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438U - 소형 크러셔 - Google Patents

소형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438U
KR20100012438U KR2020090007291U KR20090007291U KR20100012438U KR 20100012438 U KR20100012438 U KR 20100012438U KR 2020090007291 U KR2020090007291 U KR 2020090007291U KR 20090007291 U KR20090007291 U KR 20090007291U KR 20100012438 U KR20100012438 U KR 20100012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plate
lower plate
pair
co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2020090007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438U/ko
Publication of KR20100012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 등의 철거시 크러셔 본체의 양측에 2개의 유압실린더를 장착하여 한 쌍의 회동암을 모두 작동시키는 타입의 소형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는 소형 크러셔에서도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하판과 벌크 캡이 설치되어 있는 상판을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서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회전 수단과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파쇄작업 중 회전이 필요할 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형 크러셔를 제공한다.
건물, 철거, 콘크리트, 파쇄, 굴삭기, 크러셔, 벌크 캡, 회동암, 회전장치

Description

소형 크러셔{Light crush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물 등을 철거할 때 사용되는 소형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양측에 2개의 유압실린더를 장착하여 한 쌍의 회동암을 모두 작동시키는 타입의 소형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러셔(Crusher)는 건축물 철거작업시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기계장치이다.
건축물 파쇄작업에 사용되는 크러셔의 작업은 1차 파쇄작업과 2차 파쇄작업으로 구분되는데, 1차 파쇄작업은 건축물의 형상을 직접 파쇄하는 작업이고, 2차 파쇄작업은 1차 파쇄된 콘크리트 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작업이다.
예를 들면, 1차 파쇄시에는 건축물의 벽, 하리스, 기둥 등을 직접 파쇄하면서 철근을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그리고 2차 파쇄시에는 1차 파쇄시 발생한 콘크리트와 철근을 분리하기 위하여 벽, 하리스, 기둥 등의 덩어리를 잘게 부수어 파쇄하면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보통 콘크리트 건물을 철거할 때 사용되는 크러셔는 굴삭기의 붐대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크게 2가지 타입으로 되어 있다.
즉, 크러셔 본체에 한 쌍의 회동암을 구성함에 있어 하나는 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하나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타입과, 본체의 양측에 2개의 유압실린더를 장착하여 한 쌍의 회동암 모두를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타입이 있다.
소형 크러셔의 경우 굴삭기의 붐대 선단에 고정 부착되는 벌크 캡이 구비되는 상판과, 유압장치 등을 내장한 본체가 속해 있는 하판과, 상기 본체의 하단 양측에 설치된 양쪽 힌지에 의해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회동암과, 상기 본체에 후단 지지되면서 선단의 실린더 로드를 이용하여 각 회동함을 작동시켜주는 2개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크러셔 본체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와 굴삭기 유압펌프를 연결하는 유압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 크러셔는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하판과 벌크 캡이 설치되어 있는 상판의 직경(약 450mm 정도)이 크지 않고, 또한 상판에 설치되어 굴삭기의 붐대에 결합되는 결합되는 한 쌍의 벌크 캡 사이의 거리는 굴삭기 붐대의 규격에 맞는 정해진 간격(약 400mm 정도)을 유지해야 하며, 특히 한 쌍의 벌크 캡 사이에는 유압실린더와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굴삭기의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유압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등 구조적으로 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는 불리한 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하판과 벌크 캡이 설치되어 있는 상판을 서로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력을 이용한 회전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없고, 결국 상판과 하판을 붐대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힘을 주어야만 서로 회전시킬 수 있는 등 작업하는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간상의 제약을 많이 받는 소형 크러셔에서도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하판과 벌크 캡이 설치되어 있는 상판을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서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회전 수단과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파쇄작업 중 회전이 필요할 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형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소형 크러셔는 굴삭기 붐대에 부착되는 벌크 캡이 구비되어 있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크러셔 본체가 속해 있는 하판, 상기 크러셔 본체의 하단 양측에 설치된 힌지에 의해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회동암, 상기 하판에 선단 로드를 통해 연결 지지되면서 후단 몸체부를 이용하여 각 회동함을 작동시켜주는 2개의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한편, 상판의 밑면에 설치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는 센터 링과, 상기 하판의 윗면에 설치되고 센터 링을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수용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링 기어와,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동시에 링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력을 이용한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소형 크러셔는 상판 및 하판의 직경이 작은 점, 벌크 캡 간의 거리가 한정된 점, 유압장치로 인해 여유 공간이 적은 점 등과 같은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동력을 이용한 효과적인 회전장치를 갖춤으로써, 콘크리트 파쇄작업시 회전이 필요한 경우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쇄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형 크러셔는 한 쌍의 벌크 캡(10)이 구비되어 있는 상판(11)과 크러셔 본체(12)가 구비되어 있는 하판(13)을 포함하며, 상기 하판(13)에는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한 쌍의 회동암(15)과 이 회동암(15)을 동작시켜주는 수단으로서 2개의 유압실린더(16)가 마련된다.
상기 벌크 캡(10)은 굴삭기의 붐대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이 벌크 캡(10)을 붐대에 체결하면 소형 크러셔 전체가 굴삭기측에 지지되면서 굴삭기 운전으로 소형 크러셔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크러셔 본체(10)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16)측으로 유압을 공급 및 회 수하는 유압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즉, 크러셔 본체(10)의 내부에는 굴삭기의 유압펌프와 연결되는 유압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암(15)은 각각의 힌지(14)에 의해 그 상단부 일측이 크러셔 본체(12)상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암(15)의 상단부 다른 일측은 유압실린더(16)의 후단 몸체부에 핀(24)으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 작동시 힌지(14)를 축으로 회동하면서 콘크리트 파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유압실린더(16)는 회동암(15)을 작동시켜주는 수단으로서, 각 회동암(15)에 하나씩 배속되는 2개가 마련되고, 선단의 로드는 하판(13)의 저면에 핀(24)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후단 몸체부 역시 핀(24)으로 회동암(15)의 상단측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16)가 전진 작동하면 후단 몸체부가 회동암(15)의 상단부를 밀어주게 되므로, 양쪽의 회동암(15)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좁혀질 수 있고, 반대로 유압실린더(16)가 후진 작동하면 후단 몸체부가 회동암(15)의 상단부를 당겨주게 되므로, 양쪽의 회동암(15)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회동암(15)은 마치 가위식으로 동작하면서 콘크리트를 파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소형 크러셔, 예를 들면 중량 350kg 정도, 전장 1,300mm 정도, 회동암 벌림폭 360mm 정도의 규격으로 이루어진 소형 크러셔에 동력 을 이용하여 회전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 즉 회전장치(17)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장치(17)는 모터 구동과 기어 전동을 이용하여 2개의 유압실린더(16)와 크러셔 본체(12) 및 한 쌍의 회동암(15)이 속해 있는 하판(13) 전체를 회전시켜주는 수단이다.
이를 위하여,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상판(11)의 밑면 중심부에는 센터 링(18)이 체결구조로 설치되고, 역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 하판(11)의 윗면 중심부에는 외주면에 치(齒)를 갖는 링 기어(19)가 설치된다.
이때의 링 기어(19)와 센터 링(18)은 서로 동심원상으로 조합되고, 링 기어(19)의 내측에 센터 링(18)이 수용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링 기어(19)와 센터 링(18) 간의 접동부위에는 다수 개의 볼 베어링(22)이 개재되어 있어서 서로 간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수단인 모터(20)는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벌크 캡(10)의 외측 영역인 상판(11)의 가장자리에 수직자세로 설치되고, 모터 축은 상판(11)에 형성되어 있는 홀(25)을 통해 상판(11)과 하판(13)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 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20)의 축에는 구동 기어(21)가 장착되며, 이때의 구동 기어(21)의 치(齒)는 링 기어(19)의 치(齒)와 서로 맞물리게 되고, 기어 간의 전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터(20)의 구동력은 구동 기어(21)와 링 기어(19) 간의 전동으로 이어지고, 결국 링 기어(19)가 센터 링(18)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서, 유압실린더(16), 크러셔 본체(12), 회동암(15) 등이 속해 있는 하판(13)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보통 콘크리트 파쇄작업은 먼지 등이 심하게 날리는 열악한 환경조건하에서 진행되므로, 크러셔 부품들, 특히 먼지 등에 취약할 수 있는 회전장치(17) 등을 주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는 회전장치(17)를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판(11)과 하판(13)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공간의 둘레를 따라서 커버(24)가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커버(24)로 인해 그 내측의 부품들 즉, 구동 기어(21), 링 기어(21), 특히 볼 베어링(22)이 개재되어 있는 센터 링(28)과 링 기어(19) 간의 접동부위 등이 외부와 격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4)의 내측으로는 먼지 등의 이물질 침투가 방지되므로, 그 내부의 부품들이 보호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회전장치(17)는 구동 기어(21)와 링 기어(19) 간의 전동 방식, 또 서로 동심원상으로 수용되면서 조합되는 센터 링(18)과 링 기어(19) 간의 회전 방식을 채용하는 등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인 동력 메카니즘의 구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회전이 비효율적이었던, 다시 말해 굴삭기 붐대를 이용하여 강제로 회전시켰던 소형 크러셔의 경우에도 동력을 이용한 효과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소형 크러셔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의 작동상태로서 회 동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 붐대에 장착되어 있는 소형 크러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건물 등의 철거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굴삭기 운전자가 소정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크러셔 본체(12)에 있는 유압장치(미도시)로 유압이 제공되고, 계속해서 양쪽 2개의 유압실린더(16)로 유압이 공급되면서 유압실린더(16)는 전후진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회동암(15)은 가위식으로 동작하면서 콘크리트를 파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파쇄 대상물이 놓여져 있는 상태 등에 따라 회동암(15)의 자세를 전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즉 회동암(15)을 회전시켜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굴삭기 운전자가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모터 작동이 개시되고, 계속해서 모터 축에 있는 구동 기어(21)가 링 기어(19)를 돌려주게 되므로, 이 링 기어(19)와 함께 유압실린더(16), 크러셔 본체(12), 회동암(15)을 포함하는 하판(13) 전체가 센터 링(18)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의 회전은 방향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이든지 360°회전이 가능하므로, 굴삭기 운전자는 한 쌍의 회동암(15)을 적절히 회전시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 크러셔에 동력을 이용한 회전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회동암의 회전이 필요할 때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결국 콘크리트 파쇄작업 전 반에 걸쳐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의 작동상태로서 회동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크러셔의 작동상태로서 회동암, 크러셔 본체, 하판의 90°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벌크 캡 11 : 상판
12 : 크러셔 본체 13 : 하판
14 : 힌지 15 : 회동암
16 : 유압실린더 17 : 회전장치
18 : 센터 링 19 : 링 기어
20 : 모터 21 : 구동 기어
22 : 볼 베어링 23 : 커버
24 : 핀 25 : 홀

Claims (5)

  1. 소형 크러셔에 있어서,
    굴삭기 붐대에 부착되는 한 쌍의 벌크 캡(10)이 구비되어 있는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하부에 배치되고 크러셔 본체(12)가 속해 있는 하판(13)과, 상기 크러셔 본체(12)의 하단 양측에 설치된 힌지(14)에 의해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회동암(15)과, 상기 하판(13)에 선단 로드를 통해 연결 지지되면서 후단 몸체부를 이용하여 각 회동함(15)을 작동시켜주는 2개의 유압실린더(16)와, 상기 상판(11)과 하판(13)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하판(13)을 회전시켜주는 동력을 이용한 회전장치(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러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17)는 상판(11)의 밑면에 설치되어 중심축 역할을 하는 센터 링(18)과, 상기 하판(13)의 윗면에 설치되고 센터 링(18)을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수용하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링 기어(19)와, 상기 상판(11)에 설치된 한 쌍의 벌크 캡(10)의 외측 영역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축에 장착되는 동시에 링 기어(19)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러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11)은 상기 모터(20)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벌크 캡(10)의 외측 영역으로 상판(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러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17)의 센터 링(18)과 링 기어(19)의 접동 부위에는 다수의 볼 베어링(22)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러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판(11)과 하판(13) 사이의 공간 둘레는 내부의 부품을 이물질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커버(24)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러셔.
KR2020090007291U 2009-06-05 2009-06-05 소형 크러셔 KR20100012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91U KR20100012438U (ko) 2009-06-05 2009-06-05 소형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291U KR20100012438U (ko) 2009-06-05 2009-06-05 소형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38U true KR20100012438U (ko) 2010-12-15

Family

ID=4420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291U KR20100012438U (ko) 2009-06-05 2009-06-05 소형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43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957B1 (ko)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
CN201295622Y (zh) 全回转式液压破碎机
US20130300181A1 (en) Demolition hammer arrangement for a remote-controlled working machine equipped with a manoeuvrable arm
EP2635409B1 (en) Demolition hammer for a working machine equipped with a manoeuvrable arm
KR200397360Y1 (ko) 굴삭기용 암반천공장치
KR101159669B1 (ko) 연속식 하역장치의 적재물파쇄장치
KR20100012438U (ko) 소형 크러셔
CN101618357A (zh) 全方位液压破碎机
CN202338342U (zh) 液压掘岩车
KR20150136562A (ko) 소형굴삭기용 멀티회전장치 와이어쏘오머신 면삭기
CN210946932U (zh) 一种多回转作业平台及工程车辆
CN205462601U (zh) 一种大煤块破碎装置
CN206722838U (zh) 多锤式隧道机及隧道掘进系统
CN214616512U (zh) 一种多功能液压机械臂
JP4382692B2 (ja) 破砕機のブラケット構造
CN106545040B (zh) 工作装置及铲运机
KR200306190Y1 (ko) 유압 크래셔
CN213478334U (zh) 一种撬毛机器人工作机构
CN218934411U (zh) 摇臂机构和采煤机
CN213315372U (zh) 一种大力粉碎钳
KR20180120075A (ko) 작업 기계용 회전링크
CN210217212U (zh) 建筑物液压拆除装置
CN213478325U (zh) 一种多功能撬毛机器人
CN209780876U (zh) 一种采煤机滚筒安装结构
JP2018071259A (ja) 解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