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305A -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305A
KR20100013305A KR1020090136167A KR20090136167A KR20100013305A KR 20100013305 A KR20100013305 A KR 20100013305A KR 1020090136167 A KR1020090136167 A KR 1020090136167A KR 20090136167 A KR20090136167 A KR 20090136167A KR 20100013305 A KR20100013305 A KR 20100013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lbow
faucet
fixtur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249B1 (ko
Inventor
근 기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to KR102009013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2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함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은 개폐 밸브(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엘보관체(20)가 삽입 체결되는 요입부(11)와, 체결볼트(40)가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 돌출부(12)를 구비한 고정구(10)와; 일측은 배관(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구(10)의 요입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오링(22)과, 오링(22)이 체결되도록 홈이 형성된 오링홈(23)과, 체결볼트가 요입 고정되는 체결핀홈(24)을 구비한 엘보관체(20)와; 돌출부(12)의 관통공(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엘보관체(20)의 체결핀홈(24)에 요입 고정되어 엘보관체(20)를 고정구(10)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로 이루어지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이 결합된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가압하여 삽입한 후 체결볼트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수전함의 배관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배관 연결작업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다.
수전함, 배관, 고정구, 엘보관체, 체결볼트.

Description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Pipe in Pipe System}
본 발명은, 수전함의 배관을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이 결합된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가압하여 삽입한 후 체결볼트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수전함의 배관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배관 연결작업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배관을 통해서 냉수 또는 온수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건축물 내부의 주방 또는 화장실로 공급되고 있다.
한편, 화장실과 주방의 냉온수 사용 위치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수전함을 통해서, 냉온수를 공급하는 배관을 연결되고, 냉수와 온수가 분배하여 사용된다. 여기서, 수전함은 건축물의 내벽에 매립되거나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수전함 내부로 냉수 배관 및 온수 배관이 각각 연결되어 결합되고, 개폐 밸브를 통해서 각 배관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종래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는, 엘보관체의 양측에 볼트부와 너트부 를 형성하고, 양측의 볼트부와 너트부를 이용하여 배관을 상호 체결시켜 고정한다.
하지만, 종래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부를 회전시켜 체결하기 때문에, 배관의 연결 작업 및 이음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연결 작업 시간 및 이음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 벽면에 설치된 수전함 배관의 체결 작업 공간이 비교적 협소하여 배관의 연결 작업 및 이음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신속하고 편리한 배관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관이 결합된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가압하여 삽입한 후 체결볼트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수전함의 배관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배관 연결작업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전함의 배관을 연결하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은 개폐 밸브(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엘보관체(20)가 삽입 체결되는 요입부(11)와, 체결볼트(40)가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 돌출부(12)를 구비한 고정구(10)와; 일측은 배관(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10)의 요입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오링(22)과, 상기 오링(22)이 체결되도록 홈이 형성된 오링홈(23)과, 상기 체결볼트가 요입 고정되는 체결핀홈(24)을 구비한 엘보관체(20)와; 상기 돌출부(12)의 관통공(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엘보관체(20)의 체결핀홈(24)에 요입 고정되어 엘보관체(20)를 상기 고정구(10)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로 이루어지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엘보관체(20)는, 상기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22)과, 상기 오링(22)에 상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홈(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엘보관체(20)에 결합되는 배관(2)은 냉온수 배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이 결합된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체결볼트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이 결합된 엘보관체를 고정구에 가압하여 삽입함으로써, 수전함의 배관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배관 연결작업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는 고정구(10)와, 엘보관체(20)와, 체결볼트(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구(10)와, 엘보관체(20)와, 체결볼트(40)를 구체적으로 상술하고자 한다.
고정구(10)는 수전함의 내측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구(10)의 일측은 개폐 밸브(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고정구(10)의 타측에는 엘보관체(20)가 삽입 체결되는 요입부(11)와, 후술하는 체결볼트(40)가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 돌출부(12)가 구비된다.
엘보관체(20)의 일측은 배관(20), 즉 냉온수 배관(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엘보관체(20)의 타측에는 고정구(10)의 요입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오링(22)과, 오링(22)이 체결되도록 홈이 형성된 오링홈(23)과, 체결볼트(40)가 요입 고정되는 체결핀홈(24)이 구비된다.
한편, 엘보관체(20)의 오링(22) 및 오링홈(23)은,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22), 및 오링(22)에 상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홈(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22) 및 오링홈(23)은 고정구(10)의 요입부(11)와 엘보관체(20)의 삽입부(21)의 체결 내부에서의 냉온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수전함을 구성하는 구소 요 소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엘보관체(20)의 가압에 의해서, 엘보관체(20)의 삽입부(21)가 고정구(10)의 요입부(11)에 간편하게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볼트(40)는 고정구(10)의 돌출부(12)의 관통공(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관통 체결 후, 엘보관체(20)의 체결핀홈(24)에 요입 고정되어 엘보관체(20)를 고정구(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즉, 체결핀홈(24)으로의 체결볼트(40)의 삽입에 의해서 고정구(10)에 엘보관체(20)를 고정시킴으로써, 수전함 배관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볼트(40)에 의해서 고정구(10)와 엘보관체(20)를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배관(20)이 조립 결합된 엘보관체(20)를 고정구(10)에 편리하고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전함 배관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관(2)이 결합된 엘보관체(20)를 고정구(10)에 가압하여 삽입한 후 체결볼트(40)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엘보관체(20)를 고정구(1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수전함의 배관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배관 연결작업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함 배관 연결 구조는, 수전함 배관의 연결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상하수도 연결배관, 또는 다양한 플랜트 배관의 연결 구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에 결합되는 엘보관체를 보다 확장하여 직선형 또는 분기형의 이음관 및 연결관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 11 : 요입부
12 : 돌출부 12a : 관통공
20 : 엘보관체 21 : 삽입부
22 : 오링 23 : 오링홈
24 : 체결핀홈 40 : 체결볼트

Claims (3)

  1. 수전함의 배관을 연결하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전함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일측은 개폐 밸브(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엘보관체(20)가 삽입 체결되는 요입부(11)와, 체결볼트(40)가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된 돌출부(12)를 구비한 고정구(10)와;
    일측은 배관(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구(10)의 요입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21)와, 상기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오링(22)과, 상기 오링(22)이 체결되도록 홈이 형성된 오링홈(23)과, 상기 체결볼트가 요입 고정되는 체결핀홈(24)을 구비한 엘보관체(20)와;
    상기 돌출부(12)의 관통공(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엘보관체(20)의 체결핀홈(24)에 요입 고정되어 엘보관체(20)를 상기 고정구(10)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로 이루어지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관체(20)는,
    상기 요입부(11)와 삽입부(21)의 체결 내부를 밀폐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22)과, 상기 오링(22)에 상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오링홈(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관체(20)에 결합되는 배관(2)은 냉온수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KR1020090136167A 2009-12-31 2009-12-31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KR10100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67A KR101002249B1 (ko) 2009-12-31 2009-12-31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67A KR101002249B1 (ko) 2009-12-31 2009-12-31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035A Division KR100959258B1 (ko) 2007-09-13 2007-09-13 수전함의 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305A true KR20100013305A (ko) 2010-02-09
KR101002249B1 KR101002249B1 (ko) 2010-12-20

Family

ID=4208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67A KR101002249B1 (ko) 2009-12-31 2009-12-31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770A (ko)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252681B1 (ko) * 2019-12-16 2021-05-17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 수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962Y1 (ko) * 1999-12-14 2000-05-15 변순생 호오스 조인트
KR200366678Y1 (ko) * 2004-07-30 2004-11-09 주식회사 롯데기공 관 연결용 고정핀
KR100752522B1 (ko) 2006-02-16 2007-08-29 박동호 배관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770A (ko) * 2019-10-29 2021-05-10 한 의 박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102252681B1 (ko) * 2019-12-16 2021-05-17 대림통상 주식회사 싱크대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249B1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59134A1 (en) Water Manifold System And Method
KR200391276Y1 (ko) 관이음 구조
KR101002249B1 (ko)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US20100170577A1 (en) Separable faucet using plastic control valve
US20100170578A1 (en) Separable faucet
KR101694386B1 (ko) 다기능 플러그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68247B1 (ko) 스펙터클 블라인드 밸브
US20190128466A1 (en) Pipe Liner Re-Flaring System and Method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100854469B1 (ko) 급수 분기구
KR100959258B1 (ko) 수전함의 배관 연결구조
KR100840148B1 (ko) 분기밸브
DE50301932D1 (de) Formschlüssige Verbindung des Anschlussstücks einer Rohrleitung
US20130269794A1 (en) Shower and tub fixture insert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GB2456463A (en) Mains water meter
JP2007247170A (ja) 消火設備の配管接続装置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KR20100012451A (ko)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KR100278579B1 (ko)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CN216895895U (zh) 一种暗装式入墙龙头
CA2648413A1 (en) Separable faucet using plastic control valve
JPH051750Y2 (ko)
CN205560042U (zh) 一种高强度钢管连接件
CN109000017A (zh) 一种组合式的水龙头集水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