 대응지어진 서로 다른 ID가 할당되고, 상 기 록 판정수단은, 상기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소정의 날짜 정보와 현재의 날짜에 기초하여, 상기 록 상태를, 상기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로 할지를 판정하고, 상기 록 제어수단은, 상기 록 제어정보와 상기 록 판정수단의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마다 록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7. 제10항, 제11항, 제13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은, 스크램블키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콘텐츠를 상기 스크램블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콘텐츠 디코딩장치이며, 상기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스크램블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
  18. 청구항 10항, 청구항 11항, 청구항 13항 또는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라이센스 정보 관리장치에 대하여,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복수의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송신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었던,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상기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를 생성하는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과,
    이 개별허가정보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개별허가정보를 암호화하여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ID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 정보장치의 록 상태를 변경하는 록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록 제어정보 생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송신장치.
  19.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 관리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 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 스텝과,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의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 스텝에서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 스텝과,
    이 허가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허가상태 판정 스텝과,
    상기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ID에 대응지어진,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 제어정보를 취득하는 록 제어정보 취득 스텝과,
    이 록 제어정보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하는 록 제어처리 스텝과,
    상기 허가상태 판정 스텝에서 허가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이고, 또 상기 록 상태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하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 출력 관리방법.
  20. 콘텐츠를 수신하여 제시하는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한 출력으로서, 당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출력을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를,
    복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마다 상기 콘텐츠의 제시에 대한 허가의 유무를 나타내는 허가정보를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배열한 개별허가정보로서, 당해 개별허가정보가 암호화된 라이센스 관리정보를 디코딩하는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의 상기 제1수신장치ID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센스 관리정보 디코딩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개별허가정보로부터, 당해 콘텐츠 취득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허가정보를 취득하는 허가정보 취득수단,
    상기 제1수신장치ID보다 다수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을 식별하기 위한 제2수신장치D에 대응지어진, 상기 라이센스 정보의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의 출력을 금지하는 상태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로 이루어진 록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록 제어정보를 취득하는 록 제어정보 취득수단,
    상기 록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록 상태를 제어하는 록 제어수단,
    상기 허가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의 제시가 허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허가되어 있는 경우이고, 또 상기 록 상태가 출력을 허가하는 상태인 경우에, 상기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출력 대상인 상기 콘텐츠 취득수단으로 출력하는 허가상태 판정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센스 정보관리 프로그램.
KR1020097020785A 2007-04-20 2007-04-20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프로그램 KR101362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8646 WO2008136077A1 (ja) 2007-04-20 2007-04-20 スクランブル鍵管理装置、スクランブル鍵管理情報送信装置、スクランブル鍵出力管理方法、スクランブル鍵管理プログラム、ライセンス情報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情報送信装置、ライセンス情報出力管理方法及びライセンス情報管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380A true KR20100015380A (ko) 2010-02-12
KR101362852B1 KR101362852B1 (ko) 2014-02-21

Family

ID=399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785A KR101362852B1 (ko) 2007-04-20 2007-04-20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09444B2 (ko)
EP (1) EP2150050B1 (ko)
KR (1) KR101362852B1 (ko)
CN (1) CN101658032B (ko)
BR (1) BRPI0721588B1 (ko)
WO (1) WO20081360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5543B1 (fr) * 2006-08-30 2009-01-16 Viaccess Sa Processeur de securite et procede et support d'enregistement pour configurer le comportement de ce processeur.
US9177313B1 (en) * 2007-10-18 2015-11-03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irculating and trading financial instruments with smart features
US8627079B2 (en) 2007-11-01 2014-01-07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US8908870B2 (en) * 2007-11-01 2014-12-09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to a device
CN100562098C (zh) * 2008-01-03 2009-11-18 济南市泰信电子有限责任公司 数字电视条件接收系统及其处理流程
FR2928235A1 (fr) * 2008-02-29 2009-09-04 Thomson Licensing Sas Procede d'affichage de contenus multimedia a perturbations variables en fonctions de droits locaux de recepteurs/ decodeurs.
US8515996B2 (en) * 2008-05-19 2013-08-20 Emulex Design & Manufacturing Corporation Secure configuration of authentication servers
JP5167079B2 (ja) * 2008-11-13 2013-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55882A (ko) * 2008-11-18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제어 장치 및 컨텐츠 제어 방법
JP5156039B2 (ja) * 2009-08-21 2013-03-06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
JP5357665B2 (ja) * 2009-08-21 2013-12-04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受信装置
JP5357663B2 (ja) * 2009-08-21 2013-12-04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受信装置
JP5156038B2 (ja) * 2009-08-21 2013-03-06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
JP5156037B2 (ja) * 2009-08-21 2013-03-06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
JP5357664B2 (ja) * 2009-08-21 2013-12-04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受信装置
JP5357666B2 (ja) * 2009-08-21 2013-12-04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受信装置
JP5175883B2 (ja) * 2009-08-31 2013-04-03 日本放送協会 メッセージ送信装置およびメッセージ受信装置
US8364964B2 (en) * 2009-12-29 2013-01-2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Registering client devices with a registration server
WO2012048896A1 (en) 2010-10-14 2012-04-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techniques for drm license information delivery
US20120131333A1 (en) * 2010-11-23 2012-05-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rvice key delivery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WO2014010087A1 (ja) * 2012-07-13 2014-01-16 株式会社東芝 通信制御装置、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61178B1 (ko) * 2013-06-19 2019-12-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시스템
US9641488B2 (en) 2014-02-28 2017-05-02 Dropbox, Inc. Advanced security protocol for broadcasting and synchronizing shared folders over local area network
US9953148B2 (en) * 2014-12-23 2018-04-24 Ebay Inc.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devices associated with a carrying bag
US9699205B2 (en) 2015-08-31 2017-07-04 Splunk Inc. Network security system
US20170279766A1 (en) * 2016-03-24 2017-09-28 Chittabrata Ghosh Group addresses in wireless networks
US10237294B1 (en) 2017-01-30 2019-03-19 Splunk Inc. Fingerprinting entities based on activity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US11443768B2 (en) * 2017-09-01 2022-09-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tent recording apparatus, content edit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cording method, content editing method,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DE102020216072A1 (de) * 2020-12-16 2022-06-23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Bitfolgen
CN115277049B (zh) * 2022-06-01 2023-11-17 武汉船舶通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二研究所) 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9156B2 (ja) * 1993-11-16 2004-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US8548166B2 (en) 1995-04-03 2013-10-01 Anthony J. Wasilewski Method for partially encrypting program data
US6424717B1 (en) * 1995-04-03 2002-07-23 Scientific-Atlanta, Inc. Encryption devices for use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6246767B1 (en) * 1995-04-03 2001-06-12 Scientific-Atlanta, Inc. Source authentication of download information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JPH09168006A (ja) * 1995-12-15 1997-06-24 Hitachi Ltd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5937067A (en) * 1996-11-12 1999-08-10 Scientific-Atlant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l encryption control of a global transport data stream
JP4159116B2 (ja) * 1997-03-21 2008-10-01 ナグラ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暗号化放送信号の受信機と併用するためのスマートカード、および受信機
JP3561154B2 (ja) * 1997-12-26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および契約管理装置
JP2001069480A (ja) * 1999-08-30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限定受信システム
JP3742282B2 (ja) 2000-06-30 2006-02-01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装置
JP4457502B2 (ja) * 2001-02-13 2010-04-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利用制限方法、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センター局装置、ローカル局装置、および、受信装置
JP3869224B2 (ja) * 2001-03-30 2007-01-17 株式会社東芝 限定受信システム、広域局契約管理装置及び地域局契約管理装置
CN1656792A (zh) * 2002-05-21 2005-08-1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条件访问系统
JPWO2005093992A1 (ja) * 2004-03-29 2008-0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配信システム
KR20070074562A (ko) * 2004-09-10 2007-07-1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조건적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법
US7266198B2 (en) 2004-11-17 2007-09-0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orized access to digital content
US8205243B2 (en) * 2005-12-16 2012-06-19 Wasilewski Anthony J Control of enhanced application features via a conditional acces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21588B1 (pt) 2020-12-01
CN101658032A (zh) 2010-02-24
EP2150050A4 (en) 2012-09-26
EP2150050A1 (en) 2010-02-03
BRPI0721588A2 (pt) 2013-02-26
CN101658032B (zh) 2012-05-09
US20100088515A1 (en) 2010-04-08
EP2150050B1 (en) 2014-07-30
US8509444B2 (en) 2013-08-13
WO2008136077A1 (ja) 2008-11-13
KR101362852B1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852B1 (ko) 스크램블 키 관리장치, 스크램블 키 관리정보송신장치, 스크램블 키 출력관리방법, 스크램블 키 관리프로그램, 라이센스 정보관리장치, 라이센스 관리정보송신장치, 라이센스 정보출력관리방법 및 라이센스 정보관리프로그램
JP3561154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契約管理装置
US7831045B2 (en) Security module revocation method used for securing broadcasted messages
RU2547228C1 (ru) Способ для защиты записанного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содержания
KR20040091618A (ko) 콘텐츠 재생장치, 콘텐츠 재생방법, 및 프로그램,키관리장치와 키관리 시스템
US20040075773A1 (en) Scrambler, descrambler and the program for scrambling or descrambling
CN101309391B (zh) 使用加密和解密技术播放广播节目内容的方法
JP2009519649A (ja) 限定受信コンテンツの暗号化及び復号化方法
US7633941B2 (en) Secured distribu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visual flows
JP4174326B2 (ja) セキュリティモジュール、限定受信装置、限定受信方法および限定受信プログラム
JP3965207B2 (ja) 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再生装置
JP4801515B2 (ja) スクランブル鍵管理装置、スクランブル鍵管理情報送信装置、スクランブル鍵出力管理方法、スクランブル鍵管理プログラム、ライセンス情報管理装置、ライセンス管理情報送信装置、ライセンス情報出力管理方法及びライセンス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H0550172B2 (ko)
KR101217225B1 (ko) 방송처리장치 및 방송처리방법
JP2825053B2 (ja) 有料放送送受信システム及び有料放送受信用デコーダ
JP3965208B2 (ja) 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再生装置
JP3965206B2 (ja) 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再生装置
JP4127778B2 (ja) 放送送受信方法、放送受信方法
JP4264603B2 (ja) 情報送信装置および方法、情報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65205B2 (ja) 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再生装置
KR100519549B1 (ko) 컨트롤 워드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4228624A (ja) 放送受信装置
KR20060118261A (ko)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수신시스템 및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