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132A - 역지변 - Google Patents

역지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132A
KR20100014132A KR1020090067823A KR20090067823A KR20100014132A KR 20100014132 A KR20100014132 A KR 20100014132A KR 1020090067823 A KR1020090067823 A KR 1020090067823A KR 20090067823 A KR20090067823 A KR 20090067823A KR 20100014132 A KR20100014132 A KR 2010001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shoe
attached
pump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557B1 (ko
Inventor
미가미이사오
Original Assignee
미가미이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가미이사오 filed Critical 미가미이사오
Publication of KR2010001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heck Valv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원통 관 내부에, 유연성이 있는 박막 역지변을 부착한 역지변이 달린 관이다. 구두의 내부 선단 부분의 공기를 출입시키는 경우에, 역지변의 펌프의 흡기관 및 배기관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박막 역지변이다.
원통 관 내부에 장착한 유연성 박막 역지변으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박막 역지변의 발명이다.
관 내부에 약 삼각형상의 롤 상의 유연성이 있는 박막을 부착한다. 이 박막이 역지변이 된다. 기체가 화살표 6의 방향으로부터 유입하는 경우에는, 롤 상의 박막 역지변 4는, 기체 흐름에 연하도록 원통의 내벽에 부착하는 듯한 상태가 된다. 유입해 들어온 기체 6은, 저항 없이 박막의 표면을 흐르듯이 하여 화살표 7의 방향으로 통과한다.
역방향, 화살표 8방향으로부터, 기체가 유입해 들어온 경우에는, 그 압력에 의해서 박막 역지변 4는 점선 화살표 9의 방향으로 반전하여, 관의 내부에 퍼져서 관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역지변의 발명이다.

Description

역지변 { Check valve }
본 발명은, 내경이 1.0 밀리미터에서 20.0 밀리미터 정도의 원통 관의 내부에, 유연성이 있는 두께 0.02 밀리미터에서 0.1 밀리미터 정도의 박막을 변으로서 부착한 역지변이다.
종래의 역지변은, 주로 공업용이나 의료용의 용도로 개발된 역지변으로, 원통의 내경이 1.0밀리미터 정도의 관의 내부에 부착한 역지변은 없다.
구두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출입게 함으로써, 발가락이 땀이 나고 화끈거림이 없이 상쾌하게 보행할 수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발상에 의거한 특허출원은, 구두의 깔창에 펌프기구를 부착하는 방법이나, 구두 본체에 펌프기구를 부착하여, 보행할 때마다 펌프가 작용하여 구두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송풍하는 기구에 관한 특허출원건수는, 조사한 결과 수십 건 있다.
전술한 구두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출입시킴으로써, 상쾌하게 보행할 수 있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바이지만, 현실로는 펌프로 구두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출입케 하는 기구를 부가한 구두나, 구두의 깔창(라이너) 등은,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펌프의 흡기관 내부와 배기관 내부에 장착하는 역지변의 발명이다. 구두를 신고 보행 중에, 구두 내부의 공기를 출입시키는 펌프 역지변의 발명으로, 구두 내부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는 역지변의 개발을 과제로 삼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원통 관의 내경이 1.0밀리미터에서 20밀리미터 정도의 관내에 롤 상의 역지변을 부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역지변의 구조는, 약 삼각형 상의 박막을 삼각형의 2 변에 의해서 원통 관의 내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변이다.
이 역지변을, 흡기관과 배기관에 설치하여, 전기 흡기관과 전기 배기관을 구두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출입케 하는 펌프와 조합하여 구두의 내부에 부착한다.
또, 본 발명의 역지변은 심장의 입구 혈류변이나, 고무풍선 등의 공기 주입기 등의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압력펌프의 흡기관 및 배기관의 관 내부에 역지변을 부착하는 발상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역지변 펌프를 생각할 때에는 필요한 발상이지만, 이와 같은 발상의 역지 펌프는, 현실로는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현상을, 본 발명의 역지변을 채용함으로써 해결할 수가 있고, 단순한 기구의 역지변 펌프의 발명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역지변은, 약 삼각형상의 박막의 2 변을 원통 관의 내부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매우 싼 가격으로 제작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역지변을 가지는 압력펌프를 개발함으로써, 청구 항 3에 보이는 것 같은 구두 내부의 공기를 출입케 하는 역지변 펌프가 된다.
스포츠선수가 신는 각종 슈즈, 공사 현장이나 공장 등에서 장착을 의무 지워져 있는 안전화나, 자위대원이 장착하고 있는 군화, 디자인을 우선하여 만들어져 있는 여성의 스포츠 및 최근에 유행하는 디자인 비 장화 등, 이러한 신발은 특히 내부에 공기가 체류하여, 발에서 발생하는 수분으로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무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구두 내부에, 본 발명의 역지변을 갖는 펌프를 장착하여, 구두 내부의 공기를 출입시키면, 이러한 구두를 신는 모든 사람들에게 상쾌 감과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형태에 대하여, 실시 예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1]
도 4에 나타낸 원통 관의 내부에 유연성이 있는 박막 변 4를 부착한 본 발명의 박막 역지변의 실시 예 1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경 1.5밀리미터의 원통 관을 60도의 각도 1을 붙여서 도 2에 보이듯이 절단한다. 관을 절단하는 각도는 60도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절단하는데, 절단하는 각도에 대해서는, 30도∼70도라도 된다.
본 실시 예의 관의 내경이 1.5밀리미터인 경우에는, 절단각도가 60도 전후가 박막 변을 부착하기 위한 최량의 각도이다.
도 3과같이, 유연성이 있는 두께 0.02밀리미터의 도 3에 보이는 약 삼각형상의 박막 3을 도 3의 4에 나타낸 것처럼 롤 상 4에 형성하고, 관A의 절단면 2의 내면 2에 연하여 약 삼각형의 2 변을 부착한다. 이때 이 박막 4가 관 내부에 부착시킨 롤 상의 역지변이 된다. 절단한 도 2의 관 B와 관A를 절단면에 연하여 부착하여 원래대로 되돌린다.
관 내부에 부착시킨 박막의 역지변 4의 움직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화살표 6방향으로부터 유입하는 기체는, 유연성이 있는 박막의 롤 상의 역지변 4의 내면에 연하여 관내를 화살표 7의 방향으로 통과한다.
통과하는 기체는, 관 내부의 측면에 부착시킨 롤 상의 역지변 4의 내면을 통과할 때, 이론적으로는 다소의 마찰저항이 있으나, 현실로는 거의 박막 역지변 4의 저항을 받지 않고, 화살표 7방향으로 통과한다.
도 4에 보이듯이, 화살표 8방향으로부터 기체가 관 안으로 유입해 온 경우의, 관내에 부착한 유연성 있는 박막의 롤 상의 역지변 4에 대해 설명한다.
유입하는 기체가 유연성 있는 롤 상의 역지변 4의 표면을 통과할 때에, 흘러들어온 기체와 롤 상의 역지변 4의 내면에 근소한 마찰저항이 생긴다.
이때 생긴 마찰저항으로 인해, 유연성 있는 롤 상의 역지변 4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저변 5의 부분이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점선 화살표 9방향으로 밀려 내려가, 절단면 2에 연하듯이 퍼진다. 이것으로 인해 박막 역지변 4는 완전히 도 5의 10에 보이듯이 관 내면에 반전하여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서 유입해 온 기체를 점선 화살표 11방향으로 유출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한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대하여 기체로써 설명했는데, 액체를 함유하는 유체에 대응할 수가 있다.
[실시 예2]
구두의 내부에 부착시킨 펌프의 역지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구두 내부의 선단 부분의 공기를 바꿔 넣는 펌프 전용 역지변 12, 14로서 위화감이 없는 것을 전제로, 내경이 1.5밀리미터인 흡기관 16과 배기관 17의 관의 내부에 유연성 있는 두께 0.02밀리미터인 본 발명의 역지변 12.14를 부착시켜, 신선한 공기를 구두 내부의 선단에 출입시키는 펌프 13을, 구두 내부의 발꿈치 부분에 장착하였다.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하여, 구두 내부 선단의 공기를 출입시키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구두의 단면을 나타낸다.
구두를 신고 걷는 경우에, 발꿈치의 상하에 의해 흡기관 16 내부의 역지변 12로부터 유입하는 신선한 공기는, 펌프 13의 압력에 의해 배기관 17의 역지변 14에 의해 구두의 선단 부분, 화살표 방향으로 송풍한다.
다음에 기능에 관하여 펌프의 흡기 및 배기별로 설명한다.
펌프 13 본체의 공기실에 대하여, 보행할 때에 발꿈치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서, 펌프 본체 13의 저류되어 있는 공기는, 그 압력에 의해서 흡기관 16 내부의 역지변 12가 닫침과 거의 동시에, 배기관 17 내에 부착시킨 역지변 14가 열려서, 공기실에 저류된 신선한 공기를 구두 내부의 선단에 송풍한다.
보행할 때에 발꿈치가 올라갔을 때에, 압력을 가해서 수축된 펌프 본체 13의 공기실이 확장되면, 펌프 13의 공기실이 부의 압력이 된다. 그와 동시에 배기관 17에 부착시킨 역지변 14가 닫히고 다음 순간에, 구두 내부의 발바닥의 장심부근에 부착시킨 흡기관 16 내의 역지변 12가 열려서, 흡기관 16으로부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펌프 본체 13의 공기실에 유입시킬 수가 있다.
구두 내부 측면의 발바닥 장심 부근은, 어떠한 형태의 구두든지, 조금 여유가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곳에서 신선한 외기를 받아들이기 위해 흡기관 16의 흡기 구 15를 부착한다. 흡기관 16의 선단부로부터 빗물이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습기나 먼지는 차단하는 역 침투 막으로 보호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한다. 그 외에, 구두 내부에 공기를 출입시키기 위한 흡기구 및 배기구에 대해서는, 전문적으로는 많은 방법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지만, 이것은 구두의 제조 메이커의 문제이며, 본 발명에 관해서는, 일례로써 구두의 발바닥 장심부를 상정하였다.
전술한 대로, 보행을 반복함으로써, 펌프 본체 13의 공기의 흐름은, 흡기관 16 내부에 부착한 역지변 12의 개폐와 반대작용을 하는 배기관 17 내부에 부착시킨 역지변 14의 작용에 의해서, 펌프 본체 13을 가동시키면(보행을 계속하면), 계속적으로 구두 내부의 선단부에 신선한 공기를 송풍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역지변을 채용한 펌프를 구두의 발꿈치 부분에 장착하여, 공기의 유입이 곤란한 구두 내부의 선단 부분에, 신선한 공기를 바꿔 넣을 수가 있다.
전술했지만, 본 발명의 역지변 펌프는 스포츠 선수가 신는 각종 슈즈, 공사 현장이나 공장 등에서 장착이 의무 지워져 있는 안전화나, 자위대원이 장착하고 있는 군화, 디자인을 우선시하는 여성이 신는 부츠 및 디자인 장화, 조리장의 흰 장화나 어시장에서 신는 고무 장화 등등 일일이 다 열거할 수 없다.
이러한 신발은, 모두 신발 내부의 선단 부분에 공기가 체류하여, 악취를 발 하거나, 무좀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역지변의 발명에 의해서, 이러한 신발을 신는 사람들의 보행 시에, 발가락에 상쾌감을 주고, 악취로 인한 불쾌감이나 무좀의 원인을 경감할 수가 있으며, 신발을 신는 모든 인간사회에 공헌할 수 있다.
또, 고무풍선에 공기를 주입할 경우에, 고무풍선을 입에 물고 부풀릴 때에, 부풀기 시작한 풍선의 내압으로 인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지변으로서, 고무풍선 공기 주입기를 원통 관으로 만들어, 그 관의 내부에 본 발명의 역지변을 장착하면, 폐활량이 적은 아동이라도, 쉽게 고무풍선을 부풀릴 수 있다.
그 외에, 심장의 인공 혈류변이나 의료관계뿐 아니라, 다양한 유체의 역류방지를 위한 역지변으로서 공헌할 수 있을 것을 확신한다.
도 1은 관의 절단각도를 나타내는 그림
도 2는 절단한 관의 단면을 나타낸 그림
도 3은 박막 역지변의 형상을 나타내는 그림
도 4는 유연성이 있는 박막 역지변을 부착한 그림
도 5는 유연성이 있는 박막 역지변의 동작도
도 6은 역지변이 달린 펌프를 부착한 구두의 양면 단면도
도 7은 역지변이 달린 펌프를 부착한 구두를 상부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의 절단각도
2: 관의 절단면
3: 약 삼각형상의 박막
4: 롤 상으로 정형한 박막 역지변
5: 박막 연지 변의 선단 부
6: 유입하는 기체의 방향
7: 배출되는 기체의 방향
8: 역류해 온 기체의 방향
9: 박막 역지변의 반전하는 방향
10: 반전한 박막 역지변
11: 차단된 기체의 방향
12: 구두 내부에 붙인 흡기관 내의 박막 역지변
13: 구두의 발뒤꿈치에 장착한 펌프
14: 배기관 내부의 박막 역지변
15: 역 침투 막의 공기 취입구
16: 구두 내부에 부착시킨 흡기관
17: 구두 내부에 부착시킨 배기관

Claims (4)

  1. 원통 관의 내부에, 유연성이 있는 박막의 롤 상의 밸브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지변.
  2. 약 삼각형상의 역지변을 3각형의 2 변에 의해 원통 관의 내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역지변.
  3. 구두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출입시키는 흡기관과 배기관과 펌프를 설치하여, 전기 흡기관과 전기 배기관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역지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4. 심장의 인공 혈류 및,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역지변.
KR1020090067823A 2008-08-01 2009-07-24 박막을 이용한 역지변 및 이를 장착한 구두 KR101175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20462 2008-08-01
JP2008220462 2008-08-01
JPJP-P-2009-171619 2009-06-30
JP2009171619A JP4648472B2 (ja) 2008-08-01 2009-06-30 逆止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132A true KR20100014132A (ko) 2010-02-10
KR101175557B1 KR101175557B1 (ko) 2012-08-21

Family

ID=4207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823A KR101175557B1 (ko) 2008-08-01 2009-07-24 박막을 이용한 역지변 및 이를 장착한 구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48472B2 (ko)
KR (1) KR101175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8508B1 (fr) * 2010-04-13 2012-06-01 Decathlon Sa Premiere pour article chaussant
CN104500384A (zh) * 2014-12-14 2015-04-08 曾宪雄 隔膜泵的排出阀片
CA2989622A1 (en) * 2015-06-18 2016-12-22 Peca Labs, Inc. Valved conduit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02A (ja) * 1993-05-12 1995-01-27 Fukuoka Kagaku Kogyo Kk 換気靴
US5480424A (en) * 1993-11-01 1996-01-02 Cox; James L. Heart valve replacement using flexible tubes
US6641610B2 (en) * 1998-09-10 2003-11-04 Percardia, Inc. Valve designs for left ventricular conduits
SE522313C2 (sv) * 2000-01-04 2004-02-03 Mats Persson Sätt och anordning för åstadkommande av envägsflöde
JP2005264973A (ja) * 2004-03-16 2005-09-29 Tokai Rubber Ind Ltd 逆流防止機能付きホ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54047A (ja) 2010-03-11
JP4648472B2 (ja) 2011-03-09
KR101175557B1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403B2 (en) Sole construction having an air pumping device
US20160029740A1 (en) Shoe Having Active Air Ventilation
KR20100014132A (ko) 역지변
US8978164B2 (en) Wader pants system with inflatable membranes
JPH01262801A (ja) 単流空気吹き込み靴及び単流空気吹き込み中敷
CN103462303B (zh) 换气鞋
KR20060078178A (ko)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CN109452727A (zh) 安全舒爽型卫生鞋
US10667573B2 (en) Ventilative sole structure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KR200313423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248615Y1 (ko) 공기 순환식 신발 깔창
KR20090005895U (ko) 환기구조와 경사면을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19980056220U (ko) 통기방향 가변형 통풍식 신발
ITVI20100290A1 (it) Suola per calzature perfezionata atta a consentire lo scambio termico tra almeno una zona del piede in appoggio alla suola e l'ambiente esterno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KR200372085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용 깔창
KR20180002700U (ko) 공기 순환용 체크 밸브가 장착된 신발
JP2597325B2 (ja) シューズ
JP3121380U (ja) 強制換気靴
JP3151107U (ja) 履物用むれ防止機構
KR200426111Y1 (ko) 통풍장치가 구비된 신발창
RU2664657C2 (ru)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обуви "валентина" (модификации - "валентина 2", "валентина 3", валентина 4", "валентина 5", "валентина 6")
KR20070042434A (ko) 공기순환 신발
KR200235956Y1 (ko) 발등부분에 튜브가 내장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