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451A -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451A
KR20100012451A KR1020080073843A KR20080073843A KR20100012451A KR 20100012451 A KR20100012451 A KR 20100012451A KR 1020080073843 A KR1020080073843 A KR 1020080073843A KR 20080073843 A KR20080073843 A KR 20080073843A KR 20100012451 A KR20100012451 A KR 2010001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ucet
pipe
open cove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710B1 (ko
Inventor
이용춘
근 기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피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피,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피
Priority to KR102008007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7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03C1/023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with flow distribution, e.g. diver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오픈커버의 배면측에서 끼움결합한 뒤 체결핀을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회전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배관연결시 각도전환을 위하여 동관을 휘거나 연결관과 결합시 확관후 조임하는 작업을 개선하여 오링이 끼워진 배관을 연결관에 삽입후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를 이용하여 압착고정되되 엘보우연결관의 길이 내에서 배관의 유격이 가능하여 최대인출후 결합하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 소재의 오픈커버를 외관 손상없이 오픈커버의 두께에 무관하게 수전, 다이버터 및 레버의 위치를 정밀히 배열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링 형상의 부쉬를 볼트에 끼워 오픈커버를 고정시킴으로 외관 손상이 없고 상기 부쉬에 고정구캡을 나결시켜 마감함으로 미려한 외관과 물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탈부착이 견고하고 용이하며 배관 및 오픈커버의 손상없이 고정이 가능한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냉온수관이 유입되어 수전으로 공급 및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 배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하나 이상의 오링이 결합되고 체결홈이 형성되는 삽입부가 구비된 엘보우연결관과, 일측은 오픈커버의 관통공을 통하여 수전 등과 나사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의 삽입부가 삽입결합되며 체결홈에 내접되도록 통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좌우측으로 신장되는 플렌지부가 형성되는 연결관결합구와, 일측은 체결공에 삽입되고 타측은 호형으로 절곡되어 탄성으로 엘보우연결관과 밀착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 절곡된 핀 형상의 체결핀을 포함하여 탈착이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이루는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엘보우연결관의 배관과 연결되는 일측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숫나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육각너트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조인트를 구비하여 오링이 끼워진 황동관을 엘보우연결관에 삽입하고 조인트로 나사결합시켜 오링의 단면형상 변형으로 배관과 결합되되 배관의 양단에 엘보우연결관을 외측으로 최대로 밀어 결합시키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연결관고정구는 수전 등과 연장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나결된 뒤 수전 등의 위치를 손으로 정렬하고 플렌지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 밀착고정되는 오픈커버의 체결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오픈커버는 납작한 링 형상의 부쉬를 끼운 고정구로 결합되되 상기 고정구는 나결되는 고정구캡으로 마감되어 외관 손상을 방지하고 물 유입을 차단하여 고품질의 마감을 유지할 수 있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수전함, 엘보우연결관, 연결관고정구, 체결핀, 조인트, 부쉬, 고정구캡

Description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SYSTEM OF PIPING STRUCTURE AND FIXING STRUCTURE OF BUILT-IN FAUCET UNIFIED WITH OPEN COVER OF HOT AND COLD WATER SERVICE BOX}
본 발명은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커버의 배면측에서 끼움결합한 뒤 체결핀을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회전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배관연결시 각도전환을 위하여 동관을 휘거나 연결관과 결합시 확관후 조임하는 작업을 개선하여 오링이 끼워진 배관을 연결관에 삽입후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를 이용하여 압착고정되되 엘보우연결관의 길이 내에서 배관의 유격이 가능하여 최대인출후 결합하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 소재의 오픈커버를 외관 손상없이 오픈커버의 두께에 무관하게 수전, 다이버터 및 레버의 위치를 정밀히 배열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링 형상의 부쉬를 볼트에 끼워 오픈커버를 고정시킴으로 외관 손상이 없고 상기 부쉬에 고정구캡을 나결시켜 마감함으로 미려한 외관과 물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탈부착이 견고하고 용이하며 배관 및 오픈커버의 손상없이 고정이 가능한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 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 연질관은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로 유도되고, 상기 분배기로부터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보내져 냉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관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것은 건식벽체에서 사용되는 배관구조이나, 예전에는 국내에서 습식벽체에도 이와 동일한 구조의 배관을 설치하였었다. 이와같은 구조의 배관을 습식에 설치하게 되면, 유지보수 발생시 벽체를 모두 뜯어내고 보수후 다시 재공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전과 온도유량조절레버 등의 수직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그 때에도 벽체를 파손후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마감두께가 일정치 않아 자칫 두껍게 시공되면 벽체 또는 타일이 수전을 덮어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이용춘)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허등록 제559161호 "벽체매립형 수전함"에서 상기 각 수요처에서는 냉온수 연질관이 유입되어 전방의 수전 등을 통하여 급수하고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토록 연결되는 배관이 내설되며 오픈커버가 탈부착되는 오픈커버를 갖는 습식벽체용 수전함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이근기)의 특허출원 제2007-93035호 "수전함의 배관 연결구조"에 기재한 바와 같은 배관연결구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도 벽체 두께가 일정치 않아 타일마감을 하게 되면 매설배관으로부터 수전까지 깊이가 변경되고 이러한 변경에 따른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의 벽체매립형 수전함 중 욕조에 구비되는 수전함(1)은, 판형의 오픈커버(11)의 전면 일측에 수온 및 유량을 조절하는 온도유량조절레버(15)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욕조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수전(Spout)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욕조 수전과 샤워기 중 택일하여 냉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다이버터(Diverter)가 구비되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들의 배관을 위하여 종래에는 오픈커버(11)의 배면 중앙에 직육면체의 다이버터 본체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그 좌우측으로 플렉시블한 냉온수 연질관이 각각 결합되는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100)와 욕조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수전용 결합구(110)가 육각너트 모양을 형성하여 나결되며, 상기 다이버터 본체와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100)와 수전용 결합구(110)는 상호간에 자유곡선으로 휘어진 동관(120)으로 배관되되 육각볼트(130)로 죄어져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도 3과 같은 배관연결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도 3과 같이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100)와 수전용 결합구(110)의 위치가 오픈커버(11)의 두께 및 죄는 힘의 정도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고정 됨으로 고정후 위치가 일정치 않아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100)의 경우 냉온수 연질관과의 결합공과 다이버터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통공의 위치가 회전으로 변경됨에 따라 휨작업이 용이한 동관(120)만을 사용해야 함으로 동관 휨작업시 동관이 꺽어지고 갈라지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어 자재비 상승 요인이 되고 이음부 누수발생의 원인이 되어왔다.
둘째, 상기와 같은 이유로 오픈커버(11)의 전면에 고정되는 온도유량조절레버(15)와 다이버터(14)와 수전(13)의 위치가 오픈커버(11)의 두께 및 죄는 힘의 정도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됨으로 이를 맞추어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이 매우 곤란하며, 흔들림없이 고정시키기 위하여 죄는 힘을 강하게 하면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으로 제조된 오픈커버(11)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동관(120)의 결합시 확경후 내경에 결합부위를 삽입하고 외측에서 육각너트(130)로 조여 결합시킴으로 동관(120)의 재사용이 불가하였다. 또한, 결합구와 체결되는 플렉시블 호스(140)도 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엘보우형상의 연결관이 결합구에 결합시 육각너트를 돌려 고정시키는 것으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넷째, 상기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100)와 상기 수전용 결합구(110)의 고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연장을 사용해야 하고 동관(120) 및 플렉시블 호스(140)는 육각너트(130)를 풀어서 해체하여야 하므로 배관의 시공 및 보수를 위한 해체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다섯째, 오픈커버(11)를 함체(12)에 고정시 사용되는 볼트에 의해 외관이 손 상되어 상품가치가 소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오픈커버의 배면측에서 끼움결합한 뒤 체결핀을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회전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배관연결시 각도전환을 위하여 동관을 휘거나 연결관과 결합시 확관후 조임하는 작업을 개선하여 오링이 끼워진 황동관을 연결관에 삽입후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를 이용하여 압착고정되되 엘보우연결관의 길이 내에서 배관의 유격이 가능하여 배관간격이 변경되어도 최대인출후 결합하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 소재의 오픈커버를 외관 손상없이 오픈커버의 두께에 무관하게 수전, 다이버터 및 레버의 위치를 정밀히 배열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링 형상의 부쉬를 볼트에 끼워 오픈커버를 고정시킴으로 외관 손상이 없고 상기 부쉬에 고정구캡을 나결시켜 마감함으로 미려한 외관과 물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탈부착이 견고하고 용이하며 황동관 및 오픈커버의 손상없이 고정이 가능한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관 구조로 외부관이 함체의 둘레 면에 커넥터로 결합되고 외부관을 통하여 박스내부로 내부관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고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건축마감후 노출되도록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절곡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배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 금속재의 엘보우연결관(20)과;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밀착결합되도록 연결공(3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연결공(31)에 결합시 체결홈(212)에 내접하게 통공되도록 연결공(3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어 금속재의 연결관결합구(30)와; 전체적으로 다수번 절곡된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관결합구(30)의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의 체결홈(212)에 요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을 고정결합시키고, 타측은 호형으로 절곡되되 단부가 상기 일측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결공(32)에 삽입시 호형으로 절곡된 호형절곡부(41)가 탄성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 엘보우연결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형절곡부(4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걸림부(42)가 형성되는 체결핀(40);을 포함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 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일측에 연결되는 배관은, 일측단의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 플렉시블 호스가 체결공(32)에 결합되어 체결핀(40)으로 고정됨으로 체결공(32)간의 간격이 가까워도 결합 및 분리가 쉽고 삽입부(21)가 360도 회전되므로 플렉시블 호스 꺾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관 구조로 외부관이 함체의 둘레면에 커넥터로 결합되고 외부관을 통하여 박스내부로 내부관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고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건축마감후 노출되도록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일체형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절곡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되고 타측은 소정길이 신장되어 배관과 결합되도록 암나사부(22)가 형성된 금속재의 엘보우연결관(20)과;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밀착결합되도록 연결공(3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연결공(31)에 결합시 체결홈(212)에 내접하게 통공되도록 연결공(3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체결 공(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연결관결합구(30)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에 대응되는 숫나사부(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육각너트부(52)가 형성된 링 형상의 조인트(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5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소정길이의 황동관(53)의 단부에 상기 조인트(50)와 오링(80)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에 오링(80)이 끼워진 황동관(53)의 단부를 삽입후 조인트(50)의 숫나사부(51)와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를 나사결합시키면 양측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오링(80)의 단면형상이 증가되면서 황동관(53)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가 형성된 타측 길이만큼 슬라이딩 가능한 황동관(53)의 유격이 형성됨으로 황동관(53)의 양단에 결합된 엘보우연결관(20)을 최대로 인출하여 고정시 양단의 엘보우연결관(20)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질관이 유입되어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 및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배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연결관결합 구(3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관결합구(30)는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가 오픈커버(11)에 밀착되도록 연장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나사결합시킨 뒤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의 위치를 손으로 정렬하고 플렌지부(33)의 2개 이상의 볼트공(331)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밀착고정되어 오픈커버의 두께변화와 무관하게 밀착결합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질관이 유입되어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 및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모서리부에 호형 장공이 형성되어 수직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픈커버(11)는 호형 장공(1a)을 통하여 오픈커버(11)를 함체(12)와 고정시키는 볼트형상의 고정구(60)와, 납작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이되 내경이 상기 고정구(60)의 외경에 대응토록 형성되는 부쉬(61)와, 상기 부쉬(61)의 숫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배면측 홈의 내경에 형성되는 고정구캡(62)을 이용하여, 호형장공(1a)의 틈새로 물 유입을 방지하고 보수시 플렉시블 호스에 의해 오픈커버(11)가 매달린 채 개방하여 보수할 수 있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오픈커버의 배면측에서 끼움결합한 뒤 체결핀을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회전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배관연결시 각도전환과 이음간격에 정밀하게 맞추어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관을 휘거나 연결관과 결합시 확관후 조임하는 작업을 개선하여 오링이 끼워진 배관을 연결관에 삽입후 배관간격을 슬라이딩하여 길이를 조절하고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를 이용하여 압착고정되되 엘보우연결관의 길이 내에서 배관의 유격이 가능하여 최대인출후 결합하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 소재의 오픈커버의 외관 손상 없이 오픈커버의 두께에 무관하게 수전, 다이버터 및 레버의 위치를 정밀히 배열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링 형상의 부쉬를 볼트에 끼워 오픈커버를 고정시킴으로 외관 손상이 없고 상기 부쉬에 고정구캡을 나결시켜 마감함으로 미려한 외관과 물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탈부착이 견고하고 용이하며 황동관 및 오픈커버의 손상없이 고정이 가능한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은 종래의 욕조용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보이는 정면 및 배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보이는 정면 및 배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연결관결합구가 체결핀에 의해 잠김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오링과 조인트를 이용하여 황동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오링과 조인트를 이용한 배관 연결시 유격상태를 보이는 예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오링과 조인트를 이용하여 연결관결합구에 체결시 압력을 부가하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이고, 도 8,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결합구와 수전을 오픈커버에 일체로 결합체결하는 과정을 보이는 개략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에 탈부착이 가능한 플렉시블호스를 체결하는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커버 일체형 벽체 매립수전의 체결구조를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13 은 수전함을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개선된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 체결구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는 엘보우연결관(20)과 연결관결합구(30)와 체결핀(40)과 조인트(50)로 구성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은 전체적으로 절곡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배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결합구(30)는 일측이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밀착결합되도록 연결공(3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연결공(31)에 결합시 체결홈(212)에 내접하게 통공되도록 연결공(3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되어 오픈커버(11)의 배면측에서 고정시 사용되는 플렌지부(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핀(40)은 전체적으로 다수번 절곡된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관결합구(30)의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의 체결홈(212)에 요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을 고정결합시키고, 타측은 호형으로 절곡되되 단부가 상기 일측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결공(32)에 삽입시 호형으로 절곡된 호형절곡부(41)가 탄성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 엘보우연결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형절곡부(4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걸림부(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50)는 링 형상이되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에 대응되는 숫나사부(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육각너트부(5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일측에 연결되는 배관은, 일측단의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 오픈커버(11)의 체결구조는 연결관결합구(30)의 플렌지부(33)와 고정구(60)와 부쉬(61)와 고정구캡(62)으로 구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결합구(30)의 플렌지부(33)는 연결관결합구(30)의 몸체의 중앙부에서 좌우측으로 원판형 또는 바형(BAR)으로 신장되도록 형성되고 이를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공(33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결합구(30)가 오픈커버(11)의 배면측으로부터 관통공(1b)에 삽입시 관통공(1b)에 접근되어 위치되게 된다.
또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60)는 접시머리 또는 납작머리등의 머리를 갖는 볼트로서, 오픈커버(11)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호형장공(1a)을 통하여 함체(12)에 오픈커버(11)를 나사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이다.
또한, 상기 부쉬(61)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납작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이되 내경이 상기 고정구(60)의 외경에 대응토록 형성되어, 금속재의 고정구(60)가 직접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으로 제작된 오픈커버(11)를 가압하거나 설치후 수전의 무게가 오픈커버에 전달되어 호형장공(1a) 부근에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캡(62)은 부쉬(61)의 숫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배면측 홈의 내경에 형성되어, 부쉬(61)에 손으로 나사결합시켜 결합시킨다. 상기 고 정구캡(62)은 오픈커버(11)의 재질 및 색상과 동일하게 코팅되어 고급스러운 마감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고정구(60)의 볼트머리에 비하여 고정구캡(6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호형장공(1a)으로 인하여 물이 수전함(1)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먼저, 도 5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절곡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배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 금속재의 엘보우연결관(20)을 제조한다.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은 합성수지관, 동관 또는 황동관 등의 배관(53)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배관(53)이 체결될 수 있도록 내경에 암나사부(22)가 형성되도록 제작한 것과, 플렉시블 호스(70)의 삽입부(7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형성된 것으로 제작한다.
다음,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 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밀착결합되도록 연결공(3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연결공(31)에 결합시 체결홈(212)에 내접하게 통공되도록 연결공(3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연결관결합구(30)를 제조한다.
상기 연결관결합구(30)는 온도유량조절레버(15)와 결합되는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30c)와 다이버터(14)와 결합되는 다이버터용 결합구(30b)와 수전(13)과 결합되는 수전용 결합구(30a)를 제조한다.
상기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30c)는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연결공(31)이 3개가 형성되되, 2개는 냉수용 연질관과 온수용 연질관이 유입되는 연결공(31a)(31b)이고 나머지 하나는 온도유량조절레버(15)에 의해 혼합된 물의 공급을 위한 연결공(31c)이다.
상기 다이버터용 결합구(30b)도 연결공(31)이 3개 형성되되, 하나는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30c)로부터 공급되는 혼합된 물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공(31d)이고, 다른 하나는 공급받은 물을 수전(13)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공(31e)이며, 나머지 하나는 샤워기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공(31f)이다.
상기 수전용 결합구(30a)는 연결공(31)이 1개 형성되되, 상기 다이버터용 결합구(30b)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공(31g)이다.
다음, 전체적으로 다수번 절곡된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관 결합구(30)의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의 체결홈(212)에 요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을 고정결합시키고, 타측은 호형으로 절곡되되 단부가 상기 일측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체결공(32)에 삽입시 호형으로 절곡된 호형절곡부(41)가 탄성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 엘보우연결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형절곡부(4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걸림부(42)가 형성되는 체결핀(40)을 제조한다.
다음,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에 대응되는 숫나사부(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육각너트부(52)가 형성된 링 형상의 조인트(50)를 제조한다.
다음, 상기 오픈커버(11)를 함체(1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60)와 부쉬(61)와 고정구캡(62)을 제조하되, 상기 고정구(60)는 접시머리 또는 납작머리로 된 볼트이고, 상기 부쉬(61)는 납작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이되 내경이 상기 고정구(60)의 외경에 대응토록 형성되어 고정구(60)가 부쉬(61)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구캡(62)은 상기 부쉬(61)의 숫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배면측 홈의 내경에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제조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전함의 배관연결과정 및 수전함 오픈커버의 체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으로 제조된 오픈커버(11)에 형성된 온도유량조절레버, 다이버터, 수전을 위한 관통공(1b)에 전면에는 온도유량조절레 버 등을 위치시키고 배면에는 연결관결합구(30)를 놓고 서로 나사결합시키되 연장이 아닌 손으로 할 수 있는 정도만 결합시킨다. 이 때 연장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만 결합시킨 것이기에 연결관결합구(30)의 플렌지부(33)는 오픈커버(11)의 배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위치된다.
다음, 오픈커버(11)에 결합된 온도유량조절레버, 다이버터, 수전의 위치를 손으로 정렬하고 연결관결합구(30)의 플렌지부(33)에 구비된 볼트공(331)에 2개의 볼트를 체결함으로 밀착고정시킨다.
다음, 위치고정된 연결관결합구(30)의 연결공(31) 중 온도유량조절레버 결합구(30c)와 다이버터용 결합구(30b)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공(31c)(31d)들에는 조인트(50)와 결합되는 엘보우연결관(20)에 2개의 오링(80)을 끼운 황동재질의 배관(53)을 삽입하고 조인트(50)와 손으로 적당히 나사결합시켜 길이를 조절하여 삽입결합시킨다.
이 때 황동재질의 배관(53)의 양단에 결합된 엘보우연결관(20)의 길이가 온도유량조절레버 결합구(30c)와 다이버터용 결합구(30b)의 연결공들 사이의 길이와 대등하게 조절하여 삽입결합시키고,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가 형성된 타측 길이만큼 슬라이딩 가능한 배관(53)의 유격이 형성됨으로 배관(53)의 양단에 결합된 엘보우연결관(20)을 최대로 인출하여 고정시 양단의 엘보우연결관(20)이 연결관결합구(30)의 연결공들(31c)(31d)을 외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되면서 고정되어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조인트(50)의 숫나사부(51)와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를 나사 결합시키면 양측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오링(80)의 단면형상이 증가되면서 배관(53)에 밀착결합되게 된다.
다음, 상기 온도유량조절레버 결합구(30c)와 다이버터용 결합구(30b)에 엘보우연결관(20)을 결합시키는 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다이버터용 결합구(30b)와 수전용 결합구(30a)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공들에 엘보우연결관(20)을 결합시킨다.
다음, 상기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30c)의 연결공 중 냉수용 및 온수용 연질관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들과 다이버터용 결합구(30b)의 연결공 중 남은 하나에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되는 엘보우연결관(20)을 삽입결합시킨 뒤, 플렉시블 호스(70)의 삽입부(71)를 엘보우연결관(2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플렉시블 호스(70)의 타측단도 냉수용 및 온수용 연질관과 샤워기용 연질관을 연결한다.
다음, 상기 각 연결관결합구(30)의 각 체결공(32)에 체결핀(40)을 삽입하되 동시에 타측 호형절곡부(41)가 엘보우연결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지게 삽입한다. 상기 금속재 체결핀(40)이 삽입되면 금속재 연결관결합구(30)의 체결공(32)과 금속재 엘보우연결관(20)의 체결홈(212)에 동시에 삽입되므로 체결핀(40)을 다시 빼지 않는 한 강한 힘을 가해도 결코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부쉬(61)가 삽입된 고정구(60)를 이용하여 상기 오픈커버(11)의 호형장공(1a)에 삽입하여 함체(12)와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고정구(60)는 회전하지만 부쉬(61)는 함께 회전하지 않고 오픈커버(11)와 밀착결합되어 오픈커버(11)의 외관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렇게 다수 개의 고정구(60)를 모두 고정하되 오픈커버(11)의 수평수직 위치가 잘 배치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 고정된 고정구(60)의 부쉬(61)에 고정구캡(62)을 손으로 돌려 나사결합시킨다. 이로써 마감이 완료되는 것이다.
보수시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구캡(62)을 손으로 돌려 제거하고 드라이버 등의 연장을 이용하여 고정구(60)와 부쉬(61)를 제거하여 오픈커버(11)를 개방한다.
다음, 개방된 오픈커버(11)의 배면측의 보수하고자 하는 연결관결합구(3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핀(40)을 연장으로 빼되, 체결핀(40)의 돌출된 걸림부(42)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잡아뺀다.
다음, 상기 체결핀(40)이 빠진 엘보우연결관(20)이 연결관결합구(3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황동관(53)이 결합된 것이라면, 연장을 이용하여 조인트(50)를 풀어 후퇴시킨 뒤 전방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체결핀(40)이 빠진 엘보우연결관(20)이 플렉시블 호스(70)와 연결된 것이라면 그냥 전방으로 당기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타측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70) 또는 배관(53)을 빼내어 보수작업을 하게 된다.
보수가 해결된 후 재결합시키는 방법은 설치시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150은 다이버터용 결합구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오픈커버의 배면측에서 끼움결합한 뒤 체결핀을 삽입하는 작업만으로 회전가능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되고, 배관연결시 각도전환을 위하여 동관을 휘거나 연결관과 결합시 확관후 조임하는 작업을 개선하여 오링이 끼워진 배관을 연결관에 삽입후 나사결합되는 조인트를 이용하여 압착고정되되 엘보우연결관의 길이 내에서 배관의 유격이 가능하여 최대인출후 결합하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스테인리스 또는 크롬도금된 동판 소재의 오픈커버의 외관 손상없이 오픈커버의 두께에 무관하게 수전, 다이버터 및 레버의 위치를 정밀히 배열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링 형상의 부쉬를 볼트에 끼워 오픈커버를 고정시킴으로 외관 손상이 없고 상기 부쉬에 고정구캡을 나결시켜 마감함으로 미려한 외관과 물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 및 작업의 효율성이 높으며 탈부착이 견고하고 용이하며 황동관 및 오픈커버의 손상없이 고정이 가능한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 및 오픈커버의 체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욕조용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보이는 정면 및 배면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보이는 정면 및 배면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전함의 배관연결구조를 보이는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연결관결합구가 체결핀에 의해 잠김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오링과 조인트를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오링과 조인트를 이용한 배관 연결시 유격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과 오링과 조인트를 이용하여 연결관결합구에 체결시 압력을 부가하는 상태를 보이는 개략도
도 8,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결합구와 수전을 오픈커버에 체결하는 과정을 보이는 개략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보우연결관에 탈부착이 가능한 플렉시블호스를 체결하는 모습을 보이는 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커버의 체결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 13 은 수전함을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을 보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전함 1a: 호형장공
1b: 관통공 11: 오픈커버
12: 함체 13: 수전
14: 다이버터 15: 온도유량조절레버
20: 엘보우연결관 21: 삽입부
211: 오링홈 212: 체결홈
22: 암나사부 30: 연결관결합구
30a: 수전용 결합구 30b: 다이버터용 결합구
30c: 온도유량조절레버용 결합구 31: 연결공
32: 체결공 33: 플렌지부
331: 볼트공 40: 체결핀
41: 호형절곡부 42: 걸림부
50: 조인트 51: 숫나사부
52: 육각너트부 53: 배관
60: 고정구 61: 부쉬
62: 고정구캡 70: 플렉시블 호스
71: 삽입부 72: 오링홈
73: 체결홈 80: 오링

Claims (5)

  1. 이중관 구조로 외부관이 함체의 둘레면에 커넥터로 결합되고 외부관을 통하여 박스내부로 내부관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고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건축마감후 노출되도록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일체형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절곡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배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 금속재의 엘보우연결관(20)과;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밀착결합되도록 연결공(3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연결공(31)에 결합시 체결홈(212)에 내접하게 통공되도록 연결공(3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어 금속재의 연결관결합구(30)와;
    전체적으로 다수번 절곡된 핀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연결관결합구(30)의 체결공(32)에 삽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의 체결홈(212)에 요입되어 엘보우연결관(20)을 고정결합시키고, 타측은 호형으로 절곡되되 단부가 상기 일측과 소 정간격 이격되어 체결공(32)에 삽입시 호형으로 절곡된 호형절곡부(41)가 탄성으로 벌어졌다가 오므려져 엘보우연결관(20)의 외경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형절곡부(4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걸림부(42)가 형성되는 체결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일측에 연결되는 배관은, 일측단의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된 플렉시블 호스가 체결공(32)에 결합되어 체결핀(40)으로 고정됨으로 체결공(32)간의 간격이 가까워도 결합 및 분리가 쉽고 삽입부(21)가 360도 회전되므로 플렉시블 호스 꺽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
  3. 이중관 구조로 외부관이 함체의 둘레면에 커넥터로 결합되고 외부관을 통하여 박스내부로 내부관을 삽입 및 인출할 수 있으며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하고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건축마감후 노출되도록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전일체형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절곡된 관형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외주연 둘레에 오링(80)이 끼 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11)과 체결홈(212)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삽입부(21)가 구비되고 타측은 소정길이 신장되어 배관과 결합되도록 암나사부(22)가 형성된 금속재의 엘보우연결관(20)과;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삽입부(21)가 삽입되어 밀착결합되도록 연결공(3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가 연결공(31)에 결합시 체결홈(212)에 내접하게 통공되도록 연결공(3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체결공(32)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연결관결합구(30)와;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에 대응되는 숫나사부(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육각너트부(52)가 형성된 링 형상의 조인트(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5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소정길이의 황동관(53)의 단부에 상기 조인트(50)와 오링(80)을 순차적으로 끼우고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에 오링(80)이 끼워진 황동관(53)의 단부를 삽입후 조인트(50)의 숫나사부(51)와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를 나사결합시키면 양측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해 오링(80)의 단면형상이 증가되면서 황동관(53)에 밀착결합되며, 상기 엘보우연결관(20)의 암나사부(22)가 형성된 타측 길이만큼 슬라이딩 가능한 황동관(53)의 유격이 형성됨으로 황동관(53)의 양단에 결합된 엘보우연결관(20)을 최대로 인출하여 고정시 양단의 엘보우연결관(20)이 외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시스템.
  4. 연질관이 유입되어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 및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오픈커버(11)에 형성된 관통공(1b)을 통하여 배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타측은 배관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좌우측으로 신장되어 2개 이상의 볼트공(331)이 구비된 플렌지부(33)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연결관결합구(3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관결합구(30)는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가 오픈커버(11)에 밀착되도록 연장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나사결합시킨 뒤 수전, 다이버터 또는 레버 본체의 위치를 손으로 정렬하고 플렌지부(33)의 2개 이상의 볼트공(331)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밀착고정되어 오픈커버의 두께변화와 무관하게 밀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
  5. 연질관이 유입되어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 및 타측 수전함으로 분기시키는 연결배관이 내설되고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모서리부에 호형 장공이 형성되어 수직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오픈커버를 갖는 함체형상의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픈커버(11)는 호형 장공(1a)을 통하여 오픈커버(11)를 함체(12)와 고정시키는 볼트형상의 고정구(60)와, 납작하고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링 형상이되 내경이 상기 고정구(60)의 외경에 대응토록 형성되는 부쉬(61)와, 상기 부쉬(61)의 숫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배면측 홈의 내경에 형성되는 고정구캡(62)을 이용하여, 호형장공(1a)의 틈새로 물 유입을 방지하고 보수시 플렉시블 호스에 의해 오픈커버(11)가 매달린 채 개방하여 보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체결구조 시스템.
KR1020080073843A 2008-07-29 2008-07-29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KR10096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43A KR100960710B1 (ko) 2008-07-29 2008-07-29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43A KR100960710B1 (ko) 2008-07-29 2008-07-29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51A true KR20100012451A (ko) 2010-02-08
KR100960710B1 KR100960710B1 (ko) 2010-05-28

Family

ID=4208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843A KR100960710B1 (ko) 2008-07-29 2008-07-29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93B1 (ko) * 2010-12-06 2011-05-25 대림통상 주식회사 매립형 수전 연결구
KR20170108898A (ko) * 2016-03-17 2017-09-27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646B2 (ja) 2003-12-05 2009-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管継手
KR100559161B1 (ko) 2004-11-23 2006-03-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벽체매립형 수전함
KR100727359B1 (ko) * 2006-06-13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플렉시블 호스용 컨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93B1 (ko) * 2010-12-06 2011-05-25 대림통상 주식회사 매립형 수전 연결구
KR20170108898A (ko) * 2016-03-17 2017-09-27 주식회사 대성하이백 분리형 커넥터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710B1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9363A (en) Plumbing adapter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US20050127211A1 (en) Method and assembly for conversion of a standard showerhead to a spray bar
KR100960710B1 (ko) 수전함 오픈커버 일체형 매립수전의 배관연결구조 및체결구조 시스템
KR200414938Y1 (ko) 벽면 매립형 수전박스 시공구조
KR100940277B1 (ko) 난방코일 분배기와 냉온수 분배기용 배관연결구조
CA2747711A1 (en) In-wall water service housing
KR20140023093A (ko) 세면대용 정수기 출수장치
KR100684256B1 (ko) 화장실 천장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US5277226A (en) Water line adapter
KR200461358Y1 (ko)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101081429B1 (ko) 냉온수배관의 연결구조
KR200480895Y1 (ko) 수전금구 체결장치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KR102271056B1 (ko) 냉온수 수전용 편심연결관
KR101002249B1 (ko) 수전함 배관 연결구조
KR101171772B1 (ko) 천정형 냉온수분배기의 개선된 배관연결구조
KR101201383B1 (ko) 개선된 냉온수분배기 배관연결구조
KR100959258B1 (ko) 수전함의 배관 연결구조
US20130269794A1 (en) Shower and tub fixture insert
KR100447808B1 (ko) 매립식 오픈 수전함
KR20100006202A (ko) 배관 체결 장치
CN210238660U (zh) 一种狭小空间软管接头锁紧工具
JP2601678B2 (ja) 配管端末部の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