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00U -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00U
KR20100013000U KR2020090008078U KR20090008078U KR20100013000U KR 20100013000 U KR20100013000 U KR 20100013000U KR 2020090008078 U KR2020090008078 U KR 2020090008078U KR 20090008078 U KR20090008078 U KR 20090008078U KR 20100013000 U KR20100013000 U KR 201000130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ewage
body member
installation spac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이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이강희 filed Critical (주)대림엘이디라이팅
Priority to KR2020090008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000U/ko
Publication of KR20100013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amp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용 시설물의 폭에 따라 그 폭을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오수가 시설물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이 보다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시설물의 주위를 조명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는 빛이 발광되는 조명부와; 도로용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폭이 조절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도록 설치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2020090008078
도로, 중앙분리대, 얼룩, 조명

Description

오수방지용 조명기구{LIGH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IRTY WATER}
본 고안은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용 시설물에 장착되어 오수가 시설물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이 보다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시설물의 주위를 조명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분리대, 가드레일, 다리의 난간, 옹벽 등과 같이 도로 또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도로용 시설물은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거나, 또는 사람이 인도를 보행할 때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도로용 시설물 중 중앙분리대, 가이드레일 등은 차량이 도로를 운행할 때 차선을 이탈하여 중앙선을 침범하거나 또는 차량이 도로에서 탈선하여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 콘크리트,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에 의해 제작된다.
이와 같은 도로용 시설물은 차량이 충돌할 때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로용 시설물은 차량을 유도하고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외면이 형광색으로 도색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도색으로는 야간에 운행하는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 외면이 도로에서 발생되는 먼지 또는 빗물에 의해 더렵혀지고 얼룩이 생기게 되면 도로용 시설물을 식별하기가 더욱 어려워져 사고의 발생위험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용 시설물에 장착되어 오수가 시설물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이 보다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시설물의 주위를 조명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는, 빛이 발광되는 조명부와; 도로용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폭이 조절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도록 설치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시설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시설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는 위치조절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위치조절몸체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위치조절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커버; 및 상기 설치공간부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커버가 결합되도록 상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시설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재와 상 기 시설물 사이에 마련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단부에 결합리브가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에 거치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홈부에 상기 본체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조명부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설치공간부가 방열될 수 있도록 방열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 및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시설물 사이에 마련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플렉시블 피씨비와; 상기 피씨비에 일정간격으로 실장되는 엘이디와; 상기 피씨비 및 상기 엘이디의 외면을 감싸는 투명체의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엘이디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에 의하면,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용 시설물에 장착되어 오수가 시설물을 타고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시설물이 보다 깨끗하게 유지되고, 시설물의 주위를 조명하여 차량이 보다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사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조명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100)는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10)에 설치되어 그 주위를 조명하고 , 시설물(10)이 오수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하여 조명기구(100)는 시설물(1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시설물(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본체부재(110)와, 이 본체부재(110)에 설치되어 시설물(10) 주위를 조명하는 조명부(130) 및 빗물이 시설물(10)의 상부에서 타고 흐르 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기구(100)는 본체부재(110)가 시설물(10)에서 장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재(110)와 시설물 사이에 마련되며, 볼트나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시설물(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브래킷(14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구(100)는 시설물(10)의 설치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길이가 1m 이상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명기구(100)는 1m, 2m, 3m,4m, 5m, 6m등과 같이 단위 길이로 제작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조명기구(100)는 일정구간 설치된 도로용 시설물(10)에 연속되게 설치되어 시설물(10)의 벽면을 타고 오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재(120)는 본체부재(110)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121)와, 본체부재(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커버(123)와, 조명부(130)가 보호되도록 본체부재(110)에 결합되는 보호커버(125)를 포함한다.
상부커버(121)는 상면이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내부가 중공체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상부커버(121)는 본체부재(110)에 탈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재(1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홈부(121a)가 형성된다.
측면커버(123)는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본체부재(110)에 결합된다.
보호커버(125)는 이물질 침투되거나 또는 곤충이 침투에 의해 조명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명부(130)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제작된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보호커버(125)는 본체부재(11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아크릴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재(110)는 시설물(10)의 상단부 크기에 따라 그 폭이 조절되면서 시설물(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시설물(1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1)와, 이 고정부(1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몸체(113)를 포함한다.
고정부(111)는 상부커버(121)의 결합홈부(121a)에 삽입되는 결합부(111a)가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시설물(10)에 고정된다. 고정부(111)의 결합부(111a)는 상부커버(121)가 보다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양립되게 형성된다.
위치조절몸체(113)는 고정부(11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그 일측 상단부에 시설물(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리브(113a)가 형성되어 브래킷(140)을 통해 시설물(10)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위치조절몸체(113)는 브래킷(14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내면에 결합홈(113b) 및 결합리브(113c)가 각각 형성된다. 위치조절몸체(113)의 결합홈(113b)에는 브래킷(14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결합리브(113c)는 브래킷(140)에 삽입된다.
또한, 위치조절몸체(113)는 하단부에 조명부(130)가 설치되도록 하면이 개방되는 설치공간부(113d)가 마련되고, 그 내부에 조명부(130)에 의해 가열되는 설치공간부(113d)를 방열시킬 수 있는 방열공간부(113e)가 형성된다.
이때, 위치조절몸체(113)의 양단부에는 설치공간부(113d) 및 방열공간 부(113e)가 밀폐될 수 있도록 측면커버(123)가 각각 부착되며, 설치공간부(113d)의 하부에는 보호커버(125)가 결합된다. 설치공간부(113d)의 내면 양측에는 보호커버(125)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턱(113d')이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위치조절몸체(113)의 지지리브(113a)의 하면 및 상면에는 지지리브(113a)와 시설물(10) 사이, 상부커버(121)와 지지리브(113a) 사이로 오수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패드(150)가 각각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리브(113a)에는 패드(1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3a')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패드(150)는 합성고무 또는 우레탄에 의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치조절몸체(113)의 방열공간부(113e)에는 조명부(130)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선들이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위치조절몸체(113)의 방열공간부(113e)에 조명기구(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배선할 수 있는 것이다.
시설물(10)에 결합되는 브래킷(140)은 위치조절몸체(113)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결합리브(141)가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가 절곡되어 거치홈부(143)가 형성된다. 브래킷(140)의 결합리브(141)는 위치조절몸체(113)의 결합홈(113b)에 삽입되고, 거치홈부(143)에는 위치조절몸체(113)의 결합리브(141)가 삽입된다.
이러한, 브래킷(140)은 볼트, 나사 또는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시설물(10)의 양측벽면에 고정되며, 위치조절몸체(113)가 탈착된다.
조명부(130)는 바 형태의 플렉시블 피씨비(131)와, 이 피씨비(131)에 일정간 격으로 결합되는 엘이디(133)와, 피씨비(131)와 엘이디(133)의 외면을 감싸는 투명체의 보호부(135)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부(130)는 엘이디(133)에서 발광되는 빛이 보호커버(125)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보호부(135)에 고정되는 반사판(137)을 더 포함한다.
또한, 조명부(130)는 보호부(135)와 엘이디(133) 사이에 공극(139)이 형성되며, 이 공극(139)에 의해 엘이디(133)에서 발광되는 빛이 보다 넓게 확산된다. 즉, 조명부(130)는 공극(139)에 의해 엘이디(133)가 발광될 때 엘이디(133) 주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더 밝게 점 형태로 빛나는 스폿현상이 방지되어 조명부(130)의 모든 부위가 일정한 조도로 발광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130)는 위치조절몸체(113)의 설치공간부(113d)에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위치조절몸체(113)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로용 시설물(10)의 상면 중앙부에 고정부(111)를 고정시키고 시설물(10)의 양면에 브래킷(140)을 각각 결합한 후,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오수가 시설물(10)의 양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부(111)의 양측에 위치조절몸체(113)를 설치한다. 이때, 위치조절몸체(113)는 브래킷(140)을 통해 시설물(10)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111)의 결합부(111a)에 상부커버(121)를 결합하여 위치조절몸체(113)의 상부에 상부커버(121)를 설치한다. 이는 고정부(111)와 위치조절몸체(113) 사이로 이물질이나 오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비가 내리면 그 빗물이 상부커버(121)에 의해 위치조절몸체(113)의 외면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도로용 시설물(10)에 설치되는 조명기구(100)는 위치조절몸체(113)를 시설물(10)의 폭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도로용 시설물(10)의 폭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된다.
또한, 비가 내리면 빗물이 상부커버(121)를 타고 조명기구(100)의 양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빗물에 의해 발생되는 오수에 의해 도로용 시설물(10)에 얼룩이 발생되거나 오염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더하여, 위치조절몸체(113)에 설치되는 조명부(130)에 의해 도로용 시설물(10)이 조명되므로, 야간에 차량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10)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를 설명함에 있어 일 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구성을 나타 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 방지용 조명기구(100)는 본체부재(200)가 도로용 시설물(10)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설물(10)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210)에서 이동되면서 시설물(10)에 설치되는 위치조절몸체(220)로 구성된다.
고정부(210)는 양측에 위치조절몸체(2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가이드부(22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210)의 가이드부(221)에는 고정부(210)가 위치조절몸체(2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톱퍼(223)가 구비된다.
스톱퍼(223)는 고정부(210)의 가이드부(221)의 단부에 결합되는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채결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이는 고정부(210)의 가이드부(221)를 위치조절몸체(220)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 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스톱퍼(223)는 가이드부(221)가 위치조절몸체(220)에 삽입된 후 가이드부(22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톱퍼(223)가 볼트나 나사 등에 의해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일정형태의 고정편이나 막대 등을 용접을 통해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위치조절몸체(220)는 시설물(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부(221)에 고정부(210)의 가이드부(2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21a)이 형성되고, 지지부(221)의 상면을 통해 스톱퍼(223)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21a)에 연통되 는 슬롯(221b)이 형성된다.
즉, 위치조절몸체(220)는 가이드홈(221a) 및 슬롯(221b)을 통해 지지부(221)의 가이드부(22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시설물(10)의 폭에 따라 시설물(10)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절된다.
한편, 고정부(210)의 결합부(223)에는 상부커버(121)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부커버(121)가 걸리도록 장공(22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커버(121)는 결합부(223)가 삽입되는 결합홈(121a)의 일측에 걸림부(121b)가 연장형성되고 걸림부(121b)에 장공(223a)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돌기(121b')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부커버(121)가 고정부(210)에 결합되면 상부커버(121)의 걸림부(121b)의 걸림돌기(121b')가 고정부(210)의 장공(223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므로, 상부커버(121)가 고정부(2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 방지용 조명기구(100)는 그 작용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 방지용 조명기구(100)의 작용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사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조명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방지용 조명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조명장치 110 : 본체
113 : 설치공간부 115 : 방열공간부
120 : 조명부 130 : 측면커버
140 : 하부커버 150 : 패드
160 : 커버부재 161 : 상부커버
163 : 통풍망

Claims (13)

  1. 빛이 발광되는 조명부;
    도로용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폭이 조절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도록 설치공간부가 마련되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에 장착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시설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조절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시설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조명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는 위치조절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위치조절몸체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
    상기 위치조절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측면커버; 및
    상기 설치공간부에 결합되는 보호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커버가 결합되도록 상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시설물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시설물 사이에 마련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단부에 결합리브가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에 거치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가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고 상기 거치홈부에 상기 본체의 일측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조명부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설치공간부가 방열될 수 있도록 방열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 및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시설물 사이 에 마련되는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플렉시블 피씨비;
    상기 피씨비에 일정간격으로 실장되는 엘이디;
    상기 피씨비 및 상기 엘이디의 외면을 감싸는 투명체의 보호부; 및
    상기 보호부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엘이디와 상기 보호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KR2020090008078U 2009-06-23 2009-06-23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KR201000130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078U KR20100013000U (ko) 2009-06-23 2009-06-23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078U KR20100013000U (ko) 2009-06-23 2009-06-23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00U true KR20100013000U (ko) 2010-12-31

Family

ID=4448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078U KR20100013000U (ko) 2009-06-23 2009-06-23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0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50B1 (ko) * 2011-12-30 2012-03-22 김규리 수냉식 냉각장치의 불순물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50B1 (ko) * 2011-12-30 2012-03-22 김규리 수냉식 냉각장치의 불순물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22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JP2011523170A (ja) Ledを用いた照明灯
KR101033187B1 (ko) 조명 유도용 볼라드
KR100648381B1 (ko) 도로용 조명장치
KR101428583B1 (ko) 횡단보도 조명등 및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0819181B1 (ko) 조명 기능이 구비된 횡단보도 안전표지판
KR101386970B1 (ko) Led 반사모듈이 장착된 led 가로등
KR20180096400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137293B1 (ko) 가로등 장치
JP6980428B2 (ja) 発光防護柵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KR20100013000U (ko)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KR100975145B1 (ko) 난간용 조명기기
KR101021918B1 (ko) 오수방지용 조명기구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101064111B1 (ko) 가로수용 조명등장치
KR20160108851A (ko)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0944483B1 (ko) 난간용 조명장치
KR101104293B1 (ko) 횡단보도 표시장치
JP3167077U7 (ko)
KR200395641Y1 (ko) 중앙분리대 및 옹벽의 안전유도등
KR101196058B1 (ko) 안전유도등
KR20110004365U (ko)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경계펜스
RU2077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KR20140002278U (ko) 보호커버를 가지는 가로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