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75U - 버너 - Google Patents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75U
KR20100012975U KR2020090008041U KR20090008041U KR20100012975U KR 20100012975 U KR20100012975 U KR 20100012975U KR 2020090008041 U KR2020090008041 U KR 2020090008041U KR 20090008041 U KR20090008041 U KR 20090008041U KR 20100012975 U KR20100012975 U KR 20100012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container
burner
main body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풍
Original Assignee
장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풍 filed Critical 장기풍
Priority to KR2020090008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975U/ko
Publication of KR20100012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24C15/086Adjustable legs or pi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버너는 본체(10)에 화염유도통체(11)가 구비되어, 받침대(20)에 원통형상의 용기(A)를 올려놓을 경우 화염이 용기(A)의 둘레면을 따라 상승되도록 유도하여 화염이 용기(A)에 최대한 오랫동안 접촉되도록 하며, 테두리부(2a)를 갖는 용기(A)를 올려놓을 경우 화염이 용기(A)의 바닥면을 가열한 후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용기(A)를 가열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버너, 솥, 용기, 화염유도, 열효율

Description

버너{burner}
본 고안은 열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국 등을 끓일 경우에는 사이즈가 큰 용기에 내용물을 투입한 후, 버너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므로써, 국 등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버너는, 연료를 배출하여 배출된 연료가 안정적으로 연소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연소기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소기의 상부에는 받침대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에 용기를 올려놓고 상기 연소기를 점화시켜 용기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버너는 연소기에서 발생된 화염이 용기의 하부면에 접촉하여 가열한 후 주변으로 확산된다. 따라서, 화염과 용기의 접촉면이 좁은 하부면에 한정되어 용기에 열을 신속하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가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열손실이 큰 문 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의 누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버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된 화염유도통체(1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지는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기(30)를 포함하며,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일측에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배출공(11c)이 형성되어 용기(A)에 의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이 막힐 경우 화염이 상기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면 둘레부에는 용기(A)의 테두리부(2a) 하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다르면,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의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커버(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버너는 본체(10)에 화염유도통체(11)가 구비되어, 받침대(20)에 원통형상의 용기(A)를 올려놓을 경우 화염이 용기(A)의 둘레면을 따라 상승되도록 유도하여 화염이 용기(A)에 최대한 오랫동안 접촉되도록 하며, 테두리부(2a)를 갖는 용기(A)를 올려놓을 경우 화염이 용기(A)의 바닥면을 가열한 후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용기(A)를 가열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버너는 요리재료가 담긴 용기(A)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A)는 상하로 긴 원통형상의 것(1)과, 둘레부에 테두리부(2a)가 구비되고 높이가 낮은 전통적인 솥형태의 것(2)이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버너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된 화염유도통체(1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지는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기(3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둘레부에 구비 된 지지부(40)와;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커버(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금속프레임의 외부에 금속판을 고정하여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상기 커버가 설치되는 하부지지대(12)와,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지지대(1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본체(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염유도통체(11)는 상하로 길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본체(13)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소기(30)에서 발생된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공(1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둘레벽면은 이중으로 구성되어 둘레벽면의 내부에 단열재(11b) 또는 내열가 충전된다. 또한,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후측 둘레부에는 화염이 배출되는 한쌍의 화염배출공(11c)이 형성되고 상기 화염배출공(11c)에는 연통(11d)이 연결되어, 용기(A) 또는 보조커버(50)에 의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이 막힐 경우 화염이 상기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20)는 사각의 내열벽돌로 이루어져, 상기 화염유도통의 내부 바닥면에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를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삽입설치할 때, 상기 용기(1)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용기(1)와 화염유도통체(11)의 사이에 화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소기(3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지지대(1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 또는 상기 지지부(40)에 설치된 용기(A)를 가열할 수 있 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0)는 내경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 개구부의 지름보다 큰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본체(1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둘레부에 테두리부(2a)가 구비된 솥형상의 용기(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40)에 솥형상의 용기(2)를 올려놓으면, 상기 지지부(40)가 상기 테두리부(2a)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용기(2)를 지지함과 동시에 용기(2)와 화염유도통체(11)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막게 된다.
상기 보조커버(50)는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부, 특히, 상기 지지부(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긴 원통형의 용기(1)를 본체(10)에 설치한 후 보조커버(50)를 상기 지지부(40)에 결합하면, 보조커버(50)에 의해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 개구부와 용기(1)의 둘레부 사이가 막혀, 열이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으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51)은 내경이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제작되어, 보조커버(50)를 용기(1)의 외부에 끼우기 용이하면서도, 열이 관통공(51)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버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를 상기 화염유도통체(11)에 설치하면 용기(1)가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용기(1)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대(20)에 지지되어 용기(1)의 바닥면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기(1)의 바닥면과 유도통체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화염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0)에는 상기 보조커버(50)가 결합되어,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과 용기(1)의 둘레부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소기(30)를 점화시키면 연소기(30)에서 발생된 화염은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를 통해 용기(1)의 둘레면과 화염유도통체(11)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용기(1)의 둘레면을 지속적으로 가열한 후, 상기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부에 테두리부(2a)가 형성된 전통적인 솥형태의 용기(2)를 상기 화염유도통체(11)에 설치하면, 용기(2)의 테두리부(2a)가 상기 지지부(40)의 상면에 밀착되어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 개구부를 막게 되며, 이때, 연소기(30)에서 발생된 화염은 화염유도통체(11)를 따라 상승되어 용기(2)의 바닥면을 가열한 후 상기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와 전통적인 솥형상의 용기(2)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화염과 용기(A)가 접촉하는 시간을 늘려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를 사용할 경우, 용기(1)가 바닥면뿐 아니라 둘레면까지 한꺼번에 가열되어,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부에는 보조커버(50)가 구비되어,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 개구부와, 상하로 긴 원통형상의 용기(1) 사이의 공간을 막으므로써, 열이 화염유도통체(11)의 개구부를 통해 상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전통적인 솥형상의 용기(2)의 테두리부(2a) 하부면에 밀착는 지지부(40)가 구비되어, 용기(2)가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 개구부를 완전하게 밀폐하므로, 화염이 화염유도통체(11)와 용기(2)의 사이로 빠져나가 열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기(2)의 테두리부(2a)가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가 용기(2)의 테두리부(2a)를 잡을 수 있으므로, 용기(2)를 버너에 설치하거나 버너에 설치된 용기(2)를 들어내는 것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화염유도통체(11)에 비해 내경이 크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을 본체(10)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이 지지부(40)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스페이서를 구비하여,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를 설치하면, 상기 용기(1)가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위치제한되어 화염유도통체(11)의 정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 도 가능하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하로 긴 원통형의 용기(1)를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설치할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커버(50)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굴뚝효과에 의해 화염이 상기 화염배출공(11c)으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므로, 용기(1)의 둘레면 전체를 다 가열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버너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중심으로 절단한 버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버너의 다른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로 긴 통형상으로 구성된 화염유도통체(1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측에 올려지는 용기(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2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기(30)를 포함하며,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일측에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배출공(11c)이 형성되어 용기(A)에 의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단이 막힐 경우 화염이 상기 화염배출공(1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 둘레부에는 용기(A)의 테두리부(2a) 하부면에 밀착되는 지지부(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3. 제 1항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의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상기 화염유도통체(11)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커버(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KR2020090008041U 2009-06-22 2009-06-22 버너 KR201000129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041U KR20100012975U (ko) 2009-06-22 2009-06-22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041U KR20100012975U (ko) 2009-06-22 2009-06-22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75U true KR20100012975U (ko) 2010-12-30

Family

ID=4448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041U KR20100012975U (ko) 2009-06-22 2009-06-22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9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98B1 (ko) * 2011-11-23 2013-10-28 정무성 밀폐형 가열구조를 갖는 가스 조리기
KR101464101B1 (ko) * 2014-03-06 2014-11-21 이순식 조리 가열기구의 연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연소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698B1 (ko) * 2011-11-23 2013-10-28 정무성 밀폐형 가열구조를 갖는 가스 조리기
KR101464101B1 (ko) * 2014-03-06 2014-11-21 이순식 조리 가열기구의 연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연소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4202B2 (en) Gas burner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1497267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KR20100067835A (ko) 업소용 국솥 버너의 연소효율 증강장치
KR20100012975U (ko) 버너
KR101314978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KR101496950B1 (ko) 업소용 국솥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20090057352A (ko) 가스절약형 용기받침대
KR101181571B1 (ko) 이중용기.
KR200439931Y1 (ko) 회전식 솥
KR200476624Y1 (ko) 조리용기
KR101602572B1 (ko) 과열방지용 온도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US20070221650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Vessel For Heating
JP2021053275A (ja) 保温調理器
JP2004060976A (ja) 鍋底温度センサ付きガスコンロ
KR101464101B1 (ko) 조리 가열기구의 연소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연소커버
KR101652285B1 (ko)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KR20100008492U (ko) 폐열회수벽이 형성된 버너
JP3155008U (ja) 調理用容器
KR20110002140A (ko) 다기능 조리기구
KR200248155Y1 (ko) 가스 버너용 화덕
CN203555579U (zh) 承液节能奶锅
CN208551150U (zh) 烹饪器具
KR20110032119A (ko) 가스 그리들 장치
KR101032528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